KR101467259B1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7259B1 KR101467259B1 KR1020130002377A KR20130002377A KR101467259B1 KR 101467259 B1 KR101467259 B1 KR 101467259B1 KR 1020130002377 A KR1020130002377 A KR 1020130002377A KR 20130002377 A KR20130002377 A KR 20130002377A KR 101467259 B1 KR101467259 B1 KR 101467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terminal
- user
- dimensional model
- stereoscopic image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93 ho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36—Details of the viewing window
- G03H2001/2242—Multiple view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는 방식이 아닌, 홀로그램 영상 속 대상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이 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은 반사 구조체,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구조체는 복수의 경사진 반사면으로 이루어져 각 반사면에 도달하는 영상을 반사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반사 구조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nd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that can not only provide a photographed hologram image but also can reflect motion of the object in a hologram image in real time, Controllable technology.
To this end,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ve structur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e reflectiv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reflective surfaces and reflects an image reaching each reflective surface.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s each image in an area divided by the number of the reflective surface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output an image rendered on the view points set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to the divided areas of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는 방식이 아닌, 홀로그램 영상 속 대상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이 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nd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that can not only provide a photographed hologram image but also can reflect motion of the object in a hologram image in real time, Controllable technology.
홀로그램(hologram)은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3차원 영상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은 직접 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빛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빛을 기준광(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서,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간섭 무늬에 의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홀로그램이다.A hologram is a three-dimensional image that looks like a real object, and is made using the principle of holography. The principle of holography is that we divide the rays from the laser into two, one light directly shines on the screen, and the other light shines on the object we are trying to see. At this time, the light directly illuminating the screen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beam, and the light illuminating the object is referred to as an object beam. Since the object light is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surface of the object, the phase difference (distance from the object surface to the screen) varies depending on the object surface. Here, the unmodified reference light interferes with the object light, and the hologram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interference fringe.
종래에는 쇼케이스, 엑스포 등에서 물품을 전시하는 데에 홀로그램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는 단채널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런데, 단채널 방식은 평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어서 홀로그램 영상의 입체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3채널 또는 4채널 방식이 제안되었다. Conventionally, a hologram image was used to display articles on a showcase, an expo, etc., and a short channel method was used to display the hologram image. However, the short channel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hologram image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displayed on a plane.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3-channel or 4-channel scheme has been proposed.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8771호 "홀로그램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벽면이나 불투명 판을 이용한 3채널 방식으로 동상 형태의 홀로그램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1495호 "준 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2차원 표면상에서의 3차원 대상물의 디스플레이를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방식으로 여러 각도에서 로케이션(locatio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28771 entitled "Hologram Image Display Device ", a hologram image in the form of a three-channel image using a wall surface or a non-transparent plate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display device. In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111495 entitle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quasi-three-dimensional images"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display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on one or more two- To a display tha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isplaying the location in various angles in an intuitive manner.
하지만, 상기 기술은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홀로그램 영상 속 대상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직접 이 대상물을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즉, 단편적인 영상 제공 방식이어서 활용 형태의 확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technique simply provides a photographed hologram image,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flect motion of the object in the hologram image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not directly control the object.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expansion of the utilization form is limited because it is a fragmentary imag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는 방식이 아닌, 홀로그램 영상 속 대상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motion of an object in a hologram image in real time rather than merely providing a previously captured hologram image.
또한, 사용자가 직접 홀로그램 영상 속 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user to directly control an object in a hologram image.
또, 본 발명은 단편적인 영상 제공 방식이 아닌, 활용 형태의 폭넓은 확장이 가능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capable of widening an application form, not a fragmentary image providing meth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은 반사 구조체,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구조체는 복수의 경사진 반사면으로 이루어져 각 반사면에 도달하는 영상을 반사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반사 구조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including a reflective structur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e reflectiv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reflective surfaces and reflects an image reaching each reflective surface.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s each image in an area divided by the number of the reflective surface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output an image rendered on the view points set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to the divided areas of the display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입체영상으로 실시간 제공함에 따라서 3차원 모델의 움직임을 입체영상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단편적인 영상 제공 방식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모델을 실시간 렌더링하여 이를 입체영상으로 제공해주므로 활용 형태의 확장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s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so that a mo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reflected in a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a hologram image is simply provided in advance, so it is a fragmentary image providing metho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rendered in real time and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입체영상에 생동감과 율동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del in real time through his / her user terminal,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given a feeling of liveliness and rhythm, thereby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user.
