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03B1 -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03B1
KR101461903B1 KR20130088220A KR20130088220A KR101461903B1 KR 101461903 B1 KR101461903 B1 KR 101461903B1 KR 20130088220 A KR20130088220 A KR 20130088220A KR 20130088220 A KR20130088220 A KR 20130088220A KR 101461903 B1 KR101461903 B1 KR 10146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ixed
caster
wheel
acti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4Cast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는 스트럿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에 장착되며,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ⅱ)고정 프레임에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ⅲ)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으로서 슬라이더를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 모듈과, ⅳ)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스트럿 마운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CASTER ACTIVE GEOMETRY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의 캐스트 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차량용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륜은 주행성, 안정성 및 조정성 등을 고려하여 기하학적인 각도를 의미하는 정렬요소로서, 캠버(camber), 캐스터(caster), 킹 핀(king-pin) 및 토 인(toe-in)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스트럿을 사용하는 서스펜션에서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과 로워암의 볼 조인트를 연결한 직선을 킹핀 축이라고 하고, 그 킹핀 축의 연장선과 차륜의 중심선이 교차하는 각도를 캐스터 각이라고 한다.
캐스터 각은 차량의 주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컨대 주행 중 차륜에 방향성을 부여하고, 조향 시 차륜이 직진 방향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복원력을 부여한다.
여기서, 스트럿을 사용하는 서스펜션에서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는 차체에 마운트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고, 스트럿 어셈블리의 하단부는 차륜의 너클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의 캐스터 각은 스트럿 어셈블리의 중심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차륜의 캐스터 각을 수동으로 조정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트럿 어셈블리와 차체 사이에서 스트럿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체적인 작동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작동 구조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는, 스트럿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에 장착되며,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ⅱ)상기 고정 프레임에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ⅲ)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으로서 상기 슬라이더를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 모듈과, ⅳ)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스트럿 마운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후 양단 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고정 블록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스크류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삼각 단면의 연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원형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연결 몸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양단은 상기 고정 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는 이의 양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마운트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압입 결합되며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부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프레임의 스트럿 마운트유닛에 결합된 스트럿 어셈블리를 작동 모듈을 통해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직진 고속 주행 시 또는 선회 시에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고속 직진성, 주행 안정성 및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타력 및 보타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급 제동 시에 노즈-다운(nose-down) 현상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에 리드 스크류가 결합된 단순한 구조의 작동 모듈을 구성하므로, 부품 수를 줄여 전체 장치의 중량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모듈의 가이드 레일이 충분한 강성을 가진 구조로서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리드 스크류가 고정 블록에 베어링을 통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더에 스크류 결합되므로, 가이드 구조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동 하중의 옵셋을 축소시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드 스크류가 슬라이더의 나사부에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문제 발생에 따른 구동 모터의 부하 증대로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리드 스크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전륜 서스펜션으로서 스트럿 어셈블리(1)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륜 서스펜션의 스트럿 어셈블리(1)는 차륜(3)의 너클(5)과 차체(9)를 연결하고, 쇽 업소버와 스프링을 포함하며, 차륜(3)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륜 서스펜션 및 이의 스트럿 어셈블리(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전륜 현가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전륜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100)는 스트럿 어셈블리(1)와 차체(9) 사이에서 스트럿 어셈블리(1)와 연결되며, 차륜(3)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고정 프레임(10), 슬라이더(30), 작동 모듈(50) 그리고 스트럿 마운트유닛(8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차체(9)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고정 프레임(10)은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차체(9)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0)는 고정 프레임(10)의 하면에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사각형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3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작동 모듈(50)을 통해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스트럿 마운트유닛(8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모듈(50)은 모터의 구동으로서 슬라이더(30)를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고정 프레임(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 모듈(50)은 한 쌍의 고정 블록(51),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 리드 스크류(55) 그리고 구동 모터(57)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고정 블록(51)은 고정 프레임(10)의 하면에서 전후 양단 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때 고정 블록(5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를 통해 고정 프레임(10)의 전후 양단 측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은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바, 고정 블록(51)에 양단이 결합되며, 슬라이더(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가이드 레일(53)은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부(61)와 레일부(63)를 포함하는 바, 베이스부(61)는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고정 프레임(10)의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61)는 고정 프레임(10)의 하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면(65)과, 그 베이스면(65)에 일체로 연결되는 삼각 단면 형상의 연결 몸체(6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63)는 베이스부(61)에 일체로 연결되며, 슬라이더(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부(63)는 원형의 단면을 지니며 베이스부(61)의 연결 몸체(67)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63)의 양단은 연결 몸체(67)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그 돌출 부분이 각각의 고정 블록(51)에 끼움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55)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슬라이더(30)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으로, 이의 양단이 고정 블록(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리드 스크류(55)는 차륜(3)의 전후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 사이에 배치되며, 도 5에서와 같이 리드 스크류(55)의 양 단부는 베어링(71)을 통하여 고정 블록(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7)은 리드 스크류(55)의 한 쪽 단부에 연결되며, 통상적인 구조의 서보 모터로서 구비되는 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ECU)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7)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차체(9)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의 구동축이 리드 스크류(55)의 한 쪽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럿 마운트유닛(80)은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슬라이더(3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스트럿 마운트유닛(80)은 마운트 브라켓(81)과 부시부재(83)를 포함하는 바, 마운트 브라켓(81)은 도면을 기준으로 슬라이더(30)의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때 마운트 브라켓(81)은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슬라이더(3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81)에는 슬라이더(30)의 하면에 대응하는 면에 복수 개의 플랜지 돌기들(85)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부재(83)가 압입 가능한 원통 형상의 압입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부시부재(83)는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마운트 브라켓(81)의 압입부(87)에 압입 설치된다. 부시부재(83)는 마운트 브라켓(81)에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단부를 고정하며, 그 스트럿 어셈블리(1)를 통해 마운트 브라켓(81)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부시부재(83)는 인너 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 사이에 부시고무가 가류 접된 공지 기술의 부시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100)에 의하면, 앞서 개시한 도면들에서와 같이 본 장치(100)의 고정 프레임(10)을 차체(9)에 장착하고,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단부를 스트럿 마운트유닛(80)의 부시부재(83)에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작동 모듈(50)의 구동 모터(57)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작동 모듈(50)의 리드 스크류(55)는 베어링(71)을 통해 고정 블록(51)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 모터(57)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더(3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모듈(50)에 의해 슬라이더(30)를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슬라이더(30)의 스트럿 마운트유닛(80)에 결합된 스트럿 어셈블리(1)를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트럿 어셈블리(1)는 차륜(3)의 너클(5)을 조인트 중심점으로 하여 차륜(3)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모듈(50)을 통해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부를 차량의 후방 측으로 기울여 정(+)의 캐스터를 구현할 수 있고, 스트럿 어셈블리(1)의 중심선과 수직선을 일치시켜 영(0)의 캐스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스트럿 어셈블리(1)의 상부를 차량의 전방 측으로 기울여 부(-)의 캐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100)에 의하면, 작동 모듈(50)을 통해 스트럿 어셈블리(1)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륜(3)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직진 고속 주행 시 또는 선회 시에 차륜(3)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고속 직진성, 주행 안정성 및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타력 및 보타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급 제동 시에 노즈-다운(nose-down) 현상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륜(3)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고속 직진 주행 시 스티어링 복원력을 증대시켜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급제동 및 급출발 시 안티 다이브 및 리프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캠버각 증대에 따른 한계 선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30)에 리드 스크류(55)가 결합된 단순한 구조의 작동 모듈(50)을 구성하므로, 부품 수를 줄여 전체 장치의 중량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모듈(50)의 가이드 레일(53)이 충분한 강성을 가진 구조로서 슬라이더(30)와 결합되고, 리드 스크류(55)가 고정 블록(51)에 베어링(71)을 통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더(30)에 스크류 결합되므로, 가이드 구조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동 하중의 옵셋을 축소시킴으로써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드 스크류(55)가 슬라이더(30)의 나사부에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문제 발생에 따른 구동 모터(57)의 부하 증대로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스트럿 어셈블리 3... 차륜
5... 너클 9... 차체
10... 고정 프레임 30... 슬라이더
50... 작동 모듈 51... 고정 블록
53... 가이드 레일 55... 리드 스크류
57... 구동 모터 61... 베이스부
63... 레일부 65... 베이스면
67... 연결 몸체 71... 베어링
80... 스트럿 마운트유닛 81... 마운트 브라켓
83... 부시부재 85... 플랜지 돌기
87... 압입부

