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34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34B1
KR101464834B1 KR1020120149851A KR20120149851A KR101464834B1 KR 101464834 B1 KR101464834 B1 KR 101464834B1 KR 1020120149851 A KR1020120149851 A KR 1020120149851A KR 20120149851 A KR20120149851 A KR 20120149851A KR 101464834 B1 KR101464834 B1 KR 10146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sensitivity
portable terminal
sensitivity value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253A (ko
Inventor
박승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4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a)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시점부터의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 온하기 위한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터치(non-touch) 입력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스마트폰의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성숙해 짐에 따라 점차 사용자의 상태나 의도를 인지하고 그에 알맞게 동작하는 인식기술들이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조도센서, 근접센서 등 스마트폰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얼굴인식, 모션인식, 방향인식 같은 인식 기능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이런 기술들이 점차 고도화 됨에 따라 다양한 인식종류의 개발 및 인식의 정확성 같은 부분들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절약을 위해 일반적으로 표시부는 턴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S10).
이때, 휴대 단말기에 전화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20).
표시부는 턴 온되어 누구로부터 전화가 발신 되었는지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S30).
이어서, 센서를 구동하기 시작한다(S40). 상기 센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 카메라 센서, 근접센서 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통화 수신 영상을 확인한 후에, 전화통화 연결을 위해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가하게 된다(S50).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통한 동작 인식인 경우 사용자 입력은 카메라 센서에 대하여 손을 일정 방향으로 흔드는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를 통한 얼굴인식인 경우 사용자 입력은 카메라의 정면 부근에 사용자의 얼굴을 위치시키는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인식하는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사용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값과 매칭하는지 판단한다(S60).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통한 동작 인식의 경우 손을 휴대 단말기 부근에서 좌우로 흔드는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값과 매칭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부는 전화통화를 연결하며, 표시부는 전화통화영상을 표시하게 된다(S70).
이러한 종래 기술은 주로 카메라나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같은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센서들을 동작시키는 데에 적지 않은 전력이 요구되며, 지속적으로 상기 센서들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을 통해 설명된 예와 같이 전화를 손동작과 같은 동작인식으로 받는 기술이 존재하나, 이는 전화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된 후에 사용자가 응답을 하는 수동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즉,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이벤트(예를 들어,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등)이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물리적으로 압력을 가하여야만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 온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조작이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터치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손에 잔뜩 양념을 묻힌 채 음식을 만들거나 목욕을 하는 중인 경우 능동적인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인식기능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비터치 방식으로 능동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a)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시점부터의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 온하기 위한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a) 단계 이전부터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된 휴면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감도값은 상기 수신부의 방사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감도값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인접한 범위에서 위치한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신감도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통해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는 상기 수신감도값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체 또는 도전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범위 내에서 특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감도값이 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후부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초기 잠금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턴 온된 표시부에 초기잠금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 잠금 영상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보안 성격을 갖는 경우, 상기 초기 잠금 영상 대신 비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증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 후에, (f) 사용자로부터의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받고,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비터치 입력 인식부 및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는 음성인식 모듈 및 동작인식 모듈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g)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a)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특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사용자로부터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받고,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기지국과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시점부터의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 온하기 위한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매칭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된 휴면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임계값 및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된 시점부터의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감도값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감도값이 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초기 잠금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한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초기 잠금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비터치 입력 인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한 이후에,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 및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종래의 휴대 단말기 내에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던 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안테나의 수신감도값을 이용하여 동작을 인식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동작인식을 위해 이용되던 다른 기술들에 비해 전력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별도의 하드웨어 탑재를 요구하지 않으며,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탑재시킴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므로 제조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동작인식과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터치하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 직접적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작인식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원공급부와 수신부의 구조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원공급부와 수신부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인체의 근접 여부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방사효율 변화 그래프이다.