또, 본 발명은 NFC 태그나 바코드, QR 코드 등과 같은 감지수단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카드나 고스톱, 사격, 결투, 스포츠 등과 같이 지정된 자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할 수 있는 3차원 게임을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three-dimensional model in real time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a user terminal recognized through a sensing means such as an NFC tag, a bar code, a QR code, A three-dimensional game which can be play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can be practically enjoyed.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반사면에 위치해 있는지 판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사 구조체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게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보다 긴장감 있고 현실감 있는 3차원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reflective surface the user is located through the instruc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play the game while moving around the reflective structure, thereby making the game more tense and realistic So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maximized.
또, 본 발명은 게임을 예약하는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로 리스트화하고, 게임이 종료될 때마다 순서대로 게임 가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사용자에 의해서만 게임 속 3차원 모델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게임 장치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지 않아도 자기 차례가 될 때 게임 장치로 가면 되므로 편하게 순서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umerates a list of users who reserve a gam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ransmits game-enabl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equentially each time the game ends, It is possible to enjoy the game in an easy order, since the user can go to the game device at the time of his turn without waiting in line in front of the gam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반사 구조체의 각 반사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들이 각 반사면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사격 게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들이 반사 구조체 주변을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사격 게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image output to each reflection surface of the reflection structure.
FIG. 4 is a view showing a shooting game process in which the users are position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reflection surfaces and are located at this posi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ooting game process in which users move around a reflective struct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exaggerated values may be presented for conven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반사 구조체의 각 반사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output to each reflection surface of a reflection structure.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반사 구조체(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무선통신모듈(140), 감지수단(150), 지시 신호 감지부(160) 등을 포함한다.1 and 2, a stereoscopic
반사 구조체(110)는 복수의 경사진 반사면(111)으로 이루어져 각 반사면(111)에 도달하는 영상을 반사시킨다. 각 반사면(111)은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반사 구조체(110)는 삼각뿔이나 역삼각뿔, 사각뿔, 역사각뿔 등의 각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디스플레이부(120)는 반사 구조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고, 반사면(111)의 개수만큼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일실시예로, 도 3과 같이 반사 구조체(110)가 사각뿔 형상인 경우 네 영역에 각각 정면 영상, 좌측 영상, 우측 영상, 후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네 개의 영상들이 각각 네 개의 반사면(111)에서 반사되어 반사 구조체(110)의 내부 중심에서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사각뿔 형상의 반사 구조체(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제어부(130)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반사면(111)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위치시키고, 특정 시점에서 상기 3차원 가상공간을 바라보았을 때의 화면을 2차원 영상으로 렌더링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이렇게 렌더링한 2차원의 정면, 좌측, 우측, 후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의 분할된 네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므로, 반사 구조체(110)의 내부 중심에서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반사 구조체(110) 아래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반사 구조체(110)와 분리되어 별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3차원 모델과 이를 렌더링한 영상은 3D Max, Maya, zbrush 등의 3D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입체영상으로 실시간 제공함에 따라서 3차원 모델의 움직임을 입체영상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단편적인 영상 제공 방식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모델을 실시간 렌더링하여 이를 입체영상으로 제공해주므로 활용 형태의 확장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s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so that the mo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reflected to the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a hologram image is simply provided in advance, so it is a fragmentary image providing metho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rendered in real time and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확장의 일예로,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의 무선통신모듈(140)은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3차원 모델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무선통신모듈(14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3차원 모델을 제어한다.Th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입체영상에 생동감과 율동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can control the 3D model in real time through his / her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give the 3D image a feeling of liveliness and rhythm, and thus the user's interest can be induced.
