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88B1 -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88B1
KR101465788B1 KR20140011661A KR20140011661A KR101465788B1 KR 101465788 B1 KR101465788 B1 KR 101465788B1 KR 20140011661 A KR20140011661 A KR 20140011661A KR 20140011661 A KR20140011661 A KR 20140011661A KR 101465788 B1 KR101465788 B1 KR 10146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ight
core
optical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황성환
이우진
정은주
노병섭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2014001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01H9/004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using fibre optic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1/00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optical pulses or of optical pulse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1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being disposed at the same side of a fibre or waveguide end-face, e.g. reflectometers
    • G01M11/3109Reflectometers detecting the back-scattered light in the time-domain, e.g. OTDR
    • G01M11/3118Reflectometers detecting the back-scattered light in the time-domain, e.g. OTDR using coded light-pulse seque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코어 및 제2코어를 갖으며 측정대상 영역에 배치되는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와,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1출력단을 통해 제1코어에 입사시키고, 제1코어로부터 역으로 제1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1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1광서큘레이터와, 제2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2출력단을 통해 제2코어에 입사시키고, 제2코어로부터 역으로 제2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2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2광서큘레이터와, 펄스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광 생성기와, 펄스광 생성기에서 출력되는 펄스광을 제1입력단과 접속된 제1출력채널과, 제2입력단과 접속된 제2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의 출력채널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광스위치와, 제1검출단과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파장필터부와, 파장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검출부와, 펄스광 생성기와 광스위치의 출력채널 선택을 제어하며 광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에 인가된 물리량을 산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에 의하면, 이중 코어 각각을 이용하여 산란광을 수집할 수 있어 측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평균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측정시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optical sening system having dual core}
본 발명은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중 코어 광섬유를 이용하여 측정대상 물리량을 측정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센서는 광섬유 내의 코어의 굴절율을 변화시켜 제작한 광섬유 격자 격자 센서가 있다. 그런데, 광섬유 격자 센서는 격자가 새겨진 부분만 센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 걸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분포형 광섬유 센서로서 산란형 센서는 펄스 광원을 사용하여 광섬유에 작용하는 물리량에 따른 광섬유 내부의 후방 산란광을 측정함으로써 장거리 센싱이 가능하다.
이러한 산란형 센서로는 레일레이(Rayleigh) 산란형 광섬유 센서, 라만(Raman) 산란형 광섬유 센서, 브릴루앙(Brillouin) 산란형 광섬유 센서 등이 있다.
레일레이 산란형 광섬유 센서는 펄스광이 광섬유 내부를 진행하는 중 광섬유의 밀도의 불균일 분포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산란광을 측정하는 센서로, 펄스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후방 산란광을 얻을 수 있다.
라만 산란형 광섬유 센서와 브릴루앙 산란형 광섬유 센서는 모두 비선형 광산란을 이용하는 센서이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405호에는 감지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후방 산란광 중 라만 산란광과 브릴루앙 산란광을 측정하는 분포 광섬유 센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라만 산란은 광섬유 내에서 빛이 전달될 때 분자 진동에 의하여 후방 산란 신호가 발생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때, 분자의 진동은 열적인 변화에 의해서만 변화하므로, 라만 산란형 광섬유 센서는 대부분 온도 센서로 사용되고 있다.
