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175B1 -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175B1
KR101464175B1 KR20140083467A KR20140083467A KR101464175B1 KR 101464175 B1 KR101464175 B1 KR 101464175B1 KR 20140083467 A KR20140083467 A KR 20140083467A KR 20140083467 A KR20140083467 A KR 20140083467A KR 101464175 B1 KR101464175 B1 KR 10146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nanofiber mat
channel block
upper hous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송완
정영훈
곽종영
윤식
김창근
강동구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8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46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e.g. for the synthesis of polypeptides or polynucleotide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molecular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세포 이동 측정이 가능한 인체 조직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은,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체결 가능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가 이동 가능한 다중 미세유체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블럭; 및; 및 상기 채널 블럭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ASSAY CHIP FOR SIMULATING HUMAN TISSUE AND CELL REACTION MEASURING AND OBSERVING METHOD APPLYING MULTI MICROFLUIDIC CHANNEL}
본 발명은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나노섬유매트 및 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농도구배의 형성이 가능한 채널 블럭을 이용함으로써 3차원 세포 이동 측정이 가능한 인체 조직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매년 전 세계적으로 질병의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인체의 기본적인 단위인 세포의 변형으로 분화나 증식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사멸하지 않고 무제한 증식함으로써 생성되는 암(cancer)의 발병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암의 완벽한 치료는 불가능한 실정이어서 새로운 암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암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개발된 신약의 효과 또는 부작용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대상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였다. 검사 대상은 인체 조직을 모사한 어세이 칩이나 실험용 쥐와 같은 동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실험용 쥐와 같은 동물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경우 최근 윤리적인 문제의 대두 및 실험 조건이 까다롭고 경제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체 조직을 모사한 어세이 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보이든(boyden) 챔버나 던(dunn)챔버 방식을 이용한 어세이 칩이나 또는 PDMS(polydimethylsiloxane)만을 응용 및 활용하는 어세이 칩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어세이 칩은 세포가 2차원적 환경에서 배양되므로 인체조직과 유사한 3차원적 환경에서의 세포 이동(cell migration)을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암 전이, 면역 반응, 상처 지료 및 염증 현상 등 생체 내 주요 현상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포 이동은 세포의 주화성(chemotaxis), 즉 화학 물질의 농도차를 감수하여 이동하는 주성의 지배를 받는데, 종래의 어세이 칩들은 이러한 화학 물질의 농도구배를 정확히 모사하고 실시간적으로 세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하여 삼투압현상이나 모세관현상을 바탕으로 순환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나, 2차원적인 세포배양시스템이나 하이드로 젤을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시스템이 대부분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유체유입구 및 유체배출구를 통해 나노섬유매트 상에서 농도구배가 형성되어 3차원 세포 이동 측정이 가능한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은,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체결 가능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가 이동 가능한 다중 미세유체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블럭; 및 상기 채널 블럭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매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채널 블럭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배출구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상기 관통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섬유매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블럭에는 유체가 이동 가능한 다중 미세유체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 블럭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릭올레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스테인레스 스틸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실크, 콜라겐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의 천연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셀룰로오즈, 나이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배리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체결 가능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 블럭과, 상기 채널 블럭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매트를 포함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을 이용하는 세포 이동 측정 방법은,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나노섬유매트에 구획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에 측정세포를 시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상기 측정세포의 미디어를 투입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화학적 유인물질을 투입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채널 블럭에서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유동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상기 유체배출구로 배출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배리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케모카인일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동 측정 방법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나노섬유매트에 측정 대상 세포를 시딩함으로써 3차원적인 환경을 모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유체유입구 및 유체배출구를 통해 나노섬유매트 상에 농도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정밀한 3차원 세포 이동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나노섬유매트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나노섬유매트에 시딩된 세포의 이동에 대한 관찰이나 또는 세포의 형광 염색과 약물 처리가 용이하며, 다른 실험에의 이용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나노섬유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 (b) 상기 전기방사장치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을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100, 이하 '어세이 칩'이라 함)은, 하부하우징(110), 상부하우징(120), 채널 블럭(130) 및 나노섬유매트(140)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110)은 어세이 칩(1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일면에 안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2)은 후술하는 채널 