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20B1 -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20B1
KR101462120B1 KR1020130060183A KR20130060183A KR101462120B1 KR 101462120 B1 KR101462120 B1 KR 101462120B1 KR 1020130060183 A KR1020130060183 A KR 1020130060183A KR 20130060183 A KR20130060183 A KR 20130060183A KR 101462120 B1 KR101462120 B1 KR 10146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charging
output
charging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디바이스디자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바이스디자인(주) filed Critical 디바이스디자인(주)
Priority to KR102013006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 팩과;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사이에 유선 및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CHARGING FOR PORTABLE DEVICE AND BATTERY OPERATE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무접점 충전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충전제어방법,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배터리 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휴대폰, 패드, 탭,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단말을 총칭하여 휴대단말 또는 약칭하여 단말이라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반드시 위에서 예시한 단말에 국한하지 않으며 여러가지 종류의 단말에 확대 적용 가능하다.
휴대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단말의 소켓에 충전 어댑터 또는 커넥터를 연결하거나, 단말을 USB 커넥터를 사용해서 컴퓨터에 접속함으로써, 유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방식이 통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들어 무선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방식이 관심을 끌고 있다.
무접점 충전방식은 무선충전방식 또는 비접촉식 충전방식이라고도 하는데, 단말을 충전패드 위에 올려놓고 자기공명 또는 자기공진, 자기유도의 원리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는 방식이다.
송신기(충전패드)의 1차 코일 위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 측 2차 코일을 올려놓으면, 1차 코일로부터 2차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충전이 된다. 무선충전 표준화 규격은 다양한 주파수대역에서 수십 밀리미터부터 수십미터의 전송거리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무선충전을 시작하면 휴대단말은 무선충전이 시작되었음을 인지하고 유선충전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은 배터리와 단말사이의 별도의 통신방법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원레벨을 검출하여 전원이 증가된 것을 감지하기 전까지는 배터리가 현재 무접점 충전 중임을 인지할 수 없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전원레벨 체크 주기가 약 40초인 점을 감안할 때에, 무선충전을 시작하더라도 휴대단말은 이를 약 40초동안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유선충전용 커넥터 또는 어댑터를 연결한 채로, 배터리 또는 배터리를 장착한 단말이 유선충전 및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배터리에는 배터리가 허용할 수 있는 허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에 손상을 입히거나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 무접점 충전이 시작되면 휴대단말에서는 무선충전이 시작되고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충전커넥터를 통해 유선충전이 진행되고 있다면 현재 유선충전임을 배터리가 인지하여 무선충전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배터리에 내장된 회로와 휴대단말 본체 사이에 현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통신하고 명령을 내리는 통신수단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용 배터리는 단자를 4개 구비하고 있다. 현재 규격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 중인 4개의 단자의 기능은 각각 아래와 같다.
#1 : Battery +
#2 : Battery Detector (CF)
#3 : Battery -
#4 : NFC RF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의 단자 2개가 필요하다.
