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72B1 -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 Google Patents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72B1
KR101462472B1 KR1020130032989A KR20130032989A KR101462472B1 KR 101462472 B1 KR101462472 B1 KR 101462472B1 KR 1020130032989 A KR1020130032989 A KR 1020130032989A KR 20130032989 A KR20130032989 A KR 20130032989A KR 101462472 B1 KR101462472 B1 KR 10146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wave
digital
data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7970A (en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플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플랩
Priority to KR102013003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72B1/en
Publication of KR2014011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은 음파신호 발생기가 디지털 데이터를 17Khz~25Khz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 변환하되, 음파신호 발생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서 하이신호 구간과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도록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수신 단말기가 상기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기가 음파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 및 수신 단말기가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a sound signal.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wave signal generator converts digital data into a sound wave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17 KHz to 25 KHz, wherein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generates sound waves corresponding to the high signal period and the low signal period, Generating a sound wave signal to include a valid data signal that does not output or output the sound wave signal;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sound wave signal; The receiving terminal reconstruct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performing a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by the receiving terminal.

Description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a sound wave signal,

본 발명은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규모의 기반시설을 요하지 않으면서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n acoustic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n acoustic signal that can transmit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users without requiring a large-scale infrastructure.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은 광케이블 또는 유선망 등을 이용하는 유선통신과 광케이블 또는 무선망을 이용하지 않는 무선통신을 포함한다. 유선통신은 정보 전달 과정에서 정보가 손실되거나 누락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 수단이지만, 유선망 설치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cludes wired communication using an optical cable or a wired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not using an optical cable or a wireless network. Wired communication is a reliable communication means because it is less likely to lose or lose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ut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install a wired network.

무선통신은 유선통신에 비해서 비교적 기반 시설이 덜 소요되고, 유선망으로 인해서 미관을 해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의 휴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래에는 무선통신의 이용 빈도와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은 무선이동통신 또는 위성전화와 같이 음성정보의 전달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통신과, 무선인터넷 또는 와이브로(Wibro)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통신이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is relatively less infrastructural than wired communic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harming aesthetics due to wired network.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the frequency and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Such wireless communication has a main purpose of communication of voice information, such as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or satellite phone, and communication mainly for data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or WiBro.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무선통신은 고주파 또는 초고주파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고, 각 무선통신은 주파수의 혼용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신사 또는 단말기별로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a high frequency or a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is used, and each wireless communication has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ach communication company or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caused by mixed use of frequencies.

즉, 무선통신은 정해진 프로토콜과 이러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단말기와 통신사들 간의 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정한 기반시설이 필요하고 이러한 단점으로 응용범위에도 한계가 있다.In other 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equires a certain infrastructure, because it requires the prescribed protocol and regulations between terminals and communication companies using such a protocol, and the application range is also limited by such a disadvantage.

이와 같이 거대한 기반시설이 요구되는 단점을 개선하고, 근거리에서 작은 양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코드 등의 스캔을 통해서 편도형 정보 전달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 전달 방법은 바코드 리더기 등 별도의 통신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는 이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such a large-scale infrastructure and to transmit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at a short distance, a one-wa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used through scanning of bar codes and the like. However, thi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quires a separate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a barcode reader, and thus is not used as an information delivery means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ordinary people.

따라서, 종래의 무선통신으로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근거리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해서 거대한 기반시설을 요구하지 않는 새로운 통신수단이 강구될 필요성이 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new communication means that does not require a huge infrastructure in order to transmit near information by targe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ers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규모의 기반 시설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n acoustic signal that can efficiently transmit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users without requiring a large-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은 음파신호 발생기가 디지털 데이터를 17Khz~25Khz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 변환하되, 음파신호 발생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서 하이신호 구간과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도록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수신 단말기가 상기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기가 음파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 및 수신 단말기가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wave signal generator converts digital data into a sound wave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17 KHz to 25 KHz, Generating a sound wave signal so as to include a valid data signal that outputs or does not output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low signal interval;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sound wave signal; The receiving terminal reconstruct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performing a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by the receiving terminal.

이때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되는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하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되며, 유효데이터 신호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한 검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유효데이터 신호 및 검증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generating a valid data signal including a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in which the pattern is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in advance, Generating a verification signal for storing a pattern in a receiving terminal in advance and distinguishing a valid data signal from an external noise; And combining the valid data signal and the verify signal.

그리고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이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며, 디지털 데이터의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가 출력되지 않도록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The generating of the valid data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a valid data signal to output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high signal interval of the digital data and not outputting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low signal interval of the digital data.

