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63B1 -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63B1
KR101460763B1 KR1020140043853A KR20140043853A KR101460763B1 KR 101460763 B1 KR101460763 B1 KR 101460763B1 KR 1020140043853 A KR1020140043853 A KR 1020140043853A KR 20140043853 A KR20140043853 A KR 20140043853A KR 101460763 B1 KR101460763 B1 KR 10146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ange
plan
subscrib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205A (ko
Inventor
김창범
석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04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8Number portability ; Network address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사업자를 유지하고 약정 기간이 만료하지 않거나 통신 단말의 할부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기기 변경할 때 일정한 조건 하에서 통신 가입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는, 통신망의 과금 장치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과금 정보 처리부; 상기 통신 가입자의 가입 요금제 정보, 가입 기간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COMMUNICATION TERMINAL CHANGING SERVICE}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약정 기간이 만료하지 않거나 통신 단말의 할부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통신 단말을 기기 변경할 때 일정한 조건 하에서 통신 가입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은 휴대 가능한 1인 미디어 장치로써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 게임, 증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그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은 그 기능적 발전에 따라 가격 또한 상승하고 있으며, 고가의 통신 단말의 경우, 저가의 개인 컴퓨터와 거의 같은 수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통신 단말의 가격뿐 아니라 영상통화, 멀티미디어 메시지, 무선 인터넷의 이용에 따라 통신 요금 역시 이동통신사업 초기에 비하여 크게 증가한 상태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각 통신 사업자들은 다양한 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금 제도에 의하면,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고가의 통신 단말의 기기대금 및 통신 서비스 요금에 대한 요금 지원금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우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도 수익이 요구되므로, 가입자에게 12개월, 18개월, 24개월 등의 단위로 해당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것을 조건으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에 의하면 통신 사업자로서도 장기간 가입자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가입자도 지원금을 지원받아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통신 단말의 사용 기간이 길지 않은 것이 최근 추세인데, 위와 같은 요금 지원 제도는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의 변경을 제한하고 있다. 즉 약정 기간 내에 통신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 기존 약정 조건을 해지해야 하는데, 이때 약정 조건 해지에 따른 위약금이 부가되고 또한 통상적으로 약정 기간에 연동하여 통신 단말의 기기 대금을 할부 납부하는데 약정 조건 내 해지시 남은 할부금이 고객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통신 가입자들의 기기 변경 형태를 보면, 같은 통신 사업자를 유지하면서 통신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보다 통신 사업자를 변경하면서 기기 변경을 하는 경우(즉, 번호 이동)가 많다. 이는 통신 사업자들이 통신 사업자를 유지하면서 기기 변경을 하는 가입자보다 통신 사업자를 변경하거나 신규 가입하는 고객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기 때문이다. 즉 통신 사업자는 우수 고객을 서로 뺐고 뺏기는 악순환의 영업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2002-0068489(2008.08.27 공개) 국내공개특허 2010-0000819(2010.01.06 공개) 국내등록특허 10-0738683(2007.07.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통신 사업자를 유지하고 약정 기간이 만료하지 않거나 통신 단말의 할부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기기 변경할 때 일정한 조건 하에서 통신 가입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는, 통신망의 과금 장치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과금 정보 처리부; 상기 통신 가입자의 가입 요금제 정보, 가입 기간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을 적용한 금액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상기 가입 기간 중 어느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상기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최소 기간 이상의 가입 기간을 유지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수락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된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할부 잔금 및 기기 변경시 약정 가입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중 적어도 하나를 면제 처리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입자 관리 장치에서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신 가입자의 가입 요금제 정보, 가입 기간 정보 및 과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을 적용한 금액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상기 가입 기간 중 어느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상기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최소 기간 이상의 가입 기간을 유지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수락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된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할부 잔금 및 기기 변경시 약정 가입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중 적어도 하나를 면제 처리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정 기간이 만료하지 않거나 통신 단말의 할부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기기 변경하는 경우 일정한 조건 하에서 위약금과 남은 할부금을 면제해 줌으로써 고객을 지속적으로 가입자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량 고객들이 상기 일정한 조건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우량 고객을 지속적으로 가입자로 확보함으로써 통신 사업자의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과금 장치(110), 가입자 관리 장치(130), 금융 기관(150), 대리점 단말(170) 및 사용자 단말(190)을 포함한다.
