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06B1 -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 Google Patents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06B1
KR101465106B1 KR20130125816A KR20130125816A KR101465106B1 KR 101465106 B1 KR101465106 B1 KR 101465106B1 KR 20130125816 A KR20130125816 A KR 20130125816A KR 20130125816 A KR20130125816 A KR 20130125816A KR 101465106 B1 KR101465106 B1 KR 10146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concrete composition
cement concrete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to KR2013012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릿형 배수구를 구비하는 수로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 결합재 3~35 중량%, 잔골재 25∼65중량%, 굵은골재 20∼70중량%, 물 0.1∼15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0.0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60∼98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1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0.1~10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01~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01~5중량%, 감수제 0.01~5 중량% 및 소포제 0.01~3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로가 형성된 상기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몸체(110); 및 상기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몸체에 고정된 링 형상의 밀봉 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17)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제2 연결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재(120)는 상기 제2 연결부(118)의 내주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WATER CONDUIT WITH SLIT TYPE DRAIN OUTLET WITH CEMENT CONCRET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TRENGH AND ENDURABILITY}
본 발명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 등이 지면에나 노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로관을 이용하여 배수로가 형성된다. 종래의 배수로는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U자형 수로관을 일렬로 연결하고 개방된 상부를 스틸그레이팅으로 덮어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로 형성 방식은 고가의 스틸그레이팅을 필요로하고, 스틸그레이팅을 수로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작업을 요구하고 있어서, 경제성과 작업성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더 나아가 물에 자주 노출되는 배수구의 특성상, 강도 및 내구성과 함께 물과 함께 유입되는 염화물(특히 겨울의 결빙방지제)이나 다양한 종류의 화학 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 내구성, 경제성 및 작업성이 개선된 수로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로가 형성된 시멘트 콘크리트 몸체(110);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된 링 형상의 밀봉 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17)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제2 연결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재(120)는 상기 제2 연결부(118)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시멘트 결합재 3~35 중량%, 잔골재 25∼65중량%, 굵은골재 20∼70중량%, 물 0.1∼15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0.0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60∼98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1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0.1~10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01~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01~5중량%, 감수제 0.01~5 중량% 및 소포제 0.01~3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을 제공한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0~95 중량%, 석고 0.1~20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0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0.1~10 중량%, 플라이애쉬 0.1~20 중량%, 메타카올린 0.1~20 중량%, 고로슬래그 0.1~30 중량%, 촉진제 0.01~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01~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0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 또는 쇄사이고,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25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모래 또는 쇄사이다.
상기 밀봉 부재(120)의 외주면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수로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밀봉 부재를 받침대 위에 위치시키는 받침대 준비 단계; 상기 밀봉 부재가 놓인 상기 받침대 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성형틀과 제2 성형틀을 결합 상태로 설치하는 성형틀 설치 단계; 상기 두 성형틀 내에 형성된 성형 공간 내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가압 공구를 가장 아래에 위치시키는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 및 상기 성형 공간 내로 청구항 1의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가압 공구를 위로 이동시켜서 상기 몸체를 성형하는 가압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성형틀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틀과 제2 성형틀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형태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몸체를 구비하는 수로관이 제공되므로 경제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부분에 밀봉 부재가 구비되므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관은 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겨울 등에 뿌려지는 염화칼슘 등에 대한 내염특성과 함께 다양한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로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로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로관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수조관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관에 사용되는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결합재, 내구성 개선제, 잔골재, 굵은골재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0~95 중량%, 석고 0.1~20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0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0.1~10 중량%, 플라이애쉬 0.1~20 중량%, 메타카올린 0.1~20 중량%, 고로슬래그 0.1~30 중량%, 촉진제 0.01~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01~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0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60∼98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1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0.1~10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01~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01~5중량%, 감수제 0.01~5 중량% 및 소포제 0.01~3 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 또는 쇄사를 사용한다.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25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골재를 사용한다.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KS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40~9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함량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 작업성, 강도 및 내구성은 개선되나 건조수축 및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고, 시멘트의 함량이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수축은 적어지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석고는 무수석고, 이수석고, 반수석고 어떠한 것도 가능하나, 무수석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무수석고가 초기응결시간이 짧아 조기강도 발현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석고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조기 강도 발현이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나 작업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보통 시멘트와 접촉시 생성되는 에트린가이트 수화물의 생성이 약 1∼3일 이내에 완료되어 안정화하므로 보통 시멘트에 일부 소량 첨가 시 시멘트 경화체의 수축을 보상하여 시멘트 경화체의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과 내구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상기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 및 균열 발생 억제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초기강도 발현을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10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실리케이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초기강도발현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된다.
