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739B1 -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739B1
KR101464739B1 KR20140032615A KR20140032615A KR101464739B1 KR 101464739 B1 KR101464739 B1 KR 101464739B1 KR 20140032615 A KR20140032615 A KR 20140032615A KR 20140032615 A KR20140032615 A KR 20140032615A KR 101464739 B1 KR101464739 B1 KR 10146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ouch input
touch
touch scre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2014003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상에서 소정의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지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가상 콘트롤 버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해서 터치스크린 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VIRTUAL CONTROL DISPLAY BASED TOUCH SCREEN APPARATUS AND VIRTUAL CONTROL DISPLAY METHOD OF THE TOUCH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장치에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터치 인식 기법에 대한 기술들과 관련된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스마트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기기들은 보통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수행할 수 있는 동작 중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여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하는 기능이나 멀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등이 있다.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들은 사용자의 휴대성을 강화하는 방향보다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키움으로써, 화면의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기기의 크기가 커진다는 점에서 한손으로 기기를 조작하거나 할 때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대형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보고 있다고 할 때, 상기 전자책 콘텐츠의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버튼이 터치스크린 화면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대형이라는 점에서 상기 사용자는 왼쪽 손만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책 콘텐츠의 화면을 스크롤하려고 할 때, 해당 콘트롤 버튼에 까지 터치 입력을 인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휴대용 기기 등에서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하여서도 손쉽게 기기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기기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상에서 소정의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지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가상 콘트롤 버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해서 터치스크린 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하는 영역 확인부,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하는 복제 영역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하는 복제 영역 표시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하는 좌표 매핑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하는 좌표점 확인부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 명령 실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상에서 소정의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지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가상 콘트롤 버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해서 터치스크린 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는 영역 확인부(111), 복제 영역 생성부(112), 복제 영역 표시부(112), 좌표 매핑부(114), 좌표점 확인부(115) 및 제어 명령 실행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는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등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역 확인부(111)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확인부(111)는 판단부(117) 및 영역 보정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17)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17)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유선이 폐곡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역 보정부(118)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확인한다.
복제 영역 생성부(112)는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한다.
복제 영역 표시부(113)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한다.
좌표 매핑부(114)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한다.
좌표점 확인부(115)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한다.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상기 제2 좌표점이 상기 제1 영역 상에서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상의 좌표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좌표점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실행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는 이미지 캡쳐부(119) 및 스킨 이미지 적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캡쳐부(119)는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한다.
스킨 이미지 적용부(120)는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스킨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의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화면이 출력되고 있고, 터치스크린 화면의 우측 하단에 화면의 스크롤을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보통,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화면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콘트롤 버튼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화면을 스크롤 시킬 수 있지만, 상기 사용자가 왼쪽 손만을 이용하여 화면을 스크롤하고자 할 때에는 왼쪽 손으로부터 콘트롤 버튼까지의 거리가 다소 멀어서, 실제 터치 입력을 인가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영역 확인부(111)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확인부(111)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17)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확인하는 영역 보정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판단부(117)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유선이 폐곡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사용자가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화면 영역 중에서 스타일러스 팬(211)을 이용하여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212)에 대해 폐곡선 형태의 제1 터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영역 선택을 수행하면, 판단부(117)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이기 때문에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폐곡선이기 때문에 판단부(117)는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212)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212)으로 결정한 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212)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을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도면에서 도면부호 213을 통해 표시되는 영역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212)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213)의 크기를 초과하기 때문에 영역 보정부(118)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212)으로부터 경계 영역(213)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제1 영역(213)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역 보정부(118)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212)으로부터 경계 영역(213)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한 영역을 제1 영역(213)으로 확인하였기 때문에 제1 영역(213)과 경계 영역(213)은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영역이 된다.
이렇게, 제1 영역(213)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면, 복제 영역 생성부(112)는 도면부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3)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22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캡쳐부(119)는 제1 영역(213)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고, 스킨 이미지 적용부(120)는 복제 영역(221)과 제1 영역(213)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도면부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복제 영역(221) 상에 스킨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함으로써, 복제 영역(221)과 제1 영역(213)이 크기와 모양뿐만 아니라,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까지 동일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제 영역(221)이 생성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복제 영역(221)에 대해 제2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화면 좌측 부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제 영역(221)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제 영역 표시부(113)는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복제 영역(221)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복제 영역(221)이 표시되면, 좌표 매핑부(114)는 복제 영역(221)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제1 영역(213)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복제 영역(221)과 제1 영역(213)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제 영역(221)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좌표점 확인부(115)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복제 영역(221)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제1 영역(213)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좌표점이 제1 영역(213) 상에서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상의 좌표들 중 하나인 경우,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상기 제2 좌표점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실행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도면에서 복제 영역(221) 상에 상기 제3 터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확인된 상기 제1 좌표점이, 하단 부분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되는 지점의 좌표점인 경우, 좌표점 확인부(115)는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제1 영역(213) 상에서의 제2 좌표점으로, 좌측 부분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되는 지점의 좌표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제1 영역(213) 상에서 표시되는 상기 좌측 부분을 지시하는 화살표에 지정되어 있는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213) 상에서 표시되는 상기 좌측 부분을 지시하는 화살표에 지정되어 있는 제어 명령이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명령인 경우, 제어 명령 실행부(116)는 최종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복제 영역(221) 상에서 하단 부분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되는 지점에 인가한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으로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상에서 소정의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지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가상 콘트롤 버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해서 터치스크린 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310)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10)에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유선이 폐곡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한다.
단계(S330)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한다.
단계(S340)에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한다.
단계(S35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한다.
단계(S360)에서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60)에서는 상기 제2 좌표점이 상기 제1 영역 상에서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상의 좌표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좌표점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실행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스킨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111: 영역 확인부 112: 복제 영역 생성부
113: 복제 영역 표시부 114: 좌표 매핑부
115: 좌표점 확인부 116: 제어 명령 실행부
117: 판단부 118: 영역 보정부
119: 이미지 캡쳐부 120: 스킨 이미지 적용부

