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080B1 -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080B1
KR101464080B1 KR20130059374A KR20130059374A KR101464080B1 KR 101464080 B1 KR101464080 B1 KR 101464080B1 KR 20130059374 A KR20130059374 A KR 20130059374A KR 20130059374 A KR20130059374 A KR 20130059374A KR 101464080 B1 KR101464080 B1 KR 101464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phone
battery
us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석진
Original Assignee
장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진 filed Critical 장석진
Priority to KR2013005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0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0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handle is provided to be gripped by a user using a vehicle, so the user is assisted in standing upright and a mobile phone battery of the user can be charged.

Description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having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직립을 보조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휴대전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capable of gripping a user using the mobile phone, To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에서 손잡이를 잡고 서서 가는 사람들이 자신의 휴대전화를 거치하여 충전하고, 또한 해당 충전에 대한 요금을 자신의 신용카드, 교통카드와 같은 개인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user who is standing by and holding a hand grip among his or her user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a sub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grip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enables payment using a personal payment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최근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사람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중교통의 보급률 또한 늘어나게 되면서 사람들은 언제든지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explosion of commuters using buses and subways, commuters are now able to use public transport at any time, as the penetration rate of public transport increases.

한편, 이러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간에 자신의 휴대전화(스마트폰 및 일반 피쳐폰 포함)를 통해 웹서핑을 하거나 또는 SNS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도 하고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거나 전화통화를 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ose using public transit surf the web via their mobile phones (including smartphones and general feature phones) at public transit times, use SNS applications, send text messages, .

이때, 휴대전화의 배터리는 반드시 소모되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제한된 배터리 용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휴대전화 충전기를 소지하고 다니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하나 이상 소지하고 다니거나 또는 자신이 방문한 곳에서 휴대전화의 충전을 부탁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always consumed. To solve the limited battery capacity problem, people carry a separate mobile phone charger, carry one or more separate batteries, I sometimes ask you to charge your mobile phone.

기존의 이러한 방법들은 충전기 또는 배터리를 깜빡하고 집에 두고 오는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면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사용자가 충전할 콘센트가 없는 곳에 있는 경우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se conventional methods have a problem that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when the charger or the battery is blinked and left at home, the portable phone can not be used and the charger can not be used when the user does not have an outlet to be charg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내에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 발명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echnology for charging a mobile phone in public transportation is applied.

기존의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발명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4722호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충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나 지하철에 구비되는 고정단말장치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4722 discloses a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charg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harg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하지만 상술한 기존의 발명을 살펴보면, 단순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버스나 지하철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구성은 있지만,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는 손잡이에 충전기를 설치하는 구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i)이동통신단말기를 충전한 위치에서 조금이라도 떨어지는 경우 현재 충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진행상황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과, ii)현재 충전중인 이동통신단말기를 타인이 가져가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가려져 있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iii)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진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어야만 충전이 시작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빨리 충전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결제진행과정을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to one side of a bus or a subway, but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a charger is installed in a handle gripp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 the charging progress of the currently charg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not be know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ven slightly dropped from the charging position, and ii) And iii) the charging is started only when the payment for the charging progr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le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who want to charge the battery even slightly soon wait for the payment proceeding process.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자가 주로 파지하며 쉽게 시인 가능한 손잡이에 휴대전화를 거치함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암호를 입력할 경우에만 오픈되는 도난방지도어를 구비하여 타인으로부터의 휴대전화 도난을 방지하며, 선불결제 및 후불결제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충전진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technology for char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or has found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n anti-theft door that is opened only when a password is input to prevent a mobile phone from being stolen from another person, and to provide a prepaid payment and a postpayment together so that a user can freely select a charging progress I came to invent the handle.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472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84722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직립을 보조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휴대전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 grip for a user using a car to assist the upright of the user, So as to provide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며 쉽게 시인 가능한 곳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손잡이에 휴대전화를 거치하도록 하며 그리고 충전도 가능하게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allows a mobile phone to be mounted on a public transportation handle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is mainly gripping and easily visible, and is also capable of being charged.