상기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 및 고로슬래그는 포졸란 반응 및 잠재 수경성 특성,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 및 고로슬래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초기 강도는 저하되나,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이 증가한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타카올린은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로슬래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있어 치밀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고성능 감수제의 종류에는, 폴리카본산계,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등이 있는데,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에 비하여 강도 및 내구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물-시멘트비의 저감 효과가 크지 않으며, 내구성 개선제와의 혼화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진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초기 반응성을 높여 조기 강도발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촉진제로서는 칼슘포메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진제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발수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방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계 발수제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시간, 작업성, 내구성, 보수성 및 보습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셀롤로오스, 감수제 및 소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 개선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작업성(슬럼프)이 떨어지고,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조기 강도 발현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만족할만한 내구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60∼98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1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0.1~10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01~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01~5중량%, 감수제 0.01~5 중량% 및 소포제 0.01~3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아크릴 에멀젼은 순수 아크릴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바인딩 제제로서 사용되며, 시멘트를 비롯한 골재들과의 혼합 시 접착제로서의 성능뿐만 아니라 감수 효과가 탁월하여 고강도의 성능발현 및 레벨링성과 크렉방지 효과가 있다. 특히 경화된 후의 접착강도 및 파괴강도를 증가시키며, 시멘트의 강도를 높여주고,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주입 후의 탈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좋게 한다. 상기 스티렌-아크릴 에멀젼은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60~9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메틸에테르가 포함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점성이 커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됨과 동시에 물의 흡수를 촉진하여 보수성이 개선된다. 상기 폴리비닐메틸에테르는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1~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메틸에테르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보수성은 개선되지만 안정성이 저하되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기 강도발현이 저하되며, 1중량% 미만이면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보수성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연성과 휨 및 인장강도 개선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연성, 휨 및 인장강도는 개선되지만 재료분리가 발생되기 쉽고, 조기 강도발현이 저하되며, 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연성, 휨 및 인장강도 개선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에멀젼은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에멀젼은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에멀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은 개선되지만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개선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보수성을 개선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보수성 및 강도는 개선되지만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개선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에틸렌셀롤로오스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에틸렌셀롤로오스는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셀롤로오스의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수성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수성능개선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감수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한다. 감수제의 종류에는, 폴리카본산계,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등이 있는데,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감수제에 비하여 강도 및 내구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물-시멘트비의 저감 효과가 크지 않으며, 폴리머와의 혼화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폴리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는 상기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연행공기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량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내구성 개선제에 대하여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 시멘트 결합재, 상기 잔골재 및 상기 굵은골재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물과 상기 내구성 개선제를 일정 비율로 추가로 혼합하여 1~10분간 강제식 믹서로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 또는 쇄사를 사용한다. 상기 잔골재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25~6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25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20~7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법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멘트 결합재 25중량%, 잔골재 3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3.0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2.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 중량%, 석고 3.5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3.5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1.5 중량%, 플라이애쉬 5 중량%, 메타카올린 5 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촉진제 0.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95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1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5중량%, 감수제 0.5 중량% 및 소포제 0.5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시멘트 결합재 25중량%, 잔골재 3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3.0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2.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 중량%, 석고 3.5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3.5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1.5 중량%, 플라이애쉬 5 중량%, 메타카올린 5 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촉진제 0.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90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3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2 중량%, 폴리카보네이트 1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1중량%, 감수제 0.5 중량% 및 소포제 0.5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시멘트 결합재 25중량%, 잔골재 3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3.0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2.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 중량%, 석고 3.5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3.5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1.5 중량%, 플라이애쉬 5 중량%, 메타카올린 5 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촉진제 0.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85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6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3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3 중량%, 폴리카보네이트 1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1중량%, 감수제 0.5 중량% 및 소포제 0.5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하며, 후술할 비교예 1 및 2는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 것이다.