블럭(130)이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관통홀의 측면부가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안착홈을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채널 블럭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20)은 하부하우징(110)과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122)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124)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유입구(122)와 유체배출구(124)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유입구(122)가 제1유체유입구(122a)와 제2유체유입구(122b)로, 유체배출구(124)가 제1유체배출구(124a)와 제2유체배출구(124b)로 각각 2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포이동 측정 조건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제1유체유입구(122a)와 제2유체유입구(122b) 및 제1유체배출구(124a)와 제2유체배출구(124b)는 채널 블럭(130)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나노섬유매트(140)의 형상에 따라 나노섬유매트(140)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체유입구(122a)와 제1유체배출구(124a) 및 제2유체유입구(122b)와 제2유체배출구(124b)는 각각 한 쌍을 이루고, 제1유체유입구(122a)를 통해 투입된 유체는 채널 블럭(130)을 유동한 다음 제1유체배출구(124a)로 배출되며, 제2유체유입구(122b)를 통해 투입된 유체는 채널 블럭(130)을 유동한 다음 제1유체배출구(124b)로 배출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20)은 유체유입구(122)와 유체배출구(124) 사이에 관통홀(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통홀(126)의 단면이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은 고압멸균처리가 가능하고 생체적합성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 스테인리스,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된 알루미늄, 폴리디메틸실록산, 파이렉스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단하고 투명한 재질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채널 블럭(130)은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부하우징(110)의 안착홈(112)에 안착되어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 블럭(130)은 유체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체유입구(122)에서 유체유출구(124) 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인체의 혈관을 모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유입구(122)가 여러 개 형성됨으로써 각 유체유입구(122)에서 서로 다른 유체가 채널 블럭(130)로 유입될 수 있으며, 각 유체유입구(122)에서 유입된 유체는 채널 블럭(130)에서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채널 블럭(130)은 표면에 서로 다른 유체가 각각 이동 가능한 다중 미세유체 채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 블럭(130)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릭올레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채널 블럭(130)의 형상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이용하여 인간의 혈관을 모사하는 구조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블럭(130)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노섬유매트(140)는 채널 블럭(130)과 상부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하우징(120)의 관통홀(126) 하부에 배치되어 채널 블럭(130)과 상부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나노섬유매트(140)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섬유매트(140)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전기방사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특히, 나노섬유매트(140)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셀룰로오즈, 나이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나노섬유매트(140)는 양 끝단의 세로방향 길이가 중간단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H"자 형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T형, Y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매트(140)는 유체유입구(122)에서 유체배출구(124) 방향으로 배리어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리어층(미도시)의 형성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나노섬유매트(140)는 세포 이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세포를 시딩(seed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나노섬유매트(140)의 일면 중 일 영역에 상기 측정세포를 시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포 이동 측정 조건에 따라 나노섬유매트(140)의 일면에 구획을 나누어 서로 다른 측정세포를 시딩하거나 또는 나노섬유매트(140)의 양면에 서로 다른 측정세포를 시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세이 칩(100)은 나노섬유매트(140)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150)와 제1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50)는 관통홀(126)에 결합 가능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링은 관통홀(126)에 결합 시 상부하우징(12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제2고정부와 결합을 통한 나노섬유매트(140)의 고정 효과를 고려했을 때 더욱 바람직하다.
제2고정부(160)는 제1고정부(1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1고정부(150)가 고정링 형상인 경우 상기 고정링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고정링이 결합됨으로써 제1고정부(150)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고정부(15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세이 칩(100)에 포함되는 나노섬유매트(140)는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방사법에 의한 나노섬유매트(140)의 제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고분자로 폴리카프로락톤과 용매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고 이들을 교반기에서 2시간 동안 섞어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온도 20∼21℃, 습도 50∼55%의 환경에서 노즐에 24∼25㎸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방사 시 노즐과 집적판 사이의 거리는 65㎜를 유지하고 집적판을 30㎜/s의 이송속도로 움직이면서 약 100㎛의 간격을 지닌 평행한 패턴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를 10회 적층하는 공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나노섬유매트(140)를 제조할 수 있다.(도 3(b)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세이 칩(100)을 이용한 세포 이동 측정 방법은,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유체유입구에서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나노섬유매트에 구획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 영역에 측정세포를 시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상기 측정세포의 미디어를 투입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화학적 유인물질을 투입하는 단계(단계 3); 채널 블럭에서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유동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상기 유체배출구로 배출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포 이동 측정 방법에 이용되는 어세이 칩(10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어세이 칩(1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 1은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배리어층을 형성하여 복수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구획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 영역에 섬유아세포 등과 같은 영양세포(feeds cells)을 배양한 다음 상기 영양세포 위에 상기 측정세포를 시딩하거나 또는 상기 영양세포를 배양한 다음 콜라겐 등과 합성하고 그 위에 상기 측정세포 시딩할 수 있다.