한편,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델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기술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의 감지수단(150)은 반사 구조체(110)의 복수개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무선통신모듈(140)은 감지수단(150)을 인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감지수단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감지수단(150)은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지정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고, NFC 태그나 바코드, QR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과 같이 네 개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네 개의 QR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수단(150)의 식별정보는 감지수단(150) 각각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게임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게임 종류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총, 활, 칼, 공 등의 게임 도구 모형으로 구현되며, 스마트폰의 경우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게임 도구 모형인 경우 식별정보는 모형 각각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감지수단(15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무선통신모듈(140)은 감지수단(15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감지수단(150)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대응되므로, 도 4와 같이 사각뿔 형상의 반사 구조체(110)에서 최대 4명까지 게임에 참여할 수 있으며, 감지수단(150)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만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nsing means 150 of the stereoscopic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수단(150)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카드나 고스톱, 사격, 결투, 스포츠 등과 같이 지정된 자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할 수 있는 3차원 게임을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user terminal recognized through the sensing means 150, so that a plurality of The user can enjoy the 3D game that the user of the game can enjoy together realistically.
이러한 기술은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지정된 자리에서만 즐겨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사격 게임에서 사용자 A, B, C, D는 자신이 위치한 정면, 좌측, 우측, 후면에서만 표적물을 맞춰야 하므로, 스케일이 큰 사격 게임에서는 현실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의 지시 신호 감지부(160)는 복수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30)는 지시 신호 감지부(160)에서 인식되는 지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복수의 반사면(111) 중 어느 면에 위치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별한다. 지시 신호 감지부(160)는 일실시예로, 총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광선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적외선 광선이 발사되어 각 반사면(111)에 맞을 때 이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어느 반사면(111)에 위치해 있는지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한 반사면(111)에 여러 사용자들이 위치해도 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지정된 자리에서 사격 게임을 하는 도 4와 달리 도 5에서는 사용자 A, B, C, D가 반사 구조체(110) 주변을 돌면서 표적물을 찾아 사격할 수 있다.This technique has the limitation that the us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should only enjoy the designated pl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since users A, B, C, and D must align their targets only on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ides of the shooting game, the reality may be deteriorated in a shooting game with a large scale. Accordingly, the instru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반사면(111)에 위치해 있는지 판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사 구조체(110)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게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보다 긴장감 있고 현실감 있는 3차원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한편, 특정 게임을 하려는 사용자들이 많은 경우에는 게임 장치 앞에서 자기 차례가 될 때까지 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게임을 예약하는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70) 및 예약 리스트 관리부(18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play a specific game, there may be an inconvenience of waiting in line in front of the game devi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 list of users who reserve a game. To this end,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further includes a
데이터베이스(170)는 3차원 모델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제어 중인 경우, 상기 3차원 모델을 제어하길 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예약 신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리스트화한다. 즉, 특정 게임을 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게임을 하길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예약 신청을 받는데, 이때 예약 신청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7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를 리스트화하여 예약 신청이 완료된 순서대로 저장한다.Whe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under control by a specific user, the
예약 리스트 관리부(180)는 상기 리스트화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순서대로 3차원 모델이 제어 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예를 들면, 예약 리스트 관리부(180)는 특정 게임이 끝날 때 리스트 중 가장 먼저 예약 신청이 완료된 스마트폰으로 게임 가능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게임이 시작되지 않으면 그 다음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게임 가능 정보를 전달한다.The reserv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게임을 예약하는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로 리스트화하고, 게임이 종료될 때마다 순서대로 게임 가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사용자에 의해서만 게임 속 3차원 모델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게임 장치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지 않아도 자기 차례가 될 때 게임 장치로 가면 되므로 편하게 순서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st of users reserving a game is list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am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every time the game ends, Dimensional model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game can be enjoyed in an easy order as it is possible to go to the game device when it comes to its turn without waiting in line in front of the game device.
<방법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방법에 대해서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와 더불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A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and the exemplary diagrams shown in FIGS. 1 to 5, for convenience.