도 5는 휴대 단말기 부근에 손이 근접하는 경우의 방사효율 변화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휴대 단말기가 손실 저항이 낮은 물체에 근접한 경우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b는 휴대 단말기가 손실 저항이 높은 물체에 근접한 경우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S106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휴면모드와 활성화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모뎀 프로세서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의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송수신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가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식은 GSM, WCDMA, HSDPA, GPRS, EDGE 등의 통신 방식이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5 세대 통신 방식 등 향후 개발될 수 있는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확산한 후, RF 처리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 및 채널 복조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비메모리 반도체로서, 일반적인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모뎀 프로세서가 담당하는 기능 이외의 모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모뎀 프로세서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칩에 기능적/논리적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는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 1 모드(sleep mode)로 진입한다. 제 1 모드란 모뎀 프로세서는 활성화되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비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모뎀 프로세서는 제 1 모드에서도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수신 처리를 진행해야 하므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거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수신 이벤트를 확인한다. 제 1 모드에서는 특정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의 회로를 제외한 모든 회로가 비활성화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외부 이벤트에 의한 인터랙션(interaction)에 따라 제 2 모드(active mode)로 전환되거나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제 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 2 모드란 모뎀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도 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생되는 신호, 휴대 단말기에 컴퓨터, 충전기 또는 이어마이크 등의 잭을 연결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부 이벤트에 의한 인터랙션은 휴대 단말기의 모뎀 프로세서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모뎀 프로세서가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SMS 이벤트, C2DM 이벤트, 전화 수신 이벤트, MMS 이벤트 등을 수신하면, 상기 각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제 2 모드에 있는 경우 표시부(예를 들어,디스플레이 스크린)는 턴 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턴 온된 상태)된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거나 외부 이벤트 기반에 의한 인터랙션이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턴 오프 입력(예를 들어 표시부를 턴 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따라 표시부는 턴 오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백 라이트 유닛이 턴 오프된 상태)되어 휴면 모드로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종료하면서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제 1 모드와 제 2 모드가 번갈아가며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가 제 2 모드로 전환되고 표시부가 턴 온된 상태를 "활성화모드"라 하고, 휴대 단말기가 제 1 모드로 전환되고 표시부가 턴 오프된 상태를 "휴면모드"라 한다. 또한, 휴면모드는 표시부가 턴 오프된 이후 휴대 단말기가 제 1 모드로 전환되기 전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부(110), 측정부(120), 저장부(130), 판단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 전원공급부(180)로 구성된다.
수신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110)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통신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2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일정 시간을 주기로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20)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2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규정된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필요한 데이터 중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이 포함되며, 수신감도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세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은,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수신감도값은 인체 또는 도전성 물질과 같은 객체가 휴대 단말기(100)에 근접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수신감도값이 동작인식의 척도가 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활용하기 위해서 시간에 따라 수신감도값을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되는 수신감도값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부에 저장되는 형태는 임시 저장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에는 특정한 동작만을 인식하기 위해서 임계값과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임계값은 수신감도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이다. 여기서 피크 투 피크 값이란 특정한 파형의 양(+)의 최고값과 음(-)의 최고값 간의 차이값을 의미한다.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휴대 단말기(100)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입력값의 매칭의 기준이 되는 저장값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시키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특정한 동작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데, 상기 동작패턴이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입력에 해당하는지 비교 판단하기 위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다.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의 패턴에 대해 매칭 척도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서 객체의 움직임에 대해 변화하는 수신감도값들이 패키지로 집합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 1 저장부(미도시)와 임계값과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미도시)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객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저장부(130)의 임계값과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비교하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측정된 수신감도값들의 패턴이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비교한다. 판단부(140)의 판단 알고리즘은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60) 및 비터치(non-touch) 입력 인식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사용자가 표시부를 턴 오프하는 버튼을 누른 경우 휴대 단말기를 휴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 온된 상태(즉, 활성화모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거나 외부로부터의 이벤트 기반의 인터랙션이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턴 오프 입력(예를 들어, 표시부를 턴 오프하는 버튼을 누르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휴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휴면모드에서 외부이벤트에 의한 인터랙션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어 표시부를 턴 온하는 버튼을 누르는 경우)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활성화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조작이나 이벤트 발생여부를 파악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는 휴면모드가 활성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60)가 초기 잠금 영상(화면을 포함함)(예를 들어, 락 스크린(lock screen)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휴면모드가 활성화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를 턴 온시킨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영상 또는 화면을 표시하고, 휴면모드와 활성화모드에 따라 턴 오프되거나 턴 온된다.
