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432B1 -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432B1
KR101465432B1 KR1020130079742A KR20130079742A KR101465432B1 KR 101465432 B1 KR101465432 B1 KR 101465432B1 KR 1020130079742 A KR1020130079742 A KR 1020130079742A KR 20130079742 A KR20130079742 A KR 20130079742A KR 101465432 B1 KR101465432 B1 KR 10146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target
bas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현승
명성호
정명범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432B1/ko
Priority to PCT/KR2013/008275 priority patent/WO2015005529A1/ko
Priority to EP13859613.5A priority patent/EP30215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는, 가청주파수 내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 신호를 생성하는 타겟 신호 생성부;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와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기반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및 상기 타겟 신호와 상기 기반 신호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함께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SIGNAL OUTPUT DEV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가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단말들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된 대부분의 스마트 단말들은 3G, Wi-Fi, Bluetooth, LTE(Long Term Evolution), TCP/IP socket 통신, UDP socket 통신 등의 다양한 타입의 통신 기술들을 통해, 다른 스마트 단말 혹은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 등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들에는 다양한 센서(모듈)들이 내장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GPS 모듈(Global Positioning System), 광 센서(Ambient light), 마이크로 폰(Dual microphones),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카메라 모듈(Dual cameras), 나침반 센서(Compass),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등이 있다.
이러한 통신 기술 및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앱)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단말에 내장된 모듈이나 센서를 제어하기도 하고, 통신 기술 및 동기화 기술을 통해 다른 스마트 단말 또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혹은 공유하기도 하며, 다른 스마트 단말에 내장된 모듈이나 센서를 제어하기도 한다.
특히, 스마트 단말 간 제어 기술은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Chiu-Chiao Chung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하에서 Bluetooth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전력 소모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2011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Bio-inspired Computing and Applications, 2011. 12. 16), Souvik Maiti는 OSGi를 사용하여 Bluetooth와 Wi-Fi 기술을 함께 사용하는 상호 동작(interoperation)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2011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Applic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1.2.19).
다만, 이러한 기술들에 대해선 제약 조건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Wi-Fi를 활용한 스마트 단말 간 제어 기술은 양 단말이 Wi-Fi 통신망과 연결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또한, Socket 통신을 활용하는 경우 양 단말이 접속 가능한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고, Bluetooth 모듈을 활용하는 경우 양 단말 간에 페어링(Pairing) 동작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고 양 단말이 동일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특별한 제약 조건 없이 근거리에서 스마트 단말 간 무선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8-0042512호(발명의 명칭: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를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발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상기 입력되는 두 채널의 적외선 신호 중 신호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 적외선 신호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네트워크 연결 없이 가청 주파수 대역 내 고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 출력장치가 근거리에 위치한 대상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주변 잡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피 제어 단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오동작 없이 정확하게 생성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는, 가청주파수 내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 신호를 생성하는 타겟 신호 생성부;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와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기반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및 상기 타겟 신호와 상기 기반 신호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함께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는 신호 분석부; 및 상기 타겟 신호를 기초로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상기 해당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장치가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신호 처리장치로 수신된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타겟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신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더라도, 신호 출력장치에서 주변에 위치한 신호 처리장치로 제어를 위한 타겟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는 상호 간에 주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듣기 어려운 고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도 근거리 내에서 상호 제어가 가능하고, 양 단말 사이에서 타겟 신호 또는 기반 신호 중 일부에 손실이 있더라도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활용하여 단말 제어를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 간에 송수신된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의사코드(pseudo code)이다.
