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761B1 -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761B1
KR101463761B1 KR1020140052875A KR20140052875A KR101463761B1 KR 101463761 B1 KR101463761 B1 KR 101463761B1 KR 1020140052875 A KR1020140052875 A KR 1020140052875A KR 20140052875 A KR20140052875 A KR 20140052875A KR 101463761 B1 KR101463761 B1 KR 10146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isplay
displaying
chil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873A (ko
Inventor
진상훈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7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7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요구 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컨텐츠나 응용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거나,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플레이어, PDA, PMP, 디지털카메라, 노트북과 같은 단말들에는 LCD와 같은 화면이 구비되고, 단말은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화면을 보고 터치 패드나 키 버튼 등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컨텐츠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컨텐츠가 구분된다. 그리고 상위 컨텐츠에 종속되는 하위 컨텐츠는 상위 컨텐츠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컨텐츠들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계층적인 컨텐츠 구조에서 사용자가 어떤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행 중에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려면, 실행 중인 컨텐츠의 상위 계층으로 빠져나가 원하는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단말에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구비된다. 예컨대, 전화번호부, 메모장, 계산기, 스케줄러, 리모컨 등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단말에서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시키고, 각 프로그램들을 이동해가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이 화면에 나타나고, 나머지 응용 프로그램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로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때, 사용자가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동을 하고자 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 창을 닫거나 축소시키고, 이동을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이동을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최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창의 말단에 위치한 모든 창들을 닫거나 축소시켜,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간 이동이 용이한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계층의 컨텐츠가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응용 프로그램 간 이동이 용이한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행 중인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제1 과정과,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요구 시, 상기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며, 동작 센서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 센서에 따른 동작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동작으로 상기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실행 중인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 표시 요구 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 창의 이동 요구 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컨텐츠나 응용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를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일반적인 컨텐츠 창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 표시를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다른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창 화면 이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contents)"는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등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들과 문서 및 데이터 파일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컨텐츠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구분하여 주는 항목, 예컨대 카테고리(category) 정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단말의 표시부에 창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리스트"는 창으로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문자, 이미지, 숫자, 기호 등으로 표시되고,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 관련 이미지 , 카테고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컨텐츠인 경우, 가수 이름, 곡명, 앨범 자켓 이미지 등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은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서,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모장, 계산기, 스케줄러, 리모컨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오디오 기기,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를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메모리부(101), 3D/2D 드라이버(103), 입력부(105), 제어부(107), 표시부(109)의 구성을 갖는다.
메모리부(1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컨텐츠 표시가 요구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던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over lab)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배열하여 임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1)는 단말에 내/외장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메모리부(101)는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예컨대 컨텐츠 서버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구비해야 한다.
3D/2D 드라이버(103)는 표시부(109)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컨텐츠들이 3차원(3 Dimension) 또는 2차원(2 Dimension)으로 보여지도록 한다. 사람들의 눈은 가로 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서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입체 영상의 깊이감(Depth impression)과 실제감을 재생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3D/2D 드라이버(103)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영상을 입체적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05)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검색 및 선택 기능, 동일 계층의 다른 컨텐츠들 표시 요구, 창 이동 요구, 복수 개의 창 이동 요구, 스크롤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인 경우에 표시부(109)가 입력부(105)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05)는 다수의 키 버튼들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사용자의 접촉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광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회전 다이얼 형태의 조그 다이얼(jog dial), 사용자의 접촉과 접촉 회전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휠(touch wheel), 사용자의 회전 동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혹은 이와 동등한 수준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7)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특정 컨텐츠를 표시 중에 다른 컨텐츠 표시가 요구되면, 표시 중이던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07)는 표시부(109)에 복수 개의 창들을 표시할 때, 하나의 창을 표시할 때보다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최선단에 표시되는 창을 제외한 창들에서 일부 정보를 생략하여 표시한다. 즉, 리스트의 번호와 같은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창 간 이동, 또는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이 요구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창들을 변경시킨다. 또한, 제어부(107)는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입력이 확인되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선택된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설정된 형태는 최선단에 표시된 창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모든 창들의 창 화면을 이동시키는 형태이다.