브릴루앙 산란형 광섬유 센서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온도 또는 응력 등에 따라 광섬유 고유의 브릴루앙 주파수 값이 변화하는데, 이러한 브릴루앙 주파수의 변화량을 구하여 외부 물리량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광섬유 내에 발생하는 브릴루앙 산란은 빛이 광섬유 내에 진행할 때 음파와 결합하여 후방 산란 신호를 만드는 현상을 지칭하는데, 이러한 후방 산란 신호는 광섬유가 위치한 환경에 비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온도 및/또는 응력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분포형 광섬유센서는 하나의 코어를 갖는 센싱 광섬유를 적용하고 있고, 산란 반사광의 미약한 신호에 대한 측정에러를 줄이기 위해 통상 1000회 이상 펄스광을 반복 인가하고, 검출되는 산란광에 대해 평균화 과정을 거쳐 측정 물리량에 대한 최종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측정 정밀도 및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용되는 평균화 횟수를 증가하면 되는 데, 이 경우 하나의 코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측정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코어을 갖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측정정밀도를 높이면서도 측정시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은 클래드 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코어 및 제2코어를 갖으며 측정대상 영역에 배치되는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와;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1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1코어에 입사시키고, 상기 제1코어로부터 역으로 상기 제1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1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1광서큘레이터와; 제2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2코어에 입사시키고, 상기 제2코어로부터 역으로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2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2광서큘레이터와; 펄스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광 생성기와; 상기 펄스광 생성기에서 출력되는 펄스광을 상기 제1입력단과 접속된 제1출력채널과, 상기 제2입력단과 접속된 제2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의 출력채널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광스위치와; 상기 제1검출단과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파장필터부와; 상기 파장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펄스광 생성기와 상기 광스위치의 출력채널 선택을 제어하며 상기 광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에 인가된 물리량을 산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광서큘레이터의 상기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상기 제1코어에 집속시키는 제1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제2광서큘레이터의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상기 제2코어에 집속시키는 제2콜리메이팅 렌즈;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라만 산란광, 브릴루앙 산란광, 레일레이 산란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공통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커플러와; 상기 광커플러의 공통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파장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1파장필터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2파장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제1파장필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검출부와; 상기 제2파장필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2광검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에 의하면, 이중 코어 각각을 이용하여 산란광을 수집할 수 있어 측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평균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측정시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100)은 레이저 광원(110), 광스위치(120), 제1광서큘레이터(131), 제2광서큘레이터(132), 제1 및 제2 콜리메이팅 렌즈(141)(142),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150), 광커플러(161), 파장필터(162), 광검출부(170), 신호처리부(180)를 구비한다.
레이저 광원(LD)(110)은 펄스광을 출력하는 펄스광 생성기로서 적용된 것으로서, 신호 처리부(180)에 제어되어 펄스광을 출력한다.
광스위치(120)는 신호 처리부(190)에 제어되어 레이저 광원(110)으로부터 입력된 펄스광을 두 개의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광서큘레이터(131)는 제1채널(ch1)과 접속된 제1입력단(131a)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1출력단(131b)을 통해 제1코어(151)에 입사시키고, 제1코어(151)로부터 역으로 제1출력단(131b)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1검출단(131c)을 통해 출력한다.
제2광서큘레이터(132)는 제2채널(ch2)과 접속된 제2입력단(132a)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2출력단(132b)을 통해 제2코어(152)에 입사시키고, 제2코어(152)로부터 역으로 제2출력단(132b)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2검출단(132c)을 통해 출력한다.
제1콜리메이팅 렌즈(141)는 제1광서큘레이터(131)의 제1출력단(131b)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제1코어(151)에 집속시킨다.
제2콜리메이팅 렌즈(142)는 제2광서큘레이터(132)의 제2출력단(132b)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제2코어(152)에 집속시킨다.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150)는 하나의 클래드(153) 내에 상호 이격되게 제1 코어(151) 및 제2코어(15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센싱 영역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150)의 연장길이는 수백미터 내지 수십킬로미터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커플러(161)와 파장필터(162)는 파장필터부(160)에 해당한다.
광커플러(161)는 제 1 및 제2검출단(131c)(132c) 각각과 접속되어 제 1 및 제2검출단(131c)(132c)을 통해 입력된 광을 파장필터(162)로 이어지는 중계단을 통해 출력한다.
파장필터(162)는 광커플러(161)의 중계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킨다.
파장필터(162)는 이중 코어 센싱광섬유(150)로부터 역으로 진행되는 산란광 중 라만 산란광을 통과하도록 하거나, 브릴루앙 산란광을 통과하도록 하거나 레일레이 산란광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파장필터(162)는 이중코어 센싱광섬유(150)로부터 역으로 진행되는 산란광에 대해 라만 산란광과 브릴루앙 산란광 및 레일레이 산란광을 각각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검출부(170)는 파장필터(162)에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신호처리부(180)에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180)는 레이저 광원(110)과 광스위치(120)의 구동을 제어하고, 광검출부(187)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이중 코어 센싱 광섬유(150)의 연장 길이방향에 대한 위치별로 측정대상 물리량을 산출한다.