과금 장치(110)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 등에 연결되어 통신 가입자의 통신 요금 등의 과금을 담당한다. 과금 장치(110)는 이동통신망의 회선 교환망(MSC:Mobile Switching Center), 패킷 교환망의 패킷 교환 노드(SGSN, GGSN) 또는 LTE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객체(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으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통신 기록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통신 기록을 이용하여 과금 정보 즉 통화 상세 기록(CDR:Call Detail Recod)을 생성한다. 과금 장치(110)는 과금 정보를 과금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고,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한다.
금융 기관(150)은 은행, 신용카드사 등의 서버를 포함한다. 금융 기관(150)은 통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지정된 금액을 통신 요금으로 상기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한다. 금융 기관(150)은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부터 통신 요금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통신 요금 정보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신하거나, 또는 통신 가입자의 이체 요청에 따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금액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금융 기관(150)은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부터 통신 요금에 대한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사에서 지정한 계좌로 통신 요금을 전송하고 납부 확인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통신 가입자의 정보는, 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 ID/패스워드와 같은 개인 식별정보, 가입한 요금제 정보, 약정 가입 기간 정보,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 가입 회선의 수, 통신 단말의 종류/할부 기간 및 할부 요금을 포함하는 가입 정보와, 음성 통화 및 무선 인터넷 이용 그리고 부가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정보 및 통신 요금 정보 그리고 통신 요금 수납 정보를 포함한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또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이동통신망의 과금 장치(110)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 즉 통화 상세 기록(CDR:Call Detail Recod)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상기 과금 정보와 요금제 정보를 이용하여 청구할 통신 요금을 산출한다. 또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금융 기관(150)으로부터 통신 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할 수 있고, 또는 통신 요금 수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가입자 정보 문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단말의 변경, 즉 통신사의 가입은 유지하면서 통신 단말만을 변경하는 기기 변경을 하려는 통신 가입자에 대한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특별 기기 변경은, 약정 기간 또는 통신 단말의 할부금 중 적어도 하나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기기 변경을 하는 경우 상기 약정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할부 잔금 납부를 면제해주는 기기 변경을 의미한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상기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특별 기기 변경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약정 기간, 경과 약정 기간, 남은 약정 기간, 약정 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통신 단말의 할부 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기기 변경 전 가입 정보, 즉 위약금, 변경 전 남은 통신 단말 할부 잔금을 면제 처리하거나 정상 납부 처리한다.
대리점 단말(170)은 통신 가입자의 가입 처리, 통신 단말의 개통 처리, 또는 통신 요금의 수납,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업무를 수행하는 대리점의 단말이다. 대리점 단말(170)은 퍼스널 컴퓨너,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고, 위와 같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리점 단말(170)은 통신 가입자에 대한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대리점 단말(170)은 통신 가입자의 예컨대 주민등록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 식별정보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대리점 단말(170)은 특별 기기 변경을 한 통신 가입자에 대한 변경 후 가입 정보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여 개통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90)은 통신 가입자의 단말로서, 퍼스널 컴퓨너,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90)은 해당 사용자의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190)은 사용자의 아이디/비밀번호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여 문의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특별 기기 변경에 대한 조건을 설명한다.
(1) 제 1 조건 :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기준 금액의 예로서 70만원을 들 수 있다.