또한 음파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는 수신 단말기의 마이크에서 수신하는 음파들 중에서 검증 신호 및 유효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음파로 필터링하여 각각 제1 및 제2 음파로 분리하는 단계; 제1 및 제2 음파를 각각 디지털 변환하여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디지털 신호가 미리 설정된 검증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1 음파를 검증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제1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 구간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2 음파를 유효데이터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유효데이터 신호가 변형된 제2 디지털 신호에서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reconstruct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digital data includes filtering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microphone of the receiving terminal with a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alidation signal and the valid data signal and separating the sound wave into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respectively. Conver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to generate a first digital signal and a second digital signal; Determining a first sound wave as a ver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a preset verification signal pattern; Determining a second sound wave as an effective data signal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section of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the start signal pattern of the preset valid data signal; And extracting digital data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in the second digital signal in which the valid data signal is modified,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그리고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아스키 코드인 디지털 데이터를 유효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And generating the sound wave signal may be to convert the digital data, which is an ASCII code, into a valid data signal.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전달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를 17Khz~25Khz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음파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음파신호 발생기; 및 음파신호 발생기에서 전송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며, 음파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구간을 각각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수신 단말기;를 구비하되, 음파신호 발생기는 디지털 데이터의 이진 신호를 음파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구간으로서 구분하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생성한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und wave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digital data into sound wave signals including sound waves in a frequency band of 17 KHz to 25 KHz to send sound wave signals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terminal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and for converting a section in which a sound wave is outputted or not outputted into a high signal and a low signal respectively to restore digital data and perform signal processing of digital data, ,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n effective data signal that divides the binary signal of the digital data into a section in which the sound wave is outputted or not outputted.

이때 음파신호 발생기는 미리 설정되어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되는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하는 유효데이터 신호; 및 미리 설정되어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되며, 유효데이터 신호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한 검증신호;를 합성하여 음파신호를 생성한다.Wherein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comprises: a valid data signal including a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in which a pattern is previously set and stored in a receiving terminal; A pattern is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in advance, and a verification signal for distinguishing the valid data signal from the external noise is synthesized to generate a sound wave signal.

그리고 음파신호 발생기는 디지털 데이터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며, 디지털 데이터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지 않도록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outputs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section in which the digital data outputs a high signal and generates an effective data signal so that the sound wave is not outputted in response to the section in which the digital data outputs the low signal.

또한 수신 단말기는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과 검증 신호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음파에서 검증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1 음파를 분리하는 제1 필터부; 음파에서 유효데이터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2 음파를 분리하는 제2 필터부; 제1 및 제2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음파를 각각 디지털 변환하여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및 제2 디지털 변환부; 및 제1 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1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검증 신호의 시작신호에 대응하는 구간의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를 확인하고,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사이의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신호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receivin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valid data signal pattern and a verification signal pattern; A microphone for receiving sound waves; A first filter unit for separating a first sound wave by filtering a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a verification signal in a sound wave; A second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effective data signal in the sound wave to separate the second sound wave; First and second digital conversion units for respectively converting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And a control unit for checking the start signal of the effective data signal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of the verify signal when the first digital signal outputted from the first digital converter is the same as the verify signal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data signal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as digital data.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에 의하면, 통신사 또는 무선 중계기를 경유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통해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은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파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반시설을 이용하거나 또는 간단한 추가구성을 통해서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a communication company or a wireless repeater. That is, the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 infrastructure or a simple additional configuration because the sound wav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수신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를 이용 대상으로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s a receiving terminal, many users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검증 신호와 유효데이터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유효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sound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an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a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valid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digital data;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lidation signal and an effectiv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a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ffective data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를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음파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digital data into sound wave signals, transmits the sound wave signals, and receives the sound wave signals to restore digital data from sound wave signals.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10)은 음파신호 발생기(100) 및 수신 단말기(2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10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and a reception terminal 200.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기(200)로 음파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파신호 생성부(110) 및 제1 스피커(120)를 포함한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is for generating a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ound wave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10 includes a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and a first speaker 120.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디지털 데이터를 음파신호로 변환한다.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converts the digital data into a sound wave signal.

이때, 디지털 데이터는 아스키 코드와 같이 문자가 인코딩된 신호이거나, 수신 단말기(200)의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digital data may be a character-encoded signal such as an ASCII code or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200.