신호 처리부(180)는 펄스광이 출력되도록 레이저 광원(110)을 스위칭 온/오프 제어하고, 설정된 전환주기에 따라 제1출력채널과 제2출력채널로 순차적으로 광이 전송되도록 광스위치(120)의 구동을 제어하고, 광검출부(180)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150)의 연장 길이방향에 대한 위치별로 측정대상 물리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1출력채널(ch1)을 통해 펄스광을 제1코어(151)로 출력한 다음 다음 펄스광을 제2출력채널(ch2)을 통해 제2코어(152)로 전송하는 전환주기는 제1코어(151)의 연장길이 및 산란광의 복귀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신호 처리부(180)에서 산란광에 대한 광세기를 이용하여 측정대상 물리량 즉, 온도 또는 스트레인을 산출하는 방식은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부(185)는 신호처리부(180)에 의해 산출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측정값을 설정된 통신주소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 시스템(100)은 펄스광을 제1코어(151)와 제2코어(152)로 순차적으로 인가하면서 제1코어(151) 및 제2코어(152)의 산란광을 각각 검출할 수 있고, 제1코어(151) 및 제2코어(152)는 동일 환경에 적용되기 때문에 측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평균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측정시간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측정시간을 더욱 줄이기 위해 제1코어(151)의 산란광과 제2코어(152)의 산란광을 독립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장필터부로서 제1파장필터(162a)와 제2파장필터(162b)가 적용되고, 광검출부로서 제1 및 제2광검출부(171)(172)가 적용되었다.
제1파장필터(162a)는 제1검출단(131c)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켜 제1광검출부(171)에 제공한다.
제2파장필터(162b)는 제2검출단(132c)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켜 제2광검출부(172)에 제공한다.
이 경우 제1코어(151)의 산란광과 제2코어(152)의 산란광에 대해 상호 독립적으로 필터링 및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80)에 제공할 수 있어 측정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10: 레이저 광원 120: 광스위치
131: 제1광서큘레이터 132: 제2광서큘레이터
141, 142: 제1 및 제2 콜리메이팅 렌즈
150: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 161: 광커플러
162: 파장필터 170: 광검출부
180: 신호처리부

Claims (5)

  1. 클래드 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코어 및 제2코어를 갖으며 측정대상 영역에 배치되는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와;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1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1코어에 입사시키고, 상기 제1코어로부터 역으로 상기 제1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1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1광서큘레이터와;
    제2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광을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2코어에 입사시키고, 상기 제2코어로부터 역으로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제2검출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2광서큘레이터와;
    펄스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광 생성기와;
    상기 펄스광 생성기에서 출력되는 펄스광을 상기 제1입력단과 접속된 제1출력채널과, 상기 제2입력단과 접속된 제2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의 출력채널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광스위치와;
    상기 제1검출단과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파장필터부와;
    상기 파장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펄스광 생성기와 상기 광스위치의 출력채널 선택을 제어하며 상기 광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이중코어 센싱 광섬유에 인가된 물리량을 산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서큘레이터의 상기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상기 제1코어에 집속시키는 제1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제2광서큘레이터의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상기 제2코어에 집속시키는 제2콜리메이팅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라만 산란광, 브릴루앙 산란광, 레일레이 산란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공통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커플러와;
    상기 광커플러의 공통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파장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필터부는
    상기 제1검출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1파장필터와;
    상기 제2검출단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해 설정된 파장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2파장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제1파장필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검출부와;
    상기 제2파장필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2광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KR20140011661A 2014-01-29 2014-01-29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KR10146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661A KR101465788B1 (ko) 2014-01-29 2014-01-29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661A KR101465788B1 (ko) 2014-01-29 2014-01-29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88B1 true KR101465788B1 (ko) 2014-12-02