① 제 1 조건의 누적 통신 요금의 제 1 예로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요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사의 정액제 요금제는 기본 요금에 따라 무료 통화 시간 및 무료 데이터량을 제공한다. 만약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및 무료 데이터량을 모두 소진하지 못한 경우, 기본 요금만을 납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통신 요금은 기본 요금이다. 한편,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기본 요금에 추가 요금이 부가되고, 이때 상기 통신 요금은 기본 요금에 추가 요금을 합한 요금이다. 이러한 두 경우에 있어서 기본 요금은 기본 할인이 적용된 요금일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요금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여 부가되는 요금뿐만 아니라, 링투유,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등의 여러 부가 서비스 이용 요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음성/영상 통화나, 무선 데이터량에 따른 요금 이외 위와 같은 부가 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② 제 1 조건의 누적 통신 요금의 제 2 예로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일 수 있다.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추가 요금이 부가되더라도, 상기 통신 요금은 추가 요금은 제외한 오직 기본 요금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이 주어지는 경우 기본 요금에서 기본 할인액을 제외한 요금이 통신 요금이 될 수 있고, 또는 기본 할인이 주어지더라도 기본 할인을 제외하지 않은 기본 요금을 통신 요금으로 할 수 있다.
③ 제 1 조건의 누적 통신 요금의 제 3 예로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요금제 변경에 따라 기간을 구분하여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ⅰ)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의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ⅱ)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요금을 누적하고(기본 요금 + 추가 요금), 변경 후 기간 동안에는 변경 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기본 요금 + 추가 요금).
ⅲ)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의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 기간 동안에는 변경 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기본 요금 + 추가 요금).
ⅳ)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요금을 누적하고(기본 요금 + 추가 요금), 변경 후에는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ⅴ)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변경 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을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ⅵ)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에 따라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을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2) 제 2 조건 :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한 가입 기간이 20 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특정 요금제는 현재 KT에서 출시한 LTE 77 요금제, 66 요금제 등의 정액 요금제를 들 수 있다.
(3) 제 3 조건 :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한 가입 기간이 최소 12 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특정 요금제는 현재 KT에서 출시한 LTE 77 요금제, 66 요금제 등의 정액 요금제를 들 수 있다.
(4) 제 4 조건 :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시 기존 통신 단말의 반납. 즉 새로운 통신 단말로 변경시 이전 사용 중이던 통신 단말을 반납하는 조건이다.
전술한 (1), (2), (3) 조건 중에서 (1) 또는 (2)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1), (2), (3) 조건 중에서 (1) 및 (2)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 조건은 최소 요구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이면서 상기 (1) 또는 (2)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거나, (1) 및 (2)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 조건 역시 기본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기존 통신 단말을 반납하면서 상기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건에서 기재한 요금 중 기본 요금에 대해서만 할인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터넷 전화나 PSTN 전화 또는 유선 인터넷 가입 등에 따라 휴대폰 요금에 적용되는 결합 할인 등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요금에는 이러한 각종 할인이 적용된 요금일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통신 가입자에 대한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기기 변경 전 가입 정보, 즉 위약금, 변경 전 남은 통신 단말 할부 잔금을 면제 처리하거나 정상 납부 처리하고, 기기 변경 후의 정보, 즉 새로운 약정 기간, 요금제 정보, 할부금 등의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고,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통신 회로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13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장치(13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장치(13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제어기는 칩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기타 입력 장치와 같은 장치(130)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촬영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
프로세서는 장치(13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장치(13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 그래픽 모듈(명령어 세트) 및 프로그램(명령어 세트)이 메모리에 탑재(설치)된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내장 운영체제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
그래픽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가입 정보 처리부(210), 과금 정보 처리부(220), 수납 처리부(230),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가입자 관리 장치(13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입 정보 처리부(21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는, 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ID/패스워드 등의 개인 식별정보, 가입 약정 요금제 정보, 약정 기간, 통신 단말의 종류/할부 요금 등의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가입 정보 처리부(210)는 통신 가입자가 대리점에서 특정 요금제에 가입하는 경우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입 정보 처리부(21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특정 가입자에 대한 요금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요금제 변경 요청 메시지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특정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를 변경한다. 요금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약정 기간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과금 정보 처리부(220)는 이동통신망의 과금 장치(110)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하고 그 과금 정보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할 통신 요금을 정산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수납 처리부(230)는 금융 기관(150)으로부터 통신 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할 수 있고, 또는 통신 요금 수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납 처리부(23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통신 가입자의 정산된 통신 요금을 지정된 기간에 통신 가입자가 지정한 금융 기관(150)으로 요청하고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할 수 있고, 또는 금융 기관(150)이 다른 곳으로 통신 요금을 이체한 통신 요금 수납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24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통신 가입자에 대한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가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