그리고 음파신호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각각 음파의 출력과 단절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것이다. 또한 음파신호는 외부 노이즈와 음파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검증 신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실질적인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한 음파를 유효데이터 신호라고 정의하고, 이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한 음파를 검증 신호라고 정의하기로 한다.And the sound wave signal converts the high signal and the low signal of the digital data into an analog signal including the output and the disconnection of the sound wave, respectively. 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a verification signal for distinguishing the external noise and the sound wave signa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ound wave converted from substantial digital data is defined as an effective data signal, and a sound wave for distinguishing it from external noise is defined as a verification signal.

그리고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가청주파수 범위를 벗어난 대역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효데이터 신호 및 검증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17Khz~25K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음파신호를 생성한다. 실질적으로 가청주파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17Khz 영역의 주파수를 인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할지라도, 이처럼 고음을 인지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일상 환경에서는 쉽게 인지될 수 없는 주파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주파수 설정은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generates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valid data signal and the verify signal using the frequency of the bandwidth out of the audible frequency range. For exampl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sound wave signals in a frequency band ranging from 17 KHz to 25 KHz. In fact, even if there are people who are able to recognize the frequencies in the 17 KHz range,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recognize such treble is very small. In addition,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is frequency setting is not possible.

그리고 유효데이터 신호 및 검증 신호는 각각 다른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20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증 신호를 생성하고, 22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nd the valid data signal and the verify signal are set to have different frequencie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may generate a verification signal using a frequency of 20 KHz, and may generate a valid data signal using a frequency of 22 KHz.

제1 스피커(120)는 음파신호를 수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1 스피커(120)는 음파신호의 주파수 범위인 17Khz~25Khz의 주파수를 출력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The first speaker 120 is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at is, any of the first speak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output a frequency of 17 KHz to 25 KHz, which is a frequency range of a sound wave signal.

수신 단말기(200)는 음파신호 발생기(100)가 송출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유효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The receiving terminal 200 receives a sound wav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converts the valid data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이를 위해서, 수신 단말기(200)는 마이크(210), 제1 및 제2 필터부(211,212), 제1 및 제2 디지털 변환부(221,222), 메모리(250) 및 제어부(225)를 포함한다. The receiving terminal 200 includes a microphone 210,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211 and 212, first and second digital converters 221 and 222, a memory 250 and a control unit 225.

마이크(210)는 음파신호 발생기(100)가 송출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파신호의 대역폭인 17Khz~25Khz의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한다. The microphone 210 receives the sound wav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and uses the sound wave signal capable of receiving a frequency of 17 KHz to 25 KHz.

제1 필터부(211)는 마이크(210)에서 수신하는 음파들 중에서 검증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제1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1 데이터 변환부(221)로 전달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필터부(212)는 마이크(210)에서 수신하는 음파들 중에서 유효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제2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2 데이터 변환부(222)로 전달한다. The first filter unit 211 filters the first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erification signal among the sound waves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and transmits the first sound wave to the first data conversion unit 221. Similarly, the second filter unit 212 filters the second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effective data signal among the sound waves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and transmits the filtered second sound wave to the second data converter 222.

그리고, 제1 및 제2 디지털 변환부(221,222)는 각각 제1 및 제2 필터부(211,212)에서 전달받은 제1 및 제2 음파를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즉, 제1 디지털 변환부(221)는 검증 신호의 주파수인 20Khz의 제1 음파를 제1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5)로 전송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디지털 변환부(222)는 유효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인 22Khz의 제2 음파를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5)로 전송한다.The first and second digital converters 221 and 222 convert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211 and 212 into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digital converter 221 converts the first sound wave of 20 KHz, which is the frequency of the verification signal, into the first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first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225. Similarly, the second digital converter 222 converts the second sound wave of 22 KHz, which is the frequency of the effective data signal, to the second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225.

메모리(250)는 음파신호 발생기(100)에서 생성하는 검증 신호와 유효데이터 신호의 패턴인 검증신호 패턴과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이 저장한다. 이때, 검증신호 패턴은 제1 디지털 변환부(221)에서 출력되는 제1 디지털 신호가 검증신호의 디지털 신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은 제2 디지털 변환부(222)에서 출력되는 제2 디지털 신호가 유효데이터 신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작신호와 종료신호에 대한 패턴정보이다.The memory 250 stores a verification signal pattern and a valid data signal pattern which are patterns of a verification signal and an effective data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At this time, the verification signal pattern is for verifying that the first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igital converter 221 is a digital signal of the verification signal. Similarly, the valid data signal pattern 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second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igital converter 222 is an effective data signal, and is pattern information for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제어부(225)는 제1 및 제2 디지털 변환부(221,222)로부터 제공받는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음파신호를 확인하고, 음파신호의 유효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225 confirms the sound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conversion units 221 and 222 and processes the data signal included in the effective data signal of the sound signal.

