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446B1 -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446B1
KR101461446B1 KR1020120069491A KR20120069491A KR101461446B1 KR 101461446 B1 KR101461446 B1 KR 101461446B1 KR 1020120069491 A KR1020120069491 A KR 1020120069491A KR 20120069491 A KR20120069491 A KR 20120069491A KR 101461446 B1 KR101461446 B1 KR 10146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information
user
sharin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583A (ko
Inventor
박지형
김현철
박광희
이현진
김현민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에스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은 복수의 인접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유저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METHOD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BETWEEN DEVICE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DIGITAL CONTENT SHARING DEVICE}
본 발명은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진, 음악, 영화, 이북(e-book) 등의 디지털 컨텐츠는 비단 퍼스널 컴퓨터에서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TV,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생산되고 사용된다.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TV, 디지털 카메라 등 이종 디바이스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법에서는,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서버에 연결이 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들 간의 데이터 통신은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는 우선적으로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를 경유하여 공유를 원하는 클라이언트의 공유 폴더를 액세스하는 2 단계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공유 폴더를 설정하는 과정과, 공유 폴더의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타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는, 서버에서 각 클라이언트의 공유 폴더의 설정과 공유 폴더의 액세스 권한의 설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서버의 설정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접근하기 어렵고, 서버의 설정이 실패하거나 서버의 기능이 정지된 때에는 클라이언트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스타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버의 설정 없이 사용자가 쉽게 디바이스들간의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의 공유 폴더를 액세스하지 않아도 공유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인접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유저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디바이스 검색부,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 디지털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의 설정 없이 사용자가 쉽게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의 공유 폴더를 액세스하지 않아도 공유된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uni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그 일 예로서 '~부(unit)'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소규모 네트워크(small network)에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의 각각의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는, 중앙 집중적인 서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디바이스가 서버-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은 메쉬 토폴로지의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 간의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변형된 토폴로지의 네트워크에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 TV,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 및 사용이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디바이스라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 설정부(110), 디바이스 검색부(120),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부(110)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 주위의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등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로컬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short-range network)도 포함한다.
디바이스 검색부(120)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가 속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한다.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다. 이하에서는, 인접 디바이스들 중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로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 디바이스(200)를 '공유 디바이스'라 한다.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는 사진, 음악, 영화, 문서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 등의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50)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공유 디바이스들(200)로 제공하고, 공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공유 디바이스들(20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받는다.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예를 들어, 사진, 음악, 영화, 문서 등),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명, 파일 사이즈, 아이콘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가 사진, 이미지 또는 영화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종류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음악 제목, 가수 정보, 앨범 정보 또는 트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가 음악, 영화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생될 수 있는 종류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0)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공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제공받은 공유 디바이스들(200)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아 '유저 디바이스'라고 하기로 한다. 상술한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유저 디바이스에 대하여 그대로 원용된다. 이하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공유관계 형성]
먼저, 네트워크 설정부(110)는 유저 디바이스(100) 주위의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S110),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유저 디바이스(100)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아(S115),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유저 디바이스(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디바이스 검색부(120)는 유저 디바이스(100)가 속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한다(S120).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고(S130),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다(S135). 이때,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검색된 인접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인접 디바이스에 대하여만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가 인접 디바이스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면, 인접 디바이스에는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를 묻는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고, 인접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팝업창을 통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요청을 승인하면, 그 인접 디바이스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밖에도,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이용한 인증,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인증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다양한 인증 방법을 통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고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디바이스(100)는 일부 인접 디바이스에 대해 이미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유저 디바이스(100)가 일부 인접 디바이스의 공유 허용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가 상기 일부 인접 디바이스에 대해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면, 상기 일부 인접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승인 또는 PIN이나 NFC를 이용한 인증이 없이도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저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불허하는 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인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인접 디바이스가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상기 특정한 인접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고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로써, 불필요한 인접 디바이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의 낭비 또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가 공유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으면,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상기 공유 디바이스(200)로 유저 디바이스(100)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여,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200) 간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상호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200) 간에 공유 관계가 형성된다.
유저 디바이스(100)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면, 공유 디바이스(2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 공유 디바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한다(S140). 이로써,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50)는 공유 디바이스(200)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부여와 함께, 공유 디바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공유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받은 유저 디바이스(100)의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50)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공유 디바이스(200)로 제공하여,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200) 간에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0)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공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제공받은 공유 디바이스들(200)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5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공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제공받은 공유 디바이스들(200)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하나의 페이지에 한번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공유 디바이스들(200)의 공유 폴더로 접근하지 않고도 공유 디바이스들(200)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유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인 것처럼 살펴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명칭, 종류, 모델명 등 하나의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와 구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가 어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S160),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S170)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음악이나 영화의 경우에는 이를 재생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사진이나 이미지의 경우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가 공유 디바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공유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유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에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가 영화 또는 음악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생되는 종류인 경우에는, 공유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면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공유 디바이스들(20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류 또는 기설정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공유 디바이스들(20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음악에 관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200)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관계가 해제되는 경우 및 새로운 공유 디바이스(200)와 디지털 컨텐츠 공유 관계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유저 디바이스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공유 관계 해제]
사용자의 요청 또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프로그램의 종료에 의해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200) 간의 공유 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상호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디지털 컨텐츠 공유 프로그램의 종료의 경우에는 모든 공유 디바이스)에 대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철회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디지털 컨텐츠 공유 프로그램의 종료의 경우에는 모든 공유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철회를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철회를 통지받은 공유 디바이스도 유저 디바이스(100)에 대해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철회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상호 철회될 수 있다.
