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093B1 -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 Google Patents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093B1
KR101465093B1 KR1020120130348A KR20120130348A KR101465093B1 KR 101465093 B1 KR101465093 B1 KR 101465093B1 KR 1020120130348 A KR1020120130348 A KR 1020120130348A KR 20120130348 A KR20120130348 A KR 20120130348A KR 101465093 B1 KR101465093 B1 KR 10146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agent
odor gas
gas reduction
naas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224A (ko
Inventor
유재홍
박인철
김완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0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는 토양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와 토양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의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주는 신규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악취 감소처리제가 제공됨으로써 폐기물 발생 현장에서 용이하게 바로 처리가 가능하여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물질을 제거하고 그 처리물을 자원화하여 농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MATERIAL TREATING FOR REDUCTION OF MALODOR GAS}
본 발명은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주는 신규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폐기물들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축산가축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식품공급원이며, 없어서는 안될 경제적 가치와 신 경제창출의 원천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축산가축을 사육할 시 대형 양돈시설이나 양계시설 등에서는 유기성 오염 물질인 축산 분뇨가 대량으로 발생되어, 이 축산분뇨가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 커다란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질병발생의 집단화, 가축분뇨의 처치곤란, 주변환경 공해 유발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집단 질병발생의 억제를 위해 각종 항생제의 다량급여 및 투여, 살균 소독제의 무차별적 살포, 환경파괴로 인한 제2의 공해 발생이 극도로 심각해져, 가축의 생산성 저해, 질병의 집단화 가중, 토양오염 가중, 하천오염 증가, 대기오염 등 많은 환경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항생제 투여를 규제하는 법이 제정되고 축산 오폐수는 정화처리하도록 하는 국제적 협약이 이루어졌다. 그 중 우선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축산악취로서, 가축의 생산성 격감, 폐사율 증가, 사료효율 저하 등이 나타나고, 농경지 오염, 하천 오염, 악취로 인한 대기 오염과 주변 민원의 대상으로 증폭되어 왔다.
축산악취는 대부분이 분변과 분뇨로 인한 것으로, 대사원리에 의해 효소분해 처리된 유기물로서,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CODMn, SS(Suspended Solids), TN(Total Nitrogen) 등의 농도가 매우 높은 상태를 가지며,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해 유익 균의 생장억제, 자연 미생물의 활성인자 생장저해, 발효균주 활성억제, 지방산 휘발성 취기물질(VFC)의 악취 발생 증대를 일으킨다.
취기물질로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H2S, 설픽메틸(sulfic methyl), 디설픽 메틸, 트리메틸아민, CH3COOH, 스티렌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물질은 암모니아, 아민류로서 축산악취의 95%를 차지한다.
암모니아는 일차적으로 눈을 따갑게 할 만큼 자극적이며, 특히 호흡기 질병발생과 큰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만성적으로 노출될 경우, 돼지에게는 커다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린 돼지의 경우 성장과 건강상태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축산악취 저감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동물의약품과 사료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다. 악취저감용 약품에는 염소산(ClO2)계, 알칼리제(가성소다 혼합물), 분말효소제, 식물추출물과 광합성물 혼합제, 생리활성제 혼합제, 생균제 혼합제, 산화제, 산·염기 중화제, 마스킹제 등이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아민류의 지속적인 발생상태에 있는 축사와 분변의 악취를 제거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특히 알칼리제는 오히려 악취유발을 증폭시키고 중화제는 취기물질의 제거가 미미하며,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의 생장조건과 온도 등의 환경조성 없이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축산악취를 저감한다는 사료첨가제나, 보조사료, 단미사료, 기능성 사료, 생균제 등이 많이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9346호(등록일: 2011년 04월 07일, 명칭: 악취가스 감소 및 항균효과를 갖는 복합미생물 발효액 및 그의 사용방법)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6521호(등록일: 2008년 12월 22일, 명칭: 혼합사료 발효용 생균제 및 이를 이용한 혼합사료의 발효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주는 신규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폐기물들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는 된장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와 토양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의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배양액은 상기 피치파리노사 (Pichia farinosa) NAAS-2 균주의 배양액과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의 배양액이 1:1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배양액은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피치파리노사 (Pichia farinosa) NAAS-2 균주는 무수포도당, 대두분, 황산마그네슘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대량생산은 20~2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0~100rpm의 교반속도에서 이루어지거나, 0.001~0.1 L/min의 통기량에서 이루어지거나, 4.0~5.0의 pH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는 가용성 전분, 효모추출분말, 소금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대량생산은 15~3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0~200rpm의 교반속도에서 이루어지거나, 0.05~1 L/min의 통기량에서 이루어지거나, 4.5~7.5의 pH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에는 잣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잣송이는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악취가스는 축산폐기물 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주는 신규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악취 감소처리제가 제공됨으로써 폐기물 발생 현장에서 용이하게 바로 처리가 가능하여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물질을 제거하고 그 처리물을 자원화하여 농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감소 처리제에 포함되는 신규 유효 균주는 하기와 같으며, 이들 균주의 배양액을 하나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1)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는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로 표현되며, 된장에서 분리한 것으로 악취 유발물질의 제거활성을 나타내며 이는 하기 실시예를 통해 규명한다.