즉, 제어부(225)는 제1 디지털 변환부(221)에서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250)에 저장한 검증 신호의 패턴과 동일할 때에, 제2 디지털 변환부(222)에서 제공받은 제2 디지털 신호를 음파신호 발생기(100)에서 전송한 유효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로 간주하여 해당 디지털 데이터에 따른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That is, when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digital conversion unit 221 is the same as the pattern of the verifica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250, The digital signal is regarded as a digital signal for the valid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and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is performed.

예컨대 설정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225)는 디지털 데이터가 아스키 코드일 경우에 해당 아스키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231)에 표시한다. 또는, 제어부(225)는 디지털 데이터가 제어신호일 경우에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제어부(225)의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는 해당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 및 수신 단말기(200)의 설정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condition, when the digital data is ASCII code, the control unit 225 display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ASCII code on the display 231. [ Alternatively, when the digital data is a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225 execute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of the control unit 225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data and the setting of the receiving terminal 20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전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 유효데이터 신호 생성 : S301 ><Effective data signal generation: S301>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 음파신호 발생기(100)의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10 of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generates a valid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도 4는 디지털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유효데이터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데이터는 t0, t1, t3, t5의 기간에는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t2, t4 기간에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gital data and a corresponding valid data signal. The digital data shown in Fig. 4 outputs a high signal in the period of t0, t1, t3 and t5, and outputs a low signal in the period of t2 and t4.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를 음파의 출력과 단절이 반복되는 유효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이신호와 로우신호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t0, t1, t3, t5의 기간에 음파를 출력하며, t2 및 t4 기간에는 음파를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converts the digital data into an effective data signal in which the output of the sound wave and the disconnection are repeated. At this tim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0 generates a valid data signal that outputs or does not output the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high signal and the low signal of the digital data. For exampl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10 outputs sound waves during the periods t0, t1, t3, and t5, and generates valid data signals that do not output sound waves during the periods t2 and t4.

그리고 유효데이터 신호는 도 5에서와 같이,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신호와 종료신호는 각각 유효데이터 신호의 실질적인 '데이터 신호'의 시작과 종료를 구분하기 위한 신호이다. And the valid data signal may include a 'start signal' and a 'end signal' as shown in FIG.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are signals for distinguishing the start and end of the actual 'data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respectively.

특히,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는 음파신호를 외부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한 2차적인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다. 이러한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을 이용한 음파신호의 2차적인 확인은 후술하는 수신 단말기에서 음파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are generated as a secondary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the sound wave signal from the external noise, and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effective data signal pattern as shown in FIG. Secondary confirmation of the sound wave signal using the effective data signal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process of detecting a sound wave signal in a receiving terminal described later.

< 검증 신호 생성 : S303 >&Lt; Verification signal generation: S303 >

또한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검증 신호를 생성한다. 검증 신호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효데이터 신호와는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on unit 110 also generates a verification signal. The verification signal is for distinguishing the valid data signal from other external noise, and may be generated using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valid data signal.

그리고 음파신호 생성부(110)는 수신 단말기(200)의 메모리(250) 저장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검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검증 신호는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신호와 종료신호는 각각 검증 신호의 시작과 종료를 구분하기 위한 신호이다. The sound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a verification signal having the same pattern as that stored in the memory 250 of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e verification signal may also include a 'start signal' and a 'termination signal'.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are signals for distinguishing the start and end of the verify signal, respectively.

이때, 검증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검증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는 수신 단말기(200)가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신호이다.At this time,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erify signal are set to have the same interval as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interval of the valid data signal,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erification signal are signals for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200 serves as a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또한, 검증 신호는 외부 노이즈로부터 음파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1차적인 기준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수신 단말기(200)에 저장되는 검증신호 패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The verification signal is set to correspond to the verification signal pattern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5, as a primary reference for identify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external noise.