<비교예 1>
시멘트 결합재 25중량%, 잔골재 3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5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멘트 결합재 25중량%, 잔골재 3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3.0중량% 및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2.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상기에 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특성을 비교한 시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은 일반적인 증기양생을 실시한 후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각각의 강도를 시험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각 KS F 2405, KS F 2408 및 KS F 2423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분 재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휨강도
(kgf/cm2)
1일 40 42 44 28 37
7일 62 65 66 40 52
28일 88 96 98 55 75
압축강도
(kgf/cm2)
1일 320 330 341 258 275
7일 410 440 449 385 395
28일 501 521 532 485 468
인장강도
(kgf/cm2)
1일 21 24 25 11 17
7일 33 35 37 22 28
28일 46 48 50 36 4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휨, 압축 및 인장강도는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것보다 월등히 높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강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KS F 2424(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에 의하여 건조수축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길이변화율 (%) 0.06 0.05 0.04 0.13 0.10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하여 건조수축량이 감소되어 수축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표 3은 실시예 1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험체에 대하여 JIS A 1171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염화물이온침투깊이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염화물이온침투깊이(mm) 1.0 0.9 0.7 1.9 1.5
위의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비교예들보다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적게 나타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JIS A 1171(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흡수율의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흡수율이 높으면 불순물이나 물이 콘크리트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내부에 기공률이 증가하게 되어 구조물의 열화를 촉진시키고,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흡수율(%) 0.5 0.4 0.3 2.2 0.9
위의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흡수율이 낮았다.
<시험예 5>
표 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것에 대하여, KS F 2456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동결융해저항성시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동결융해는 콘크리트에 흡수된 수분이 결빙되고 녹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콘크리트 조직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5는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내구성 지수를 표시한 것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구성 지수 91 92 92 61 89
표 5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하여 내구성 지수가 월등히 높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일본 공업 규격 원안 [콘크리트의 용액침적에 의한 내약품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2% 염산, 5% 황산 및 45% 수산화 나트륨의 수용액을 시험 용액으로 28일 공시체를 침적하여 내약품성 시험의 측정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중량변화율
(%)
염산 -1.0 -0.6 -0.3 -10.0 -3.1
황산 -0.2 -0.1 0 -2.1 -0.8
수산화나트륨 +0.6 +0.8 +1.0 +0.1 +0.4
위의 표 6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내약품성에 대한 중량변화율이 적게 나타나 내약품성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조성의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가지는 장점을 극대화시키 구조의 수로관을 제공하며, 상기 수로관은 슬릿형 배수구를 구비하며, 상술한 조성물의 특성으로 인하여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데, 이하 도며을 이용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수로(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수로관(100)이 연장축선(X)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되어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100)은 몸체(110)와, 밀봉 부재(12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상술한 특성의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연장축선(X)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이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연장축선(X)을 따라서 연장되면서 몸체(110)를 관통하는 관통로(111)가 형성된다. 관통로(111)는 대체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관통로(111)를 통해 배수된 물이 흐른다. 몸체(110)의 외주에는 서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1 평면부(112), 제1 곡면부(113), 제2 평면부(114), 제2 곡면부(115)가 형성된다. 제1 평면부(112)는 반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 평면부(112)에는 다수의 슬릿(116)이 마련된다. 다수의 슬릿(116)은 연장축선(X)과 평행하게 일렬로 차례대로 배열된다. 각 슬릿(116)은 연장축선(X)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제1 평면부(112)의 폭방향 중심부에 위치한다. 각 슬릿(116)은 몸체(110)의 외부와 관통로(111)를 연결한다. 각 슬릿(116)을 통해 노면 또는 지면의 물이 관통로(111)로 배수된다. 각 슬릿(116)의 폭은 관통로(111)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몸체(110)의 길이방향 양단 각각에는 제1 연결부(117)와, 제2 연결부(118)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117)와 제2 연결부(118)에 의해 양단에 인접하는 다른 수로관과 연결된다.
제1 연결부(117)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형태로서 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외주를 갖는 경사 연장부(117a)와, 경사부(117a)로부터 연장축선(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주를 갖는 직선 연장부(117b)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118)는 다른 수로관의 제1 연결부(117)가 꼭 맞게 삽입되는 홈의 형태로서, 관통로(111)와 이어지며 관통로(111)보다 큰 내주면이 형성된 삽입 구멍(118a)와, 삽입 구멍(118a)으로부터 끝단 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내주면을 갖는 경사 구멍(118b)을 구비한다. 삽입 구멍(118a)의 내주면에는 밀봉 부재(120)가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노출되도록 끼워져서 결합된다. 경사 구멍(118b)은 제1 연결부(117)의 경사 연장부(117a)에 꼭 맞도록 대응하여 형성된다.