그리고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암호를 입력할 경우에만 오픈되는 도난방지도어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휴대전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ft of the mobile phone from the other person through an anti-theft door that is opened only when a preset password is input.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충전진행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불결제 및 후불결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prepayment and a postpayment in charge progress of the mobile phone.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현재 충전진행상황 및 결제진행상황을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grip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instantly informing a user of the progress of charging and the progress of payment through a separate monitor and a speaker.

그리고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충전코드를 제공하여 이종의 휴대전화에 구비되는 충전단자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충전코드의 삽입이 가능하게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hich enables insertion of a charging cord even if the positions of charging terminals provided in different mobile phones are different by providing a charging cor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실시예들 중에서,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는 본체에 체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전화가 거치 및 충전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의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이 결제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결제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handle provided with the portable telephone charging device is a handle which is fastened to the body and is held by the user; A charg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charg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and recharged; And a settlement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settlement unit having a chargeable charge for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ing unit.

상기 충전부에는, 하나 이상의 충전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충전어댑터는 상기 휴대전화에 구비된 충전단자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harging adapter, and the charging adapter may be inserted into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상기 충전어댑터는, 상기 휴대전화의 충전단자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adapt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telephone.

상기 충전어댑터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코드(electric wire)가 와이어로 롤링(rolling)될 수 있다.The charging adapter can be rolled into wires so that the length of the charging adapter can be adjusted.

상기 충전부에는, 상기 휴대전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휴대전화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휴대전화의 고정부분에 발생되는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는 스크래치 방지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A scratch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scratches generated in a fixed portion of the cellular phone can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상기 충전부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어댑터;가 더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 충전어댑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거치되는 휴대용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more battery charging adapters, and the battery charging adapter can charge the portable batteries stored by the user.

상기 충전어댑터에는, 상기 휴대용배터리의 접촉단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핀;이 제공되며, 상기 돌출핀은 상기 휴대용배터리의 접촉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The charging adapter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jecting pi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of the portable battery, and the projecting pin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of the portable battery.

상기 돌출핀은, 상기 휴대용배터리의 접촉단자 위치에 상응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in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terminal of the portable battery.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개인결제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진행에 대한 결제데이터가 별도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may recognize the personal payment means provided by the user and cause the payment data for the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ing unit to be displayed on a separate monitor.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선불결제 또는 후불결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may give the user the option of selecting either prepayment or postpayment.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결제부의 결제진행이 완료 후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선 진행시킬 수 있다.When the prepaym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ayment unit proceeds to charge the charging unit after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of the payment unit, and when the post-paym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harging unit proceeds to charge the charging unit .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후불결제에 있어서 결제진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별도의 이탈방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충전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may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departing from the charging unit by a separate departure prevention unit if the settlement progress in the postpay settlement selected by the user is not completed.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충전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권을 부여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may grant a setting right to set the charging time for the charging progress to the user.

상기 결제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상기 휴대전화 또는 배터리의 잔류전력량,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완전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상기 설정권에 대한 설정시간 및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data may include a remaining amount of the personal payment means, a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a time required to fully charge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A setting time for the setting right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charging fee for the charging progress.

상기 결제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의 잔류전력량,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된 시간,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상기 설정권에 대한 설정시간 및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Wherein the payment data includes a balance of the personal settlement means, a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a time when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is charged, a time when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A setting time for the setting right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charging fee for the charging progress.

상기 결제부는, 상기 결제수단의 잔액이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보다 작은 경우,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may notify the user through a separate speaker when the balance of the settlement unit is smaller than the charge rate for the charging progress.