< 음파신호 생성 및 송출 : S305, S307 >&Lt; Sound wave signal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305, S307 >

음파신호 생성기(11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효데이터 신호와 검증 신호를 합성하여 음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파신호를 수신 단말기(200)로 송출한다. The sound signal generator 110 synthesizes an effective data signal and a verification signal as shown in FIG. 5 to generate a sound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200.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스피커(120)를 통해서 음파신호를 송출하며,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시기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불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음파신호를 송출하거나, 특정 조건에 한해서 음파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transmits a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peaker 120, and the time when the sound wave signal is transmitted may v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may continuously transmit a sound wave signal to an unspecified user, or may transmit a sound wave signal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 음파신호 수신 및 검증 신호 검출 : S309, S311 ><Acoustic signal reception and verification signal detection: S309, S311>

수신 단말기(200)는 마이크(210)로부터 음파신호 및 노이즈를 포함하는 음파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기(200)는 검증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음파신호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한다.The receiving terminal 200 continuously receives a sound wave including a sound wave signal and noise from the microphone 210. The receiving terminal 200 distinguishes the sound signal from the external nois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verification signal is detected.

이러한 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is process is as follows.

제1 필터부(211)는 마이크(210)에서 수신하는 음파에서 검증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제1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1 디지털 변환부(221)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1 디지털 변환부(221)는 입력받은 제1 음파를 제1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5)로 제공한다. The first filter unit 211 filters the first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erification signal from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and provides the first sound wave to the first digital conversion unit 221. The first digital converter 221 converts the received first sound wave into a first digital signal and provides the first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225.

제1 필터부(211)를 경유한 음파가 디지털 변환되어 제어부(225)에서 처리되는 과정과 동시에, 제2 필터부(212)는 마이크(210)에서 수신하는 음파에서 유효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제2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2 디지털 변환부(222)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2 디지털 변환부(222)는 입력받은 제2 음파를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5)로 제공한다.At the same time that the sound wave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211 is digitally converted and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25, the second filter unit 212 converts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to the same frequency as the effective data signal And supplies the filtered second sound wave to the second digital converter 222. [ The second digital converter 222 converts the received second sound wave into a second digital signal and provides the second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225.

제어부(225)는 제1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250)에 저장된 검증 신호 패턴과 비교하여, 제1 디지털 신호가 검증 신호 패턴과 일치할 경우에 제1 음파를 검증 신호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225 compares the first digital signal with the verification signal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250 and determines the first sound wave as a ver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digital signal matches the verification signal pattern.

< 음파신호 확인 : S313 ><Confirmation of sound wave signal: S313>

검증신호를 검출한 제어부(225)는 검증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음파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The control unit 225, which detects the verification signal, confirms whether there is a sound wave signal received simultaneously with the verification signal.

이어서 제어부(225)는 제1 음파가 검증신호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제1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 구간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를 메모리(250)에 저장된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과 비교한다. 그리고 제2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2 음파가 유효데이터 신호라고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225 compares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section of the first digital signal with the valid data signal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250 when determining that the first sound wave is the verify signal.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the valid data signal pattern, the second sound wave is determined to be an effective data signal.

다시 말해서, 제어부(225)는 제1 디지털 신호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제1 필터부(211)를 경유하는 20Khz의 제1 음파가 검증 신호인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25 primarily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ound wave of 20 KHz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211 is a verification signal by grasping the first digital signal pattern.

그리고, 제어부(225)는 제2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제2 필터부(212)를 경유하는 22Khz의 제2 음파가 유효데이터 신호인지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225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sound wave of 22 kHz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212 is an effective data signal by detecting whether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digital signal is a start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

이와 같이 제어부(225)는 검증 신호와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를 확인함으로써 마이크(210)에서 수신하는 음파가 음파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25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is a sound wave signal by confirming the start signal of the validation signal and the valid data signal.

그리고, 이때 제어부(225)가 검증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마이크(210)에서 수신되는 음파를 노이즈로 간주하고, 지속적으로 음파를 수신한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unit 225 does not detect the verification signal,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0 is regarded as noise, and the sound wave is continuously received.

< 디지털 데이터 획득 : S315 ><Digital data acquisition: S315>

검증 신호와 유효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음파신호를 확인한 제어부(225)는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사이의 데이터 신호를 최초 디지털 데이터로 획득한다. The control unit 225 which confirms the sound wave signal using the verification signal and the valid data signal acquires the data signal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as initial digital data.