여기서 특별 기기 변경은 통신사는 유지하면서 약정 기간 또는/및 통신 단말의 할부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통신 단말만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상기 약정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할부 잔금의 납부를 면제해주는 기기 변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특별 기기 변경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약정 기간, 경과 약정 기간, 남은 약정 기간, 약정 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통신 단말의 남은 할부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에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통신 단말의 반납에 관한 통신 가입자의 수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240)는,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통신 가입자가 통신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기기 변경 전 가입 정보, 즉 위약금, 변경 전 남은 통신 단말 할부 잔금을 면제 처리하거나 정상 납부 처리한다. 그리고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240)는 해당 통신 가입자의 기기 변경 후의 가입 정보를 가입 정보 처리부(210)로 전달하고, 가입 정보 처리부(210)는 기기 변경 후의 가입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한 본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통신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금액인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수신한다(S301). 여기서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는, 통신 가입자의 약정 요금제 정보, 약정 기간, 통신 단말의 종류/할부 요금 등의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통신 가입자는 통신 서비스를 일정한 기간 동안 이용한 후, 통신 단말을 변경하기 위해 대리점을 방문하여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당 통신 단말 또는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고,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그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303). 상기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에는 통신 단말의 반납에 관한 통신 가입자의 수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가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05).
구체적으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해당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큰지 확인한다(S307). 여기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의 누적 금액이다.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추가 요금이 부가되더라도, 이때 상기 통신 요금은 추가 요금은 제외한 오직 기본 요금만이 해당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이 주어지는 경우 기본 요금에서 기본 할인액을 제외한 요금이 통신 요금이 될 수 있고, 또는 기본 할인이 주어지더라도 기본 할인을 제외하지 않은 기본 요금을 통신 요금으로 할 수 있다.
만약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지 않은 경우,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309). 예를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한 가입 기간이 20 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특정 요금제는 현재 KT에서 출시한 LTE 77 요금제, 66 요금제 등의 정액 요금제를 들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작고, 또한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보다 작은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11)
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거나 또는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313).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특별 기기 변경 조건 만족 여부에 관한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S315).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특별 기기 변경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약정 기간, 경과 약정 기간, 남은 약정 기간, 약정 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통신 단말의 남은 할부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 제 1 조건과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제 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통신 가입자가 수락하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의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으로서 최소 가입 기간을 요구한다. 즉,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401). 최소 가입 기간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준 금액 및 기준 기간을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최소 가입 기간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11).
도 3을 참조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한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 제 1 조건과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제 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조건과 제 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통신 가입자가 수락하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한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통신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금액이고, 통신 가입자가 서비스 이용 중 요금제를 변경하는 경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수신한다(S501). 여기서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는,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 약정 기간, 통신 단말의 종류/할부 요금 등의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통신 가입자는 통신 서비스를 일정한 기간 동안 이용한 후, 요금제를 변경할 수 있다. 통신 가입자는 대리점에 방문하여 요금제를 변경할 수 있고, 또는 자신의 통신 단말 또는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190)을 이용하여 요금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통신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190)로부터 요금제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를 변경한다(S503).
요금제를 변경한 후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통신 가입자는, 통신 단말을 변경하기 위해 대리점을 방문하여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당 통신 단말 또는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고,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그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505). 상기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에는 통신 단말의 반납에 관한 통신 가입자의 수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가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507).
구체적으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해당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509).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인 경우,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해당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지 확인한다(S511). 여기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의 누적 금액이다.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추가 요금이 부가되더라도, 이때 상기 통신 요금은 추가 요금은 제외한 오직 기본 요금만이 해당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이 주어지는 경우 기본 요금에서 기본 할인액을 제외한 요금이 통신 요금이 될 수 있고, 또는 기본 할인이 주어지더라도 기본 할인을 제외하지 않은 기본 요금을 통신 요금으로 할 수 있다.