Claims (10)

  1. 스트럿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에 장착되며, 차륜의 캐스터 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으로서 상기 슬라이더를 차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 모듈과,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스트럿 마운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후 양단 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고정 블록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스크류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스크류는 작동 하중의 옵셋을 축소시키기 위해 이의 양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삼각 단면의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원형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연결 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양단은 상기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마운트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압입 결합되며,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부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KR20130088220A 2013-07-25 2013-07-25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KR10146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220A KR101461903B1 (ko) 2013-07-25 2013-07-25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220A KR101461903B1 (ko) 2013-07-25 2013-07-25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03B1 true KR101461903B1 (ko) 2014-11-13

Family

ID=5229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220A KR101461903B1 (ko) 2013-07-25 2013-07-25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4689A2 (en) 2017-01-19 2018-07-26 Champagne Donuts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US10814687B2 (en) 2018-08-21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rut mount
US11731477B2 (en) 2020-12-21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vehicle stabi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1774B2 (ja) * 1990-07-31 1998-1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ャスタ角制御装置
KR19990023379U (ko) * 1997-12-05 1999-07-05 정몽규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120064539A (ko) * 2010-12-09 2012-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1774B2 (ja) * 1990-07-31 1998-1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ャスタ角制御装置
KR19990023379U (ko) * 1997-12-05 1999-07-05 정몽규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120064539A (ko) * 2010-12-09 2012-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4689A2 (en) 2017-01-19 2018-07-26 Champagne Donuts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EP3571067A4 (en) * 2017-01-19 2020-10-14 Champagne Donuts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ADJUSTMENTS
US10988177B2 (en) 2017-01-19 2021-04-27 Doftek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US11565752B2 (en) 2017-01-19 2023-01-31 Doftek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US10814687B2 (en) 2018-08-21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rut mount
US11731477B2 (en) 2020-12-21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vehicle st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61B1 (ko)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US9290221B2 (en) Auxiliary axle and suspension assembly
US8205900B1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7891683B2 (en) Torsion-beam rear axle of a vehicle
CN108859642B (zh) 非转向驱动轮的悬架装置
US8746705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US7588261B2 (en) Suspension device
KR20120021095A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CN102198781B (zh) 活动式后轮悬架
US8408559B1 (en)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EP1818243A1 (en)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461903B1 (ko)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CN110481255B (zh) 后轮悬架装置和汽车
US20050006868A1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KR10151888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JP202215481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7052024B2 (en) Suspension assembly applicable to both manual and power steering systems
CN110997356B (zh) 具有布置在中央的驱动单元的车轴
KR20030049904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CN114103573A (zh) 全地形车
CN217259450U (zh) 双横臂悬架及车辆
CN219523602U (zh) 摆臂组件和汽车
CN111655520B (zh) 用于汽车的轮悬架装置、保持设备以及汽车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