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783B1 -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783B1
KR101462783B1 KR1020130061039A KR20130061039A KR101462783B1 KR 101462783 B1 KR101462783 B1 KR 101462783B1 KR 1020130061039 A KR1020130061039 A KR 1020130061039A KR 20130061039 A KR20130061039 A KR 20130061039A KR 101462783 B1 KR101462783 B1 KR 10146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batch
weight
density polyethylene
ultraviolet
light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성
김병호
서용운
김묘영
Original Assignee
(주)유니온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온화학 filed Critical (주)유니온화학
Priority to KR102013006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열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계사용 하우스에 적용시 천장의 경우 기존의 계사용 하우스 대비 3~4℃ 정도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기능성 하우스 계사용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Tarpaulin For Poultry House And Process Of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가 얇고 저렴하고도 내구성 및 열차단 성능이 우수한 하우스 계사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상이변으로 이상기후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상기후 현상 중 여름철 이상고온현상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에게도 스트레스를 주고 있으며 닭, 오리의 집단폐사의 원인이 되어 축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해마다 불볕더위의 여파로 폐사한 가축이 100만 마리를 넘어 140만 마리 이상 폐사하고 있으며 폐사한 가축 중 5% 정도는 오리였으며 90%이상은 닭이었다.
이러한 닭의 집단폐사를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닭의 사육 밀도를 줄이는 방법과 계사내부의 온도관리를 하는 방법이 있으나, 사육 밀도를 줄이는 방법은 생산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계사내 온도관리를 병행하여야 한다.
계사의 온도관리 방법으로는 환기장치, 스프링 쿨러 장치, 대형 선풍기를 가동시키는 방법과 태양광을 차단시킬 수 있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계사 내부의 온도를 관리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계사의 열손실은 환기와 지붕단열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계사는 간이하우스 계사와 유창계사, 무창계사(판넬)의 종류가 있다.
무창계사(판넬)의 경우에는 시공시 단열재를 사용하거나 계사 외부에 차열도료를 시공하여 차열 효과를 냄으로서 계사의 온도관리를 하는 방식이나 비닐을 사용하는 간이하우스 계사나 유창계사의 경우는 단열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하우스 계사에서 효과적인 단열을 통해 온도관리를 하기 위해 단열성 내지 차열성이 우수한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차열(단열, 열선차단) 기술은 태양광의 열선을 차단함으로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로 산업분야(IT, 전자제품, 도료 등) 및 일상생활(창호지, 자동차 유리창 썬팅지 등)에서 이용되어온 기술분야이며 최근에는 기술의 향상으로 기능성이 향상된 차열 재료(유무기 차열 안료, 차열물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열선 차단 물질인 ATO, ITO 등을 사용한 열차단 원단은 고가로서 가금류 농가에 보급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단순히 적외선인 열선만을 흡수하는 안료 코팅 원 단은 장기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비닐 하우스에 사용되는 비닐의 차열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적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농업용 필름이 개발되었으나, 적외선인 열선이 통과되면 식물이 성장하는데 스트레스를 받아 식물의 열매수가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상기의 원예용 식물 성장에 장해가 되는 근적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농업용 필름을 열차단 색소를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85941호에서는 근적외선 흡수색소, 광전환용 형광색소를 함유하는 농업용필름을 제공하고 있으나, 근적외선 흡수색소 사용량이 극소량므로 적외선 차단성능의 한계가 있고 내구성이 약하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적외선 흡수색소를 다량 사용하게 되면 필름이 투명하지 않고 색상을 나타내게 되어 일반 비닐 하우스에서 요구되는 광투과율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두께가 얇고 저렴하고도 내구성 및 열차단 성능이 우수한 하우스 계사용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랫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가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 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수지층;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 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 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수지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하우스 계사용 원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플렛얀 또는 리본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직하는 단계;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 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이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은 직물층, 표면수지층 및 이면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랫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가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수지층;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수지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은 단열이 어려운 간이 하우스 계사나 유창계사에서 닭, 오리의 집단폐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단성능을 가지는 하우스 계사용원단으로서, 테이프상과 같이 절단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렛사 또는 리본사가 경사 및 위사로 되어 제직된 중간층을 가지고,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는 열차단성과 내후성을 가지는 표면수지층과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무적성과 열차단성을 가지는 이면수지층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에서 상기 중간층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렛얀은 밀도 0.941~0.97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흡수제와 광안정제 혼합물인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하여 폭 1.5~2.5㎜, 두께 0.05~0.09㎜로 제조한 플렛얀이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는 밀도 0.941~0.959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흡수제와 광안정제 혼합물인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하여 폭 1.4~1.5㎜, 두께 0.08~0.09㎜로 제조한 리본사를 사용하여 열차단성과 강도 및 내후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은 표면, 중간층, 이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간층을 형성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는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물리적인 성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이고 또한, 열차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리본사를 제조할 때 자외선안정제 및 열차단안료를 혼합하여 리본사를 제조한다.
