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763B1 -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63B1
KR101461763B1 KR1020120154613A KR20120154613A KR101461763B1 KR 101461763 B1 KR101461763 B1 KR 101461763B1 KR 1020120154613 A KR1020120154613 A KR 1020120154613A KR 20120154613 A KR20120154613 A KR 20120154613A KR 101461763 B1 KR101461763 B1 KR 10146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errite
less
aln
t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772A (ko
Inventor
이상윤
김하늬
임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중 TiN, VC, VN, V(C,N), BN 및 AlN 중 1종 이상의 석출물이 존재하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복합조직인,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i 등 고가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V, Ti 등 첨가된 원소가 TiN, VC, VN, V(C,N), BN, AlN 등을 형성시켜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막고 제어압연을 통해 오스테나이트 크기를 줄여 페라이트 분율을 극대화하여 선재의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NON-QUENCHED AND TEMPERED STEEL WIRE ROD HAVING EXCELLEN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탄소강 선재는 일반적으로 냉간 가공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공 특성 향상을 위해서 저온 소둔 열처리나 구상화 열처리 등을 수행하고 단조와 같은 가공을 거친 후 물성을 부여하는 ?칭 및 템퍼링(Quenching and Temepring) 열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열처리 비용 절감 또는 수치 정밀도가 높게 요구되는 부품에서는 이러한 열처리를 생략하는 비조질강을 사용하게 된다.
중탄소 선재에서는 대부분의 조직이 퍼얼라이트와 약간의 페라이트가 혼합된 조직이다. 특히 선재 제조 후 공정에서 저온 소둔 열처리 및 구상화 열처리를 하지 않고 신선 공정을 거쳐 직접 냉간 단조하여 제품을 만드는 비조질강에서는 페라이트 분율이 강의 충격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조질강 선재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잘 알려진 것은 Ti, Nb, V 등 페라이트 입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탄/질화물 형성 원소를 첨가하고 제어압연을 통해 오스테나이트 입자 미세화 및 조대화를 막고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 페라이트를 형성시켜 페라이트 미세화를 통해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Ti, Nb, V 등의 석출물을 잘 제어해야 하며 가열로 온도를 1200℃ 이상으로 올려야 하므로 업체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고인성 비조질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원가적으로 유리한 것은 0.2중량% 탄소강 범위에서 바우싱거 효과를 이용하여 페라이트+퍼얼라이트 층상형 조직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조직은 층상형 조직으로 인해 소재 자체가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재 제조 후 공정에서 저온 소둔 열처리 및 구상화 열처리를 하지 않는 중탄소강 선재의 고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중 TiN, VC, VN, V(C,N), BN 및 AlN 중 1종 이상의 석출물이 존재하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복합조직인,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준비하는 단계, 10500~1250℃에서 60~700분 열처리하는 단계, 사상압연 온도 800~900℃로 압연하는 단계, 냉각속도 0.5℃/sec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Ni 등 고가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V, Ti 등 첨가된 원소가 TiN, VC, VN, V(C,N), BN, AlN 등을 형성시켜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막고 제어압연을 통해 오스테나이트 크기를 줄여 페라이트 분율을 극대화하여 선재의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예와 비교예에 따른, 충격인성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온도 변화에 따른 충격인성 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선재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중 TiN, VC, VN, V(C,N), BN 및 AlN 중 1종 이상의 석출물이 존재하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복합조직인,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를 제공한다.
상기 각 성분의 수치 한정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량%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C: 0.30-0.60%
탄소의 함량이 0.60% 초과에서는 거의 모든 조직이 퍼얼라이트로 구성되어 페라이트 생성에 관한 본 발명의 효과가 없으며, 0.30% 미만에서는 페라이트 분율이 충분하여 제어압연에 의해 생성되는 페라이트가 충격치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기 때문에 탄소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하였다.