도 6a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신호 출력장치와 피 제어 단말 간 거리 및 장소에 따른 제어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현재 출시된 스마트 단말들의 최대 출력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16Hz ~ 22KHz) 내 고주파수(High Frequency)를 이용하고, 근거리에 위치한 양 단말 간의 제어와 관련된 기술이다. 여기서, 고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이상의 주파수를 의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말에서 제 2 단말로 가청 주파수 대역 내 고주파수의 신호가 송신되고, 제 2 단말은 수신된 해당 신호를 기초로 제어되며, 고주파수의 신호가 사용됨에 따라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주변의 예상치 못한 소리에 의한 오작동 또는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각 단말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 출력장치(100)와 신호 처리장치(200)는 개인용/공공용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의 종류, 성능, 형태 등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장치(100)와 신호 처리장치(200) 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 기술을 달성하기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로부터 각 단말로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고, 각 단말의 제조 시점부터 미리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신호 출력장치(100)에는 피 제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 신호 및 기준이 될 수 있는 기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송신 버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신호 처리장치(200)에는 타겟 신호를 기초로 해당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신 버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덧붙여, 신호 출력장치(100)에 수신 버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신호 처리장치(200)에 송신 버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후술될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관련 업종의 종사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 출력장치(100)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타겟 신호 생성부(110), 신호 저장부(120) 및 신호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한 개의 신호 처리장치(200)를 도시하였지만, 신호 출력장치(100)는 복수 개의 신호 처리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타겟 신호 생성부(110)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 신호를 생성하고, 타겟 신호는 가청주파수 내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에 기초한다.
이때, 특정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겟 신호 생성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고, 입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타겟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입력 신호는 신호 출력장치(100)에 구비되거나 별도로 장착된 입력장치를 통해 발생할 수 있고, 입력장치에서 타겟 신호 생성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 저장부(120)는 가청주파수 내에서 상술한 특정 주파수와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기반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기반 신호의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반 신호는 타겟 신호의 특정 주파수와 각기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2이상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2이상의 신호의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2 이상의 신호의 주파수와 타겟 신호의 특정 주파수는 서로 간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600Hz 이상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출력부(130)는 상술한 타겟 신호와 기반 신호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함께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출력부(130)는 코일에 전기가 흐르면 자석과 반발하는 원리로 동작하는 스피커 및 저 지연(low-latency)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아래 수학식 1 및 2를 기초로 저 지연 오디오의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 타겟 신호와 기반 신호를 사인파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샘플링 레이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 과정에서 시간에 대해 얼마나 잘게 쪼갤 것인가를 결정하는 상수일 수 있다.
Figure 112013061255265-pat00001
Figure 112013061255265-pat00002
이때, n은 최근 샘플의 인덱스 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A는 최대진폭이다. 또한, f는 저 지연 오디오에서 발생할 주파수를 의미하고, r은 저 지연 오디오의 샘플링 레이트이다.
이처럼 수학식 1 및 2에 의해 각 샘플 포인트의 값이 계산될 수 있고, 신호 출력부(130)는 원하는 주파수를 가진 타겟 신호와 기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저 지연 오디오는 신호 출력장치(100)에 내장된 CPU에 의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주파수를 기본적으로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기반 신호가 가청주파수 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2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2이상의 신호를 포함한 기반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사운드 파일을 미리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사운드 파일을 이용하여, n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포함한 기반 신호를 구현해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장치(200)는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신호 수신부(210), 신호 분석부(220) 및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210)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수신부(210)는 스마트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 결합되는 마이크로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자석과의 반발로 전기가 유도되는 방식 또는 음의 압력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는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원리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20)는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한다. 이때,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해당 신호 출력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신호 출력장치(100)로부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즉, 신호 분석부(220)는 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음파 신호 내에서 신호 출력장치(100)로부터 출력된 타겟 신호와 주변 잡음으로 인한 소음 신호를 구별해낼 수 있다.