이러한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에는 상기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 NAAS-2의 균체가 잘 배양되어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무수포도당, 대두분, 황산마그네슘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대량생산은 20~25℃의 온도, 10~100rpm의 교반속도, 0.01~0.1 L/min의 통기량, 4.0~5.0의 pH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25℃의 온도, 100rpm의 교반속도, 0.1 L/min의 통기량, 5.0의 pH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균주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최적조건이다.
여기서 pH의 범위가 4.0 미만일 경우에는 강한산성을 띄고있어 신규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균주생장을 억제할 수도 있으며, 5.0 초과될 경우에는 상기 신규균주의 생육에 맞지 않아 오히려 균주생장을 더디게 하여 대량생산이 어렵게 된다.
2)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는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2로 표현되며, 토양에서 분리한 것으로 악취 유발물질의 제거활성을 나타내는 사실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규명하였다.
이러한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에는 상기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AAS-1의 균체가 잘 배양되어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가용성 전분, 효모추출분말, 소금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대량생산은 15~35℃의 온도, 10~200rpm의 교반속도, 0.05~1 L/min의 통기량, 4.5~7.5의 pH의 조건 중 하나이상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면,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대량생산 배양 조건으로 35℃의 온도, 120rpm의 교반속도, 0.2 L/min의 통기량, 7.0의 pH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균주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최적조건이다.
여기서 pH의 범위가 4.5 미만일 경우에는 강한산성을 띄고있어 신규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균주생장을 억제할 수도 있으며, 7.5 초과될 경우에는 약알칼리성을 띄고 있어 균주생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대량생산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 또는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의 각 배양액은 상기 악취감소 처리제의 유효성분으로 각 하나씩 포함되거나 상기 신규균주 모두 포함되기도 한다.
이때, 가장 우수한 악취발생 유발물질 감소능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와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는 1:1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조성된 상기 배양액은 본 발명의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0.1 중량%미만 함유될 경우 상기 목적하는 악취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활성능이 떨어져 악취감소 처리제로서의 효율성이 낮아지며, 상기 20 중량%초과할경우 과다한 미생물의 보유량으로 인해 오히려 악취제거된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에는 잣송이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기도 한다.
설명하면, 잣송이는 흔히 잣 수확후 주로 폐기되는 물질로써 자원확보가 용이한 농작물 유래 부산물이다.
이러한 잣송이는 본 발명을 통해 악취유발 물질에 대해 억제활성을 갖고 있으며 축사 내외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을 개선 및 정화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및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건강상태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악취감소 처리제에는 상기의 유효균주들 외에 잣송이를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잣송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유효군주들만이 나타내는 악취 유발물질 제거능과 차이가 없어 경제적 측면에서 이점이 없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제형화를 위해 추가되는 재료들과 혼합이 어려워져 제품화 자체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악취가스는 페기물에서 발생되는 모든 유해가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축산폐기물 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에 대하여 우수한 제거활성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1)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은 경기도 지방 된장시료로부터 분리한 후 하기 전술한 동정방법을 통해 동정하였다.