1. 3차원 모델의 렌더링 영상을 반사 구조체의 반사면의 개수만큼 분할된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610>1. Step S610 of displaying the rendered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in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divided by the number of reflective surfaces of the reflective structure,
복수의 경사진 반사면(111)으로 이루어져 각 반사면(111)에 도달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 구조체(110),및 상기 반사 구조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면(111)의 개수만큼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입체영상 출력 방법에 있어서,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반사면(111)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위치시키고, 특정 시점에서 상기 3차원 가상공간을 바라보았을 때의 화면을 2차원 영상으로 렌더링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이렇게 렌더링한 2차원의 정면, 좌측, 우측, 후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의 분할된 네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므로, 반사 구조체(110)의 내부 중심에서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반사 구조체(110)와 디스플레이부(12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reflecting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입체영상으로 실시간 제공함에 따라서 3차원 모델의 움직임을 입체영상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미리 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단편적인 영상 제공 방식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모델을 실시간 렌더링하여 이를 입체영상으로 제공해주므로 활용 형태의 확장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model modeled in the 3D virtual space is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so that the motion of the 3D model can be reflected to the stereoscopic image in real time.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a hologram image is simply provided in advance, so it is a fragmentary image providing metho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rendered in real time and provided as a stereoscopic image,
2.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단계<S620>2. Step S620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다. 이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는 감지수단(150)을 인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감지수단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감지수단(150)은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지정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고, NFC 태그나 바코드, QR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과 같이 네 개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네 개의 QR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수단(150)의 식별정보는 감지수단(150) 각각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게임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게임 종류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총, 활, 칼, 공 등의 게임 도구 모형으로 구현되며, 스마트폰의 경우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게임 도구 모형인 경우 식별정보는 모형 각각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stereoscopic
3.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제어하는 단계<S630>3.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through the user terminal (S63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3차원 모델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3차원 모델을 제어한다.And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del.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through the communication-connected user terminal, the stereoscopic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입체영상에 생동감과 율동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can control the 3D model in real time through his / her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give the 3D image a feeling of liveliness and rhythm, and thus the user's interest can be induc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감지수단(150)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대응되므로, 도 4와 같이 사각뿔 형상의 반사 구조체(110)에서 최대 4명까지 게임에 참여할 수 있으며, 감지수단(150)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만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user terminal corresponds to one sensing means 150, a maximum of four users can participate in the game from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수단(150)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카드나 고스톱, 사격, 결투, 스포츠 등과 같이 지정된 자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할 수 있는 3차원 게임을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user terminal recognized through the sensing means 150, so that a plurality of The user can enjoy the 3D game that the user of the game can enjoy together realistically.
4. 복수의 반사면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40>4. Step S640 of receiving an instruc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복수의 반사면(111)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데, 일실시예로, 총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광선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respons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5. 사용자가 복수의 반사면 중 어느 면에 위치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별하는 단계<S650>5. Step S650 of determining in real time whic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the user is located in
인식되는 지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복수의 반사면 중 어느 면에 위치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별한다. 즉, 적외선 광선이 발사되어 각 반사면(111)에 맞을 때 이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어느 반사면(111)에 위치해 있는지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한 반사면(111)에 여러 사용자들이 위치해도 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지정된 자리에서 사격 게임을 하는 도 4와 달리 도 5에서는 사용자 A, B, C, D가 반사 구조체(110) 주변을 돌면서 표적물을 찾아 사격할 수 있다. Based on the recognized instruction signal, determines on whic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the user is located in real time. That is, when an infrared ray is fired and fits on each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반사면(111)에 위치해 있는지 판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사 구조체(110)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게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보다 긴장감 있고 현실감 있는 3차원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한편, 특정 게임을 하려는 사용자들이 많은 경우에는 게임 장치 앞에서 자기 차례가 될 때까지 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들과 같이 게임을 예약하는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play a specific game, there may be inconvenience to wait in line in front of the game devic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 list of users who reserve a game have.