비터치(non-touch) 입력 인식부(17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터치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동작인식모듈 또는 음성인식모듈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동작이나 음성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인식모듈의 경우 음성인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특정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1회의 사용자 입력을 인식한 후에도 사용자의 지속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계속하여 턴 온 상태에 머물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앞서 언급한 수신부(110), 측정부(120), 저장부(130), 판단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6b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인식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인 방사효율의 변화패턴을 파악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방사효율의 변화패턴은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80, 도 2 참조)가 수신부(110, 도 2 참조)에 공급하는 전송 전력(Pf)에 대해 수신부(110)에서는 반사 전력(Return Power)(Pr)과 손실 전력(Ploss)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방사효율의 측정은 두 가지 팩터(factor), 즉, 손실 전력(Ploss)을 일으키는 손실 저항값(예를 들어, 안테나 내의 도체손실값, 유전체 손실값)과 공간에 방사되는 반사 전력(Pr)을 일으키는 방사 저항값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 및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되며, Rl이 수신부(110) 내부에서 열로 변환되어 소모되는 전력을 일으키는 손실 저항값이며 Rr이 공간에 방사되는 전력을 일으키는 방사 저항값이다. 손실 전력과 반사 전력은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므로 도 3b의 등가회로에서 Rl과 Rr은 직렬로 표시된다.
여기서 인체가 수신부(110)에 근접함에 따라 손실 전력은 방사효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손실 전력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다.
실험을 통해 측정한 인체의 근접에 따른 방사효율 및 손실 전력량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인체의 근접 상태 방사효율(%)(손실 전력량(dB))
인체가 근접하지 않은 상태 91.2%(-0.4dB)
휴대 단말기와 손이 접촉한 상태 52.7%(-2.8dB)
휴대 단말기와 머리가 접촉한 상태 27.2%(-5.6dB)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110)에 인체가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실 전력량이 -0.4dB를 가지나 손이 휴대 단말기의 약 2cm정도 근접하게 되는 경우는 손실 전력량이 -2.8dB로 떨어진다. 그리고 전화 통화시 휴대 단말기가 머리 부근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는 손실 전력량이 -5.6dB로 더욱 떨어진다.
상기 표 1을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와 인체의 근접성에 따른 방사효율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며, 그래프에서 1.00은 방사효율이 100%일 때를 가정하고 표시되었다. 도 4의 결과를 통해 인체의 근접여부에 따라 거의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효율의 격차가 벌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객체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반복할 경우 방사효율 변화패턴은 도 5와 같이 위 아래로 유동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같은 방사효율 변화패턴은 휴대 단말기가 손실 전력 흡수율이 높은 물체 위에 놓여지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도 6a는 책상, 식탁, 탁자 등과 같은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에서 객체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반복적 움직임에 따른 방사효율 변화패턴의 그래프이며, 도 6b는 책상 등과 같은 물체보다 손실 전력 흡수율이 높은 물체(예를 들어, 인체)에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에서 객체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반복적 움직임에 따른 방사효율 변화패턴의 그래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객체가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반복적 움직임이 가해지면 휴대 단말기의 방사 효율은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흡수율이 높은 물체 위에 놓인 상태에서도 이로 인해 기준값 레벨이 도 6a보다 d만큼 떨어지긴 하지만, 그 이후 객체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반복적인 움직임이 가해지면, 기준값 레벨이 d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방사효율 변화패턴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대한 객체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른 위 아래로 유동하는 형태의 방사효율 변화패턴은 휴대 단말기가 놓인 위치와 무관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손실 전력량의 변화는 방사효율 변화패턴 판단의 척도가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수신기의 손실 전력량의 변화를 판단하여 방사효율 변화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은, 예를 들어, RSSI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신감도값은 기지국과의 통신감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 단말기 내에서도 측정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60, 도 2 참조)에는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가 4단계 내지 5단계로 표시되어 있으며(예를 들어, 표시부의 수신감도 표시 영역에 보여지는 안테나 바(bar)), 이는 RSSI값을 기준으로 표시된다. RSSI값은 실제로는 4-5단계보다 훨씬 많은 비트수의 값, 즉 보다 세분화된 단계로 측정된다(예를 들어, 8비트인 경우 0~255단계로 나뉘어 측정된다.).
