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647B1 - A blinker device - Google Patents

A blink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647B1
KR101460647B1 KR20140077293A KR20140077293A KR101460647B1 KR 101460647 B1 KR101460647 B1 KR 101460647B1 KR 20140077293 A KR20140077293 A KR 20140077293A KR 20140077293 A KR20140077293 A KR 20140077293A KR 101460647 B1 KR101460647 B1 KR 10146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groove
support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7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산업
Priority to KR2014007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6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6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for mounting a facility to which a traffic light is provided, comprising: a post having a lower post part having a tubular structure and provided to stand on the ground, a connection post part fitt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st part, fitted with a connection pipe having a wire connection hole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having a mounting hole for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fitted connection pipe and having a cover to be fitted on the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and an upper post part fit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st part; and a cross beam fitt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having a coupling hole provided to the fitted end. The connection pipe has a support ring further arranged to the inner periphery thereof so as to hold the end portion of the cross beam and the support ring has a bolt hole further provided to the coupling hole so as to couple a bolt such that the bol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by penetrating the bolt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is arranged for the support ring. Therefore, the cross beam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ost part while prevent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uch that the cross beam is not bolt-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at the outside. Therefore, at the time of raining, the bolt and the bolt coupling portion are prevented from being rusted, the generation of stains due to the flowing down of the rust is prevented, and the esthetic beauty can be provided by preventing the exposure of the bolt.

Description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 A blinker device }{A blinker device}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지주의 연결관에 지지링을 설치하고, 연결관에 인입되는 가로보의 단부를 지지링에 맞닿게 배치한 후 가로보를 볼트체결하여 지지링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외부에서 연결관과 볼트체결되지 않아 우천시 빗물에 의해 볼트 및 볼트체결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물이 흘러내려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for installing an assembly type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ar for installing a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a supporting ring is provided on a connecting pipe of a connecting post, Since the cross beams are fastened to the support ring by bolts, the cross beams are not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bolts and bolt fastening port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by the rain water in the rainy wea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mounting an assembly type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which provides aesthetic beauty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도로 및 건널목에는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그 지주에는 전원부와 연결함에 의해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도록 한 신호등을 설치하게 된다.Generally, a traffic light is installed on the roads and crosswalks so that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can be safely traveled by connecting the power unit to the pillar.

이러한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신호기의 일종으로서, 도로의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하여 적색, 녹색, 황색의 점멸로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 우회, 진행 따위를 지시하는 장치이다.Such a traffic light is a kind of traffic signal indicating traffic condition for safe traffic order. It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of a road and a crosswalk, and is a device for indicating stop, detour, or progress to a vehicle or a person by flashing red, to be.

상기 신호등은 주로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지주장치를 통해 도로의 상부쪽 공간에 설치한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462162호 에서와 같이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 끝부분에 외팔보형식으로 가로로 연결된 가로보에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으나, 지주와 가로보의 연결부위가 바람에 의한 진동 또는 가로보의 하중에 의해 벌려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traffic light is mainly installed in a space above the road through a holding device so that a vehicle or a person can easily identify it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raffic. In other words,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62162, a signal lamp is fixed to a cross beam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a strut installed on the floor in a cantilever shape, bu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rut and the beam intersects with the wi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opened or broken by the load.

또한, 최근 들어 상기 가로보에는 신호등을 비롯한 각종 교통표지판, 과속방지카메라 등이 함께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이 점차 증가하므로 강도의 보강이 필요하였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since the load applied by the traffic lights, various traffic signs, and the overspeed prevention camera are gradually increased, the reinforcement of the beams has been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가로보의 끝부분과 지주의 상부 끝부분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보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설치되기도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ire rope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cross beam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lumn is installed, and a pedestal is installed under the cross beam.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신호등용 지주장치는 와이어, 받침대 등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외관상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전체적으로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wire, the pedestal, and the like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onventional signal lamp hold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in appearance, which causes a bad appearance as a whole.