또한,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단말을 위아래로 흔드는 동작, 또는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표시부(109) 하단을 드래그(drag), 또는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휠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는 동작이 수행되면,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비활성화 컨텐츠 창들의 일부 리스트를 생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표시부(109) 내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을 용이하게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을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이는 동작이나, 표시부(109)에서 최선단의 창을 터치하거나, 휠을 짧게 회전시키는 동작이 수행되면,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창 간 이동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을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기울이는 동작이나, 표시부(109)에서 최선단 창에서 최말단 창까지 드래그하거나, 휠을 길게 회전시키는 동작이 수행되면,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스크롤 키를 터치와 같은 형태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109)의 최선단에 표시된 컨텐츠 창이나 모든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스크롤 입력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09)는 제어부(107)에서 제어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09)는 L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표시부(109)는 LCD 제어부,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09)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문서, 데이터 파일 등이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는 그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문서, 이미지, 숫자, 기호, 카테고리 정보 등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109)는 특정 컨텐츠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가 있으면, 다른 컨텐츠들을 전술한 방법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창 간 이동이나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스크롤 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최선단에 표시되는 컨텐츠 창을 제외한 창들에서는 일부 정보를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9)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 배열 시, 최선단에 위치하는 활성화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비활성화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일부 리스트를 생략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09)는 비활성화 컨텐츠 창에 그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이미지나 카테고리 정보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일반적인 컨텐츠 창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특정 컨텐츠의 선택을 인지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시킨다(S201). 본 실시예에서 예로 설명하는 단말의 컨텐츠는 음악이다. 그리고 컨텐츠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계층에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문서, 데이터 파일 컨텐츠가 있고, 음악 하위 계층에 Mp3 플레이어, Mp3 파일, 내 앨범, 검색, 설정이 있고, Mp3 파일 하위 계층에 최근 재생 목록, 전체 목록, 가수, 앨범, 장르, 발매 연도가 있고, 가수 하위 계층에 AAA, BBB, CCC, DDD, EEE, FFF, GGG, HHH라는 가수로 구성된다. 즉, 3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계층에는 5 내지 8 개의 목록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AAA 가수를 선택하여, AAA 가수의 음악 목록을 표시한 화면이 도 4에 도시된다. 즉, 제어부는 AAA 가수가 선택됨을 인지하고, AAA 가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03).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1 과정으로 특정 컨텐츠를 창으로 표시 중에, 다른 컨텐츠들의 표시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 표시를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위아래로 흔들리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107)가 표시부(109) 하단을 드래그하는 동작을 확인하여,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는 동작을 확인하여,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임을 인지할 수 있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S205).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다른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표시되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 예컨대 카테고리 정보(예를 들어, 가수 이름; AAA, BBB, CCC, DDD), 노래 목록(AAA1, AAA2, AAA3, AAA4, AAA5)을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3 과정을 통해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설정된 형태,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적층 형태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적층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도면에는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모든 창들을 오버랩 시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홀수 번째 창들은 오버랩시키고, 짝수 번째 창들은 일반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형태는 전술한 도 6a와 6b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겹쳐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컨텐츠 창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한, 설정된 형태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할 때, 최선단에 표시되는 창을 제외한 창들은 일부 리스트가 생략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표시되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 예컨대 카테고리 정보, 앨범 이미지, 노래 목록을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3 과정을 통해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적층 형태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적층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7b는 모든 컨텐츠 창에 리스트를 포함한 형태이지만, 도 7c는 활성화된 컨텐츠 창, 예컨대 최선단의 컨텐츠 창만 리스트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07).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창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설정된 형태, 예컨대 겹쳐진 적층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107)가 표시부(109)에서 이동을 원하는 창, 예컨대 최선단의 창을 터치하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창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을 짧게 회전시키는 동작을 확인하여,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을 이동시킨다(S209).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7 과정을 통해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선단에 위치한 컨텐츠 창을 최말단으로 이동시키고, 최선단의 말단에 위치한 컨텐츠 창들을 선단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창 간 이동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S207 과정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11).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09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표시부(109)에서 최선단 창에서 최말단 창까지 드래그하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복수 개의 창들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을 길게 회전시키는 동작을 확인하여,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킨다(S213). 제어부(107)는 전술한 S211 과정을 통해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에 표시되지 않고 있던 컨텐츠 창들을 표시부(109)에 표시하고, 원래 표시부(109)에 표시되고 있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 후에, 제어부(107)는 스크롤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15).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09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13 과정으로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스크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창 화면 이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스크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스크롤 입력은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스크롤 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하여 수행된다. 스크롤 입력에 따른 화면 변화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킨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텐츠 창의 스크롤 키만 드래그 하더라도, 표시부(109)에 표시 중인 모든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스크롤 입력과 스크롤 입력에 따른 창 화면 이동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219),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215 과정에서 스크롤 입력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221).