< 디지털 데이터 명령처리 : S317 ><Digital Data Instruction Processing: S317>

제어부(225)는 유효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신호를 바탕으로, 음파신호 발생기(100)에서 음파신호로 변형되기 이전의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Based on the data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the control unit 225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before being transformed into the sound wave signal by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가 아스키 코드와 같이 문자가 인코딩된 것일 경우에, 제어부(225)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231)를 통해서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data is a character such as an ASCII code, the control unit 225 display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through the display 231

또는, 디지털 데이터가 수신 단말기(200)의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일 경우에, 제어부(225)는 해당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기능을 동작시킨다. 이때, 제어신호는 수신 단말기(200)에 저장된 음원 또는 영상을 제2 스피커(232) 또는 디스플레이(231)를 통해서 출력하거나, 수신 단말기(200)를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시키는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digital data i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225 operates a function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ound source or an image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rough the second speaker 232 or the display 231, or may connect the receiving terminal 200 to a specific web pag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를 2개의 유효데이터 신호로 분리하여 송수신한다. 제2 실시 예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a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eparates digital data into two valid data signals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data.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very similar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를 위해서, 음파신호 발생기(100)의 음파신호 생성부(111)는 도 7에서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를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로 분리하여 변환한다. To this end,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11 of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separates and converts the digital data into first and second valid data signals as shown in FIG.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는 각각 디지털 데이터의 전반부 구간(T1) 및 후반부 구간(T2)을 음파신호로 변환한 것이다. 즉, 음파신호 생성부(111)는 디지털 데이터의 구간을 2등분하고, 각각의 구간을 음파신호로 변환한다. The first and second valid data signals a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first half period T1 and the second half period T2 of the digital data into the sound wave signals. That is,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on unit 111 divides the digital data interval into two, and converts each interval into the sound wave signal.

이때, 음파신호 생성부(111)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At this tim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unit 111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effective data signals using sound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수신 단말기(200)는 검증신호의 검출을 위한 제1 필터부(211)와 두 개의 유효데이터 신호의 검출을 위한 제2 및 제3 필터부(212,213)를 포함한다. The receiving terminal 200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211 for detecting a verification signal and second and third filter units 212 and 213 for detecting two valid data signals.

제2 및 제3 필터부(212,213)를 경유하여 분리되는 제2 및 제3 음파는 제2 및 제3 디지털 변환부(222,223)를 경유하여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226)로 제공된다. The second and third sound waves separated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filter units 212 and 213 are converted into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via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conversion units 222 and 223, respectively.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ar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226.

제어부(226)는 제1 필터부(211)를 경유하는 신호가 검증신호일 경우에,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가 유효데이터 신호인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226)는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2 및 제3 음파를 각각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226 confirms whether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are valid data signals when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211 is a verification signal. That is, when the start signals of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are the same as the start signal patterns of the preset valid data signals, the control unit 226 outputs the second and third sound waves as the first and second effective data signals, respectively .

그리고, 제어부(226)는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226 connects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and processes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connected thereto as one digital data.

이러한 제2 실시 예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분리하는 개수를 바탕으로 다른 실시 예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3개 이상의 유효데이터 신호로 분리하여 송출하고, 수신 단말기(200)는 각각의 유효데이터 신호를 연결함으로써 최초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is second embodiment may be extended to other embodiments based on the number of separating valid data signals. For exampl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separates digital data into three or more valid data signals and transmits them, and the receiving terminal 200 can perform signal processing of the first digital data by connecting respective valid data signal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의 적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제1 적용 예 - 위치 정보의 획득* Example 1 - Acquisition of location information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GPS 신호의 수신이 곤란한 지역에 설치되어서, 위성으로부터 GPS 좌표를 수신하지 않고도, 수신 단말기(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GPS 좌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is installed in an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receive GPS signals and can provide GPS coordinates to the user who owns the receiving terminal 200 without receiving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s.

즉,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해당 음파신호 발생기(100)가 설치된 위치의 GPS 좌표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음파신호로 변환하고, 이러한 음파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기(200)는 음파신호 발생기(100)가 송출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That is,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converts digital data of GPS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is installed into sound wave signals, and transmits the sound wave signals. The receiving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sound signal generator 100 to acquire GPS coordinates.

수신 단말기(200)는 이러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른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200 may provide other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the GPS coordinates.

* 제2 적용 예 - 상품의 정보 제공* Example 2 - Providing information on products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상품 또는 물건에 대한 정보를 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송출함으로써, 수신 단말기(200)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상품 또는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00 can provide information on a product or an article to a user having the receiving terminal 200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goods or an object using a sound wave signal.

이때, 음파신호는 상품의 직접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스키 코드이거나, 수신 단말기(200)가 특정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음파신호는 해당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wave signal may be an ASCII code for displaying direct product information, or the sound wave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extracting the information when the receiving terminal 200 stores information on a specific store.