Si : 0.001-0.50%
Si은 대표적인 치환형 원소로서 강의 가공 경화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비조질강에서는 연화 열처리 공정이 없고 신선 후 바로 냉간 압조를 하는 강에서는 Si 함량을 증가시키면 가공 경화량을 증가시켜 다이스 수명 악화를 가져오게 된다. 함량이 0.5%를 초과하면 가공 경화량이 증가하여 강의 연성을 저하시켜 충격 인성의 하락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0.001%미만의 Si은 제강 상황을 고려하여 봤을 때 제조 불가능한 수치로 판단하여 그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하였다.
Mn : 0.8-2.0%
망간(Mn)은 기지조직내에 치환형 고용체를 형성하고 A1 온도를 낮춰 퍼얼라이트 층간간격을 미세화하여 조직의 건전성을 증가시키게 되며 그 함량은 0.8-2.0%로 한정한다. 그 함량이 2.0%를 초과할 경우, 퍼얼라이트 층간 간격 미세화라는 효과보다는 망간편석에 의한 조직 불균질이 비조질강에 더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강의 응고시 편석기구에 따라 거시편석과 미시편석이 일어나기 용이한데, 망간편석은 타원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확산계수로 인해 편석대를 조장하고 이로 인한 경화능 향상은 중심부 저온조직(core martensite)을 생성하는 주원인이 된다. 그 함량이 0.8% 미만일 경우, 망간편석에 의한 편석대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어지나 퍼얼라이트 층간 간격이 커지게 되어 비조질강 충격인성에는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Cr : 0.05~0.40%
Cr의 함량은 0.05%에서 0.4%로 한정한다. 강 중 Cr은 내식성과 소입성에 영향을 주는 원소이다. Cr이 0.05% 미만인 경우에는 강 중 내식성 향상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Cr의 함량이 0.4%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켜 선재 생산시에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유도하여 강의 인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0.4% 이하로 한정한다.
P: 0.03%이하, S: 0.1%이하
인(P) 및 황(S)의 함량은 각각 0.03%이하와 0.1%이하로 한정한다. 인은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키고 지연파괴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므로 그 상한을 0.03%로 제한한다. 황은 저융점 원소로 입계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키고 유화물을 형성시켜 지연파괴 저항성 및 응력이완 특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그 상한을 낮추는 것이 좋으나 절삭성을 위하여 적당량의 황을 첨가하여 MnS 석출을 유도하는 것이 종합적인 물성 향상에 기여히므로 상한을 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 0.01-0.05%
강중 알루미늄의 일차적인 역할은 탈산제로 사용되며 강중 산소와 결합하여 Al2O3와 같은 산화물을 생성한다. 산소와의 결합 후 남은 알루미늄은 질소와 결합을 하게 되어 AlN을 생성한다. 여기서 AlN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사이즈의 성장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알루미늄 함량이 0.01% 미만에서는 AlN을 형성하는 충분한 알루미늄 양을 기대할 수 없고 0.05% 초과에서는 기계적 물성 저하가 우려되어 그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하였다.
N: 0.01%이하
질소의 함량은 0.01% 이하로 한정한다. 질소는 석출물 생성 원소와 결합하여 여러가지 질화물 등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질화물들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AGS)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질소 함량이 0.01% 초과하면 대부부분의 석출물이 조대화하여 이러한 물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V: 0.03-0.2%
상기 바나듐(V)은 VC, VN, V(C,N) 등을 형성하여 적절한 압연을 동반하면 페라이트 미세화를 가져와 비조질강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함량이 0.03% 미만에서는 모재내 바나듐 석출물들의 분포가 적어짐에 따라 페라이트 입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못하게 되므로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한정된 탄소 및 질소 범위에서는 조대한 바나듐 탄 질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Ti : 0-0.04%, B: 0-0.004%
티타늄과 보론의 함량은 각각 0-0.04%와 0-0.004%로 한정한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과 보론의 역할은 고온 가열을 통하여 조대 석출물을 생성함으로서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변태시 페라이트 핵 생성처로 작용하여 종합적인 페라이트 볼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 초과시에는 조대한 석출물 과다로 개재물 파단의 주요한 크랙 생성처가 될 수 있다. Ti, B는 다른 석출물이 있을 경우 0%이어도 무방하고, B의 경우 소입성만 영향을 주어 물성 측면에서는 필수적이지 않다.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재의 강중에는 TiN, VC, VN, V(C,N), BN 및 AlN 중 1종 이상의 석출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석출물들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AGB; austenite grain boundary) 이동을 제한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AGS; austenite grain size)가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석출물들은 20~100 nm일 경우 입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 ㎛로 커지면 AGS 크기를 제한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및 퍼얼라이트의 복합조직으로 구성된다. 페라이트-퍼얼라이트 미세조직은 이러한 성분계를 강종을 생산할 경우 일반적으로 만들어진다.
