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328B1 -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328B1
KR101462328B1 KR1020130007666A KR20130007666A KR101462328B1 KR 101462328 B1 KR101462328 B1 KR 101462328B1 KR 1020130007666 A KR1020130007666 A KR 1020130007666A KR 20130007666 A KR20130007666 A KR 20130007666A KR 101462328 B1 KR101462328 B1 KR 10146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lting
providing
response data
request us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820A (ko
Inventor
이강희
박진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9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은,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각 참여자에 대한 컨실팅을 함으로써, 참여자의 호응도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SULTING SERVICE USING SURVEY CONTENTS}
본 발명은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참여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사용자 참여형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실제로 강의, 레포트, 논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고 자료로 쓰이면서 사용자 참여형 백과사전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사용자는 위키피디아(http://www.wikipedia.org)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백과사전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변경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 서로 지적하면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스스로 창출해 낸다.
그러나, 통계 분야에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통계청에 있는 통계자료들은 대부분 국가사업 같은 공공의 통계를 위함에 한정되어있다. 때문에 통계를 산출할 주제에 다양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원하는 주제에 대하여 유연하게 주제를 확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해당 통계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계청의 통계결과들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쓰일 뿐, 통계에 관한 적절한 컨설팅서비스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통계청에 있는 자료는 다양하지만, 개인적인 물음, 이슈거리, 생각, 사상에 관해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부족하다. 또한, 실제로 통계청에 존재하는 설문에 참여를 해본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평소 궁금했던 통계의 카테고리를 사용자가 직접 제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표본의 다양성을 확보하 고, 좀 더 다양하고 흥미를 끌 수 있는 주제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9091호(200. 10. 0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직접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각 참여자에 대한 컨실팅을 할 수 있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은,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요청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문 콘텐츠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 중 각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설팅 서비스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가 선택한 컨설팅 서비스와 연관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는,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설문 콘텐츠 생성부와,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통계적 위치 연산부와,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각 참여자에 대한 컨실팅을 함으로써, 참여자의 호응도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설문 콘텐츠의 주제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설문 콘텐츠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적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200)는 설문 콘텐츠 생성부(210), 통계적 위치 연산부(220)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설팅 서비스 장치(200)는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로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설문 콘텐츠 생성부(210)는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한다(S101). 여기서 컨설팅 제공 사용자는 제3자에게 설문을 제공하고, 설문 응답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설문 콘텐츠는 문서,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며,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문 콘텐츠의 주제는 예를 들어, 나이, 키, 몸무게, 토익점수, 학점, 용돈, 연봉, 카드 소지수, 핸드폰 이용시간, 가지고 있는 IT 기기종류, 여가시간, 연애 횟수, 모의고사 점수, 자격증 개수, 좋아하는 브랜드, 재채기 횟수, 운동 횟수, 주량, 흡연 량, 부모님께 전화 드리는 횟수, SNS 이용여부 및 횟수, 자녀관계, 주요 방문 홈페이지 등 각종 유행에 따른 다양한 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설팅 제공 사용자가 평소에 본인이 남들과 비교했을 때 여자 친구와 얼마나 많은 통화시간을 갖는지 궁금한 경우, '이성친구와의 통화시간'이라는 설문 콘텐츠 주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문 콘텐츠에 응답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통화시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설팅 요청 사용자가 가족 여행 계획을 짜려고 하는데 평소 여행을 제대로 해본 적이 없어서 어떻게 계획을 짜야 할지 막막한 경우, 컨설팅 제공 사용자의 '여행지로 보통 어디로 가는가?'라는 콘텐츠 주제에 들어가서 설문을 응하고, 사람들이 많이 가는 곳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문 콘텐츠 생성부(210)는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요청수를 초과하는 경우, 설문 콘텐츠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당신의 몸무게는 몇 kg입니까?"이고, 기 설정된 요청수가 500인 경우, 설문에 응할 수 있는 사용자인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추천 혹은 요청을 희망하는 클릭수가 500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설문 콘텐츠가 제공된다. 이는 무분별한 설문 콘텐츠의 증가를 막고, 컨설팅 제공 사용자가 직접 설문 콘텐츠의 주제를 정하기 때문에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호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통계적 위치 연산부(220)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한다(S102). 여기서,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설문 콘텐츠를 제공받아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통계적 위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 중 각 사용자의 통계상의 위치를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계적 위치는 "상, 중, 하"와 같은 일정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백분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위치를 다른 사용자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230)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S103). 이 경우, 컨설팅 서비스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 대한 조언 또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웹사이트,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등을 추천하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부는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자신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는 사용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사이트는 웹사이트 외에 모바일 커뮤니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부는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설팅 서비스 항목을 제공하고, 컨설팅 요청 사용자가 선택한 컨설팅 서비스와 연관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에 관한 설문 콘텐츠에 참여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는 운동을 통한 체중 조절,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 조절, 시술을 통한 체중 조절과 같은 세부 컨설팅 항목을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을 통한 체중 조절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헬스장 광고를 추천할 수 있으며,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 조절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건강 보조 식품 광고를 추천할 수 있으며, 시술을 통한 체중 조절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클리닉 광고를 추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설문 콘텐츠의 주제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설팅 제공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설문 콘텐츠의 주제를 설정하고, 해당 설문 콘텐츠를 컨설팅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한다. 이후, 해당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광고 등을 통해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이 경우, 설문 콘텐츠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을 추천을 클릭하고, 관심이 없는 사람을 반대를 클릭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의해 기 설정된 추천 수를 획득한 설문 콘텐츠는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반대 수를 획득한 설문 콘텐츠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설문 콘텐츠를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문 콘텐츠가 토익에 관한 것인 경우 설문 콘텐츠에는 "토익 시험을 얼마나 자주 보나요?", "토익 점수는 몇 점인가요?", "하루에 몇 시간씩 공부하시나요?"와 같은 다양한 설문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1년에 토익 시험을 2번 정도 보고, 토익점수는 550점이고, 하루에 3시간씩 토익 학원 및 개인 공부를 하는 경우 그에 따른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설문을 마친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자신의 통계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적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 4의 설문 콘텐츠에 대응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응시 주기는 상위 25%, 토익 점수는 상위 50%, 토익 준비는 상위 10%라는 자신의 통계적 위치를 그래프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설문 콘텐츠에 참여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 중 자신의 통계적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컨설팅 요청 사용자는 자신의 통계적 위치를 확인한 후, 자신에 맞는 컨설팅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컨설팅 서비스 방법 중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통계적 위치에 따른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는 "홍길동 님은 토익 준비 시간에 비해 토익 점수가 낮은 편입니다."와 같은 단문 형식의 분석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 맞는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익 후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 토익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카페, 토익 학원에 대한 웹사이트의 주소를 링크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요청 사용자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사용자가 모인 그룹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자신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는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각 참여자에 대한 컨실팅을 함으로써, 참여자의 호응도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200 : 컨설팅 서비스 장치
210 : 설문 콘텐츠 생성부
220 : 통계적 위치 연산부
230 :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