#5 :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오프하라는 명령
#6 : 무선충전 동작여부 상태를 단말에 보고
그런데, 배터리 단자를 4 단자에서 6 단자로 늘릴 경우, 배터리 사양뿐 아니라 휴대단말의 세트 사양을 바꾸어야 하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33166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63050호.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무접점 충전과 유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에 대해, 무접점 충전과 유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지 아니하도록, 배터리 팩과 호스트 사이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상대방에게 알리고, 상대방으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을 수 있는 배터리 팩과, 휴대단말의 충전기의 제어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무접점 충전 시에 휴대단말에 배터리가 무선충전 중임을 알릴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배터리 팩과, 휴대단말의 충전기 제어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커넥터 접속을 통해 유선충전 중인 경우 배터리에게 이를 알려서 무선충전을 하지 못하도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배터리 팩과, 휴대단말의 충전기 제어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상기 제1, 2, 3 목적에 부가하여, 4 단자 규격에 기초하여 기존의 배터리 단자 사양을 변경하지 아니 하고도, 안전하게 무접점 충전 방식과 유선 충전 방식을 겸용할 수 있는 배터리 팩과, 휴대단말의 충전기 제어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단자, 음극단자, 배터리검출 (CF) 단자, NFC RF단자로 구성된 4개의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 팩에 대해서, 상기 배터리 팩의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제1 출력을 서로 와이어링해서 상기 NFC RF 단자 또는 배터리 검출 CF 단자에 연결하고, 호스트 측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제2 출력을 다시 상기 NFC RF 단자 또는 배터리 검출 CF 단자 중 제1 입력과 제1 출력이 연결된 단자에 연결하여,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이 출력하는 무선충전여부를 알리는 플래그(flag)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2 출력이 출력하는 유선충전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무선충전회로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텍사스 인스투루먼트 사의 BQ51051B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입력은 AD 핀, 제1 출력은 /CHG 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측 프로세서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휴대단말 측의 CPU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입력은 GPIO 핀, 제2 출력은 유전충전 시에 3.6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핀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극단자, 음극단자, 배터리 (CF) 검출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 대해서, 배터리 팩에 추가의 단자를 늘리지 아니 하고도, 배터리 팩이 무접점 충전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호스트 측 단말의 프로세서에 통보할 수 있으며, 커넥터 접속을 통해 유선충전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호스트 측 프로세서가 출력하는 하이 신호를 NFC RF 단자를 통해 전송받음으로써 배터리 팩은 무접점 충전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그 결과,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어서 과전류로 인하여 배터리 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을 위한 회로 접속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상태 전이 테이블.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상태 전이 테이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에 장착되어 유선충전회로 또는 무선충전회로가 공급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상기 NFC RF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는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NFC RF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의 플래그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의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2 출력으로부터의 무선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에 장착되어 유선충전회로 또는 무선충전회로가 공급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는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의 플래그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의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2 출력으로부터의 무선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 팩과;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사이에 유선 및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상기 NFC RF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NFC RF 단자와 연결하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와 연결하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의 플래그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의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출력으로부터의 무선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 배터리 충전제어 기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 배터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유선충전부(100)는 유선충전을 위한 배터리 어댑터(110), 배터리 충전기(120),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HOST AP; 130)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휴대단말의 중앙처리유닛(CPU)일 수 있다.
무선충전 기능 내장형 배터리(200)는 배터리 셀(210)과, 배터리를 보호하는 PCM 회로부(230), 무선충전회로(220)로 구성되며, 무접점 충전을 위해 무선충전 코일(240)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일(250)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충전회로(220)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사의 칩 BQ51051B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양(+)의 단자와 음(-)의 단자(26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규격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배터리 검출 (CF) 단자와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유무선 충전 제어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배터리 팩이 가지고 있던 양(+)의 단자(310), 음(-)의 단자(320), NFC RF 단자(330), 배터리 검출기능의 CF 단자(340) 등 총4개의 단자만을 사용해서 충전과 함께 호스트와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회로(220)는 복수 개의 I/O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를 제1 입력, 제1 출력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회로(220)의 제1 입력은 유선충전 시에 호스트로부터 유선충전 중임을 알리는 플래그(flag)를 입력받아 무선충전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입력은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사의 BQ51051B 칩의 경우 AD 핀일 수 있으며, 플래그는 하이(High) 전압, 즉 3.6V 이상의 전압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회로(220)의 제1 출력은 무선충전 시에 무선충전 중임을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출력은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사의 BQ51051B 칩의 경우 /CHG 핀일 수 있으며, 무선충전 시에는 로우(low)를 출력하고 유선충전 시에는 오픈(open)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회로(220)의 제1 입력과 제1 출력 단자는 서로 와이어링(wiring)되어 NFC RF 단자(330)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스트 측의 NFC 제1 입력 단자(410)에는 호스트 측 프로세서의 제2 입력(400) 및 제2 출력(420)과 연결하여, 제2 입력(400)은 배터리 팩 측의 무선충전회로(220)가 전송한 유선 또는 무선충전 상태를 알리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제2 출력(420)은 유선충전 시에 하이를 NFC RF 단자(330)에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력(4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CPU의 GPIO 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출력은 하이 신호로서 3.6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제어방법을 적용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첫번째 시나리오로서, 무선충전이 작동하고 유선충전이 끊어진 경우 무선충전 패드는 ON 상태에 있고, 무선충전회로의 제1 출력(/CHG)은 로우를 출력한다. NFC RF 단자를 통해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GPIO)에는 로우가 입력되어 무선충전 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선충전 어댑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신호에는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비활성화 시키고,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AD 핀)에는 3.6V이하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은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고 무선 충전은 계속된다.