또한, 기반 신호의 주파수 및 타겟 신호의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판단된 타겟 신호를 기초로, 해당 신호 처리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신호 출력장치(100)와 신호 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양 단말간 근거리 무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이나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 없이도 주변에 위치한 신호 처리장치(200)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출력장치(100)는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함께 출력하고, 신호 처리장치(200)는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활용하여 단말 제어를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청주파수 내 20KHz의 신호와 22KHz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26ms당 1비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208ms 동안 총 8 비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법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 제어 단말인 신호 처리장치(200)는 주변 잡음 또는 소음 신호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의도했던 것과 다른 에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신호 출력장치(100)는 26ms에서 234ms까지 208ms 동안 20KHz의 신호와 22KHz의 신호간 조합을 통해 "01010100"이라는 8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장치(200)는 156ms에서 182ms까지 26ms 동안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출력된 22KHz의 신호와, 주변 잡음으로 인한 20KHz의 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01010?00"이라는 8비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주변 잡음 또는 소음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고,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출력장치 및 신호 처리장치 간에 송수신된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경우 신호 출력장치(100)는 0ms에서 104ms까지, 156ms에서 260ms까지 총 2회의 시간(104ms*2)동안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기반 신호는 가청주파수 내 서로 다른 주파수(19KHz, 22KHz)를 가진 2개의 신호를 포함하고, 0ms에서 104ms까지의 제 1 타겟 신호는 20KHz의 특정 주파수를 가지며, 156ms에서 260ms까지의 제 2 타겟 신호는 21KHz의 특정 주파수를 가진다. 상술한 것처럼 기반 신호는 가청주파수 내 1개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일 수 있고,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2개 이상의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계 시간(α)을 52ms로 미리 설정했기 때문에, 신호 출력장치(100)는 임계 시간 이상의 104ms 동안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피 제어 단말인 신호 처리장치(200)는 음파 신호 내에 임계 시간인 52ms 혹은 그 이상의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신호 처리장치(200)는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한다. 즉, 어떤 신호가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되지 않거나,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되었다 하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 동안 수신된 경우라면, 해당 신호는 주변 잡음에 의한 소음 신호로 판단될 수 있다.
0ms에서 104ms 구간의 경우 신호 처리장치(200)는 78ms에서 130ms까지 21KHz의 어떤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해당 신호는 a 구간 동안 기반 신호(19KHz, 22KHz)와 함께 수신되지 않았고 기반 신호와 함께 26ms 동안만 수신되었기 때문에, 신호 처리장치(200)는 해당 신호를 소음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장치(200)는 0ms에서 52ms(혹은 그 이상인 104ms)까지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20KHz의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므로, 소정의 신호를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출력된 타겟 신호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156ms에서 260ms 구간의 경우 신호 처리장치(200)는 156ms에서 182ms까지 입력 손실(b, c)을 입은 일부 신호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182ms에서 208ms까지 20KHz의 어떤 신호(d)를 수신하고 있다. d 신호는 기반 신호(19KHz, 22KHz)와 함께 26ms 동안만 수신되었기 때문에, 신호 처리장치(200)는 d 신호를 소음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장치(200)는 입력 손실이 일부 발생했더라도, 182ms에서 234ms(혹은 그 이상인 260ms)까지 21KHz의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므로, 소정의 신호를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출력된 타겟 신호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신호 출력장치(100)와 신호 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주변 잡음에 의한 간섭 또는 일부 입력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양 단말간 근거리 무선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신호 처리장치(200)가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신호 처리장치(200)는 마이크로 폰 등을 통해 수신된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분석한다(S110). 스마트 단말(200)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수행하여 음파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 처리장치(200)는 이렇게 분석된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음파 신호 내에 기반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S120), 그 기반 신호와 함께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수신된 소정의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30)이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만약 기반 신호 및 소정의 신호가 분석된 음파 신호 내에 존재한다면, 신호 처리장치(200)는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고(S140), 그 타겟 신호를 기초로 신호 처리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50). 이렇게 생성된 제어 신호는 신호 처리장치(200)의 특정 동작을 위해 사용되거나, 스마트 단말(200) 내 특정 모듈의 구동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신호 처리장치(200) 주변에 위치한 신호 출력장치(100)로부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만약 분석된 음파 신호 내에 기반 신호와 별도로 수신된 신호 또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신호 처리장치(200)는 수신된 신호를 주변에서의 소음 신호로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미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 신호 처리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다시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S110).
덧붙여, 상술한 기반 신호의 주파수 및 타겟 신호의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의사코드(pseudo code)이다.