또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상하방향 유동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가 어렵다.In addition, when the wind is blown,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can be reduced, bu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flow from flowing back and fort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조립식으로 지주를 구성하고 가로보를 조립식 지주에 끼움식으로 설치한 후 볼트체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가로보를 조립식 지중에 외부에서 볼트체결하게 되므로, 빗물이 볼트가 체결되는 홈에 고여 볼트 및 볼트의 체결부위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로 볼트가 노출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support is construc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a cross beam is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post and the bolt is fastened. However, since the cross beam is bolted from outside to the prefabricated found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bolt and the bolt are corroded in the groove, and the bolt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esthetic is damag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지주의 연결관에 지지링을 설치하고, 연결관에 인입되는 가로보의 단부를 지지링에 맞닿게 배치한 후 가로보를 볼트체결하여 지지링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외부에서 연결관과 볼트체결되지 않아 우천시 빗물에 의해 볼트 및 볼트체결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물이 흘러내려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ring for a connecting pipe of a connecting strut, an end of a bar to be inserted into a connecting pipe, By fixing the bolts to the support ring, the bolts and bolts ar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y weather because the cross beams are not fastened with bolts to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an assembly type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that provides aesthetic beauty without being exposed.

본 발명은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끼움되고 외주연에 전선연결공을 갖는 연결관이 끼움되고, 끼움된 상기 연결관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는 마개를 갖는 강관구조의 연결지주와 상기 연결지주의 상부에 끼움되는 상부지주로 이루어진 지주와,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며 끼움되는 끝단에 결합공이 형성된 가로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에는 내주연에 상기 가로보의 끝단이 걸림되도록 지지링이 더 배치되며, 상기 지지링에는 상기 결합공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볼트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에 상기 연결관의 끝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서, 볼트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가로보가 상기 연결지주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for a traffic signal installation, comprising: a lower support having a tube structure and standing upright on the ground; a connection pipe fi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and having a wire connection hole on the outer periphery; A support having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cap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to be fastened to the tub and a top support to be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support, And a support ring is further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so that an end of the support rib is engaged with the support ring, and a bolt is fastened to the engagement hole, A bolt hol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bolt hole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is disposed in the support ring, By the fastening bolts, so bolting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so that the cross beam is fastened, on the connecting column.

또한,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방향체결홈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에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작동홈에는 순차적으로 걸림탄성스프링과 상기 걸림홈에 끼움되는 걸림돌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direction locking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and a direction lock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direction locking groove. In the direction locking groove, Wherein the operation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operating recess, and the operating recess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ngaging elastic spring and an engaging recess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ecess.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게 작동캡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캡에는 관통공과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과 볼트공이 형성된 상기 지지링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걸림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로보가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게 상기 지지링을 가압한 후 상기 볼트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가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peration cap is further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The operation cap has a through hole and a fastening hole, and the support ring, in which an elastic spring and a bolt hole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bol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bolt hole and the coupling hole after the supporting bar presses the supporting ring to compress the elastic spring. .

또한, 상기 연결지주의 내측면에는 전원선을 상기 설치구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구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부가 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연결지주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부와 상기 안내돌부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하부안내홈이 형성된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안내돌부를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부안내홈이 형성된 상부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uiding pa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st to prevent the power cord from being caught in the installation port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through the installation port, and the guiding part includes a pair of And a lower roller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protrusions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and formed with a lower guide groove and an upper roller having an upper guide groove formed to connect the guide protrusion to one side of the lower roller .

또한, 상기 지지링에는 알림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가로보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지지링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r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The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ing, which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ba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본 발명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는 연결지주의 연결관에 지지링을 설치하고, 연결관에 인입되는 가로보의 단부를 지지링에 맞닿게 배치한 후 가로보를 볼트체결하여 지지링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가로보가 외부에서 연결관과 볼트체결되지 않아 우천시 빗물에 의해 볼트 및 볼트체결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물이 흘러내려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 support ring for mounting a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ring is provided on a connecting pipe of a connecting strut and an end of a bar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ip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ring, It prevents the bolt and bolt joint parts from being corroded by the rain water in the case of rainy weather due to the fact that the cross beam is not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side,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illar for install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ar for mounting an assembl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ost mounting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upporting post for install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ar for mount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llar for installing an assembl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ost mounting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upporting post mounting structure for an assembl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an exampl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porting post for mount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t for mount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ner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ar for mount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mounting an assembly type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of the prefabricated road transport facilities for mounting a holding tank having a, Figure 8 is a view of the prefabricated road transport facility having an interior holding fitting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시설물 설치용 지주라 명명함)는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이에 이와같은 시설물 설치용 지주(10)는 지주(20)와, 가로보(3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a pilla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llar for installing a facility) for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ner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top or a progress signal so as to pass pedestrians and vehicles safely The supporting posts 10 for installing the facility are formed of a support 20 and a beam 30.