만약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지 않은 경우,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513). 예를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한 가입 기간이 20 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특정 요금제는 현재 KT에서 출시한 LTE 77 요금제, 66 요금제 등의 정액 요금제를 들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보다 작은 경우, 또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작고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보다 작은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515).
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이면서,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거나 또는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517).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특별 기기 변경 조건 판단 결과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S519).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특별 기기 변경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약정 기간, 경과 약정 기간, 남은 약정 기간, 약정 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통신 단말의 남은 할부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최소 가입 기간을 최소 요구 조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최소 가입 기간을 최소 요구 조건으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상기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 제 1 조건과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제 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조건과 제 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통신 가입자가 수락하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도 5를 참조한 실시예는 통신 가입자가 서비스 이용 중 요금제를 변경할 때로서, 누적 통신 요금이 통신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금액인 것만 설명한다. 그러나, 누적 통신 요금은 요금제 변경에 따라 기간을 구분하여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ⅰ)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의 기간 동안은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도 역시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ⅱ)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실제 요금을 누적하고(기본 요금 + 추가 요금), 변경 후 기간 동안에도 역시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실제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기본 요금 + 추가 요금). ⅲ)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의 기간 동안은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변경 후 기간 동안에도 역시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실제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기본 요금 + 추가 요금). ⅳ)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실제 요금을 누적하고(기본 요금 + 추가 요금), 변경 후에는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ⅴ)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을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ⅵ) 요금제 변경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기본 요금을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변경 후에는 기본 요금을 누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누적 통신 요금은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통신 요금의 누적 금액인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대리점 단말(170)로부터 수신한다(S601). 여기서 통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는,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 약정 기간, 통신 단말의 종류/할부 요금 등의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통신 가입자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이동통신망의 과금 장치(110)로부터 해당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수신하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요금을 정산하여 저장한다(S603).
이와 같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통신 가입자는 통신 단말을 변경하기 위해 대리점을 방문하여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당 통신 단말 또는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가입자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고,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그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605). 상기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에는 통신 단말의 반납에 관한 통신 가입자의 수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가 특별 기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607).
구체적으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해당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큰지 확인한다(S609). 여기서 상기 누적 통신 요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가입자에게 청구되는 통신 요금의 누적 금액이다. 통신 가입자가 무료 통화 시간 또는 무료 데이터량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기본 요금에 추가 요금이 부가되고, 이때 상기 통신 요금은 기본 요금에 추가 요금을 합한 요금이 해당된다. 또한 상기 통신 요금의 추가 요금은 링투유,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 이용 요금이 포함될 수 있다. 기본 요금에는 기본 할인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지 않은 경우,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611). 예를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한 가입 기간이 20 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특정 요금제는 현재 KT에서 출시한 LTE 77 요금제, 66 요금제 등의 정액 요금제를 들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작고, 또한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보다 작은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613)
반면,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보다 크거나 또는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경우, 해당 통신 가입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615).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통신 가입자의 특별 기기 변경 조건 만족 여부에 관한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로 회신한다(S617).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 특별 기기 변경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약정 기간, 경과 약정 기간, 남은 약정 기간, 약정 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통신 단말의 남은 할부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한 상기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 제 1 조건과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제 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조건과 제 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통신 가입자가 수락하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의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으로서 최소 가입 기간을 요구한다. 즉,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대리점 단말(170) 또는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특별 기기 변경 가능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를 조회하여 해당 통신 가입자의 가입 기간이 최소 기간 이상인지 확인한다(S701). 최소 가입 기간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준 금액 및 기준 기간을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최소 가입 기간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 기기 변경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613).
