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905B1 - Evaporator - Google Patents

Evapo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905B1
KR101463905B1 KR1020080000854A KR20080000854A KR101463905B1 KR 101463905 B1 KR101463905 B1 KR 101463905B1 KR 1020080000854 A KR1020080000854 A KR 1020080000854A KR 20080000854 A KR20080000854 A KR 20080000854A KR 101463905 B1 KR101463905 B1 KR 10146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eader tank
lower header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5087A (en
Inventor
임홍영
오광헌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9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7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3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varying the geometry or cross-section of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또는 유효면적을 변경하여 증발기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aporator that smoothly discharges condensed water formed on a surface of an evaporator by changing the flow or effective area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130); 상기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이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L1, L2)가 증가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eader tank (110) and a lower header tank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1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The evaporator 100 includes a fin 140 disposed between the tubes 130. The evaporator 100 has a surface 120a on which a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eight (L1, L2)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0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하부 헤더탱크의 튜브와 접촉되는 면에 경사를 형성하고, 핀삭제부를 형성하며, 공기가 통과되는 유효면적을 감소하여 송풍기 작동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증발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공기 흐름 하류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증발기의 배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evapo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lope on the surface of the lower header tank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ube, forms a pin elimination portion, reduces the effective area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nd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during operation of the blower, The formed condensed wat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of the evaporator.

아울러, 본 발명의 증발기는 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하부 탱더탱크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공기 흐름상류측으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even when the blower is not operated, the condensed water can be naturally drain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along the slope of the lower tanker tank.

증발기, 응축수, 헤더탱크 Evaporator, Condensate, Header Tank

Description

증발기{Evaporator}Evaporator {Evaporator}

본 발명은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또는 유효면적을 변경하여 증발기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aporator that smoothly discharges condensed water formed on a surface of an evaporator by changing the flow or effective area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상기 증발기는 열교환기의 한 종류로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자동차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다.The evaporator is a type of heat exchanger, and is a cooling device for exchanging heat with outside air to supply cold air to a car interior.

상기 증발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 상기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aporator includes an upper header tank and a lower header tan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and the lower header tank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A pin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And a control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증발기는 내부에 온도가 낮은 열교환매체가 순환되고 상기 열교환매체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자동차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방장치로, 상기 증발기의 내부 및 표면의 온도가 주위보다 낮으므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존재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는 공기의 유동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와 공기와의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The conventional evapora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irculates the low-temperature heat exchange medium therein and exchanges heat with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thereby allowing cool air to flow into the automobil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and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is low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there is condensed water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However, when the condensed wat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 condensed water not only acts as an obstacle to the flow of air but also degrades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air.

또한, 종래의 증발기는 공기 흐름은 일정하나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류측에 고임으로써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공기 흐름 하류측에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the air flow is constant but the condensed water is concentrated on the downstream side by the gravity,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an not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of the lower header tank.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증발기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vaporator as shown in Figs. 1A and 1B has been disclosed.

상기 증발기(1)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0) 및 하부 헤더탱크(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0) 및 하부 헤더탱크(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0); 상기 튜브(30) 사이에 개재되는 핀(4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증발기(1)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상기 튜브(30)와 접하는 면이 중앙을 기준으로 양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evaporator (1) includes an upper header tank (10) and a lower header tank (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10 and the lower header tank 2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A pin (4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30); The evaporator 1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lower header tank in contact with the tube 30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vaporator 1, .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증발기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핀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상면(튜브와 접하는 면)까지 구비되어 상기 핀에 의해 응축수의 배출이 저하되고, 실제 배수성능의 향상이 기대에 못미치는 문제점이 있다.The evaporator shown in FIGS. 1A and 1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but the fin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is provided up to the upper surface (the surface contacting the tube) of the lower header tank The discharge of the condensed water is lowered by the pin, and the improvement of the actual drainage performance is inferior to the expect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더탱크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동방향을 조절하고, 하측의 일정부분 핀이 삭제된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배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adjusting a flow rate or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a header tank, And an evaporator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evaporator.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130); 상기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이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L1, L2)가 증가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eader tank (110) and a lower header tank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1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The evaporator 100 includes a fin 140 disposed between the tubes 130. The evaporator 100 has a surface 120a on which a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eight (L1, L2)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00).