면적분율로 상기 미세조직의 5~20%가 페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5% 미만일 경우에는 강의 강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강의 가공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것이며 20% 초과일 경우에는 강의 가공성은 증가하나 강도가 목표 강도에 미달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계와 미세조직을 가진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먼저,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준비하여 1050~1250℃에서 60~700분 열처리를 한다.
열처리 조건을 상기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1250℃ 초과에서는 석출물의 용해가 이루어져 석출물을 이용하여 AGB를 고정시키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치 못할 것으로 판단하며 1050℃ 미만에서는 사이징을 위한 열간압연 수행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700분 초과의 장시간 가열은 석출물을 성장시킬 수 있어 적절한 석출물 사이즈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고, 가열시간 60분 미만에서는 열간압연을 위한 빌렛의 가열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열간압연을 위한 가열시 오스테나이 크기를 50 ㎛ 이하로 억제하여 선재 조직은 페라이트와 퍼얼라이트 조직으로 구성되며 선재 열간 압연 공정 중 압연 온도를 800~900℃에서 제어압연을 수행하여 압연 후 조직에서 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켜 선재의 인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열처리 후 사상압연 온도 800~900℃로 압연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800~900℃에서 제어압연을 수행하여 압연 후 조직에서 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켜 선재의 인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선재 제어압연의 메카니즘은 중탄소 영역에서 Ac3~Tnr(미재결정 온도) 사이에서 압연을 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압축시키고 냉각을 하게 되면 AGB에서 페라이트 핵성을 하게 되는데 압축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에 의해 페라이트 핵생성처가 늘어나게 되며 일반 압연에 비해 페라이트 분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로 인해 선재 인장 강도가 하향하게 되며 열처리 생략강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게 된다.
상기 압연을 하고 나서, 냉각속도 0.5℃/sec이하로 냉각한다.
냉각속도를 상기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상기 제어압연을 통해 생성된 페라이트의 결정립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강을 50kg의 잉곳으로 용해한 후, 1200℃의 온도에서 10 시간 열처리하여, 26mm 봉강으로 열간압연하였다. 이 때 마무리 온도는 각각 1100℃ 이상으로 하였다. 열간압연 후 냉각속도 0.5℃/sec이하로 서냉하였다.
하기 표 1의 각각의 발명재와 비교재에 대하여 기재되지 않은 조성의 함량은 P: 0.01%, S: 0.01%, Al: 0.03%, N: 0.003%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단,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중량%) 석출물 종류 석출물
크기
(㎛)
페라이트
면적분율
(%)
C Si Mn Cr Ni Ti V
비교재1 0.45 0.3 1.3 0.2 0.1 0 0.08 AlN,V(C,N) 0.3~2.5 5 미만
비교재2 0.45 0.3 1.3 0.2 0.3 0 0.08 AlN,V(C,N) 0.3~2.2 5 미만
발명재1 0.45 0.3 1.3 0.2 0 0 0.08 TiN,V(C,N) 0.04~1.5 10
발명재2 0.45 0.3 1.3 0.2 0 0.015 0.08 TiN,TiC,V(C,N) 0.01~0.8 12
강의 석출물 크기는 충격인성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강의 석출물 크기가 커질수록 파단 기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강의 석출물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강의 충격인성이나 DBTT(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이 영향을 받는다는 많은 보고가 있었다.