상기 충전부에는, 암호입력을 위한 키패드; 및 상기 거치된 휴대전화를 커버하며, 상기 키패드를 통해 특정 암호가 입력되면 오픈되는 도난방지도어;가 더 제공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includes a keypad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n anti-theft door that covers the immovable mobile phone and opens when a specific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상기 충전부는, 별도로 구비된 전원공급배터리를 통해 충전진행에 대한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전원공급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전화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may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or charging progress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power supply battery or may be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connector to charge the mobile phone.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미끄럼방지부재; 또는 우레탄(urethane)재질의 쿠션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includes: a non-slip member gripped by a user; Or a cushion member made of urethan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는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며 쉽게 시인 가능한 곳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손잡이에 휴대전화를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중인 휴대전화를 두고 내리는 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육안으로 현재 충전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handle provid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unt the mobile phone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handle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grasp the mobile phone and can easily see the mobile phone, And it is possible to visually monitor the current charging progress in real time.

또한, 암호를 설정 및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도난방지도어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휴대전화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후불결제를 선택하는 경우 충전에 대한 청구요금을 결제하지 않으면 도난방지도어가 오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전장치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you can prevent your phone from being stolen from someone through a keypad and an anti-theft door that allows you to set and enter a password, and if the user chooses to pay for the bill, The door can not be opened so that the abuse of the charging device can be prevented.

또한, 사용자가 선불결제 및 후불결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빠른 충전진행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우선적으로 충전을 선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is given the option of selecting the prepaid payment and the postpayment payment, the user can preferentially charge the user who desires to perform the quick charging.

또한, 사용자가 충전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권을 부여함으로써, 오랜시간 충전을 원하는 사용자 또는 잠깐만 급속충전을 원하는 사용자 모두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giving a setting right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charging tim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atisfy both the user who wants to charge for a long time or the user who wants to charge the battery for a short time.

또한, 별도의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현재 충전진행상황 및 결제진행상황을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굳이 지속적으로 충전장치를 모니터링하지 않고도 현재 충전진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immediately notify the user of the progress of the current charging and the progress of the payment through a separate monitor and speaker, the user can be aware of the current charging progress without continuously monitoring the charging device.

또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충전코드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발생되는 충전단자 위치의 비호환문제에 있어서도 아무런 제한없이 충전코드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by providing the length-adjustable charging cord,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charge the charging cord without any limitation in the incompatibility problem of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caused by the different kinds of the portable telephone.

또한,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충전용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부착을 원하는 곳 어디에든 별도의 배선작업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since the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sid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handle without any additional wiring work wherever it is desired.

또한,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별도의 배터리 충전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전화가 아닌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도 충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 by providing not only a cellular phone but also a separate battery charging adapter,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demand of a user who wants to charge an auxiliary battery other than a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부(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니터(140)의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선불결제 시에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후불결제 시에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를 대중교통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grip 100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andle 100 provid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ing unit 11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onitor 140 shown in FIG. 2. More specifically,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at the time of prepayment, 4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at the time of post-payment.
5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handle 100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00 having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andle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부(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니터(140)의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선불결제 시에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후불결제 시에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화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andgrip 100 having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handgrip 100 having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ing unit 11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onitor 140 shown in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at the time of prepayment, and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monitor 140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de surface of a handle 100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는 크게 손잡이부(110), 결제부(120), 손잡이부(130) 및 본체(170)를 포함한다.1 to 5, a handle 100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cludes a handle 110, a payment unit 120, a handle 130, and a main body 170.

먼저, 도2 및 도3을 살펴보면, 충전부(110)는 후술되는 본체(170)의 일측에 형성되며, 휴대전화(10)를 거치하고 거치된 휴대전화(10)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110)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and 3, the charging unit 1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capable of charging the mobile phone 10, which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10, have. The charging unit 110 can charge the power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and the battery 12 by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Since the known technology is used, detailed description of charging will be omitted .

한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충전부(110)는 충전어댑터(111), 롤링충전어댑터(111'), 고정부재(112), 스크래치 방지부재(113), 배터리 충전어댑터(114), 및 돌출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10 that performs such a function includes a charging adapter 111, a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 a fixing member 112, a scratch preventing member 113, a battery charging adapter 114, 115).