Claims (11)

  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하는 영역 확인부;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하는 복제 영역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하는 복제 영역 표시부;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하는 좌표 매핑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스킨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스킨 이미지 적용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하는 좌표점 확인부;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 명령 실행부
    를 포함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확인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확인하는 영역 보정부
    를 포함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유선이 폐곡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실행부는
    상기 제2 좌표점이 상기 제1 영역 상에서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상의 좌표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좌표점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실행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6.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선택을 지시하는 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제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제 영역에 대한 이동을 지시하는 제2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을 추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화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 상기 복제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1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역 상에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좌표들에 대해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좌표들 간에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상기 복제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영역 매칭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스킨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제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인가된 상기 복제 영역 상에서의 제1 좌표점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영역 상에서의 제2 좌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좌표점을 통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부터 상기 경계 영역을 초과하는 외곽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외곽 영역이 제거된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자유선 그리기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초한 자유선이 폐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유선이 폐곡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지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영역의 크기가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계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좌표점이 상기 제1 영역 상에서 상기 콘트롤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상의 좌표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좌표점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실행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40032615A 2014-03-20 2014-03-20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KR10146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615A KR101464739B1 (ko) 2014-03-20 2014-03-20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615A KR101464739B1 (ko) 2014-03-20 2014-03-20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739B1 true KR101464739B1 (ko) 2014-11-27

Family

ID=5229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2615A KR101464739B1 (ko) 2014-03-20 2014-03-20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7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405A (ko) * 2008-01-17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KR101180673B1 (ko) 2011-11-18 2012-09-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48960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8638312B2 (en) * 2008-07-12 2014-01-28 Lester F. Ludwig Advanced touch control of a file browser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405A (ko) * 2008-01-17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US8638312B2 (en) * 2008-07-12 2014-01-28 Lester F. Ludwig Advanced touch control of a file browser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KR20130048960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180673B1 (ko) 2011-11-18 2012-09-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126B2 (en) Ic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9665276B2 (en) Character deletion during keyboard gesture
US9594501B2 (en) Method for changing display ran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718070B1 (ko) 제스처 조합 기반의 이벤트 실행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19622B2 (en)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US10019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JP2011186734A (ja) 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JP201414270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01073A1 (zh) 工具栏显示控制方法以及装置、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EP2767897B1 (en) Method for generating writ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JP58352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73024B1 (ko)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편집장치 및 방법
EP3066550A1 (en) Two step content selection
JP2004280532A (ja) 選択領域制御装置、選択領域制御方法及び選択領域制御プログラム
KR101464739B1 (ko)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기반의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콘트롤 출력 지원 방법
CN104133627A (zh) 一种缩放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586709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18071B1 (ko) 선택적 자유선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선택적 자유선 입력 지원 방법
WO2017016333A1 (zh) 一种屏幕调整方法及装置
US201601246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ouse simulation method
KR101505900B1 (ko) 전자 문서의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분할 화면 제어 방법
US20150130723A1 (en) Two step content selection with trajectory copy
US20140035876A1 (en) Command of a Computing Device
JP2016099892A (ja) 画像の拡大又は縮小を行う装置並びに方法
JP60484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