* 제3 적용 예 - 장소의 안내 정보* Third application example - Guidance information of the place

본 발명에 의한 음파신호 발생기는 열차 역사, 버스 정류소, 건물에 설치되어서 해당 설치장소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ound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train history, a bus stop, or a building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site.

예컨대 열차 역사 내에 설치된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 보도에서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파신호 발생기(100)는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해서 송출하고, 수신 단말기(200)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메모리(250)로부터 추출하여 제2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ound wave generator 100 installed in the train history can inform the signaling system of the traffic lights at the crosswalk where the traffic lights are installed. For this purpose, the sound signal generator 100 distinguishes and transmits digital data according to a signal of a sig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200 extracts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250 and outputs the extracted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speaker .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신호등의 알림 방법은 가청주파수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의 소음을 줄이면서도,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안내방송을 할 수 있다.Since the method of notifying the traffic lights using this method does not use the audio frequency, it is possible to broadcast the guidance to the visually impaired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distance.

위에서 몇몇의 실시 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음파신호 발생기 110 : 음파신호 생성부
120 : 스피커 200 : 수신 단말기
210 : 마이크(마이크) 230 : 제2 스피커
231 : 디스플레이 232 : 스피커
100: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10: sound wave signal generator
120: speaker 200: receiving terminal
210: microphone (microphone) 230: second speaker
231: Display 232: Speaker

Claims (11)

음파신호 발생기가 디지털 데이터를 17Khz~25Khz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음파신호 발생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서 하이신호 구간과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수신 단말기가 상기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음파신호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상기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된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상기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된 검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 및 상기 검증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하이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음파를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음파가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converts the digital data into a sound wave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17 KHz to 25 KHz and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effective data signal that outputs or does not output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high signal period and the low signal period in the digital data Generating the sound wave signal;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sound wave signal;
The receiving terminal reconstruct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the digital data; And
The receiving terminal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Generating 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generating the valid data signal including a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preset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Generating a verification signal that is preset to distinguish the valid data signal from external noise and stores a pattern in the receiving terminal; And synthesizing the valid data signal and the verify signal,
The generating of the valid data signal includes generating the effective data signal such that the sound wave corresponding to the high signal period of the digital data is output and the sound wave is not output corresponding to the low signal period of the digital data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a sound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마이크에서 수신하는 음파를 상기 검증 신호 및 유효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음파로 필터링하여 각각 제1 및 제2 음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음파를 각각 디지털 변환하여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신호가 미리 설정된 검증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1 음파를 검증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 구간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2 음파를 유효데이터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지털 신호에서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stor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the digital data
Filtering the sound waves received by the microphone of the receiving terminal with sound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alidation signal and the valid data signal and separating them into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respectively;
Conver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Determining a first sound wave as a ver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a preset verification signal pattern;
Determining a second sound wave as an effective data signal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section of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the start signal pattern of the preset effective data signal; And
And extracting digital data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in the second digital signal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구간을 2등분하여 전반부 구간과 후반부 구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전반부 구간과 후반부 구간을 각각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valid data signal
Dividing a period of the digital data into two halves to divide the data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nd converting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into first and second valid data signals, respective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마이크에서 수신하는 음파를 상기 검증 신호,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음파로 필터링하여 각각 제1 내지 제3 음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음파를 각각 디지털 변환하여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신호가 미리 설정된 검증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1 음파를 검증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 구간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의 시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제2 및 제3 음파를 각각 제1 및 제2 유효데이터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를 서로 연결하고, 연결된 제2 및 제3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restoring the sound wave signal into the digital data
Filtering the sound waves received by the microphone of the receiving terminal with sound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erification signal, the first and second valid data signals, and separating the sound waves into first to third sound waves;
Converting each of the first to third sound waves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Determining a first sound wave as a ver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a preset verification signal pattern;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period of the first digital signal is the same as the start signal pattern of the preset valid data signal, 2) judging a valid data signal; And
And 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to each other to process the connected second and third digital signals as one digital data.
제1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아스키 코드인 디지털 데이터를 유효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and 6,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ound wave signal converts the digital data, which is an ASCII code, into an effective data signal.
디지털 데이터를 17Khz~25Khz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음파신호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이진 신호의 하이신호 구간과 로우신호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는 유효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 발생기; 및
상기 음파신호 발생기에서 전송하는 상기 음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수신 단말기를 구비하되,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음파를 출력하지 않으며,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는, 미리 설정되어 상기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되는 시작신호 및 종료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신호 발생기는,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를 외부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하여 미리 상기 수신 단말기에 패턴이 저장된 검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효 데이터 신호와 합성함으로써 상기 음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The digital data is converted into a sound wave signal in the frequency band of 17 KHz to 25 KHz an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sound wave signal includes an effective data signal which does not output or output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high signal interval and a low signal interval of the binary signal of the digital data, A sound wave signal generator; And
And a receiving terminal for receiving the sound wav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and restoring the digital data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The effective data signal does not output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section in which the digital data outputs a low signal and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section in which the digital data outputs a low signal,
Wherein the valid data signal includes a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that are preset and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Wherein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sound wave signal by generating a verification signal in which a pattern is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in advance to distinguish the valid data signal from external noise and combining the validation signal with the valid data signal,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 패턴과 상기 검증 신호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음파에서 상기 검증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1 음파를 분리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음파에서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필터링하여 제2 음파를 분리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음파를 각각 디지털 변환하여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및 제2 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제1 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디지털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검증 신호 패턴과 동일할 경우에, 상기 검증 신호의 시작신호에 대응하는 구간의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유효데이터 신호의 시작신호와 종료신호 사이의 데이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신호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ing terminal
A memory for storing the valid data signal pattern and the verification signal pattern;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sound waves;
A first filter unit for filtering a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erification signal in the sound wave to separate the first sound wave;
A second filter unit for filtering a sound wav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valid data signal from the sound wave to separate the second sound wave;
First and second digital conversion units for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respectively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And
A start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signal of the verify signal is checked if the first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igital converter is the same as the verify signal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data signal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valid data signal as digital data.
KR1020130032989A 2013-03-27 2013-03-27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KR101462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89A KR101462472B1 (en) 2013-03-27 2013-03-27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89A KR101462472B1 (en) 2013-03-27 2013-03-27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70A KR20140117970A (en) 2014-10-08
KR101462472B1 true KR101462472B1 (en) 2014-12-04