해당 의사코드는 신호 처리장치(200) 혹은 신호 처리장치(200)에 설치된 수신 버전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제어 신호 확인을 위한 변수 i 값이 0으로 초기화 되고, 신호 처리장치(200)의 마이크로 폰 등을 통해 수신된 음파 신호 At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이 수행된다. 이후 신호 처리장치(200)는 i 값을 증가시키며, 분석된 음파 신호 At 내에 상술한 기반 신호, 및 기설정된 임계 시간(α)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누적된 i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α)에 동일해지면, 해당 소정의 신호가 타겟 신호라고 판단하고, 타겟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 제어 신호에 의해 특정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추가적인 제어가 필요한 경우 변수 i의 값을 다시 0으로 초기화시킬 수 있고,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을 실제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한 내용에 대해 도 6a, 도 6b,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단말인 신호 출력장치(100)와 피 제어 단말인 신호 처리장치(200)를 모두 아이폰으로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송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신호 출력장치(100)에 설치되고, 수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피 제어 단말인 신호 처리장치(200)에 설치되었다. 이들 어플리케이션은 iOS 환경에 동작하도록 "Xcode"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NCH Software에서 제공하는 "Tone Generator Software"를 이용하여 1초 길이의 기본 사인파로 제작된 기반 신호는 wav format으로 송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저장되고, 기반 신호는 19.0KHz 주파수를 가진 제 1 신호와 22.0KHz 주파수를 가진 제 2 신호를 포함한다.
도 6a의 왼쪽 도면은 신호 출력장치(100)에 설치된 송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타겟 신호의 주파수인 특정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주파수 변경 버튼(a)과 "다른 신호 처리장치(200)의 카메라 촬영 수행"을 위한 타겟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캡쳐 버튼(b)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캡쳐 버튼(b)을 선택하면, 신호 출력장치(100)의 스피커 등을 통해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예를 들어, 104ms) 이상 동안 함께 출력된다.
도 6a의 오른쪽 도면은 사용자가 메인 화면 상에서 주파수 변경 버튼(a)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크롤 타입의 선택 인터페이스(c)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를 20KHz에서 21KHz로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결과를 바로 위 화면(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반 신호의 주파수와의 혼선 문제를 고려하여 적어도 600Hz 이상의 차이가 있는 특정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는 0.1KHz 단위로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b는 주변에 위치한 신호 출력장치(100)에 의해 무선 제어되는 신호 처리장치(200)에 설치된 수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컵 사진(a)은 제어 신호에 의해 촬영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이다. 캡쳐 레디 버튼(b)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이 구동되고,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수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송신 버전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과의 관계에서 상호 간에 약속된 타겟 신호의 특정 주파수(c)를 나타낸다. 가장 아래 부분(d)은 카메라 모듈이 구동된 이후에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집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x축은 시간 축으로서, 촬영을 위한 총 4번의 제어 신호가 1, 2, 3, 4 순으로 생성된 것을 나타내고, y 축은 제어 신호 생성시 신호의 길이 즉, 해당 주파수의 FFT bin 개수이며, 천 개의 bin이 1.0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술의 제 1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실험 환경은 조용한 실내(indoor quiet), 시끄러운 실내(indoor noisy), 조용한 실외(outdoor quiet), 시끄러운 실외(outdoor noisy) 등의 4가지로 구분하였고, 가정에서의 평균 생활 소음인 약 40dB 환경을 조용한 환경으로 간주하였으며,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소음인 약 60dB 환경을 시끄러운 환경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실험 단말 간의 거리는 1m씩 최대 7m까지 증가시켰으며, 실험자는 신호 출력장치(1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경우마다 100회 타겟 신호를 생성하였다. 신호 출력장치(100)는 아이폰 5를 사용하고, 피 제어 단말인 신호 처리장치(200)는 아이패드 3를 사용하였다. 또한, 신호 처리장치(200)에서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는 기준인 기설정된 임계 시간(α)은 52ms로 하고,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타겟 신호와 기반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시간(k)은 104ms로 하며, 타겟 신호의 특정 주파수는 20KHz로 하였다. 아래 표 1은 이러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고, 도 7은 신호 출력장치와 피 제어 단말 간 거리 및 장소에 따른 제어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거리 1m 2m 3m 4m 5m 6m 7m 정확도


제어
신호
감지

Indoor
Quiet
100 100 99 98 97 93 89 96.6%
Indoor
Noisy
100 100 99 97 96 92 90 96.3%
Outdoor
Quiet
100 100 99 99 96 93 88 96.4%
Outdoor
Noisy
100 100 98 95 94 91 87 95%
7m 이내의 제어 정확도는 각각 조용한 실내 96.6%, 시끄러운 실내 96.3%, 조용한 실외 96.4%, 시끄러운 실외 95%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은 약 96.1%이었다.