충전어댑터(111)는 충전부(110)의 하측에 제공되며, 휴대전화(10)의 충전단자(11)에 삽입되어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휴대전화(1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arging adapter 1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rging unit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erminal 11 of the cellular phone 10 to suppl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separate battery (not shown) to the cellular phone 10 Can play a rol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충전어댑터(111)는 충전부(110)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휴대전화(10)의 충전단자(11)와 상응하는 위치에서 충전단자(11)와 도킹(docking)되거나 또는 롤링충전어댑터(111')처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코드(electric wire)가 와이어로 롤링(rolling)된 상태에 해당될 수 있다.The charging adapter 111 performing such a role is docked with the charging terminal 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11 of the cellular phone 10 while being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harging unit 110, It may correspond to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rolled into a wir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s in the case of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

예를 들어, 휴대전화(10)는 종류가 다양하고 그에 따라 충전단자(11)의 형성 위치 및 형태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된 충전단자(11)로써는 이러한 다양한 충전단자(11)의 위치 및 형태를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롤링충전어댑터(111')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충전부(110)의 바닥면에 롤링된 상태로 감겨져 있고, 사용자가 손(미도시)으로 롤링충전어댑터(111')를 당기면 롤링된 와이어가 풀어지면서 코드가 길게 연장되고(예를 들어, 약 30cm 정도), 충전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롤링충전어댑터(111')를 놓으면 자동으로 와이어가 롤링되어 감기면서 코드는 다시 원상태로 감겨들어가면서 롤링충전어댑터(111')는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For example, since the mobile phone 10 is of a variety of types and accordingly, the positions and forms of the charging terminals 11 may vary, the fixed charging terminals 11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And forms can not be met.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is normally ro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part 110, and when the user pulls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by hand (not shown) As the wire is loosened, the cord is extended (for example, about 30 cm),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rolling charge adapter 111 'after charging is completed, the wire is rolled automatically and the cord is rewound, The charging adapter 11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롤링충전어댑터(111')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롤링충전어댑터(111')의 기술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uses the known technique,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will be omitted.

고정부재(112)는 충전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10)의 측면을 조이면서 고정함으로써 휴대전화(10)가 충전부(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xed member 112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fixed bodies extending inward of the charger 110 and may be fixed by tightening the side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10,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기존에 공지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살펴보면, 연질의 고정바 4개가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쥐면서 스마트폰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듯, 고정부재(112)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known smartphone cradle, the fixing member 112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four soft fixing bars wrap around the sides of the smartphone while the smartphone is fixed without moving .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부재(112)의 휴대전화(10)와 접하는 면에는 휴대전화(10)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할 수 잇는 스크래치 방지부재(113)가 도포될 수 있다.A scratch preventive member 113 that can prevent scratche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10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12 that performs such a role in contact with the cellular phone 10 .

여기에서, 스크래치 방지부재(113)는 우레탄(urethane) 또는 고무재질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 방지부재(113)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스크래치 방지부재(113)의 재질, 크기 및 두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The scratch preventing member 113 may correspond to a urethane or rubber material and may be of any material and size and thickness of the scratch preventing member 113 as long as the scratch preventing member 113 performs the above- Quot; is not limited.

그리고 충전부(110)에는 휴대전화(10)뿐만 아니라 별도의 배터리(12)도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어댑터(114)도 제공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10 may also provide a battery charging adapter 114 to charge the battery 12 as well as the cell phone 10.

배터리 충전어댑터(114)는 상하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상판 및 하판과, 상판 및 하판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는 돌출핀(115)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ttery charging adapter 114 may include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moving along rails formed up and down, and a projecting pin 115 formed on each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먼저, 상판 및 하판은 배터리(12)의 세로측 길이에 맞추어 조절되는 구성을 가지며, 배터리(1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figured to be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attery 12, and can be fixed to prevent the battery 12 from moving.