비교재 1과 발명재 2의 대표적 조직사진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발명재 2의 페라이트 분율이 근소하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1의 각각의 비교재와 발명재에 대한 충격인성 값을 도 1에서 그래프상에 나타내었다. 충격인성 값은 규정 사이즈가 아닌 시편으로 충격 시험을 수행했기 때문에 상용재로 볼 수 있는 비교재 1과 비교재 2 와의 값을 비교해야 할 것이다. 충격인성 값을 보완하기 위해 Ni을 첨가한 비교재 1과 발명재 1이 유사한 충격인성 값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교재 1과 발명재 1에 대하여 압연온도를 달리한 경우의 충격인성 값 변화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재 1(Ni 첨가)과 발명재 1(Ni 무첨가)의 압연온도 변화에 따른 충격 인성 변화를 볼 수 있다. 압연온도 900℃일 경우 발명재 1은 비교재 1에 비해 높은 충격인성 값을 보이고 있다. 압연 온도가 820℃일 경우 비교재 1이 근소 우위를 보여주고 있으나 충격인성 값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고가의 합금원소 Ni 함량을 저감하였음에도 충격인성 값은 유사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재는 기존 상용재 대비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충격인성 값을 보여주며 선재 공정 최적화 정도에 따라 비조질강 선재의 충격인성을 20% 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재 제조 공정을 구현하였다.
다음은 선재 제조 공정을 변화시키면서 TiN, AlN 생성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Ti
(중량%)
Al
(중량%)
가열로 온도
(℃)
AGS
(㎛)
석출물크기
(㎛)
1 0 0.01 1100 110 0.05~1
2 0 0.03 1000 40 0.02~0.1
3 0.01 0.03 1100 35 0.02~0.1
4 0.03 0.01 1200 34 0.02~0.1
5 0.03 0.03 1250 130 0.2~5
석출물의 크기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AGB; Austenite grain boundary)를 고정함에 있어서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AGB 고정에 가장 이상적인 석물물 크기는 20 ~ 80 nm 사이로 보고 있으며 0.1 ㎛ 이상의 크기는 AGB를 고정하는 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대한 석출물로 자라면서 미세한 석출물이 급격히 적어져 AGS가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열 시간은 각 온도에 따라 300~600분을 수행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Ti, Al 함량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AGS; austenite grain size)가 변화한다.
석출물에 따라 용해 온도가 틀려 적정 사용온도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AlN은 1000~1100℃ 사이에서 용해되며 TiN은 1200~1250℃ 사이에서 용해되어 이 온도 이상에서는 AGS 크기를 제어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AlN의 경우 약 1100℃ 부근에서 용해가 되어 1200℃에서 장시간을 유지하면 AGS가 크게 성장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약 1250℃에서 용해가 되는 TiN을 석출시켜면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가열로 조건에 따라 Ti, Al, V 등을 잘 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강의 성분계가 Ti 없는 강이면 가열 온도는 가능하면 1100℃ 이하에서 수행해야 하며 가열 시간도 짧을수록 좋다. 그러나 Ti가 함유된 강은 1200℃ 이상에서도 TiN이 안정하므로 가열온도를 1200℃ 이상으로 하고 가열시간을 더 길게 하여도 AGS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성된 TiN 또는 BN 등은 선재 제조 과정 중에서 페라이트 핵생성을 일으킬 수 있게 충분히 조대하게 석출시켜 이후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변태중에 불균질 핵 생성처로 작용하여 기존의 미세조직보다 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켜 강의 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5)

  1.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중 TiN, VC, VN, V(C,N), BN 및 AlN 중 1종 이상의 석출물이 존재하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복합조직이고, 상기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이 5~20%인,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iN, VC, VN, V(C,N), BN 및 AlN의 석출물 크기가 20~100 nm인,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3. 삭제
  4. 중량%로 C: 0.30-0.60%, Si: 0.001-0.50%, Mn: 0.8-2.0%, Cr: 0.05~0.40%, P: 0.03%이하, S: 0.1%이하, Al: 0.01-0.05%, N: 0.01%이하, V: 0.03-0.2%, Ti: 0-0.04%, B: 0-0.004%,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준비하는 단계;
    1050~1250℃에서 60~700분 열처리하는 단계;
    사상압연 온도 Ac3~Tnr(미재결정 온도)℃로 압연하는 단계;
    냉각속도 0.5℃/sec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중 오스테나이트 크기는 50㎛ 이하로 제어되는,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20154613A 2012-12-27 2012-12-27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13A KR101461763B1 (ko) 2012-12-27 2012-12-27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13A KR101461763B1 (ko) 2012-12-27 2012-12-27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72A KR20140084772A (ko) 2014-07-07