도 7을 참조한 상기 실시예는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금액 이상인 제 1 조건과 가입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인 제 2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조건과 제 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특별 기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가입자 관리 장치(1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해당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통신 가입자가 수락하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과금 장치
130 : 가입자 관리 장치
150 : 금융 기관
170 : 대리점 단말
190 : 사용자 단말

Claims (30)

  1.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의 과금 장치로부터 통신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과금 정보 처리부;
    상기 통신 가입자의 가입 요금제 정보, 가입 기간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된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할부 잔금 및 기기 변경시 약정 가입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중 적어도 하나를 면제 처리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을 적용한 금액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가입 요금제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최소 기간 이상의 가입 기간을 유지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수락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변경 조건 판단부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시,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관리 장치.
  15. 삭제
  16. 가입자 관리 장치에서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가입자의 가입 요금제 정보, 가입 기간 정보 및 과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누적 통신 요금이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단계; 및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된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할부 잔금 및 기기 변경시 약정 가입 기간의 중도 해지에 따른 위약금 중 적어도 하나를 면제 처리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의 기본 요금에 기본 할인을 적용한 금액의 누적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요금제 및 상기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삭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최소 기간 이상의 가입 기간을 유지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모두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통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의 반납을 수락하고 누적 통신 요금 및 가입 기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가입자를 기기 변경 가능한 통신 가입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입자의 요금제 변경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요금제 변경 전 기간 동안은 변경 전 요금제 및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청구 요금에서 기본료를 제외한 추가 요금을 누적하고, 요금제 변경 후 기간 동안은 변경 후 요금제의 기본 요금을 누적하여, 그 합을 상기 누적 통신 요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삭제
KR1020140043853A 2014-04-11 2014-04-11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6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53A KR101460763B1 (ko) 2014-04-11 2014-04-11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53A KR101460763B1 (ko) 2014-04-11 2014-04-11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205A KR20140051205A (ko) 2014-04-30
KR101460763B1 true KR101460763B1 (ko) 2014-11-11

Family

ID=5065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53A KR101460763B1 (ko) 2014-04-11 2014-04-11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89A (ko) * 2002-08-02 2002-08-27 (주) 엘지텔레콤 이동전화 요금할인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8148B1 (ko) 2007-02-14 2008-09-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마일리지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3859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89A (ko) * 2002-08-02 2002-08-27 (주) 엘지텔레콤 이동전화 요금할인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8148B1 (ko) 2007-02-14 2008-09-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마일리지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3859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KT '착한기변'..고객 차별 논란, 뉴스토마토 기사 (2013.02.08.) *
SKT '착한기변'..고객 차별 논란, 뉴스토마토 기사<URL: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332949> (2013.0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205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49214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pporting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via prepaid telecommunication accounts
US82954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y-as-you-go”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2004505341A (ja) 無線装置内の複数の仮想ウオレット
US7643623B2 (en) Flexible mobile prepaid scratch card recharge
KR100704334B1 (ko) 이용 계약 전환 방법 및 통신 사업자 서버
US20090186598A1 (en) Automatic Step-Down of Prepaid Accounts for Communication Services
JP5167879B2 (ja) 電子マネー入金方法、電子マネー入金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460763B1 (ko)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79167A (ko) 선불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스템과서비스 제어방법
KR20000053684A (ko) 인터넷 프리 핸드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15171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859814B1 (ko) 상품 구매와 통신 요금을 연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방법, 기록 매체와, 애플리케이션
KR100404901B1 (ko) 선불제 통화시간 또는 유니트를 이용한 후불제 과금 방법
KR100742972B1 (ko)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형 국제전화카드와 그 판매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전화서비스방법
JP3949896B2 (ja) 加入契約方法、加入契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0753259B1 (ko) 전화서비스에서 잔액환불이 가능한 선불카드서비스제공방법
KR100961911B1 (ko)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한 무료통화 제공방법
KR20010035338A (ko) 무선통신 이용대금 대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080005017A (ko) 이동 통신 요금을 이용한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46679Y1 (ko) 선불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스템
KR20090037786A (ko) 선별적 광고부착을 통한 무료 메시지 발송 방법
JP2001306969A (ja) 代金徴収代行システム
JP2001307186A (ja) 携帯端末利用料金処理システム
KR200900174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통화료 전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