그리고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핀(115)는 배터리(12)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 접촉단자(12a)에 접촉될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되는 구성을 가지며, 접촉단자(12a)와 접촉하여 충전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배터리(12)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마치 편의점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과 상응할 수 있다.One or more protruding pins 115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nfigured to move left and righ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s 12a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ttery 12, And can charge the battery 12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er 110, which may correspond to charging the battery at the convenience stor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돌출핀(115)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진행 중 발생되는 열에도 용융되지 않도록 돌출핀(115)을 감싸는 부재(미도시)는 내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in 115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member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projecting pin 115 may be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so as not to be melted by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이렇듯 충전부(110)는 휴대전화(10)와 배터리(12)를 각자 또는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휴대전화(10)와 배터리(12)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단순히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를 거치하여 충전어댑터(111), 롤링충전어댑터(111') 또는 배터리 충전어댑터(114)를 충전단자(11) 또는 접촉단자(12a)에 삽입, 또는 접촉시켜주면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의 충전을 쉽게 할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110 may have a space for charging the cell phone 10 and the battery 12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may be fixed to the cell phone 10 and the battery 12 The rolling charging adapter 111 'or the battery charging adapter 114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1 via the mobile phone 10 and the battery 12, Or the contact terminal 12a, the charging of the cellular phone 10 and the battery 12 can be facilitated.

다음으로, 결제부(120)는 본체(17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부(110)의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이 결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ettlement unit 1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70, and may play a role of causing the charging unit 110 to settle a charge for charging progress.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결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개인결제수단(예를 들어,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대중교통에 사용가능한 모든 전자식 결제수단이 해당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120 performing such a role may be a personal payment means provided by a user (for example, a credit card having a transportation card function, a transportation card, or any electronic payment means available for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recognized.

여기에서, 개인결제수단을 인식한다 라 함은, 개인결제수단을 결제부(120)에 접촉하게 되면 결제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RF(radio frequency)방식의 인식기가 해당 개인결제수단 내부에 구비된 내장회로 또는 내장칩을 인식함을 의미할 수 있다.Here, recognizing the individual payment means means that when the individual payment means is contacted to the payment unit 120, the reader of the radio frequency (RF) It may mean to recognize a built-in circuit or a built-in chip.

그리고 결제부(120)의 외측에는 “교통카드를 접촉시키세요”와 같은 안내문구가 인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문구를 인지한 사용자는 개인결제수단을 인식시키게 된다.A guidance message such as " contact the transportation card " may be printed outside the payment unit 120, and a user who recognizes such guidance message will recognize the personal payment means.

한편, RF방식의 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결제수단의 인식에 대한 기술은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known technology is us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RF type recognizer and the personal payment means using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결제부(120)는 충전부(110)의 충전진행에 대한 진행상황 및 결제데이터를 별도의 모니터(1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120 may display the progress of the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ing unit 110 and the payment data on a separate monitor 140. [

여기에서, 모니터(140)는 도 4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결제방식을 선불결제를 선택하였을 경우(도 4(a)) 또는 사용자가 결제방식을 후불결제를 선택하였을 경우(도 4(b))로 나뉘어 화면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4, if the user selects the prepayment method (FIG. 4 (a)) or the user selects the postpayment method (FIG. 4 (b)), And the screen state can be changed.

도 4(a)는 사용자가 결제방식을 선불결제로 선택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며, 이때 선불결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결제부(120)는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의 충전에 대한 요금정산이 완료된 후 에 충전부(110)의 충전을 진행시킬 수 있고, 반대로 후불결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결제부(120)는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의 충전을 선 진행시키고, 충전이 끝난 후에 요금정산을 하게 된다.4 (a)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payment method as prepaid payment. In this case, if the prepaid payment is selected, the payment unit 120 transmits the charge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10 or the battery 12 The settlement unit 120 advances the charging of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in the case where the post-payment is selected, After that, the fare is settled.

이때, 결제부(120)는 만약 후불결제에 있어서 요금정산이 완료되지 않고서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가 충전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탈방지수단(후술되는 도난방지도어가 해당될 수 있음)을 통하여 이를 막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ymen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separate departure prevention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tolen ") to prevent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through the door.

그리고 결제부(120)는 사용자에게 충전진행에 대한 충전진행을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권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특정 시간(예를 들어, 10분)을 기본으로 정해두는 경우 그 전에 하차해야 하는 사용자는 남은 시간을 사용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Further, the payment unit 120 may give the user a setting right to set the charging progress for the charging progress. Basically, i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is set as a default, This is to prevent the user from using the remaining time because the problem occurs.