두 번째 시나리오로서, 위의 첫번 째 시나리오가 진행되는 과정에 유선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연결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호스트프로세서의 제2 출력은 3.6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해서 NFC RF 단자를 통해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AD)으로 3.6V 이상의 전압을 보낸다. 3.6V 이상의 전압을 입력받은 무선충전회로는 무선충전을 중단하고 제1 출력(/CHG)에 하이를 출력한다. 그 결과,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GPIO)에는 하이가 입력되고 유선충전 어댑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신호에는 하이 신호가 유지되면서 활성상태가 지속되고, 유선충전이 지속된다.
세 번째 시나리오로서, 위의 두 번째 시나리오가 진행되는 도중에 유선 어댑터 접속을 끊을 경우, 호스트프로세서의 제2 출력은 로우 전압을 출력해서 NFC RF 단자를 통해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AD)으로 3.6V 이하의 전압을 보낸다. 3.6V 이하의 전압을 입력받은 무선충전회로는 무선충전을 개시하고 제1 출력(/CHG)에 로우를 출력한다. 그 결과,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GPIO)에는 로우가 입력되고 유선충전 어댑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신호에는 로우 신호가 유지되면서 비활성상태가 지속되고, 무선충전이 지속된다.
네 번째 시나리오로서, 유선충전을 위한 어댑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충전패드를 오프시킨 경우, 무선충전이 중단되므로 무선충전회로의 제1 출력(/CHG)은 하이를 출력한다. NFC RF 단자를 통해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GPIO)에는 하이가 입력되고,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어댑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신호에는 하이 신호가 유지되면서 활성상태가 지속되고, 유선충전이 지속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유무선 충전 제어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사용하였던 NFC RF 단자(330) 대신에 배터리 검출기능의 CF 단자(340)를 이용해서 호스트와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회로(220)의 제1 입력과 제1 출력 단자는 서로 와이어링(wiring)되어, 배터리 검출기능의 CF 단자(340)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스트 측의 NFC 제1 입력 단자(410)에는 호스트 측 프로세서의 제2 입력(400) 및 제2 출력(420)과 연결하여, 제2 입력(400)은 배터리 팩 측의 무선충전회로(220)가 전송한 유선 또는 무선충전 상태를 알리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제2 출력(420)은 유선충전 시에 하이를 배터리 검출기능의 CF 단자(340)에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입력(4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CPU의 GPIO 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출력은 하이 신호로서 3.6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 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진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양극단자, 음극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 대해서, 배터리 팩에 추가의 단자를 늘리지 아니 하고도, 배터리 팩이 무접점 충전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호스트 측 단말의 프로세서에 통보할 수 있으며, 커넥터 접속을 통해 유선충전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호스트 측 프로세서가 출력하는 하이 신호를 NFC RF 단자 또는 배터리 검출기능의 CF 단자를 통해 전송받음으로써 배터리 팩은 무접점 충전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그 결과,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어서 과전류로 인하여 배터리 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0 : 무선충전 내장형 배터리
220 : 무선충전회로
230 : PCM 회로
330 : NFC RF 단자

Claims (11)

  1. 호스트에 장착되어 유선충전회로 또는 무선충전회로가 공급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제3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는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제3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의 플래그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의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2 출력으로부터의 무선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은 GPIO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출력은 유선충전 시에 하이(high)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은 무선충전 시에 로우를 출력하고 유선충전 시에 하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장착한 휴대단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용 충전패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충전하기 위한 유선충전용 장치.