종래의 경우 모드 전환을 위한 동작인식시 휴대 단말기 자체에 기본적으로 내장되는 구성 외에 특정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프로세서나 동작인식을 위한 모듈을 부가적으로 요구하며, 이러한 프로세서나 모듈을 항상 턴 온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종래에 휴대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수신을 위해 주기적(또는 비주기적)으로 이용되던 지표를 모드 전환의 용도로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하여 훨씬 적은 전력으로 모드 전환 인식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통해, 인식 대상이 되는 객체의 움직임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a는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손의 움직임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b는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손의 움직임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x축 및 y축 방향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수평한 평면 내에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z축 방향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x, y, z축 방향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부에 대해서도 전면부와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객체의 움직임을 통해 객체가 휴대 단말기(100)와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반복적인 동작이 발생하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RSSI값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정한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을 가지면서 유동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즉, 객체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움직임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감도값에 변화가 발생하며, 객체가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에 의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 내의 피크 투 피크값들이 여러 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를 손으로 집는 동작 등)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감도값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규칙적인 형태로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설정하여 저장부(130, 도 2 참조)에 저장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판단부(140, 도 2 참조)가 측정된 값과 미리 설정된 패턴(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명확하게 비교 판단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되는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동일(또는 유사)한 형태로 여러 번 반복되는 형태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사효율의 변화는 객체와 휴대 단말기의 근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므로 휴면모드 해제패턴의 형태는 왕복 이동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 사각형 등의 도형을 그리는 듯한 움직임, 또는 두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패턴 등 다양한 예들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사효율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라면 휴면모드 해제패턴으로 인식되는 객체의 종류에도 한정이 없다.
이하, 도 8 및 도 9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가 휴면모드일 때를 전제로 하므로, 먼저, 휴대 단말기가 휴면모드 상태인 경우부터 설명한다(S100). 휴면모드에서 표시부(160)는 턴 오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일정 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을 경우 휴대 단말기는 휴면모드로 동작하며 표시부(160)는 턴 오프된다.
수신부(110)는 지속적으로 RF 신호를 수신한다(S101). 수신부(110)는 기지국과 항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RF 신호 수신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S100 단계 이전의 상태에서도 수신부(110)는 항상 RF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다(S102). 사용자 입력은 소정의 객체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 팔 등) 또는 금속과 같이 방사효율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의 형태는 도 7a 및 도 7b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손을 휴대 단말기 상에서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형태의 움직임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신한 RF 신호는 아날로그 포맷으로 되어 있으므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측정부(120, 도 2 참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S103).
그리고 측정부(12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규정된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부(110)의 수신감도값이 포함한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여기서 수신감도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세기를 RSSI값으로 변환하여 측정될 수 있다(S104). 휴대 단말기 주변에 객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측정된 수신감도값은 일정한 레벨의 값을 가지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6b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 수신감도값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120)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비교하는 데에 사용되기 위하여,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지속적으로 저장한다(S105). 또한, 측정된 RSSI값의 곡선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 저장부(130)는 RSSI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Vpp, 도 5 참조)을 저장한다. 한편, 저장부(130)에는 상기 피크 투 피크값(Vpp)을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과,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소정의 값으로 저장되어 있다.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RSSI값들에 대한 테이블로 정의될 수 있다.
이어서 판단부(140)는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한다(S106).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휴대 단말기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특정 패턴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정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휴대 단말기 상에서 일 방향으로 왕복하여 움직이는 동작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30)에는 상기 왕복 움직임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감도값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판단부(140)는 저장된 수신감도값들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측정된 수신감도값들을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을 참조하여 S106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판단부(140)는 측정된 RSSI값의 피크 투 피크값(Vpp)과 임계값을 비교한다(S200).