Family

ID=5267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1661A KR101465788B1 (ko) 2014-01-29 2014-01-29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950A (zh) * 2018-05-17 2018-08-31 钦州学院 一种基于光纤传感的天然气立管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101916893B1 (ko) * 2017-02-17 2018-11-08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분포형 방사선 검출기 및 검출 방법
KR101930927B1 (ko) * 2017-06-09 2018-12-20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분포형 방사선 및 진동 검출기
KR20190101780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 인프라의 음향을 센싱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1529357A (ja) * 2018-06-22 2021-10-28 ファイバーコア リミテッド 光学ファイバ
KR20220158884A (ko) * 2021-05-24 2022-12-02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KR102666345B1 (ko) 2022-03-29 2024-05-17 한국광기술원 온도 보정형 광섬유 변형률 분포 센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66A (ja) * 1992-06-24 1994-01-14 Matsushita Electron Corp 反射鏡付き白熱電球
JPH0756041A (ja) * 1993-08-20 1995-03-0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ュアルコア光ファイバ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計測装置
JP2004101472A (ja) 2002-09-12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光ファイバを用いた歪み温度計測装置
KR101314848B1 (ko) 2012-07-17 2013-10-04 파워옵틱스(주) 이중코어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온도/굴절률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66A (ja) * 1992-06-24 1994-01-14 Matsushita Electron Corp 反射鏡付き白熱電球
JPH0756041A (ja) * 1993-08-20 1995-03-0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ュアルコア光ファイバ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計測装置
JP2004101472A (ja) 2002-09-12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光ファイバを用いた歪み温度計測装置
KR101314848B1 (ko) 2012-07-17 2013-10-04 파워옵틱스(주) 이중코어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온도/굴절률 측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893B1 (ko) * 2017-02-17 2018-11-08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분포형 방사선 검출기 및 검출 방법
KR101930927B1 (ko) * 2017-06-09 2018-12-20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분포형 방사선 및 진동 검출기
KR20190101780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 인프라의 음향을 센싱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468950A (zh) * 2018-05-17 2018-08-31 钦州学院 一种基于光纤传感的天然气立管预警系统及预警方法
JP2021529357A (ja) * 2018-06-22 2021-10-28 ファイバーコア リミテッド 光学ファイバ
JP7254172B2 (ja) 2018-06-22 2023-04-07 ファイバーコア リミテッド 光学ファイバ
KR20220158884A (ko) * 2021-05-24 2022-12-02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KR102504680B1 (ko) * 2021-05-24 2023-03-03 한국광기술원 광기반 변압기 절연유 모니터링 장치
KR102666345B1 (ko) 2022-03-29 2024-05-17 한국광기술원 온도 보정형 광섬유 변형률 분포 센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88B1 (ko) 분포형 이중코어 광섬유 센서시스템
CA2288746C (en) Distributed sensing system
EP2587238B1 (en) Optical fibr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ment apparatus
CN102494801B (zh) 一种分布式光延迟光纤温度传感器
CN103278185B (zh) 基于校准光纤光栅的腔衰荡光纤光栅传感解调装置
RU2413188C2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WO2010021362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
CN105762621A (zh) 具有完整光学计量功能的掺稀土光纤放大器
JPWO2004010098A1 (ja) 光ファイバの偏波モード分散の測定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KR101356986B1 (ko) 광섬유 분포 온도 측정용 라만 센서 시스템
KR20120122612A (ko) 분광기를 기반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시스템
CN109029770B (zh) 基于环路解调的分布式光纤拉曼温度及应变解调方法
KR101381954B1 (ko) 광페룰을 이용한 외부 패브리-페로 광섬유 센서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광섬유 센서 제조 방법
JP3492346B2 (ja) 歪みと温度の分布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241482A (zh) 一种有源光纤光栅传感器波长解调系统及方法
CN204630604U (zh) 一种sms型并联多路复用光纤传感器
CN105092085A (zh) 基于带校正的双耦合结构单模错位光纤测量温度的方法
CN103453940A (zh) 基于多模结构的光纤传感器
CN106225949A (zh) 波分复用双波长光纤延迟温度传感器
CN104614093B (zh) 一种弯曲不敏感的分布式布里渊光纤温度和应变传感器
CN107101697B (zh) 一种准分布式光纤液位传感器的装置及其测量液位的方法
KR101493985B1 (ko) 광학적 펄스 가변형 분포형 광섬유 센서
CN205607564U (zh) 一种消除1xn光开关影响的分布式光纤温度传感装置
CN211178781U (zh) 一种双波长多通道分布式光纤测温系统
JPH05264370A (ja) 光ファイバの温度分布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