밀봉 부재(120)는 링 형태로서, 몸체(110)의 제2 연결부(118)의 삽입 구멍(118a)에 결합된다. 밀봉 부재(120)의 내주면은 노출되어서 제1 연결부(117)의 직선 연장부(117b)의 외주면과 밀착한다. 몸체(110)와 결합되는 밀봉 부재(120)의 외주면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몸체(1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밀봉 부재(120)에 의하여 이어지는 두 수로관(100)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 4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을 제조하는 방법이 순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로관 제조 방법은 받침대 준비 단계(S10)와, 성형틀 설치 단계(S20)와,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S30)와, 가압 성형 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수조관이 제조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를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받침대 준비 단계(S10)에서는 받침대(11) 위에 밀봉 부재(120)가 놓인다. 받침대(11)의 내부에는 받침대(11)를 관통하는 통로구멍(11a)이 마련된다. 통로구멍(11a)은 수로관(도 3의 100)의 관통로(11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1)는 위로 돌출된 경사부(11b)와, 경사부(11b)로부터 위로 돌출된 밀봉 부재 설치부(11c)를 구비한다. 경사부(11b)는 수로관(도 3의 100)의 경사 구멍(118b)에 대응한다. 밀봉 부재 설치부(11c)의 외주에는 밀봉 부재(120)가 끼워진다. 받침대 준비 단계(S10) 후에는 성형틀 설치 단계(S20)가 수행된다.
성형틀 설치 단계(S20)에서는 제1 성형틀(12)과 제2 성형틀(12b)이 받침대(11) 위에 설치된다. 제1 성형틀(12)과 제2 성형틀(12b)은 수평방향으로 분리 결합되는 것으로서, 두 성형틀(12, 12b)이 받침대(11)의 위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두 성형틀(12, 12b)과 받침대(11)에 의해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와 측면이 폐쇄된 성형 공간이 마련된다. 두 성형틀(12, 12b)이 결합된 상태에서 두 성형틀(12, 12b)의 내주면은 수로관(도 3의 100)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두 성형틀(12, 12b)의 내부에는 수로관(도 3의 100)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이 마련된다. 아울러, 제1 성형틀(12)에는 성형 공간의 안쪽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2a)가 마련된다. 돌출부(12a)는 수로관(도 1 내지 도 3의 100)에서 슬릿(116)에 대응한다. 돌출부(12a)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연장된다. 성형틀 설치 단계(S20) 후에는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S30)가 수행된다.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S30)에서는 가압 공구(13)가 가압 성형을 위해 정위치한다. 가압 공구(13)는 수직으로 연장된 회전샤프트(14)에 결합되어서 회전샤프트(1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압 공구(13)는 아래로부터 위로 차례대로 위치하는 스무딩 롤러(13a)와, 가압 롤러(13b)와, 분배 롤러(13c)를 구비한다.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S30)에서는 가압 공구(13)가 받침대(11)의 통로구멍(11a)을 통해 밀봉 부재(120) 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가압 성형 단계(S40)에서는 두 성형틀(12, 12b)의 내에 형성된 성형 공간으로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공급되고, 가압 공구(13)가 회전하면서 위로 상승하여 몸체(도 3의 110)가 성형된다. 가압 공구(13)의 분배 롤러(13c)는 위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주변으로 고르게 분배하고, 가압 롤러(13b)는 가압 공구(13)의 바깥쪽 주변의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며, 스무딩 롤러(13a)는 가압된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스무딩 처리한다. 가압 성형 단계(S40)를 거치면서 밀봉 부재(120)가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몸체(120)에 일체로 결합된다. 가압 성형 단계(S40) 후에는 두 성형틀(12, 12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된다. 이때, 돌출부(12a)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몸체(110)와 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로관(200)의 상기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몸체(110) 내에 철근(210)이 삽입되어서 몸체(1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철근(210)은 수로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길이방향 철근과, 길이방향 철근을 감싸는 다수의 원주방향 철근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의해 수로관(200)의 강도가 향상되면서 동시에 철근이 슬릿을 지나감으로써 슬릿을 통해 이물질이 수로관(20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1 : 받침대 11a : 통로구멍
12 : 제1 성형틀 12a : 돌출부
12b : 제2 성형틀 13 : 가압 공구
13a : 스무딩 롤러 13b : 가압 롤러
13c : 분배 롤러 100 : 수로관
110 : 몸체 111 : 관통로
116 : 슬릿 117 : 제1 연결부
118 : 제2 연결부 120 : 밀봉 부재

Claims (6)

  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로가 형성되며,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몸체(110);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된 링 형상의 밀봉 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17)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제2 연결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재(120)는 상기 제2 연결부(118)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결합재 3~35 중량%, 잔골재 25∼65중량%, 굵은골재 20∼70중량%, 물 0.1∼15중량% 및 내구성 개선제 0.0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내구성 개선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60∼98중량%, 폴리비닐메틸에테르 1~1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0.1~10 중량%, 폴리부타디엔 에멀젼 0.1~10중량%, 폴리카보네이트 0.01~5중량%, 에틸렌셀롤로오스 0.01~5중량%, 감수제 0.01~5 중량% 및 소포제 0.01~3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0~95 중량%, 석고 0.1~20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0 중량%, 칼슘실리케이트 0.1~10 중량%, 플라이애쉬 0.1~20 중량%, 메타카올린 0.1~20 중량%, 고로슬래그 0.1~30 중량%, 촉진제 0.01~5 중량%, 고성능 감수제 0.01~5중량% 및 실리콘계 발수제 0.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 또는 쇄사이고,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25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20)의 외주면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로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밀봉 부재를 받침대 위에 위치시키는 받침대 준비 단계;