도 8은 현재 출시된 스마트 단말들의 최대 출력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처럼 스마트 단말들의 내장 스피커 음압은 대부분 약 70dB이기 때문에, 4m 이내까지는 약 99% 성공한다. 다만, 스피커로부터 멀어질수록 음압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5m를 넘어가면서부터 점차적으로 성공률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인물 사진 촬영의 경우 대부분 7m 이내에서 촬영한다는 점, 네트워크 망이나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 없이 7m 거리에서도 88.5%의 성공률로 양 단말간 무선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전체 실험 도중에 제어 신호 생성을 실패한 경우가 일부 존재했을 뿐, 제어 신호가 아닌 주변 소음에 의해 오작동되는 경우가 단 한차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소음 및 환경 조건과 거의 무관하게 양 단말간 근거리 무선 제어를 높은 성공률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술의 제 2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기반 신호의 주파수 및 타겟 신호의 특정 주파수는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청주파수 내 고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주변 사람들이 해당 신호를 얼마나 인지하는지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대상은 10대, 20대, 30대, 40대 각 연령별로 5명, 총 20명이며, 실험 환경은 제 1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과 동일하게 4가지 타입이다. 실험 진행은 실험자와 피실험자 1명이 함께 약 10m2(7m×7m) 크기의 공간 내에 자유롭게 있도록 하였으며, 실험자는 신호 출력장치(1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경우마다 3분 동안 총 10회 타겟 신호를 생성하였다. 다만, 피 제어 대상인 신호 처리장치(200)에서 카메라 촬영 시 발생하는 "찰칵" 소리에 의해 피실험자가 타겟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생성된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동작 없이 신호 처리장치(200)이 생성한 제어 신호의 횟수만을 체크하였다. 또한, 피실험자가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실험자의 타겟 신호 생성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출력된 신호가 들린다고 말한 횟수를 체크하였다. 아래 표 2는 이러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10회씩 각각 5명 10대 20대 30대 40대 평균
Indoor Quiet 5회 3 0 0 4%
Indoor Noisy 2 0 0 0 1%
Outdoor Quiet 3 2 0 0 2.5%
Outdoor Noisy 1 1 0 0 1%
각각의 환경에서 신호 출력장치(100)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지한 비율은 10대 4%, 20대 1%, 30대2.5%, 40대 1%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40대에서는 신호를 전혀 인지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아질수록 신호를 좀더 인지할 수 있으나, 10대의 경우 그 비율이 약 5.5%에 불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대 피실험자 중 단 한 명이 조용한 실내 3회, 시끄러운 실내 1회, 조용한 실외 2회, 시끄러운 실외 1회를 인지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별도의 청력 테스트 결과 해당 피실험자는 19.0KHz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청주파수 내 고주파수를 인지할 수 있는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볼 발명에서 제안된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양 단말간 근거리 무선 제어를 높은 성공률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신호 출력장치 110: 타겟 신호 생성부
120: 신호 저장부 130: 신호 출력부
200: 스마트 단말 210: 신호 수신부
220: 신호 분석부 230: 제어 신호 생성부

Claims (12)

  1. 주변에 위치한 다른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청주파수 내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 신호를 생성하는 타겟 신호 생성부;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와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기반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및
    상기 타겟 신호와 상기 기반 신호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함께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신호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및 상기 기반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신호 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신호 생성부는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주파수를 변경하고 상기 타겟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출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신호는 상기 특정 주파수와 각기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 2이상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2이상의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신호 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특정 주파수는 서로 600Hz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신호 출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저 지연(low-latency) 오디오를 포함하고, 상기 저 지연 오디오의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 상기 타겟 신호와 상기 기반 신호를 사인파 형태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장치.
  7.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음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는 신호 분석부; 및
    상기 타겟 신호를 기초로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상기 해당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타겟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신호 처리장치.