상기 지주(20)는 강관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데, 하부에 체결공을 갖는 베이스 패널이 용접고정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러한 지주(20)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하부지주(21)와, 상기 하부지주(21)의 상부에 끼움되는 강관구조의 연결지주(22)와 상기 연결지주(22)의 상부에 끼움되는 상부지주(23)로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The support 20 is formed by using a steel pipe and is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 base panel having a fastening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welded and fixed and fastened to an anchor bolt installed on the ground. A connecting column 22 of a steel pipe structure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lumn 21 and an upper column 23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column 22, This makes it easy to store and transport.

상기 연결지주(22)는 강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주(21)의 상부에 끼움되고 상기 연결지주(22)의 외주연에는 연결공을 관통되게 타공하여 형성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공에 전선연결공(221a)이 형성된 연결관(221)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끼움된 후 용접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공과 마주보게 관통된 구조로 형성된 설치구(222)에 연결지주에 끼움된 상기 연결관(221)의 단부가 끼움되어 용접고정되며, 상기 설치구(222)에 끼움된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는 마개(223)가 체결된다. 상기 마개(223)는 상기 연결관(221)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상기 마개(223)를 형성시켜 상기 연결관(221)의 단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necting strut 22 is formed of a steel pipe structure and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t 21 and is formed by piercing through the connecting hole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onnecting strut 22, One end of a connection pipe 221 having a wire connecting hole 221a form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nd then weld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hole 222 formed in a structure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hole 222, And a stopper 223 is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 The stopper 223 is screw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21. The stopper 223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223 can be forcedly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21 It is also possible.

상기 가로보(30)는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도록 강관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신호등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221)에 끼움되는 가로보(30)의 끝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가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결합공(31)이 형성된다.1, a signal lamp is fastened to an end of a beam 30 inserted into the coupling tube 221, as shown in FIG. 2, A coupling hole 31 having a threaded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y is formed so that the bolt is fastened.

이때, 상기 연결관(221)에는 내주연에 상기 가로보의 끝단이 걸림되도록 지지링(40)이 상기 연결관(221)의 내주연에 용접고정되거나 일체로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링(40)에는 상기 결합공(31)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볼트공(41)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40)에 상기 가로보(30)의 끝단부를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41)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31)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서, 볼트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가로보(30)가 상기 연결지주(22)에 체결,고정되도록 한다.The support ring 40 is welded or integrally instal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21 so that the end of the bar is hook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21. The support ring 40 is integral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21, A bolt hole 41 is further formed in the coupling hole 31 so that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41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eam 3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ing 40,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31 so that the beam 3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upling post 22 so that the bolted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면에 지주(20)를 조립하면서 세운 상태에서 가로보(30)의 단부를 상기 연결관(22)에 끼우고, 작업자가 상기 설치구(222)를 통해 볼트를 상기 볼트공(41)을 관통하여 결합공(31)에 체결한 후 지중에 매설되어 지주의 내부로 전달된 전선을 작업자가 연결관(221)의 전선연결공(221a)을 통해 상기 연결관의 단부(221)로 인출한 후 지지링(40)을 통해 가로보(30)로 인입시켜 가로보(30)에 설치되는 신호등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연결관(221)의 단부를 마개(223)로 폐쇄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First, the end of the beam 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22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20 is assembled on the ground. The worker inserts a bolt through the bolt hole 41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222 and fastens the bolt hole 41 to the joint hole 31. Then, the electric wire, which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post, 221 to the end portion 221 of the connection tube and then drawn into the beam 30 through the support ring 4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lamp installed on the beam 30 , And closing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21 with the stopper 223, a series of processes is completed.