측정된 RSSI의 피크 투 피크값(Vpp)이 임계값보다 넘는 순간이 검출되면, 저장부(130)는 검출된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RSSI값을 저장한다(S201). 여기서, 저장되는 RSSI값은 다수 개이어야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의 비교가 가능하므로, 상기 검출된 순간 이후 RSSI가 저장되는 시간은 측정부(120)가 RSSI값을 측정하는 주기보다 길다. 예를 들어, 측정부(120)가 500 ms 마다 RSSI값을 측정한다면, 저장부(130)는 측정된 RSSI의 피크 투 피크 값이 임계값보다 넘는 순간부터 2 sec 동안 RSSI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40)는 저장된 RSSI값이 이루는 패턴의 형태가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의 형태와 매칭하는지 판단한다(S202).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저장된 RSSI값의 피크 투 피크값의 크기, 상기 피크 투 피크값이 반복되는 횟수 및 반복시간 등에 대한 항목을 기준으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저장된 RSSI값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RSSI값이 이루는 패턴의 형태(사용자 입력에 의한 패턴)과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비교함에 있어 일정한 오차 범위를 두고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40)가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저장된 RSSI값이 이루는 패턴이 매칭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패턴 검출 이벤트를 제어부(150, 도 2 참조)로 출력한다(S203). 그러나, S200단계 또는 S202단계에서 주어진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판단부(140)는 지속적으로 판단을 수행하며 패턴 검출 이벤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패턴 검출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표시부(160)를 턴 온하여 활성화모드가 되도록 제어한다(S107). 반면,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지 않는 경우, 판단부(140)는 계속하여 측정되는 다른 수신감도값에 대하여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의 매칭여부를 계속하여 판단하게 되며, 제어부(150)는 표시부(160)를 턴 온시키지 않고 휴대 단말기가 계속하여 휴면모드 상태에 머물도록 한다.
활성화모드가 된 후, 제어부(150)는 비터치(non-touch) 입력 인식부(170, 도 2 참조)를 구동시킨다(S108).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음성인식, 얼굴인식, 동작인식, 방향인식 등 휴대 단말기를 터치하지 않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전술한 다양한 인식을 위한 센서 및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성인식모듈, 동작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얼굴인식 및 동작인식의 경우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를 구동함과 동시에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음성인식, 동작인식 프로그램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족慣瀏?은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AOT(Always On Top)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객체도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포함하며, 서비스 객체(service object)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된 때 휴대 단말기에 락 스크린 영상(예를 들어, 홀드 영상, 패턴 락 영상, 비밀번호 입력 영상 등)이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 통상적으로 전원 버튼을 누르면 표시부에 락 스크린 영상이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모드 전환시 락 스크린 영상이 나오지 않고 바로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락 스크린이 비밀번호/패턴과 같은 보안 성격인 경우 바로 비터치 입력 인식부는 비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증(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한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이후헤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입력을 인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기존에 설정된 잠금 방식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된 때에 비터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유지하면서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게 된다(S109).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비터치 방식의 사용자 입력(음성 입력,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여 제어부(150)로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50)는 이벤트의 내용대로 표시부(160)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110).
이러한 S100단계 내지 S110단계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식탁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 놓은 채 양손을 이용하여 밀가루 반죽을 하는 상태를 가정한다. 사용자는 반죽을 하는 중간에 반죽을 활용할 수 있는 요리의 레시피를 검색하기 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탁 위의 휴대 단말기와 2~3 cm 정도로 근접한 위치에 손을 좌우로 적당한 속도로 5회 흔든다. 휴대 단말기는 방사효율 변화를 수신감도값(예를 들어, RSSI값)의 변화를 통해 판단하고, 수신감도값의 변화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과 동일함을 판단하여 휴면모드를 활성화모드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60)가 턴 온되면서 음성인식 모듈이 동작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60)에는 마이크 형상의 영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무엇을 실행할까요?” 라는 음성메시지가 발생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인터넷 검색”이라고 말하고 단말기는 “예, 알겠습니다” 라고 음성을 출력한 후 음성인식 모듈에 의해 휴대 단말기상에 등록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기본 검색 사이트와 함께 실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무엇을 검색할까요?”라고 다시 사용자에게 물어본다.