    상기 밀봉 부재가 놓인 상기 받침대 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성형틀과 제2 성형틀을 결합 상태로 설치하는 성형틀 설치 단계;
    상기 두 성형틀 내에 형성된 성형 공간 내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가압 공구를 가장 아래에 위치시키는 가압 공구 정위치 단계; 및
    상기 성형 공간 내로 청구항 1의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가압 공구를 위로 이동시켜서 상기 몸체를 성형하는 가압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수로관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틀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틀과 제2 성형틀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결합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제조 방법.
KR20130125816A 2013-10-22 2013-10-22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KR10146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816A KR101465106B1 (ko) 2013-10-22 2013-10-22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816A KR101465106B1 (ko) 2013-10-22 2013-10-22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106B1 true KR101465106B1 (ko) 2014-11-25

Family

ID=5229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816A KR101465106B1 (ko) 2013-10-22 2013-10-22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91B1 (ko) * 2014-12-09 2015-03-04 유한회사 삼신기업 폴리머 개질 속경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554B1 (ko) * 2012-06-12 2012-10-25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아크릴계 에멀젼 및 유황폴리머를 혼입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20130090681A (ko) * 2012-02-06 2013-08-14 (주) 모든콘크리트 콘크리트 표층 강화 및 보호용 폴리머 혼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의 제조 방법 및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681A (ko) * 2012-02-06 2013-08-14 (주) 모든콘크리트 콘크리트 표층 강화 및 보호용 폴리머 혼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의 제조 방법 및 보수 방법
KR101194554B1 (ko) * 2012-06-12 2012-10-25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아크릴계 에멀젼 및 유황폴리머를 혼입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91B1 (ko) * 2014-12-09 2015-03-04 유한회사 삼신기업 폴리머 개질 속경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958B1 (ko) 폴리머 결합재를 구비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533093B1 (ko) 실리콘 폐슬러지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789517B1 (ko) 구조물 표면 보호용 기능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9113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514741B1 (ko) 고강도·고내구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101612907B1 (ko) 고로슬래그를 포함하는 phc 파일용 혼화제 및 상기 혼화제를 포함하는 phc 파일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95381B1 (ko)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KR101465106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JP595794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JP4983111B2 (ja) セメント組成物
KR101831661B1 (ko) 기능성 개선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CN105439493A (zh) 一种用于普通水泥纤维板的防开裂剂
KR20150078113A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수로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슬릿형 배수구 구비 수로관
JP2011026849A (ja) 埋設型枠用ボード
JP2008260687A (ja)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硬化体の製造方法
KR101706721B1 (ko)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폐슬러지 고액분리 건조물을 이용한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947408B (zh) 输送用混凝土管道及其制备方法
KR101372312B1 (ko) 수중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인공어초
KR20000049613A (ko) 철근 콘크리트 흄관 방식 라이닝 방법
KR101991420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긴급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N106927744A (zh) 高性能水泥基材料内部微裂缝的自愈方法
KR101305536B1 (ko)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및 이를 위한 첨가제
KR101851944B1 (ko) 색소고착제를 도포하여 내후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친환경 경관 옹벽 블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80062B (zh) 一种混凝土密封防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661683B1 (ko) 스팀양생이 필요없는 벤치플륨관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벤치플륨관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