상기 표면수지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져 열차단작용 및 내후성작용을 하게 되는데,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2중량%미만에서는 열차단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중량%미만이나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중량%미만에서는 내후성의 문제가 발생하며, 광안정제마스터배치 6중량%초과나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화현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중량%미만에서는 열에 의한 산화방지 효과가 약한 문제가 발생하며,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색상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표면수지층의 적외선차단안료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안료이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이며, 광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이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인계 및 유황계가 혼합(blend)된 산화방지제인 것이 차열성과 내후성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이면수지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져 무적기능과 차열작용을 하게 되는데,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중량%미만에서는 열차단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중량%미만에서는 열에 의한 산화방지 효과가 약한 문제가 발생하며,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색상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무적제마스터배치 5중량%미만에서는 무적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발생하며, 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화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이면수지층의 적외선차단안료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안료이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이며, 광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이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인계 및 유황계가 혼합(blend)된 산화방지제이며, 무적제는 소르비탄 에스테르계 또는 에톡시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계 무적제인 것이 무적성과 차열성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첨가제들은 마스터배치(mb, master batch)로 제조되어 사용되었으며, 무적제마스터배치는 무적제 45중량%를 포함하며, 광안정제마스터배치는 광안정제 20중량%이고 다른 첨가제마스터배치는 첨가제 10중량%를 함유하도록제조하였다. 또한 리본사 및 플렛얀을 제조할 때 사용한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는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와 광안정제마스터배치를 1:1로 혼합한 마스터배치다.
여기서 상기 표면수지층 및 이면수지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 0.910~0.93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고온 압출 코팅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은 직물인장강도가 경사방향이 1000~1100N 이고, 위사방향이 900~950N 이고, 파열강도 2000~2100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사용상 하우스피복용 등으로 활용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중간층을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이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중간층을 제직하는 단계에서는 밀도 0.941~0.97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해 정밀하게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연신하여 폭 1.5~2.5㎜, 두께 0.05~0.09㎜로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렛얀 또는 밀도 0.941~0.959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열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하여 폭 1.4~1.5㎜, 두께 0.08~0.09㎜로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로 제직하는 것이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 향상에 바람직하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렛얀을 제조하기 위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 0.941~0.97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 0.941~0.959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 및 두께의 플랫얀을 만드는데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전까지 연신비를 5~10배로 조절하여야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플랫얀 형태로 만들어진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 래피어직기(Rapier Loom) 및 슐저직기(Sulzer Loom)등에 공급하여 평직조직으로 제직하는데, 밀도는 경사 및 위사모두 10~15본/인치, 폭은 75~85인치로 제직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제직시 중간층의 투광성 저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사 꼬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기의 위입 부분에 꼬임 해사 장치인 피더(Feeder)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직된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차열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표면수지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무적성과 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면수지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 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한다.
상기 표면부와 이면부에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가 0.910~0.9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단계이후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표면 개선을 위해 카렌다 가공을 하여 최종두께가 0.35㎜정도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계사용 하우스에 적용시 천장의 경우 기존의 계사용 하우스 대비 3~4℃ 정도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기능성 하우스 계사용 원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축사의 열차단막, 비닐하우스의 열차단막, 인삼밭의 해가림막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자외선 차단성(내후성)평가를 위한 분광 특성 테스트결과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비한정적인 예를 들고 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도시된 수지를 표 2의 공정조건에 의해 티다이 압출법으로 폭 2mm, 두께 0.08㎜의 플랫얀을 만든 후 리본사제조기로 리본사를 만들었다.
구 분 조 성
HDPE 리본사 HDPE 자외선차단제마스터배치 열차단안료마스터배치
비율 90% 4% 6%
공정인자
범위(수준)
압출온도(℃) 220 ~ 230
컷팅폭(Slit, ㎜)
1.5, 0.2
연신판온도(℃) 1차 60 ~ 70
2차 95 ~ 100
연신비 5.5 ~ 7.5
상기 리본사를 위입부분에 피더를 장착한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에 공급하여 밀도 12x12~15x15본/inch, 폭 75~85inch, 경사본수 920~980본, 평직조직으로 제직했다. 이후,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 마스터배치 4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을 형성하고,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 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이면수지층을 형성하고 카렌다 가공(압력 45~55T, 온도 75~85℃)을 하여 최종두께 0.35㎜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하우스용 피복 효과 검증을 위해서 시설의 외부 규격이 길이 7m,폭 16m,면적 102㎡으로 각각 제작하고 아래와 같이 평가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단 위 실시예 1 시험규격 4)
1. 내외온도차 3~4 Hobo logger
2. 인장 강도 경사 N 1,100 KS K 0521
위사 N 950 KS K 0521
3. 파열강도 kPa 2,000 KS K 0351
4. 두께 0.35 KS K 0506
5. 적외선 차단율 % 80 UV spectrometer
6. 내후성( 신장잔율 ) % 50 이상 KPS M 1004 : 2009
7. 열전도율 W/m 0.03이하 KS K 0466 : 2007

Claims (4)

  1. 밀도 0.941~0.97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하여 폭 1.5~2.5, 두께 0.05~0.09로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랫얀 또는 밀도 0.941~0.959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90~95중량%, 자외선안정제마스터배치 2~4중량% 및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3~6중량%를 혼합하여 티다이 압출법에 의하여 폭 1.4~1.5, 두께 0.08~0.09로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리본사가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 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수지층;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 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수지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계사용 원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수지층의 적외선차단안료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안료이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이며, 광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이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인계 및 유황계가 혼합된 산화방지제이고, 상기 이면수지층의 적외선차단안료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안료이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이며, 광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이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인계 및 유황계가 혼합된 산화방지제이며, 무적제는 소르비탄 에스테르계 또는 에톡시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계 무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계사용 원단.