또한, 상기 핀(140)은 상기 증발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의 경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높이가 가장 높은 영역까지 핀(140)이 형성되지 않는 핀삭제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set at a portion of the fin 140 where a slope of 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vaporator 100 And the pin removing unit 150 is formed in which the pin 140 is not formed up to the highest area.

또, 상기 핀삭제부(150)의 최대 높이(h)는 2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The maximum height h of the pin removing unit 150 is 2 to 10 mm.

아울러,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는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10a)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header tank 11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urface 11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is formed parallel to 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120a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do.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하부 헤더탱크의 튜브와 접촉되는 면에 경사를 형성하고, 핀삭제부를 형성하며, 공기가 통과되는 유효면적을 감소하여 송풍기 작동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증발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공기 흐름 하류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증발기의 배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evapo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lope on the surface of the lower header tank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ube, forms a pin elimination portion, reduces the effective area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nd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during operation of the blower, The formed condensed wat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of the evaporator.

아울러, 본 발명의 증발기는 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하부 탱더탱크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공기 흐름상류측으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even when the blower is not operated, the condensed water can be naturally drain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along the slope of the lower tanker tank.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증발기(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 한 증발기(100)의 BB'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00)의 배수과정을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00)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6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증발기(100)에 따른 공기 흐름 상류측과 하류측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00)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증발기(100)의 CC'방향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00 shown in FIG. 2 in the BB 'direc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process of the evapo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vapo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evaporator 100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00 in the CC 'direction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130); 상기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이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L1, L2)가 증가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eader tank 110 and a lower header tank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1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The evaporator 100 includes a fin 140 disposed between the tubes 130. The evaporator 100 has a surface 120a on which a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eight (L1, L2)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00).

상기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은 상기 튜브(130)가 삽입되는 하부 헤더탱크(120)의 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에 경사면(120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공기 흐름 하류측의 높이(L2)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높이(L1)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corresponds to one surfac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nto which the tube 130 is inserted.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s the inclined surface 120a is formed in the lower header tank 120, the height L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L1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높이(L1, L2)란 하부 헤더탱크 바닥으로부터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소재의 두께 포함)까지의 높이(L1, L2)를 의미한다.The heights L1 and L2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mean the heights L1 and L2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header tank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이 때,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일측면(120a)(상기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에 경사가 형성되면, 경사면(120a)에 형성된 튜브삽입홀이 형성되는 높이(L1, L2)가 변경됨에 따라 공기 상류측과 하류측 열의 튜브(130)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0a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the height L1, L2 The length of the tube 130 in the air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can be changed.

상기 도 2에 도시한 증발기(100)는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의 일측에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각각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evaporator 100 shown in FIG. 2,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header tank 110, respectively,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formed.

도 4 (a)는 송풍기의 작동시 배수성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상기 송풍기의 작동시,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을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공기가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함에 따라 유동 가능한 면적이 점차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진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흐름 하류방향으로 응축수가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FIG. 4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blower in oper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So that the flowable area is gradually reduced 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0, there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ir flow as indicated by a dark arrow.

도 4 (b)는 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의 배수성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중력에 의해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으로 이동된 응축수는 경사면(120a)을 따라 공기 흐름 상류측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4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inage performance when the blower is not operated. The condensed water moved to the surface 120a where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due to gravity causes the inclined surface 120a So that it is drain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송풍기의 작동시뿐만 아니라 송풍기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응축수를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에 의한 공기 유동 방해, 및 열교환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not only when the blower operates but also when the blower is not operated,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air flow interruption due to condensed water and heat exchange performance degradation .