Family

ID=519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89A KR101462472B1 (en) 2013-03-27 2013-03-27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49A3 (en) * 2015-03-26 2017-01-05 주식회사 쉴드케이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74B1 (en) * 2014-10-27 2016-08-03 나노소프트(주)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KR101608948B1 (en) * 2015-04-14 2016-04-04 주식회사 디지워크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data and system performing thereof
KR102402706B1 (en) * 2020-07-10 2022-05-26 (주)쏘티 System for Sound Tag Using Ultra Directional Speaker and The speak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22B1 (en) * 1995-07-19 1999-06-15 배동만 Commucation device and its method of sound wa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22B1 (en) * 1995-07-19 1999-06-15 배동만 Commucation device and its method of sound wa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49A3 (en) * 2015-03-26 2017-01-05 주식회사 쉴드케이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US10068564B2 (en) 2015-03-26 2018-09-04 Shieldk Co., Ltd.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70A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472B1 (en) Masage Tranf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ound Wave Signal
CN110753330B (en) Bluetooth pairing method and Bluetooth headset
CA2848692C (en) Unknown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CN108962239B (en) Rapid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oice masking
KR20150123573A (en)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network communication of IoT device with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263576B (en) Wireless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method realizing device
KR201500416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sound wave
CN103957220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frequency conversion sound waves
CN107845388B (en)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3546531A (en) Quick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quick parameter setting system for smart televisions
CN109462782B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nverting fax into talkback
KR101390891B1 (en) Application server, village broadcasting device, mobile device and village broadcasting method using thereof
ATE316278T1 (en) ALARM SYSTEMS, ALARM DEVICES, ALARM ACTIVATION METHODS, METHOD FOR RETRO-INSTALLING AN ALARM SYSTEM AND ALARM SYSTEM NETWORK SETUP METHOD
KR101840013B1 (en) Proximity payment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 technology
CN103533645A (en) Method for positioning mobile terminal which is not connected with Internet
CN103188633A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system
CN101026805B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from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a separate terminal, and associated portable device and terminal
JP6120206B2 (en) Acoustic code encoding / decoding device and acoustic code encoding / decoding method
JP2010015488A (en) Prob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probe information transmitter
CN105323731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09171197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state inspection method, communication-state inspection program,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US98263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33030B1 (en) Method of providing alarm service for deaf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JP2000101526A (en) Municipal emergency radio system
US20120124399A1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