  4.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플렛얀 또는 리본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중간층을 제직하는 단계;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0~84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및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및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및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로 이루어진 표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밀도 0.910~0.935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4~79중량%, 적외선차단안료마스터배치 4~5중량%, 광안정제마스터배치 5~6중량%, 자외선흡수제마스터배치 4~5중량%, 산화방지제마스터배치 3~4중량% 및 무적제마스터배치 5~6중량%로 이루어진 이면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마스터 배치를 용융하여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이면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계사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130061039A 2013-05-29 2013-05-29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6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039A KR101462783B1 (ko) 2013-05-29 2013-05-29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039A KR101462783B1 (ko) 2013-05-29 2013-05-29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783B1 true KR101462783B1 (ko) 2014-11-21

Family

ID=5229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039A KR101462783B1 (ko) 2013-05-29 2013-05-29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7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153B1 (ko) 2015-12-01 2016-03-29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Uv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산업 포장재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KR20160132516A (ko) * 2015-05-11 2016-11-21 (주)유니온화학 내유황성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폴리에틸렌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KR20180047139A (ko) * 2016-10-31 2018-05-10 (주)유니온화학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1920868B1 (ko) * 2017-02-15 2018-11-21 (주)유니온화학 장기유적성이 우수한 농업용 직조필름
KR20220047423A (ko) * 2020-10-08 2022-04-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인삼재배용 백색 직조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087A (ko) * 2001-09-20 2001-11-23 최형산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다층 필름 제조방법
KR20110089895A (ko) * 2010-02-02 2011-08-10 주식회사 경남티앤디 인장강도가 우수한 농업용 무적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087A (ko) * 2001-09-20 2001-11-23 최형산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다층 필름 제조방법
KR20110089895A (ko) * 2010-02-02 2011-08-10 주식회사 경남티앤디 인장강도가 우수한 농업용 무적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516A (ko) * 2015-05-11 2016-11-21 (주)유니온화학 내유황성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폴리에틸렌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KR101682411B1 (ko) * 2015-05-11 2016-12-12 (주)유니온화학 내유황성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폴리에틸렌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KR101607153B1 (ko) 2015-12-01 2016-03-29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Uv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산업 포장재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KR20180047139A (ko) * 2016-10-31 2018-05-10 (주)유니온화학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1884227B1 (ko) * 2016-10-31 2018-08-01 (주)유니온화학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1920868B1 (ko) * 2017-02-15 2018-11-21 (주)유니온화학 장기유적성이 우수한 농업용 직조필름
KR20220047423A (ko) * 2020-10-08 2022-04-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인삼재배용 백색 직조필름
KR102408626B1 (ko) 2020-10-08 2022-06-15 대한민국 인삼재배용 백색 직조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83B1 (ko) 하우스 계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9920515B2 (en) Thermoplastic polyolefin membrane with enhanced thermal resistance
KR101884227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2108340B1 (ko)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과 열 반사성이 우수한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654756B1 (en) Greenhouse screen
CN103114447B (zh) 一种环保pvc涂层反光布
CN102934594B (zh) 恒温自洁农用大棚膜及其生产方法
CN104195670A (zh) 一种农用大棚塑料编织布及其制备方法
KR101146828B1 (ko) 인장강도가 우수한 농업용 무적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4530609A (zh) 白色、完全不透明单层聚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635001B1 (ko) 유/무기 복합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68986A (zh) 百叶窗叶片及其制作方法
KR101682411B1 (ko) 내유황성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폴리에틸렌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CN105377967B (zh) 隔热膜的制造方法、隔热膜及隔热帘
CN105220313A (zh) 一种阻燃无卤tpu阳光面料的制备方法
KR102449495B1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1335408B1 (ko) 인장강도가 우수한 축사용 복합타포린
EP2789732B1 (en) Resin-coated flame-retardant glass fiber bundle and resin-coated flame-retardant fiber woven fabric
KR20170013788A (ko) 난연네트 및 웨빙 제조방법
JP2001086877A (ja) 農業用ハウスの止水シート
CA2806240A1 (en) Thermoplastic polyolefin membrane with enhanced thermal resistance
CN105082679A (zh) 一种用于门帘的面料
KR102143248B1 (ko) 다공질 필름
KR102195616B1 (ko) 에어돔하우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CN205756014U (zh) 基于后拉伸高强度塑料薄膜的遮阳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