사용자는 “해물파전”이라고 대답하고 휴대 단말기는 해당 단어를 기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가장 많이 검색된 페이지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스크롤 업”, “스크롤 다운”과 같은 음성 명령으로 여러 페이지를 볼 수 있으며 다시 검색을 원하면 “인터넷 검색” 이라고 음성 명령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종료”라고 음성입력을 하면 휴대 단말기는 음성인식 모듈을 종료한 후 표시부(160)를 턴 오프하여 휴면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다시 수신감도값을 판단하는 상태로 돌아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00단계부터 S107단계를 통해 방사효율 변화패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시키며, S108단계에서 S110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고도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두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울 때에도 능동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휴면모드를 활성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비교를 수행하며, 활성화모드로 전환한 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 도 2 참조)를 구동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면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될 때, 사용자의 동작인식을 통해 전환되는 경우,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이 턴 온되도록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가 활성화모드에 머물고 있는 상태도 비터치 입력 인식부(170)를 턴 온하여 비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가 활성화모드인 경우 외부의 이벤트에 의한 인터랙션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8의 S102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판단부(140)는 도 8의 S103 내지 S106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수신감도값의 변화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수신감도값의 변화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과 동일성 범위에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비터치 입력 인식부가 턴 온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때, 비터치 입력 인식부가 턴-오프인 경우, 제어부(150)는 비터치 입력 인식부 및 이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활성화모드에 머물고 있는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직접적인 조작이 어려운 경우 동작인식을 통한 비터치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수신부
120 : 측정부 130 : 저장부
140 : 판단부 150 : 제어부
160 : 표시부 170 : 비터치 입력 인식부
180 : 전원공급부

Claims (30)

  1. (a)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시점부터의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 온하기 위한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a) 단계 이전부터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된 휴면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값은 상기 수신부의 방사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값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인접한 범위에서 위치한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신감도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통해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수신감도값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체 또는 도전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범위 내에서 특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감도값이 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후부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초기 잠금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턴 온된 표시부에 초기잠금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초기 잠금 영상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보안 성격을 갖는 경우, 상기 초기 잠금 영상 대신 비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증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f) 사용자로부터의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받고,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비터치 입력 인식부 및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는 음성인식 모듈 및 동작인식 모듈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g)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8. (a) 휴대 단말기의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사용자로부터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받고,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기지국과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시점부터의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이 상기 표시부를 턴 온하기 위한 기 설정된 휴면모드 해제패턴과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이 매칭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된 휴면모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임계값 및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검출된 시점부터의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감도값의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감도값의 패턴과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값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수신감도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값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모드 해제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신감도값이 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초기 잠금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한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초기 잠금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비터치(non-touch) 방식의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비터치 방식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비터치 입력 인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턴 온 상태로 전환한 이후에,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 및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터치 입력 인식부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149851A 2012-12-20 2012-12-2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146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51A KR101464834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51A KR101464834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53A KR20140080253A (ko) 2014-06-30
KR101464834B1 true KR101464834B1 (ko) 2014-11-25

Family

ID=5113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851A KR101464834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8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5750B1 (ko) 2007-04-04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잠금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5750B1 (ko) 2007-04-04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잠금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53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1345B (zh) 一种接近传感器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778707B (zh) 指纹识别方法、显示屏以及移动终端
US20100085307A1 (en) Touch control mobile phone and anti-misopera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CN106303023B (zh) 屏幕状态调节方法及装置
CN109219930A (zh) 无线通信设备的特定吸收比率控制方法及无线通信设备
CN108900231B (zh) 动态天线调整方法及相关产品
CN106850983B (zh) 一种熄屏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6096360B (zh) 一种解锁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1778162A (zh) 一种改善通讯终端无线性能的方法及通讯终端
CN109923901A (zh) 搜索网络的方法和终端设备
CN111654902B (zh) 降低对移动终端gps信号干扰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10691168B (zh) 移动终端的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10261B (zh) 通话中天线切换方法及相关产品
CN111953389B (zh) 天线调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终端
CN107526522B (zh) 黑屏手势识别方法及装置,以及移动终端、存储介质
KR101464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CN106598208A (zh) 一种实现对智能移动设备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CN110851014B (zh) 触摸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7612573A (zh) 一种穿戴设备的sar值调整方法及穿戴设备
CN107094027B (zh) 天线调谐方法以及移动终端
TWI741626B (zh) 多天線模組的控制方法
CN110995324B (zh) 蓝牙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EP3112963B1 (en) Wearable device and operational mode switching controlling method
CN111104012B (zh) 测距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6850985B (zh) 移动终端传感器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