이때, 상기 설치구(222)로 전선을 인출시킨 다음 가로보(30)에 전선을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봉(도시생략)에 인출시킨 전선을 체결 후 가로보(30)로 전선을 공급하는 것은, 가로보(30)의 길이가 길어 지주(20)의 전선을 연결지주(22)의 내부에서 절곡되게 바로 가로보(30)로 공급할 수 없어 설치구에 체결된 연결관의 단부로 인출시킨 후 전선을 직선으로 편 다음 인입봉에 전선을 고정시킨 후 인입봉을 가로보(30)의 내부로 밀어넣어 가로보에 설치된 설치홀을 통해 신호등에 전선을 연결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전선을 직선으로 편 후 인입봉 없이 가로보에 밀어 넣어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wire is drawn out to the installation hole 222 and then the electric wire drawn to the inserting rod (not shown) for inserting the electric wire into the cross beam 30 is fastened and the electric wire is supplied to the cross beam 30, 30 can not be supplied to the beam 30 so as to be bent at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st 22 because the length of the strut 20 is long and it is drawn out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After the wire is fixed to the next insertion rod, the insertion rod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beam 30, and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the signal lamp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provided in the beam.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wires in a straight line and then push them into the beam without the lead bar.

또한, 상기 가로보(30)를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221)에 볼트로 체결하지 않고,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링(40)에 볼트체결함으로서, 우천시 물기에 의해 볼트 및 볼트의 연결부위가 부식되거나 녹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ross bar 30 is bolted to the support ring 40 provided inside without connecting the bolt to the connection pipe 221 from the outside,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lt and the bolt is corro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ust from flowing down, and to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221)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2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30)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224)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32)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방향체결홈(224)에는 걸림홈(224a)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32)에는 작동홈(321)이 형성되고 작동홈에는 순차적으로 걸림탄성스프링(322)과 상기 걸림홈(224a)에 걸림되게 끼움되는 걸림돌부(323)가 더 설치되어, 상기 걸림탄성스프링(322)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홈(224a)을 상기 걸림돌부(323)의 상부가 가압하게 됨과 아울러 끼움되어 빠지지 않게 됨으로서, 상기 가로보(30)가 상기 연결관(221)에서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4, at least one direction locking groove 22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one end of the coupling pipe 221, and the directional locking groove 22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groove 30, And a locking groove 224a is further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224 and an operating groove 321 is formed in the locking groove 32. The operating groove 321 is formed in the operating groove The locking spring 3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323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224a so that the locking groove 224a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322 by the elasticity of the locking elastic spring 322. [ 323 are pressurized and fitted together and not pulled out, thereby preventing the cross beam 30 from being pulled out or moved from the coupling pipe 221. [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221)의 내부에는 작동부(2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5)는 상기 연결관(221)에 형성되는 작동홈(226)과 상기 작동홈(226)의 일단에 용접고정되는 관통공(227a)과 체결공(227b)이 형성된 지지패널(227)과 상기 지지패널(227)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홈(226)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S)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링(227)이 상기 탄성스프링(S)이 지지됨과 아울러 이동가능하게 상기 작동홈(226)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보(30)가 상기 탄성스프링(S)이 압축되게 상기 지지링(30)을 가압한 후 상기 볼트공(41) 및 상기 체결공(227b)을 관통하여 볼트가 상기 결합공(3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5 to 6, an operation part 225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tube 221 and the operation part 225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groove 226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221, A support panel 227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7a and a fastening hole 227b to be weld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groove 226 and a resilient member 227 disposed in the operation groove 226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nel 227. [ And the support ring 227 is disposed in the operating groove 226 so that the elastic spring S is supported and movable so that the bar spring 30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elastic spring S, A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41 and the bolt hole 227b,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hole 31 to be fixed.