설명하면, 분리효모의 동정을 위하여 액체배지(YM)에서 28℃에서 72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여 5×109 얻어진 효모세포를 준비 하였다.
효모로부터 게놈(genomic) DNA는 효모를 위한 키트(genomic DNA prep kit)을 사용하여 구입회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추출 하였다. 분리된 genomic DNA를 활용하여 18s rDNA V3 영역은 PCR 프라이머는 NS3, ITS4를 사용하였으며 ITS-2 영역은 ITS86 와 ITS4의 PCR 프라이머 셋트를 사용하였다.
PCR을 위한 반응조건은 전체 PCR반응액을 50㎕로 하였고 반응조성물(10mM Tris-HCl (pH 8.0), 50mM Koam1 Cl, 1.5mM MgCl2, 0.01% gelatin, 100ng primer, 50ng Template DNA, 2.5mM dNTP, 및 2.5unit Taq polymerase(Promega))을 넣어 실시하였다.
PCR반응은 94℃에서 4분간 초기변성(pre denaturation) 시킨 후 94℃에서 1분간 변성(denaturation), 55℃에서 1분간 부착(annealing), 72℃에서 2분 증폭(extension)하여 총 35 Cycle 실시하였으며 최종 DNA 합성은 72℃에서 10분으로 하였다. PCR 증폭산물은 1.5% 아가로스 겔로 전기영동하여 ETBR(Ethidium bromide) 염색으로 확인 한 후 겔추출 키트(gel extraction kit, QIAGEN)로 PCR산물을 정제하고 염기서열 분석 후 NCBI의 BLAST의 데이터베이스와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조사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라고 명명하며, 이 균주를 2012년 11월 1일자로 한국농용미생물 센타(KACC)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ACC 93160P를 부여받았다.
2)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화천의 유기농배추재배지에서 채취한 토양을 증류수에 백금이로 현탁시킨 후 NB 평판배지(육즙 0.3%, 펩톤 0.5%, 한천 1.2%)에 도말하고 30℃에서 1-2일 배양하여 균주를 분리하였다.
영양 액체 배지(NB배지) 10 ㎖에 분리한 균주를 백금이로 1회 접종하여 30℃에서 76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그 배양액을 원심력을 12,000×g(중력가속도)로 20분간 적용하여 원심분리하고 팩토박테리움 속(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 sp carotovorum KACC 10057)균을 피검균으로 사용하여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법으로 배양 상등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분리 균주들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좋은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특징과 유사 하였지만 성장 염농도 및 싸이트레이트 이용성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16s rDNA 분석을 한 결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100%의 일치도를 나타내어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이라 명명하고, 이 균주를 2012년 11월 1일자로 한국농용미생물 센타(KACC)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ACC 91751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악취감소 처리제1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 NAAS-2균주의 배양액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AAS-1 균주의 배양액은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를 통상의 악취감소 처리제에 사용되는 부형물과 함께 혼합하여 제품화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악취감소 처리제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악취감소 처리제2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추가로 잣송이 분말을 상기 악취감소 처리제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함유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악취감소 처리제 2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의 악취가스 감소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균주의 배양액을 돈분에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후 H2S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가스텍(gas-tec) 검지관 측정농도는 20ppm을 최대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대조구
(세균용 일반배지: PDB배지)
처리구
(시험결과 배지: BRB-2 배지)
펩톤: 7.0 중량%
효모추출물: 3.0 중량%
말트 추출물: 3.0 중량%
덱스트로즈: 10 중량%
무수포도당: 1.20 중량%
대두분: 0.4 중량%
MgSO4 7H2O: 0.02 중량%
18ppm 0.03 ppm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서 분리한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균주는 돈분에서 발생하는 H2S 가스에 대해 O.O3 ppm을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돈분에서 발생하는 H2S 가스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악취 유발물질 저해능을 갖는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의 악취 유발물질 제거요소의 최대생산조건 검토
본 발명의 신규미생물 Pichia farinosa NAAS-2균주의 대량 배양조건을 검토한 바, 하기 표 2와 같이 조사되었다.