6. 사용자로부터 예약 신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리스트화하는 단계<S660>6. Step S660 of receiving the reserv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and lis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3차원 모델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제어 중인 경우, 상기 3차원 모델을 제어하길 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예약 신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리스트화한다. 이 단계에서는 특정 게임을 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게임을 하길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예약 신청을 받는데, 이때 예약 신청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7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를 리스트화하여 예약 신청이 완료된 순서대로 저장한다. Whe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under control by a specific user, the reserv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one or more users who desire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isted. At this stage, if there is a user playing a specific game, the user receives a reservation application from the users who want to play the specific game. At this time, the reservation applic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smart phone owned by the user. The
7. 리스트화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순서대로 3차원 모델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단계<S670>7. Step (S670) of manag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as to be controlled in the orde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isted user terminals
상기 리스트화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순서대로 상기 3차원 모델이 제어 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예를 들면, 예약 리스트 관리부(180)는 특정 게임이 끝날 때 리스트 중 가장 먼저 예약 신청이 완료된 스마트폰으로 게임 가능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가 전달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게임이 시작되지 않으면 그 다음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게임 가능 정보를 전달한다. And controls the 3D model to be controlled in the orde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isted user terminals. For example, at the end of a specific game, the reserv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게임을 예약하는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로 리스트화하고, 게임이 종료될 때마다 순서대로 게임 가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사용자에 의해서만 게임 속 3차원 모델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게임 장치 앞에서 줄 서서 기다리지 않아도 자기 차례가 될 때 게임 장치로 가면 되므로 편하게 순서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st of users reserving a game is list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am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every time the game ends, Dimensional model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game can be enjoyed in an easy order as it is possible to go to the game device when it comes to its turn without waiting in line in front of the gam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출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100: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Claims (11)
상기 반사 구조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반사면 각각에 대응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감지수단을 인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감지수단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 A reflective structure made up of a plurality of inclined reflective surfaces and reflecting an image reaching each reflective surface;
A display unit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ing each image in an area divided by the number of reflective surfac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output an image rendered on the view points set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to the divided areas of the display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And
And sens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sensing mean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ognized the sensing means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3차원 모델을 제어하는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three-dimensional model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일부에 도달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지시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신호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지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어느 면에 위치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별하는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struction signal detection unit that receives an instru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aches a part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in real tim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planes based on the instruction signal received by the instruction signal sensing unit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상기 3차원 모델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제어 중인 경우, 상기 3차원 모델을 제어하길 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 신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리스트화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리스트화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순서대로 상기 3차원 모델이 제어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예약 리스트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 출력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A database for receiving a reservation request signal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desiring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del and li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being controlled by a specific user; And
Dimensional model to be controlled in the order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s listed above,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반사면의 개수만큼 설정된 뷰포인트(view point)에 대해 렌더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반사면 각각에 대응하는 감지수단을 인식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감지수단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입체영상 출력 방법. And a display unit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s an image on an area divided by the number of the reflective surfaces,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model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output an image rendered for a view point set as many as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to divided areas of the display unit; And
Comprising: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ep includes receiving sensing mean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terminal that recognizes the sens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Stereoscopic image output metho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3차원 모델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 출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일부에 도달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지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어느 면에 위치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 출력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Receiving an instruction signal outpu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reaching a part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And