한편, 본 실시예에 창 표시 입력, 창 이동 입력, 복수 개의 창 이동 입력, 스크롤 입력 외의 다른 변형 실시된 입력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입력들의 형태와 표시 형태, 이동 형태 등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이고, 촬영한 날짜별로 사진이 계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날짜의 사진 리스트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중에, 동일 계층의 사진 리스트들, 즉 다른 날짜의 사진 리스트 표시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선단에 위치하는 활성화된 사진 리스트 창에는 각 사진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소화면(thumbnail) 형태로 표시되고, 각 사진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비활성화 상태의 나머지 사진들은 일부 정보가 생략되거나 모든 정보가 나타나도록 적층 형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컨텐츠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창 표시 요구 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창 표시 요구 시,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1)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응용 프로그램 표시가 요구되면, 실행 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배열하여 임시 저장한다.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창 표시 요구, 창 간 이동, 또는 복수 개의 창 간 이동이 요구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창들을 변경시킨다.
표시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이들을 표시하고,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 표시 요구가 있으면,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을 전술한 방법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창 간 이동이나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살펴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실행을 인지한다(S901). 사용자는 단말 이용 시, 단말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을 인지하고,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903).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즉,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중이더라도, 현재 선택되어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이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05).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1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 중이고, 전술한 S903 과정으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창으로 표시 중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의 표시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한다(S907).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표시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09).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7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창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을 이동시킨다(S911). 전술한 S909 과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이 이동되는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13).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7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911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킨다(S915). 전술한 S913 과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이동되는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917),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913 과정에서 복수 개의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919).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스크롤 입력에 관한 동작은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크롤 입력 또는 그 외의 다른 변형 실시된 입력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1: 메모리부 103: 3D/2D 드라이버 105: 입력부
107: 제어부 109: 표시부

Claims (22)

  1.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 1 아이템과 제 2 아이템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 1 표시 과정;
    상기 제 1 아이템이 표시되는 동안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제 2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 2 표시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2 하위 아이템을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 또는 상기 제 2 아이템의 해당 아이템의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 또는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의 양을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의 비활성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아이템을 숨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은 제 1 시간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아이템은 제 2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이 동시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 및 상기 제 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3 하위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 3 아이템의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및 상기 제 2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숨기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아이템과 제 2 아이템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1 표시 과정과, 상기 제 1 아이템이 표시되는 동안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제 2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2 표시 과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1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2 하위 아이템을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모션을 상기 입력으로써 인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및 상기 제 2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3차원 이미지로써 표시되는,
    전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및 상기 제 2 아이템은 동일 계층인,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이 동시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은 제 1 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아이템은 제 2 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은 상기 제 1 문서에 대응하는 페이지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은 상기 제 2 문서에 대응하는 페이지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은 제 1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아이템은 제 2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 또는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을 통해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 2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또는 상기 제 2 아이템은,
    음악, 이미지,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문서 및 데이터 파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과 다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및 상기 제 2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하여 새로운 하위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제 1 아이템과 제 2 아이템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 1 표시 과정;
    상기 제 1 아이템이 표시되는 동안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제 2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 2 표시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2 하위 아이템을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 1 아이템과 제 2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2 하위 아이템을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템은 제 1 시간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아이템은 제 2 시간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되고,
    상기 제 2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되는,
    표시 방법.
  22.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 1 아이템과 제 2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정은, 상기 제 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아이템과 상기 제 2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 2 하위 아이템을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이템은 제 1 시간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아이템은 제 2 시간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1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되고,
    상기 제 2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2 하위 아이템으로써 표시되는,
    전자 장치.
KR1020140052875A 2014-04-30 2014-04-30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46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75A KR101463761B1 (ko) 2014-04-30 2014-04-30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75A KR101463761B1 (ko) 2014-04-30 2014-04-30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92A Division KR101450584B1 (ko) 2007-02-22 2007-02-22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873A KR20140077873A (ko) 2014-06-24
KR101463761B1 true KR101463761B1 (ko) 2014-12-04

Family

ID=5112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75A KR101463761B1 (ko) 2014-04-30 2014-04-30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7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873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84B1 (ko)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US2020000438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6847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dependently moving and regrouping selected objects
KR101296055B1 (ko) 이미지 기반 브라우징을 이용하는 미디어 재생기
AU20133567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050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571783B (zh) 具有动态拼图界面的电子装置及控制方法与系统
EP29830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editing image into which object is inserted
US9927973B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electronic device
KR2014001325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컨텐츠 검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단말기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KR101463761B1 (ko)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CN102981694A (zh) 与平台无关的用户接口/用户体验和人类交互范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