따라서, 결제부는 별도의 시간설정키패드(미도시)를 통해 자신이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ttlement unit can freely set the charging time to be charged by itself through a separate time setting keypad (not shown).

그리고 이때 모니터(140)에는 도 4(a)와 같이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의 잔류전력량,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를 완전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시간 및 충전부(110)의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ㅏ.At this time, the monitor 140 receives the balance of the personal settlement means, the residual power amount of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and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fully charge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A charging time for charging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and a charging fee for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ing unit 110 may be displayed.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모니터(140)에는 도 4(b)와 같이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의 잔류전력량,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가 충전된 시간,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를 충전하기 위한 설정시간 및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4 (b), the balance of the personal payment means,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the amount of remaining power of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One or more of the time at which the battery 12 is charged, the set time for charging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battery 12, and the charge for charging progress may be displayed.

이러한 모니터(140)의 표시동작에 의하여 사용자는 현재 진행중인 충전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하차해야 하는 시점 전에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를 최대한 충전할 수 있게 된다.By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monitor 140,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 charging state and can fully charge the cellular phone 10 and the battery 12 before the time when he / she should get off.

한편, 모니터(140)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모니터(140)의 종류, 크기 및 형성위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Note that the type, size,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monitor 14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monitor 14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role.

다음으로, 손잡이부(130)는 본체(17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며 사용자가 직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측에는 미끄럼방지부재 또는 우레탄 재질의 쿠션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Next, the handle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70, may be gripped by the user and assist the user in maintaining the upright, and the outer side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or a urethane material The cush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이러한 손잡이부(130)는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될 경우 키가 큰 사용자는 머리가 부딪혀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되고 부딪히더라도 사용자가 다치지 않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handle 130 is formed with angled corners, a user who is tall may be injured by being hit by a head,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13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at is round and not hurt by a user even if it is hit.

한편, 일 시예에서,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는 스피커(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andle 100 equipp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150. [

스피커(150)는 상술한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모든 결제데이터를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150)의 동작은 시각장애인도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를 손쉽게 사용하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스피커(150)는 개인결제수단의 잔액이 모니터(140)에 표시된 청구요금보다 작은 경우, 이를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 해줄 수 있다.The speaker 150 can inform the user of all the payment data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by sound.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150 can be performed by a user who has the handheld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f the balance of the personal payment means is smaller than the billing rate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the speaker 150 can notify the user through the sound.

그 외에도, 스피커(150)는 결제부(120)에 송수신되는 결제데이터를 모두 소리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aker 150 can output all payment data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payment unit 120 through a sound.

다음으로, 본체(170)는 상술한 충전부(110), 결제부(120), 손잡이부(130), 모니터(140) 및 스피커(150)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대중교통의 천장으로부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기 용이한 높이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70)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본체(170)의 길이 및 두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Next, the main body 170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harging unit 110, the settlement unit 120, the handle 130, the monitor 140, and the speaker 150 can be for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body 17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body 170 can be formed in a length from the ceiling of public transportation to a height at which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handle, do.

그리고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의 상측에는 고정홀(18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홀(180)은 버스나 지하철 천장에 형성된 고정프레임(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는 고정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A fixing hole 18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100 provid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e fixing hole 180 may be fastened to a fixed frame (not shown) formed on a bus or a subway ceiling , So that the handle 100 equipped with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n be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fixed fram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충전부(110)에는 암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미도시) 및 거치된 휴대전화(10)를 커버하며 키패드를 통해 특정 암호가 입력되면 오픈되는 도난방지도어(미도시)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110 includes a keypad (not shown) for entering a password and an anti-theft door (not shown) opened when a specific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Can be provided.

키패드는 암호입력 역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의 충전시간을 설정하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난방지도어는 타인으로부터 사용자의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후불결제 상태에서 요금정산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단으로 휴대전화(10) 또는 배터리(12)를 가져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The keypad can also function not only to set a password but also to set the charging time of the cellular phone 10 and the battery 12 as described above. Or the battery 12 from being stolen as well as preventing the user from unauthorized taking the mobile phone 10 or the battery 12 in a state in which charge settlement is not completed in the post-payment state .