Determining in real time which sid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the user is located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instruction signal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상기 3차원 모델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제어 중인 경우, 상기 3차원 모델을 제어하길 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예약 신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리스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화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순서대로 상기 3차원 모델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 출력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Receiving a reservation request signal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desiring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del and li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under control by a specific user; And
And manag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to be controlled in the order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s listed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377A KR101467259B1 (en) | 2013-01-09 | 2013-01-09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377A KR101467259B1 (en) | 2013-01-09 | 2013-01-09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0401A KR20140090401A (en) | 2014-07-17 |
KR101467259B1 true KR101467259B1 (en) | 2014-12-01 |
Family
ID=5173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377A KR101467259B1 (en) | 2013-01-09 | 2013-01-09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725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399B1 (en) | 2016-01-28 | 2016-09-08 | (주)에스엠에이 | Hologram displaying apparatus using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80066760A (en) * | 2016-12-09 | 2018-06-19 | 이승빈 | System for providng 3d hair style using holography |
KR20200090297A (en) | 2019-01-18 | 2020-07-29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 Hologram device that responds to external sound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4724B1 (en) * | 2015-03-16 | 2017-02-08 |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 Indoor hologram image display apparatus |
US9716878B2 (en) * | 2015-12-14 | 2017-07-25 | X Development Llc | Volumetric display using acoustic pressure waves |
KR101975820B1 (en) * | 2017-05-08 | 2019-05-08 | 주식회사 쓰리디뱅크 | Apparatus and method of building 3-dimensional hologram showing quadrant like the real thing using 3-dimensional data |
KR200490881Y1 (en) * | 2018-08-28 | 2020-01-17 | 주식회사 포디웰컴 | System for providing three dimensional contents using the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
KR20210031802A (en) * | 2019-08-21 | 2021-03-23 | 정지원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floating hologram of objects |
CN114827566B (en) * | 2021-01-28 | 2024-03-08 | 幻景启动股份有限公司 | Float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4140A (en) * | 2007-07-06 | 2009-01-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3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
KR20090103575A (en) * | 2008-03-28 | 2009-10-01 | 정상경 | Hologram imaging device |
KR20100112823A (en) * | 2009-04-10 | 2010-10-20 | 주식회사 마이마스 | Reflection-type hologram device |
KR20120018673A (en) * | 2010-08-23 | 2012-03-05 | (주)에프앤아이 |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and apparatus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
2013
- 2013-01-09 KR KR1020130002377A patent/KR1014672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4140A (en) * | 2007-07-06 | 2009-01-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3D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
KR20090103575A (en) * | 2008-03-28 | 2009-10-01 | 정상경 | Hologram imaging device |
KR20100112823A (en) * | 2009-04-10 | 2010-10-20 | 주식회사 마이마스 | Reflection-type hologram device |
KR20120018673A (en) * | 2010-08-23 | 2012-03-05 | (주)에프앤아이 |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and apparatus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399B1 (en) | 2016-01-28 | 2016-09-08 | (주)에스엠에이 | Hologram displaying apparatus using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80066760A (en) * | 2016-12-09 | 2018-06-19 | 이승빈 | System for providng 3d hair style using holography |
KR20200090297A (en) | 2019-01-18 | 2020-07-29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 Hologram device that responds to external soun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0401A (en) | 2014-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725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3d image | |
US11666825B2 (en) | Mixed reality gaming system | |
JP756056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 |
US10972680B2 (en) | Theme-based augmentation of photorepresentative view | |
US9704295B2 (en) | Construction of synthetic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
US12020391B2 (en) | Spatial instructions and guides in mixed reality | |
KR20170062533A (en) | Driving a projector to generate a shared spatial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 |
US20150312559A1 (en) |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 |
WO201512570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CN102520574A (en) | Time-of-flight depth imaging | |
KR101734520B1 (en) | User Interfacing system based on movement patterns recognition by gyro sensor | |
JP2018158046A (en) |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character screening system and program | |
KR20140081840A (en) | Motion controlled list scrolling | |
CN103813837A (en) | Game device, control method of game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 |
TW201640281A (en) | Tangible three-dimensional light display | |
KR101710198B1 (en) |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bject | |
JP7172139B2 (en) | Sales system | |
US9414051B2 (en) | Extensible authoring and playback platform for complex virtual reality interactions and immersive applications | |
CN102346020A (en) |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ve interface | |
KR101192314B1 (en) | System for Realistic 3D Game | |
WO2024054502A1 (en) | Tangible/virtual design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 design | |
Piérard et al. | I-see-3d! an interactive and immersive system that dynamically adapts 2d projections to the location of a user's eyes | |
KR20200031255A (en) | System for sharing of image data or video data for interaction content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212508B1 (en) |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 |
Hamadouche | Augmented reality X-ray vision on optical see-through head mounted display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