상기 측정세포는 암세포 등과 같은 타겟조직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포 이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세포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케모카인(chemokine)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 세포의 종류 및 세포 이동 측정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케모카인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측정세포가 인체 내에서 전이가 가장 활발한 유방암 세포인 경우,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나 IL-8(Interleukin-8) 혈청(serum)을 일정 농도로 흘려주어 암세포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환자의 나이와 체중 등에 따라 적절하게 농도를 변화시켜 줄 수 있으며, 농도는 18pg/mL ~ 368pg/mL로 실험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4에서는 채널 블럭에서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노섬유매트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측정세포를 시딩한 다음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의 유체유입구에 미디어를 투입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의 유체유입구에 화학적 유인물질을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과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채널 블럭 영역에서 상기 미디어와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은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되며, 상기 미디어에서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측정세포의 3차원 세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나노섬유매트를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3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측정세포를 시딩한 다음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의 유체유입구에 미디어를 투입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의 유체유입구에 제1화학적 유인물질, 또 다른 하나의 영역의 유체유입구에 제2화학적 유인물질을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과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 사이의 경계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과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영역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채널 블럭 영역에서 상기 미디어와 제1화학적 유인물질 및 제1화학적 유인물질과 제2화학적 유인물질은 각각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되며, 상기 미디어에서 상기 제1화학적 유인물질 방향 및 상기 제1화학적 유인물질에서 상기 제2화학적 유인물질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측정세포의 3차원 세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100: 어세이 칩
110: 하부하우징
120: 상부하우징
130: 채널 블럭
140: 나노섬유매트
150: 제1고정부
160: 제2고정부

Claims (13)

  1.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체결 가능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가 이동 가능한 다중 미세유체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블럭; 및
    상기 채널 블럭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매트에는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배리어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유입구 및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통해 농도구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채널 블럭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배출구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상기 관통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섬유매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블럭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릭올레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스테인레스 스틸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널 블럭은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실크, 콜라겐 및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의 천연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셀룰로오즈, 나이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매트는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9. 삭제
  10.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체결 가능하고 일단에 복수의 유체유입구와 타단에 복수의 유체배출구가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 블럭과, 상기 채널 블럭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매트를 포함하는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에 의해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나노섬유매트에 구획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일 영역에 측정세포를 시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측정세포가 시딩된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상기 측정세포의 미디어를 투입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대응되는 유체유입구에 화학적 유인물질을 투입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채널 블럭에서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유동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상기 유체배출구로 배출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나노섬유매트의 일면에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상기 유체배출구 방향으로 배리어층을 형성하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미디어 및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농도구배를 형성한 상태로 유동되고,
    상기 농도구배는 복수의 유체유입구 및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화학적 유인물질이 케모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KR20140083467A 2014-07-04 2014-07-04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KR10146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467A KR101464175B1 (ko) 2014-07-04 2014-07-04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467A KR101464175B1 (ko) 2014-07-04 2014-07-04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175B1 true KR101464175B1 (ko) 2014-11-21

Family

ID=5229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3467A KR101464175B1 (ko) 2014-07-04 2014-07-04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711A (ko) * 2018-01-19 2019-07-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 모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94B1 (ko) 2014-04-09 2014-06-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94B1 (ko) 2014-04-09 2014-06-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711A (ko) * 2018-01-19 2019-07-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 모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6843B1 (ko) 2018-01-19 2019-10-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 모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ul et al. Engineered models of confined cell migration
US9121847B2 (en) Three-dimensional microfluidic platfor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124096B (zh) 具有微通道的器官模仿装置及其使用和制造方法
Webster et al. Development of microfluidic devices for biomedical and clinical application
Yeon et al. Microfluidic cell culture systems for cellular analysis
KR101410294B1 (ko)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방법
US10744505B2 (en) Microfluidic device for in vitro 3D cell culture experimentation
Shi et al. Recent advances in microfluidic technology and applications for anti-cancer drug screening
Qi et al. Probing single cells using flow in microfluidic devices
KR101410293B1 (ko) 세포이동 측정용 어세이 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동 측정 방법
US20100321045A1 (en) Device And System For Measuring Properties Of Cells And Method Of Measuring Properties Of Cells Using The Same
JP6626884B2 (ja) 細胞層のインビトロ産生および培養デバイスのための半製品、および細胞層のインビトロ産生および培養デバイス
EP2741083B1 (en) Three dimensional microfluidic device that determines metastatic capacity and homing choices
KR101464175B1 (ko) 인체 조직 모사용 어세이 칩 및 다중 미세유체 채널을 응용한 세포 반응 측정 및 관찰 방법
PL237365B1 (pl) Urządzenie mikrofluidalne do prowadzenia hodowli komórek w gradiencie substancji bioaktywnej
JP2015508669A (ja) 独立に調節される面パターンを有する多孔質構造体
CN115678778A (zh) 一种培养三维细胞团的微流控芯片装置
US20220259536A1 (en) Microchannel cell culture device and system
Guo et al. Microfluidic devices for neutrophil migration studies
Chien Developing a 3D in vitro Model by Microfluidics
CN115595266A (zh) 生物芯片及其制造方法
Rahman A Microscale Approach to Investigate Breast Cancer Cellular Communication and Migration
Anggraini et al. Single-Cell Cultivation Utilizing Microfluidic Systems
Lin Microfluidic Device Development for Analyzing Single Glioblastoma Cells
Rajabi et al. Development of a microfluidic system based on polycarbonate as an artificial blood capillary vessel for medical application in cancer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