  8. 배터리 셀과, 무선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양(+)의 단자, 음(-)의 단자,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등 총4개의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 팩과;
    유선충전회로와 호스트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사이에 유선 및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회로는 배터리 팩이 무선충전상태인지 유선충전상태인지를 알리는 플래그를 출력하는 제1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1 출력을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제1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 하여 제3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는 유선충전 시에 무선충전을 비활성화하라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출력을 구비해서, 상기 제2 출력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과 서로 와이어링하여 상기 제3 단자와 연결하는 구성을 하고,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은 상기 제1 출력의 플래그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의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출력으로부터의 무선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배터리 검출 CF 단자, NFC RF 단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입력은 GPIO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의 제2 출력은 유선충전 시에 하이(high)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은 무선충전 시에 로우를 출력하고 유선충전 시에 하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방법.
KR1020130060183A 2013-05-28 2013-05-28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KR10146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83A KR101462120B1 (ko) 2013-05-28 2013-05-28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83A KR101462120B1 (ko) 2013-05-28 2013-05-28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20B1 true KR101462120B1 (ko) 2014-11-17

Family

ID=5229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83A KR101462120B1 (ko) 2013-05-28 2013-05-28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589A1 (ko) * 2015-04-08 2016-10-13 (주)피엔텔레컴 휴대단말기용 유무선 충전장치
CN109217487A (zh) * 2018-09-03 2019-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及电子设备
KR20200040218A (ko) * 2012-12-12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집적 회로 및 상기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WO2024016872A1 (zh) * 2022-07-19 2024-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电路控制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365A (ko) * 2009-12-28 201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충전 제어방법
KR20120075141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136725A (ko) * 2011-06-09 2012-12-20 (주) 씨아이디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KR101255904B1 (ko) * 2011-05-04 2013-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유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365A (ko) * 2009-12-28 201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충전 제어방법
KR20120075141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255904B1 (ko) * 2011-05-04 2013-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유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20136725A (ko) * 2011-06-09 2012-12-20 (주) 씨아이디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접점충전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의 단자공유 및 선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218A (ko) * 2012-12-12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집적 회로 및 상기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KR102138642B1 (ko) 2012-12-12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집적 회로 및 상기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WO2016163589A1 (ko) * 2015-04-08 2016-10-13 (주)피엔텔레컴 휴대단말기용 유무선 충전장치
CN109217487A (zh) * 2018-09-03 2019-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及电子设备
CN109217487B (zh) * 2018-09-03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及电子设备
WO2024016872A1 (zh) * 2022-07-19 2024-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电路控制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09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0736053B1 (ko)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902965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during mode transi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106516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tibility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859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EP328259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611383B2 (ja) 近距離の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方法
US20230229244A1 (en) Wireless keyboard
CN106981900B (zh) 无线充电方法及装置
JP2019083683A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KR101897634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9305701B2 (en) Power transfer
US8912752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antenna for power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03078365A (zh) 蓝牙耳机充电盒及其充电方法
WO2014093172A1 (en) Resolv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power system with co-located transmitters
KR101462120B1 (ko) 휴대단말의 유선 및 무접점 충전 제어방법과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팩
US9780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recharging batteries
KR102648609B1 (ko)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07117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JP5942688B2 (ja) 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プログラム
CN106797414B (zh) 一种终端的漏电流检测电路及终端
US9721085B1 (en) Method and battery pack device with antenna and diode
KR100998683B1 (ko) 멀티무접점전력충전이 가능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
US20190115782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TW201141001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