또는, 반대의 경우로,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공유 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공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유저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철회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의 철회를 통지받을 수 있다. 이때,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철회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유저 디바이스(100)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철회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상호 철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공유 관계가 해제되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50)는 공유 디바이스들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공유 관계가 해제된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에서 공유 관계가 해제된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삭제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공유 관계가 유지되는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게 된다.
[유저 디바이스와 공유 디바이스 간의 공유 관계 추가]
새로운 인접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유저 디바이스로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는 경우, 새로운 공유 관계가 추가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의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승인에 따라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허용하는 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인 공유 허용 디바이스 리스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가 공유 허용 디바이스 리스트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컨텐츠 액세스 권한 요청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 또는 PIN, NFC 등을 이용한 인증 없이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만일,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가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액세스 권한 설정부(130)는 사용자에게 승인 여부를 묻지 않고, 컨텐츠 액세스 권한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어 유저 디바이스(100)와 공유 관계가 형성되면,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130)는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게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갱신하여, 새로 추가된 인접 디바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의 설정 없이 사용자가 쉽게 디바이스들간의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의 공유 폴더를 액세스하지 않아도 공유된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타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공유에서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공유 관계가 추가 또는 해제되어도, 공유 관계의 변동의 통지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공유 관계가 변동된 클라이언트의 공유 폴더를 액세스하기 전에는 공유 관계의 변동 사실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에 따르면, 유저 디바이스와 공유 디바이스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공유 관계 변동의 통지가 유저 디바이스로 전달되기 때문에, 공유 관계의 변동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복수의 인접 디바이스들과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유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N:N 방식(N은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개수)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으로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불허하는 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인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를 보유하고, 검색된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이 상기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유저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 대가로, 상기 유저 디바이스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대가로, 상기 유저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저 디바이스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 및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 파일명, 파일 사이즈, 아이콘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및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때에 상기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2.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디바이스 검색부,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불허하는 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인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를 보유하고, 검색된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이 상기 공유 불허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에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요청하여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 액세스 권한 설정부,
    상기 인접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
    디지털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권한 설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는 대가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의 컨텐츠 액세스 권한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 부여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정보 공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대가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검색부는 로컬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접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 파일명, 파일 사이즈, 아이콘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및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때에 상기 공유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장소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바이스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KR1020120069491A 2012-06-27 2012-06-27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KR10146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91A KR101461446B1 (ko) 2012-06-27 2012-06-27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91A KR101461446B1 (ko) 2012-06-27 2012-06-27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83A KR20140001583A (ko) 2014-01-07
KR101461446B1 true KR101461446B1 (ko) 2014-11-14

Family

ID=5013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491A KR101461446B1 (ko) 2012-06-27 2012-06-27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32B1 (ko) * 2015-07-08 2016-10-25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콘텐츠 서버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05B1 (ko) 2015-01-21 2022-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탐색을 이용해 지역을 기반으로 광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26549A (ko) * 2021-03-09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입력 필드에 데이터 입력 방법
WO2023054905A1 (ko) * 2021-09-29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137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48310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137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48310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32B1 (ko) * 2015-07-08 2016-10-25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콘텐츠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83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6893B2 (en) Network connected media gateway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8677502B2 (en) Proximity based networked media file sharing
US8825598B2 (en) Media file synchronization
EP3528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ent
KR20050113626A (ko)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스테이션들 사이의 파일들을 공유하는방법
EP3136655B1 (en) Multimedia display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10289810B2 (en) Method, content owner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ing content items to authorized users
JP6074497B2 (ja) メディア情報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ィジタル・ホーム・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KR101461446B1 (ko)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지털 컨텐츠 공유 디바이스
WO2016070549A1 (zh) 一种数据的存储方法、移动终端及存储节点
BR112012002388B1 (pt) Método de fornecimento de conteúdo, e sistema de compartilhamento de conteúdo com um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em rede e um dispositivo de provimento de conteúdo
EP2211529B1 (en) Method for sharing file between control point and media server in a DLNA system, and system thereof
WO2014091728A1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情報通信装置
US9510384B2 (en) Pre-association content discovery
KR20100062104A (ko) 사용자 그룹 또는 그 그룹 간 콘텐츠 동기화 방법
CN103384232A (zh) 身份认证的方法及装置
WO2012155604A1 (zh) 一种控制数字移动网络联盟内容的方法及装置
TWI599892B (zh) Home network system file management and sharing methods
WO2023051096A1 (zh) 访问资源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30054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network server
GB2504725A (en) Resource sharing between devices
JP2018513484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記憶デバイスへのパーソナル化されたアクセス
JP2017062627A (ja) 認証処理システム、認証処理方法及び認証処理プログラム
CN116774932A (zh) 云盘服务器的访问方法及装置
KR20130012203A (ko) 개인 포털 플랫폼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