  9. 신호 처리장치가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장치로 수신된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 내에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신호를 타겟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타겟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신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반 신호 및 타겟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된 신호로서, 상기 가청주파수 내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 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음파 신호 내에 상기 기반 신호와 별도로 수신된 신호 또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상기 기반 신호와 함께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주변에서의 소음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미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타겟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가청주파수 내 18KHz 이상의 주파수로 각각 설정되는, 신호 처리방법.
KR1020130079742A 2013-07-08 2013-07-08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KR10146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42A KR101465432B1 (ko) 2013-07-08 2013-07-08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PCT/KR2013/008275 WO2015005529A1 (ko) 2013-07-08 2013-09-12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EP13859613.5A EP3021596B1 (en) 2013-07-08 2013-09-12 Signal output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42A KR101465432B1 (ko) 2013-07-08 2013-07-08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432B1 true KR101465432B1 (ko) 2014-12-01

Family

ID=5228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742A KR101465432B1 (ko) 2013-07-08 2013-07-08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21596B1 (ko)
KR (1) KR101465432B1 (ko)
WO (1) WO201500552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314A (ko) * 2002-03-15 2002-06-22 장중혁 음파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의음파에 대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30065230A (ko) * 2002-01-31 2003-08-06 강영식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단말기
KR20070029987A (ko) * 2005-09-12 2007-03-15 김준식 음파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0838A1 (en) * 1998-08-27 2010-02-04 Beepcard Ltd. Method to use acoustic signals for computer communications
AU2211102A (en) * 2000-11-30 2002-06-11 Scient Generics Ltd Acoustic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2512A (ko) 2006-11-10 200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83711B1 (ko) * 2010-09-20 2015-0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향통신 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56526B1 (ko) * 2011-03-16 2012-06-21 (주)아이트로닉스 근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전자기기 간의 사용자 정보 교환 방법
WO2013030672A2 (en) * 2011-08-22 2013-03-07 Glentworth Holdings Pty Ltd Sensitive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327561B1 (ko) * 2011-11-19 2013-11-07 주식회사프로토시스템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
KR101143343B1 (ko) * 2011-11-29 2012-05-09 이우상 무선 센서모듈과 유선 모니터링 단말기가 호환연결된 일체형 무선계측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30A (ko) * 2002-01-31 2003-08-06 강영식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단말기
KR20020048314A (ko) * 2002-03-15 2002-06-22 장중혁 음파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의음파에 대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70029987A (ko) * 2005-09-12 2007-03-15 김준식 음파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청주파수 경계대역에서 저가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초음파 모뎀 구현, 전성배외2명,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10.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1596A1 (en) 2016-05-18
WO2015005529A1 (ko) 2015-01-15
EP3021596B1 (en) 2018-03-28
EP3021596A4 (en)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8036B (zh) 音量调节方法及装置
CN107852437B (zh) 用于在电子设备中输出音频的方法和装置
EP3208700A1 (en)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KR102667645B1 (ko)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연동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074573A1 (en) Portable device with multiple modality interfaces
JP2021516786A (ja) 複数人の音声を分離する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61572B1 (ko) 센서 활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07888765B (zh) 一种切换场景模式的方法、移动终端
KR20090094167A (ko) 국부 에어리어 내의 전자 어플라이언스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735869B2 (e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CN107846516B (zh) 一种通话场景提示方法及移动终端
US11849412B2 (en) Methods and devices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 and demodul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8307308B (zh) 无线局域网设备的定位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3425488B (zh) 定位设备
JP2021509963A (ja) マルチビーム選定方法及び装置
Chung et al. Near wireless-control technology between smart devices using inaudible high-frequencies
JP2021512404A (ja) 認証ウィンドウ表示方法及び装置
CN106503023B (zh) 提示附近好友的方法及装置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721705A (zh) 通话质量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6603650B (zh) 共享位置信息的方法及终端设备
CN105930266B (zh) 网页调试方法及装置
CN109889665B (zh) 一种音量调节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465432B1 (ko) 신호 출력장치, 신호 처리장치 및 신호 처리방법
CN109473117B (zh) 音频特效叠加方法、装置及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