다른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공급배터리(미도시)를 통해 충전부(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또는 전원공급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력(예를 들어, 대중교통의 메인배터리)을 공급받아 충전부(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100 provided with the portable telephone charging device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charging unit 110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power supply battery (not shown), or a power supply connector (not shown) (For example, a main battery of public transportation)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unit 110. [

도 5를 살펴보면, 충전부(110)의 내부에는 휴대전화(10) 및 배터리(12)가 거치되기 용이한 공간이 구비되며, 충전부(110)의 내측 벽면에는 배터리 충전어댑터(11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충전부(110)의 하측면에는 휴대전화(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어댑터(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10)의 양쪽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12)가 감싸며 고정하고 있다.
5, the charging unit 110 has a space in which the mobile phone 10 and the battery 12 can be easily mounted, and a battery charging adapter 11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harging unit 110 And a charging adapter 111 for charging the portable telephone 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rging unit 110. One or more fixing members 112 are fixedly secured to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를 대중교통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00 having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ublic transportation.

도 6을 살펴보면, 대중교통(버스 또는 지하철)의 천장에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100)가 고정홀(180)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잡고 직립해 있다.6, a handle 100 having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fixed to a stationary frame formed on a ceiling of a public transportation (bus or subway) through a fixing hole 180, and a user holds the handle 130 Holding and standing up.

그리고 손잡이부(130)의 상측에는 충전부(110)가 위치하고 있으며, 충전부(11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거치한 휴대전화(10)가 거치되어 충전이 되고 있으며, 모니터(140) 및 스피커(150)의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된다.
The charging unit 1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130. The mobile phone 10 to which the user is stationary is stored and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110. The monitor 140 and the speaker 150, Lt; / RTI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 휴대전화 11 : 충전단자
12 : 배터리 12a : 접촉단자
100 :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110 : 충전부 111 : 충전어댑터
111': 롤링충전어댑터 112 : 고정부재
113 : 스크래치 방지부재 114 : 배터리 충전어댑터
115 : 돌출핀
120 : 결제부 130 : 손잡이부
140 : 모니터 150 : 스피커
160 : 제어부 170 : 본체
180 : 고정홀
10: mobile phone 11: charging terminal
12: Battery 12a: Contact terminal
100: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110: charger 111: charging adapter
111 ': Rolling charging adapter 112: Fixing member
113: Scratch preventing member 114: Battery charging adapter
115: projecting pin
120: settlement unit 130:
140: Monitor 150: Speaker
160: control unit 170:
180: Fixing hole

Claims (10)