화학적 조건 탄소원: 무수포도당 1.20 중량%
질소원: 대두분 0.4 중량%
무기염류: MgSO4 7H2O 0.02 중량%
물리적 조건 온도: 25℃
교반속도: 100rpm
통기량: 0.1L/min
pH(산도): 5.0
<실험예 3>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의 악취가스 감소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의 배양액을 돈분에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후 H2S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gas tec 검지관 측정농도는 20ppm을 최대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대조구
(세균용 일반배지: TSB배지)
처리구
(시험결과 배지: BRB-1 배지)
카제인: 17 중량%
덱스트로즈: 2.5 중량%
소금: 5.0 중량%
다이포타슘 포스페이트: 2.5 중량%
가용성 전분 1.2 중량%
효모추출 분말 0.8 중량%
소금 0.01 중량%
15ppm 0.02 ppm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서 분리한 신규미생물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는 돈분에서 발생하는 H2S 가스에 대해 0.002 ppm을 나타냄으로써 대조구 보다 돈분에서 발생하는 H2S 가스에 대해 더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악취 유발물질 저해능을 갖는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의 악취 유발물질 제거요소의 최대생산조건 검토
본 발명의 신규미생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균주의 대량 배양조건을 검토한 바, 하기 표 4와 같이 조사되었다.
화학적 조건 탄소원: 가용성 전분 1.2 중량%
질소원: 효모추출 분말 0.8 중량%
무기염류: 소금 0.01 중량%
물리적 조건 온도: 35℃
교반속도: 120rpm
통기량: 0.2L/min
pH(산도): 7.0
<실험예 5> H2S 가스 억제효과 확인
시료
시료채취(일수)
1 2 3 4 5 6
대조구(돈분자체) - - - - - -
칡분말 - - - + + +
잣송이분말 + + + + + +
잣송이분말+신규균주
(실시예3)
+++ +++ +++ +++ +++ +++
+++: 0.01 ppm 이하, ++: 1 ppm 이하, +: 5 ppm 이하, -: 10 ppm 이상
칡분말은 통상적으로 악취가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부산물이다
상기 표 5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와 함께 부산물로 잣송이분말을 더 포함할 경우 우수한 H2S 가스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료 H2S 가스농도 (ppm)
대조구(돈분자체) 347.7±26.8
실시예 3의 1% 451.9±8.72
실시예 3의 2% 21.0±1.42
실시예 3의 3% 43.0±56.8
실시예 3의 4% 7.0±0.13
실시예 3의 5% 8.0±4.08
상기 표 6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5% 정도 돈분에 처리 하였을 때 무처리 대비 약 98%정도의 H2S gas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악취 감소 처리제를 돈분에 혼합한 후 산소공급, 교반등 돈분뇨액을 혼합하여 발효를 시킨다면 돈분에서 주로 발생하는 황화합물 계통의 가스를 제거 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주는 신규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악취 감소처리제가 제공됨으로써 폐기물 발생 현장에서 용이하게 바로 처리가 가능하여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물질을 제거하고 그 처리물을 자원화하여 농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3160P 20121101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751P 20121101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NEW MICROORGANISM 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AND MICROBIAL AGENT AND BIOPESTICIDE CONTAINING THE SAME <130> P2012-0168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72 <212> DNA <213> Pichia farinosa NAAS-2 <400> 1 aaaccaacag ggattgcctt agtaacggcg agtgaagcgg caaaagctca aatttgaaat 60 ctggcgtctt cggcgtccga gttgtaattt gaagaaggct actttggggc tggagtttgt 120 ctaagttcct tggaacagga cgtcacagag ggtgagaatc ccgtgagata agcttcccag 180 ttctatgtaa agtgctttcg aagagtcgag ttgtttggga atgcagctct aagtgggtgg 240 taaattccat ctaaagctaa atattggcga gagaccgata gcgaacaagt acagtgatgg 300 aaagatgaaa agaactttga aaagagagtg aaaaagtacg tgaaattgtt gaaagggaag 360 ggcttgagat cagacatggt attttgtaaa ccttctctct cgtggagggg gccccttgca 420 gcttactggg ccagcatcag tttgggcggt aggataatga ctaaggaatg tgacttgcct 480 tcggggaagt gttatagcct tggttgatac tgccagccta gactgaggac cgcgtctttg 540 acaaggatgt tggcataatg atcttaagcc ac 572 <210> 2 <211> 1438 <212> DNA <213> 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400> 2 gctcaggacg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cgagcggac agatgggagc 60 ttgctccctg atgttagcgg cggacgggtg agtaacacgt gggtaacctg