Claims (10)

  1. 컨설팅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 중 각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요청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문 콘텐츠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가 기준치보다 낮은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설팅 서비스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가 선택한 컨설팅 서비스와 연관된 광고를 제공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6. 컨설팅 제공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문 콘텐츠를 생성하는 설문 콘텐츠 생성부;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문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는 통계적 위치 연산부; 및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계적 위치 연산부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 중 각 컨설팅 요청 사용자의 통계적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설문 콘텐츠의 주제가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요청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문 콘텐츠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부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가 기준치보다 낮은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응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 또는 추천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통계적 위치에 따라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설팅 서비스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컨설팅 요청 사용자가 선택한 컨설팅 서비스와 연관된 광고를 제공하는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장치.
KR1020130007666A 2012-02-29 2013-01-23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2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114 2012-02-29
KR1020120021114 2012-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820A KR20130099820A (ko) 2013-09-06
KR101462328B1 true KR101462328B1 (ko) 2014-11-21

Family

ID=4945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66A KR101462328B1 (ko) 2012-02-29 2013-01-23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46B1 (ko) * 2018-11-12 2021-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패턴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722A (ja) * 2002-09-30 2004-04-22 Hidetoyo Tonuma 自己管理支援サーバー、及び自己管理支援サーバープログラム
KR20050015542A (ko) * 2003-08-06 2005-02-21 송창용 네트워크 기반의 실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투표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17214B1 (ko) * 2005-03-23 2007-05-11 최인철 성격 검사를 이용한 블로그 커뮤니티 매칭 방법
KR20090009386A (ko) * 2007-07-20 2009-01-23 최윤제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722A (ja) * 2002-09-30 2004-04-22 Hidetoyo Tonuma 自己管理支援サーバー、及び自己管理支援サーバープログラム
KR20050015542A (ko) * 2003-08-06 2005-02-21 송창용 네트워크 기반의 실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투표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17214B1 (ko) * 2005-03-23 2007-05-11 최인철 성격 검사를 이용한 블로그 커뮤니티 매칭 방법
KR20090009386A (ko) * 2007-07-20 2009-01-23 최윤제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820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ari et al. “Working out for likes”: An empirical study on social influence in exercise gamification
Chung et al. The effects of interactive news presentation on perceived user satisfaction of online community newspapers
Han A literature review on college choice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recruitment
Gu et al. Facebook, Twitter, & Qr codes: An exploratory trial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social media mechanisms for sample recruitment
Bergström et al. Marketing and PR in Social Media: How the utilization of Instagram builds and maintains customer relationships
Hudnut-Beumler et al. The use of social media for health promotion in Hispanic populations: a scoping systematic review
White et al. Exploring agriculturalists' use of social media for agricultural marketing
Wang et al. The role of patient perception of crowding in the determination of real-time patient satisfaction at Emergency Department
Brookbank So much social media, so little time: Using student feedback to guide academic library social media strategy
Wang Predicting customers’ intentions to check in on Facebook while patronizing hospitality firms
Wang et al. How trust and need satisfaction motivate producing user-generated content
Park et al. Online activities, digital media literacy, and networked individualism of Korean youth
Carah et al. Emerging social media ‘platform’approaches to alcohol marke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ivity of the top 20 Australian alcohol brands on Facebook (2012-2014)
Changchit et al. Pers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consumers’ social commerce preference
Sin et al. Displacement or complementarity?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public library usage in the US, South Korea, and Singapore
Muñoz-Mazón et al. Risk perception before travelling: solutions for consumers with vulnerabilities
Trigg Using online reviews in social care
Yoo et al. Facebook marketing by hotel groups: Impacts of post content and media type on fan engagement
Scholtz et al. From drifters to followers: a CIA-typology for engaging followers of scuba dive operators’ Facebook pages
KR101462328B1 (ko) 설문 콘텐츠를 이용한 컨설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e Sarkar Analyzing RSS applications on library web sites
Leonard et al. What factors influence the individual impact of the web? An initial model
Nunes et al.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d of Mouth Communication in the Facebook Audience of Restaurants
Darekar et al. To study the awareness and emerging concept of dark kitchen from customer’s perspective
Livingstone et al. Co-design of a personalised digital intervention to improve vegetable intake in adults living in Australian rural comm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