또한,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하부 헤더탱크(120)와 인접한 핀(140) 영역이 일정영역 삭제되는 핀삭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in elimination part 150 in which a region of the fin 140 adjacent to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removed, .

상기 핀삭제부(15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의 경사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높이(L2)가 가장 높은 영역까지 핀(14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1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핀(14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상기 핀삭제부(150)에 의해 응축수의 배수성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pin removing unit 150 removes a portion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where the height L2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the highest,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0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fins 14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120a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So that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condensed water is further improved by the pin elimination unit 150. [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도 6 (a)는 공기 흐름 상류측에서 증발기(100)를 바라본 평면도이고, 상기 도 6 (b)는 공기 흐름 하류측에서 증발기(100)를 바라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공기 흐름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유효면적이 줄어들도록 하여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에 공기 흐름 하류측에서 유속을 증가시켜 공기 흐름 하류쪽으로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a)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100 take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and FIG. 6 (b)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100 take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100) reduces the effective area through which air can pas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there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when the blower is operated, thereby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경사면(120a) 및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와 인접한 핀(140) 영역이 삭제되는 핀삭제부(150)가 형성되어 증발기(100)의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가 경사면(120a)를 따라 더욱 원활히 공기 흐름상류측으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ope 120a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and the area of the fin 140 adjacent to the lower header tank 120 are deleted, even when the blower is not operate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0 can be more smoothly discharged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airflow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0a.

또한, 상기 핀삭제부(150)는 상기 응축수의 배수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과 형성하는 최대 높이(h)는 2 내지 10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removal unit 150 may be formed to have a maximum height h of 2 to 10 mm with a surface 120a formed with a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so as not to obstruct drainage of the condensed water. .

상기 핀삭제부(150)가 2 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핀(140)에 의한 응축수 배수가 방해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게 되고, 상기 핀삭제부(150)가 10 mm 초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헤더탱크(120)의 크기 증가로 인해 열교환되는 면적이 감소되고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핀(140) 본래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핀삭제부(150)의 최대 높이(h)는 2 내지 10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in removing unit 150 is formed to be less than 2 mm, the drainage of the condensed water by the pin 140 is disturbed, and the pin removing unit 150 is formed to be more than 10 mm The size of the header tank 120 may be reduced to reduce the heat exchanged area and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thereby deteriorating the function of the fin 140 that improves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Is preferably 2 to 10 mm.

상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형태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효면적을 줄여 배수성능을 향상시킨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10a) 역시,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2 to 6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effective area through which air is passed is reduced to improve the drainage performance. However,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evapo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 The surface 110a of the upper header tank 110 where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is also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증발기(1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이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핀삭제부(150)가 형성되어 증발기(100)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의 경사면(110a, 120a)을 따라 공기가 이동되어 송풍기의 작동시 송 풍량이 일정한 흐름을 갖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자동차 실내로 냉풍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evaporator 100 shown in FIGS. 7 and 8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urface 120a formed wit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0 And the pin removing unit 150 is form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0 and to prevent the condensation water from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s 110a and 120a of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The air is moved so that the air flow rate is constant when the blower is ope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cool air to the automobile room more stably.

상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는 별도의 구성품인 헤더 및 탱크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헤더탱크(110, 120)는 공기가 통과되는 면적이 줄어들도록 하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경사면(110a, 120a)을 가진 형태라면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shown in FIGS. 2 to 8 are formed by combining header and tank, which are separat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anks 110 and 120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provided that the area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tanks 110 and 120 has inclined surfaces 110a and 120a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is easily discharg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a는 종래의 증발기에 따른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도 1b는 상기 도 1a에 도시한 증발기의 AA'방향 단면도.1B is a 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증발기의 BB'방향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shown in FIG. 2 in the BB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배수과정을 설명한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process of an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다른 사시도.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증발기에 따른 공기 흐름 상류측과 하류측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evaporator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또 다른 사시도.7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증발기의 CC'방향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shown in FIG. 7 in the CC 'direc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본 발명의 증발기100: The evapo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상부 헤더탱크110: upper header tank