cctgtaagac 120 tgggataact ccgggaaacc ggggctaata ccggatggtt gtttgaaccg catggttcag 180 acataaaagg tggcttcggc taccacttac agatggaccc gcggcgcatt agctagttgg 240 tgaggtaacg gctcaccaag gcgacgatgc gtagccgacc tgagagggtg atcggccaca 300 ctgggactga gacacggccc ag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cttccgcaat 360 ggacgaaagt ctgacggagc aacgccgcgt gagtgatgaa ggttttcgga tcgtaaagct 420 ctgttgttag ggaagaacaa gtgccgttca aatagggcgg caccttgacg gtacctaacc 480 agaaagccac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tgg caagcgttgt 540 ccggaattat tgggcgtaaa gggctcgcag gcggtttctt aagtctgatg tgaaagcccc 600 cggctcaacc ggggagggtc attggaaact ggggaacttg agtgcagaag aggagagtgg 660 aattccacgt gtagcggtga aatgcgtaga gatgtggagg aacaccagtg gcgaaggcga 720 ctctctggtc tgtaactgac gctgaggagc gaaagcgtgg ggagcgaaca ggattagata 780 ccctggtagt ccacgccgta aacgatgagt gctaagtgtt agggggtttc cgccccttag 840 tgctgcagct aacgcattaa gcactccgcc tggggagtac ggtcgcaaga ctgaaactca 900 aaggaattga cgggggcccg cacaagcggt ggagcatgtg gtttaattcg aagcaacgcg 960 aagaacctta ccaggtcttg acatcctctg acaatcctag agataggacg tccccttcgg 1020 gggcagagtg acaggtggtg catggttgtc gtcagctcgt gtcgtgagat gttgggttaa 1080 gtcccgcaac gagcgcaacc cttgatctta gttgccagca ttcagttggg cactctaagg 1140 tgactgccgg tgacaaaccg gaggaaggtg gggatgacgt caaatcatca tgccccttat 1200 gacctgggct acacacgtgc tacaatggac agaacaaagg gcagcgaaac cgcgaggtta 1260 agccaatccc acaaatctgt tctcagttcg gatcgcagtc tgcaactcga ctgcgtgaag 1320 ctggaatcgc tagtaatcgc ggatcagcat gccgcggtga atacgttccc gggccttgta 1380 cacaccgccc gtcacaccac gagagtttgt aacacccgaa gtcggtgagg taaccttt 1438

Claims (16)

  1. 토양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피치파리노사(Pichia farinosa) NAAS-2 (KACC 93160P)균주, 토양에서 분리하며 악취가스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KACC 91751P)균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며,
    잣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피치파리노사 (Pichia farinosa) NAAS-2 균주의 배양액과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의 배양액이 1:1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0.1~20 중량%로 포함되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파리노사 (Pichia farinosa) NAAS-2 균주는 무수포도당, 대두분, 황산마그네슘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20~2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10~100rpm의 교반속도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0.01~0.1 L/min의 통기량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4.0~5.0의 pH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균주는 가용성 전분, 효모추출분말, 소금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15~3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10~200rpm의 교반속도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0.05~1 L/min의 통기량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량생산은 4.5~7.5의 pH에서 이루어지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잣송이는 상기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전체 중량대비 1~5 중량%로 포함되는,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1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스는 축산폐기물 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것이 특징인,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KR1020120130348A 2012-11-16 2012-11-16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KR10146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48A KR101465093B1 (ko) 2012-11-16 2012-11-16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48A KR101465093B1 (ko) 2012-11-16 2012-11-16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224A KR20140063224A (ko) 2014-05-27