본체에 체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전화가 거치 및 충전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의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이 결제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결제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거치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어댑터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핀은 상기 배터리 의 접촉단자에 상응하도록 위치가 조정되며,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개인결제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진행에 대한 결제데이터가 별도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불결제 또는 후불결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권을 부여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결제부의 결제진행이 완료 후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진행시키고,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선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A grip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body and is gripped by a user;
A charg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charg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and recharged; And
And a settlement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settlement unit having a chargeable charge for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ing unit,
The charging unit includes:
And one or more battery charging adapters configured to charge a user-mounted battery,
Wherein at least one projecting pin provided on the battery charging adapter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a contact terminal of the battery,
The settlement unit,
Recognizes the personal payment means provided by the user, displays the payment data on the charge progress of the charger on a separate monitor, and
The user is allowed to select a prepayment payment or a postpayment payment, and when the prepayment is selected by the user, charging of the charging unit is completed after the payment process of the payment unit is completed, Is selected, charging of the charging section is advanced in advance.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휴대전화의 충전단자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charging adapt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telephone.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어댑터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코드(electric wire)가 와이어로 롤링(roll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harging adapt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 wire is rolled to the wire so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는,
상기 휴대전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휴대전화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harging section,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후불결제에 있어서 결제진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별도의 이탈방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충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lement unit,
Wherein the mobile phone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harging unit by a separate departure prevention means if the settlement progress is not completed in the post-payment selected by the user.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상기 휴대전화 또는 배터리의 잔류전력량,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완전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설정시간 및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개인결제수단의 잔액,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의 잔류전력량,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된 시간, 상기 휴대전화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설정시간 및 상기 충전진행에 대한 청구요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yment data includes:
When the prepaid paym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balance of the personal payment means,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portable telephone or the battery, the time required to fully charge the portable telephone or the battery, the charging time of the portable telephone or the battery And a billing charge for the charging progress, or when the post-paym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balance of the personal payment means,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Or a charging time for charging the battery, a set time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and a charging fee for the charging progress.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는,
암호입력을 위한 키패드; 및
상기 거치된 휴대전화를 커버하며, 상기 키패드를 통해 특정 암호가 입력되면 오픈되는 도난방지도어;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충전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harging section,
A keypad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Further comprising: an anti-theft door which covers the stationary mobile phone and is opened when a specific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Handle with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KR20130059374A 2013-05-25 2013-05-25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KR101464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374A KR101464080B1 (en) 2013-05-25 2013-05-25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374A KR101464080B1 (en) 2013-05-25 2013-05-25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080B1 true KR101464080B1 (en) 2014-11-21

Family

ID=5229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374A KR101464080B1 (en) 2013-05-25 2013-05-25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0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5162A1 (en) * 2019-04-26 2020-10-29 Patrice Guay Health and safety handle
JP7474635B2 (en) 2020-05-19 2024-04-25 株式会社東光高岳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758A (en) * 1996-11-06 1998-05-29 K N Technos Kk Automatic sale system for charging power of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69356Y1 (en) 2004-09-17 2004-12-04 고용국 a electric battery changer for electric terminal
KR200436321Y1 (en) 2007-01-25 2007-07-27 (주)화이트오렌지 Alighting indication system with mobile phone charger
JP2009014821A (en) 2007-07-02 2009-01-22 Katsuko Saito Hand strap for passenger vehicle with contactless ic card rea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758A (en) * 1996-11-06 1998-05-29 K N Technos Kk Automatic sale system for charging power of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69356Y1 (en) 2004-09-17 2004-12-04 고용국 a electric battery changer for electric terminal
KR200436321Y1 (en) 2007-01-25 2007-07-27 (주)화이트오렌지 Alighting indication system with mobile phone charger
JP2009014821A (en) 2007-07-02 2009-01-22 Katsuko Saito Hand strap for passenger vehicle with contactless ic card re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5162A1 (en) * 2019-04-26 2020-10-29 Patrice Guay Health and safety handle
JP7474635B2 (en) 2020-05-19 2024-04-25 株式会社東光高岳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260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110966B2 (en) Non-contact charg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563501B2 (en) Non-contact charging battery pa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015291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1457889B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CN101459981B (en) Mobile terminal having menu providing function for wireless recharging and recharging method thereof
CN101983466A (en) Electronic device,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battery-charging system
US20030141840A1 (en) Recharging system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11535115B2 (e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nother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ystem
JP2004222457A (en) Charging system,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al control
KR101464080B1 (en) A handle having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TW201728044A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charge controller thereof
KR101618643B1 (en) Apparatus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without a wire connect
EP1622345A1 (en) Terminal and standby operation control method
KR200488549Y1 (en) A wireless charged spare battery and stand
TW200415838A (en) Charger for mobile phon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and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JP6045518B2 (en) Battery level monitoring system, battery level monitoring method, battery level monitoring target device, battery level monitoring program
JP2010161899A (en) Charging system
JP2010220401A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2013027249A (en)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harging system, portable terminal charging method, and program
JP2013117779A (en) Charging device for taxi vehicle
JP2013207819A (en) Non-contact charger, program therefor and vehicle mounted with non-contact charger
CN110015077A (en) The charging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 car, storage medium and electric car
JP2013150392A (en) Charger
TWM525019U (en) Power supplying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of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charge controll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