KR101461763B1 true KR101461763B1 (ko) 2014-11-13

Family

ID=517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13A KR101461763B1 (ko) 2012-12-27 2012-12-27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0734A (zh) * 2016-09-21 2017-01-25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高强韧性非调质钢盘条及其制备方法
WO2019132195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73B1 (ko) * 2016-12-22 2019-01-21 주식회사 포스코 인성이 우수한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5077B1 (ko) * 2017-12-26 2020-03-05 주식회사 포스코 중탄소강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이들의 제조방법
CN109234627B (zh) * 2018-10-17 2020-12-18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高韧性非调质圆钢及制备方法
CN111763870A (zh) * 2019-04-02 2020-10-13 陕西蓝通传动轴有限公司 免调质钢的应用、免调质钢的配料及制备方法
KR102355675B1 (ko) * 2019-07-12 2022-01-27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CN113684423B (zh) * 2021-10-26 2022-01-28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碳钢盘条
CN115838901A (zh) * 2022-12-10 2023-03-24 芜湖新兴铸管有限责任公司 一种高韧性60Mn锻造磨球及其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514A (ja) * 1990-05-30 1992-02-04 Nippon Steel Corp 圧延ままで表面異常相のない軟質線材の製造方法
JP2003113444A (ja) * 2001-10-05 2003-04-18 Kobe Steel Ltd 高強度非調質アプセットボルト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強度非調質アプセットボルトの製造方法
KR100398378B1 (ko) 1998-10-13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특성이우수한자동차스테빌라이저용비조질강선재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514A (ja) * 1990-05-30 1992-02-04 Nippon Steel Corp 圧延ままで表面異常相のない軟質線材の製造方法
KR100398378B1 (ko) 1998-10-13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특성이우수한자동차스테빌라이저용비조질강선재의제조방법
JP2003113444A (ja) * 2001-10-05 2003-04-18 Kobe Steel Ltd 高強度非調質アプセットボルト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強度非調質アプセットボルト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0734A (zh) * 2016-09-21 2017-01-25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高强韧性非调质钢盘条及其制备方法
WO2019132195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1441202B2 (en) 2017-12-26 2022-09-13 Posco Wire rod for cold heading, processed product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72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63B1 (ko)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19959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783B1 (ko) 상온 가공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비조질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5144B1 (ko) 건축구조용 h형강 및 그 제조방법
US11339451B2 (en) Low-cost and high-formability 1180 MPa grade cold-rolled annealed dual-phase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31443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4771A (ko) 고인성 비조질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5781B1 (ko) 냉간압조용 고강도 선재 제조방법
KR101461713B1 (ko) 고인성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2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0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3714A (ko) 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8147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0057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141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642B1 (ko)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097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비조질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4265793A1 (en) High-hardness armored steel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40106597A (ko) 고강도 석출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U2021401505A1 (en) High-hardness armored steel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