KR101465093B1 true KR101465093B1 (ko) 2014-11-25

Family

ID=5089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348A KR101465093B1 (ko) 2012-11-16 2012-11-16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50B1 (ko) 2016-11-03 2017-11-23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4277B1 (ko)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19B1 (ko) * 2014-04-15 2014-10-13 농업회사법인 이수농산 주식회사 미생물을 잣 부산물추출물에 배양하여 악취 감소 효과를 갖는 가축분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축분비료
KR102608235B1 (ko) * 2016-02-29 2023-12-01 (주)고려비엔피 축사환경개선용 생균제 조성물
KR101851151B1 (ko) * 2016-11-14 2018-06-11 대한민국 악취가스 감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05A (ko) * 2001-05-08 2002-11-25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암모니아 가스제거에 유용한 미생물 균주들
KR100571999B1 (ko) * 2003-02-12 2006-04-17 세상생명과학 주식회사 음식물소멸용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의 번식촉진용 영양물이 첨가된 발효 종균제
KR20080004847A (ko) * 2006-07-07 2008-01-10 자연과생명기술(주) 액상의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탈취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05A (ko) * 2001-05-08 2002-11-25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암모니아 가스제거에 유용한 미생물 균주들
KR100571999B1 (ko) * 2003-02-12 2006-04-17 세상생명과학 주식회사 음식물소멸용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의 번식촉진용 영양물이 첨가된 발효 종균제
KR20080004847A (ko) * 2006-07-07 2008-01-10 자연과생명기술(주) 액상의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탈취제
KR100800974B1 (ko) * 2006-07-07 2008-02-11 안영배 액상의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탈취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50B1 (ko) 2016-11-03 2017-11-23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4277B1 (ko)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224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65B1 (ko) 난분해성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제
Hong et al. Effect of enzyme producing microorganisms on the biomass of epigeic earthworms (Eisenia fetida) in vermicompost
KR101207792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적 소멸발효처리용 미생물 제제,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적 소멸발효처리 방법 및 그 발효처리 산물의 용도
KR101465093B1 (ko) 악취가스 감소 처리제
KR101534891B1 (ko) 악취 제거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이용
KR100664730B1 (ko)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한 미생물제제
WO2013147426A1 (ko) 탈취 활성 및 뱀장어 양식장의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파라기니스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19156695A (ja) コンポスト化処理促進材及びコンポストの製造方法
KR101854277B1 (ko)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25992A (zh) 一种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应用
CN110257292A (zh) 一种水产养殖用的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TWI652015B (zh) 藉由微生物之家畜墊料的殺菌方法
CN110106102A (zh) 耐寒短杆菌zl-2及其堆肥低温启动菌剂的制备方法与应用
JP2019037192A (ja) ラウルテラ属の微生物の単離方法及び植物性廃棄物処理剤の製造方法並びに植物性廃棄物処理方法
CN105132321A (zh)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KR101450019B1 (ko) 미생물을 잣 부산물추출물에 배양하여 악취 감소 효과를 갖는 가축분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축분비료
KR101945494B1 (ko) 악취 제거 효과를 갖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축산 분뇨의 악취 제거 방법
KR101549191B1 (ko) 악취가스 감소처리제
KR20150092874A (ko) 악취 제거용 미생물 제제
CN110521735A (zh) 一种青稞专用根腐病防治菌剂及其制备方法
CN110195027A (zh) 烟草节杆菌zl-1及其堆肥低温发酵菌剂的制备方法与应用
JP3064221B2 (ja) 好気性菌及びそれを用いる汚泥処理法
CN107841474B (zh) 一种池生代尔夫特菌及其在水稻稻曲病防治中的应用
KR101851151B1 (ko) 악취가스 감소용 조성물
KR101611212B1 (ko) 메탄균 생육저해 미생물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