즉, 상기 가로보(30)가 지지링(40) 및 탄성스프링(S)을 가압하면서 상기 작동부(225)에 배치되는 지지패널(227)의 체결공(227b)을 통해 볼트공(41)을 관통하며 결합공(31)에 볼트체결됨으로서, 가압된 탄성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결합공(31)에 체결된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링(40)은 상기 작동캡(225)에 이동되게 끼움되어 와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cross beam 30 presses the support ring 40 and the resilient spring S and presses the bolt hole 41 through the fastening hole 227b of the support panel 227 disposed in the operation part 225 And the bolt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31 are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urged elastic springs S by being bolted to the fastening holes 31, 225 to be a washer.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지주(22)의 내측면에는 전원선이 상기 전선연결공(221a)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선연결공(221a)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부(50)가 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50)는 상기 연결지주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부(51)와 상기 안내돌부(51)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하부안내홈(521)이 형성된 하부롤러(52)와 상기 하부롤러(52)의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안내돌부(51)를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부안내홈(531)이 형성된 상부롤러(53)로 이루어져, 지주의 하부에서 전달되는 전선이 상기 설치구(222)로 인출시 상기 하부안내홈(521)에 안내되고, 가로보(30)로 진입시 상부안내홈(531)에 안내되어 전선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전선연결공(221a) 및 가로보(30)의 걸림되거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7,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st 22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50 to prevent the power line from being caught by the wire connecting hole 221a while the power line is drawn out through the wire connecting hole 221a. The guiding part 50 includes a pair of guiding protrusions 5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ost and a lower guiding groove 521 connected to the guiding protrusions 51 for rotation, And an upper roller 53 connected to the guide protrusion 51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roller 52 and formed with an upper guide groove 531, The wire connecting hole 221a is guided to the lower guide groove 521 when the wire is drawn out to the mounting hole 222 and guided to the upper guide groove 531 when the wire reaches the beam 30, And the cross beam 30 ar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or peeled off.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롤러(52)와 상기 상부롤러(53)를 닿게 배치시켜 상기 하부안내홈(521)과 상기 상부안내홈(531)에 인입되어 안내되는 전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the lower roller 52 and the upper roller 53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ic wire guided into the lower guide groove 521 and the upper guide groove 531 is released to the outside .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링(40)에는 알림부(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알림부(60)는 상기 가로보(30)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지지링(40)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61)와 상기 압력센서(61)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62)로 이루어진다.8, the support ring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60. The notification unit 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ing 40 contacting the end of the cross bar 30, And a wireless transmitting unit 62 for transmitting signals of the pressure sensor 61 and the pressure sensor 61.

즉, 가로보(3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지지링(40)이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가로보(30)가 연결관(221)에서 분리되거나 이동되면 지지링(4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압력센서(61)가 그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송출부(62)에 전달하여 중앙관제실로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압력센서는 상기 지지링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That is, the support ring 40 is disposed in a pressurized state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cross beam 30. When the cross beam 30 is separated or moved from the connection pipe 221,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pport ring 40 is released The pressure sensor 61 transmits the signal to the electrically-connected wireless transmission unit 62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room.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is fixed to the support ring by bonding or screwing.

10 : 시설물 설치용 지주 20 : 지주
30 : 가로보 40 : 지지링
50 : 안내부 60 : 알림부
21 : 하부지주 22 : 연결지주
221 : 연결관 221a : 전선연결공
222 : 설치구
223 : 마개 224 : 방향체결홈
224a : 걸림홈 225 : 작동부
226 : 작동홈 227 : 지지패널
227a : 관통공 227b : 체결공
23 : 상부지주
31 : 결합공 32 : 방향체결돌기
322 : 걸림탄성스프링 323 : 걸림돌부
41 : 볼트공
51 : 안내돌부 52 : 하부롤러
521 : 하부안내홈 53 : 상부롤러
531 : 상부안내홈
61 : 압력센서 62 : 무선송출부
S : 탄성스프링
10: Facility installation landing 20: Landing
30: Rear beam 40: Support ring
50: Information section 60: Notification section
21: lower strut 22: connecting strut
221: Connector 221a: Wire connector
222: Installation area
223: stopper 224: direction fastening groove
224a: Retaining groove 225:
226: Operating groove 227: Support panel
227a: through hole 227b: fastening hole
23: Upper support
31: engaging hole 32: direction engaging projection
322: Retraction elastic spring 323:
41: Bolt hole
51: guide projection 52: lower roller
521: Lower guide groove 53: Upper roller
531: upper guide groove
61: pressure sensor 62: wireless transmission unit
S: Elastic spring

Claims (5)