110a : 경사면(상부 헤더탱크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10a: sloped surface (surface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upper header tank is formed)

120 : 하부 헤더탱크120: Lower header tank

120a : 경사면(하부 헤더탱크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 an inclined surface (a surface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is formed)

L1, L2 : 하부 헤더탱크의 높이L1, L2: Height of lower header tank

130 : 튜브 140 : 핀130: tube 140: pin

150 : 핀삭제부 h : 핀삭제부의 최대 높이150: Pin deletion part h: Maximum height of pin deletion part

Claims (4)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 및 하부 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130); 상기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An upper header tank 110 and a lower header tank 1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be 1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header tank 110 and the lower header tank 12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And a fin (14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30), the evaporator (100) 상기 증발기(100)는 The evaporator (100)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이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공기 흐름 하류측의 높이(L2)가 공기 흐름 상류측의 높이(L1)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The height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so that the height of the surface 120a formed wit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0, (L2) is larger than a height (L1)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핀(140)은 상기 증발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의 경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높이가 가장 높은 영역까지 핀(140)이 형성되지 않는 핀삭제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The height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set such that the height of the fin 14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n a portion where the tube insertion hole 120a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Wherein the fin removing portion (150) is formed in which the fin (140) is not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핀삭제부(150)의 최대 높이(h)는 2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And the maximum height (h) of the pin removing part (150) is 2 to 10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상부 헤더탱크(110)는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10a)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120)의 튜브삽입홀이 형성된 면(120a)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Wherein the upper header tank 110 is inclined so that a surface 11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is formed is formed parallel to a surface 120a on which the tub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header tank 120 is formed.
KR1020080000854A 2008-01-03 2008-01-03 Evaporator KR101463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54A KR101463905B1 (en) 2008-01-03 2008-01-03 Evapo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54A KR101463905B1 (en) 2008-01-03 2008-01-03 Evapo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87A KR20090075087A (en) 2009-07-08
KR101463905B1 true KR101463905B1 (en) 2014-11-20

Family

ID=4133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854A KR101463905B1 (en) 2008-01-03 2008-01-03 Evapo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295B1 (en) 2015-04-20 2021-01-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der tank for evapor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352U (en) * 1991-11-20 1993-06-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Radiator for boiling cooling system
KR19980078833A (en) * 1997-04-30 1998-11-25 구자홍 Flat Tube Heat Exchanger
JP2002147992A (en) * 2000-11-09 2002-05-2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KR20030050345A (en) * 2001-12-18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352U (en) * 1991-11-20 1993-06-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Radiator for boiling cooling system
KR19980078833A (en) * 1997-04-30 1998-11-25 구자홍 Flat Tube Heat Exchanger
JP2002147992A (en) * 2000-11-09 2002-05-2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KR20030050345A (en) * 2001-12-18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87A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5693B2 (en) Cooling module
KR101326973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exchanger mounted therein
JP5868088B2 (en) Cooling unit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100831850B1 (en) Heat exchanger
JP6710205B2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5950810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2013061136A5 (en)
JP5009413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WO20140918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8530431A (en) Air cooler
KR101463905B1 (en) Evaporator
JP2001263861A (en) Heat exchanger
JP2022110597A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0107130A (en) Heat exchanger unit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6422588B2 (en) Indoor unit of floor type air conditioner
JP6932262B2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101601085B1 (en) evaporator
KR20080095369A (en) Evaporator
JP2006069441A (en) Air cooling unit
JP2004114782A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JP2009074733A (en) Heat exchanger
US20240174043A1 (en) Air conditioner housing for a vehicle
KR20230158170A (en) Discharge guide and condenser including it
JP5009409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318626B1 (en) Evapo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