신호등이 설치되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로서,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끼움되고 외주연에 전선연결공을 갖는 연결관이 끼움되고, 끼움된 상기 연결관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는 마개를 갖는 강관구조의 연결지주와 상기 연결지주의 상부에 끼움되는 상부지주로 이루어진 지주와,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며 끼움되는 끝단에 결합공이 형성된 가로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에는 내주연에 상기 가로보의 끝단이 걸림되도록 지지링이 더 배치되며, 상기 지지링에는 상기 결합공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볼트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에 상기 연결관의 끝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서, 볼트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가로보가 상기 연결지주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작동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일단에 고정되는 관통공과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링이 상기 탄성스프링이 지지됨과 아울러 이동가능하게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보가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게 상기 지지링을 가압한 후 상기 볼트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가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지주의 내측면에는 전원선을 상기 전선연결공을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선연결공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부가 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연결지주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부와 상기 안내돌부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하부안내홈이 형성된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안내돌부를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부안내홈이 형성된 상부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As a supporting post for installation of a traffic light,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so as to fix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which is fitted in the upper support and the connection pipe having the wire connection hole on the outer periphery, A supporting column having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cap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port,
And a crossbar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ipe,
The support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ring such that an end of the support pipe is hook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A bolt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support ring so that the bolt is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And the bolt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to fasten the bolt to the bolt hole so that the bol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bolt so that the bolt fastening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upporting structure mounting post,
Wherein the operation section includes an operation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a support panel having a through hole and a fastening hole fix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groove, Wherein the support ring is disposed in the operating groove so that the elastic spring is supported and movable so that the support bar presses the support ring to compress the elastic spring, A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 guiding par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st to prevent the power line from being caught by the wire connecting hole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through the wire connecting hole, And a lower roller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protrusions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and formed with a lower guide groove and an upper roller having an upper guide groove formed to connect the guide protrusion to one side of the lower roller A holding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향체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에는 외면에 상기 방향체결홈에 끼움되게 방향체결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방향체결홈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방향체결돌기에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작동홈에는 순차적으로 걸림탄성스프링과 상기 걸림홈에 끼움되는 걸림돌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direction locking groove is furth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and a direction lock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direction locking groove,
Wherein the locking groove is further formed in the direction locking groove and the oper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direction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ng groove so that the locking spring and the locking groove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stallation hol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에는 알림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가로보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지지링의 일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r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comprises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ing which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ba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A support for mounting a prefabricated road traffic facility.

KR20140077293A 2014-06-24 2014-06-24 A blinker device KR1014606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293A KR101460647B1 (en) 2014-06-24 2014-06-24 A blink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293A KR101460647B1 (en) 2014-06-24 2014-06-24 A blink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647B1 true KR101460647B1 (en) 2014-11-11

Family

ID=5228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7293A KR101460647B1 (en) 2014-06-24 2014-06-24 A blink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6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998U (en) * 1996-03-13 1996-09-17 有限会社ふじ工建 Washer with spring and nut with spring
KR100915799B1 (en) 2009-05-22 2009-09-07 제이엔케이기술단(주) Fixing equipment of electric pole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KR100958613B1 (en) 2009-11-24 2010-05-19 (유) 이티산업 Electric pole using cable guide
KR101085031B1 (en) 2011-03-18 2011-11-18 (주) 조영 Install mount for street fac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998U (en) * 1996-03-13 1996-09-17 有限会社ふじ工建 Washer with spring and nut with spring
KR100915799B1 (en) 2009-05-22 2009-09-07 제이엔케이기술단(주) Fixing equipment of electric pole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KR100958613B1 (en) 2009-11-24 2010-05-19 (유) 이티산업 Electric pole using cable guide
KR101085031B1 (en) 2011-03-18 2011-11-18 (주) 조영 Install mount for street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77B1 (en) Environment friendly street light electic pole
KR100880719B1 (en) Fixing structure street lamp prop in concrete base
CN110093875B (en) Light liftable section bar signal lamp pole subassembly
KR101379245B1 (en) A blinker device
KR100907078B1 (en) Fixing structure for light pole in outdoor lighting
KR101382408B1 (en) A blinker device
KR101137602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et light prop
KR101445563B1 (en) A blinker device
KR101199507B1 (en) Prop connection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Road Traffic Facilities
KR101007729B1 (en) A Multipurpose Pole
KR101460647B1 (en) A blinker device
KR20090038115A (en) Delineator structure for guide rail post
KR100950544B1 (en) Cable fixing device for streetlight
KR102243192B1 (en) Non-volt landfill lane regulatory rod
KR20110129002A (en) The road-lamp support of combination structure
KR101036237B1 (en) Pillar device for street furniture with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structure
KR100816722B1 (en) Coupling apparatus of street lamp prop with a same external diameter
KR200423441Y1 (en) a street lamp
KR101205544B1 (en) cap for pillar
KR101832618B1 (en) Ottogi with lane control bong
KR100998745B1 (en) Fence for sidewalk and roadway fixing apparatus
KR101536344B1 (en) Prefabricatde streetlamp prop
KR200407048Y1 (en) Eye Induction Rod
KR200479073Y1 (en) Steel prop for vehicle signal light
KR100795193B1 (en) Post assembly for hanging signal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