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360B1 -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360B1
KR101460360B1 KR1020070130207A KR20070130207A KR101460360B1 KR 101460360 B1 KR101460360 B1 KR 101460360B1 KR 1020070130207 A KR1020070130207 A KR 1020070130207A KR 20070130207 A KR20070130207 A KR 20070130207A KR 101460360 B1 KR101460360 B1 KR 10146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function
host
information
mas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772A (ko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USB 장치와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USB 장치는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와, 복수의 USB 기능을 포함하는 USB유닛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매스 스토리지만을 제어하도록 설정정보가 할당된 제1제어부 및 상기 USB유닛을 제어하도록 설정정보가 할당된 제2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매스 스토리지와, 상기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이 후술하는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 USB 장치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다기능 USB 장치와 표준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다기능 USB 장치의 매스 스토리지와,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호스트 PC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능 USB 장치에 내장된 매스 스토리지와 매스 스토리지 이외의 USB 기능이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는 이점이 있다.
USB, 멀티 기능, 동시 인식, USB Hub Controller

Description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A MULTI-FUNCTION USB APPARATUS, A FUNCTION OF USB SIMULTANEOUS RECOGNI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USB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장치에 각각의 설정정보가 할당된 두 개 이상의 컨트롤러를 구비하도록 하여, USB 장치에 내장된 매스 스토리지 및 그 이외의 USB 기능이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다기능 USB 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는 인텔, 컴팩, IBM, DEC, 마이크로 소프트, NEC, 노던 텔레콤 등 7개 기업이 합의한 PC(Personal Computer) 주변기기(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오디오, 스피커, PC 카메라, 스캐너, 프린터, 하드디스크, CD-ROM, CD-RW, DVD, FDD, ZIP drive, 모뎀, ISDN, 전화기, LAN 등) 포트 규격을 말한다.
상기 USB를 이용하면 복잡한 어댑터(드라이버 등)들의 설치와 제거를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현재 대부분의 PC 표준 장비로 채택되어 장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USB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뎀(Modem), 객체 교 환(Object Exchange;OBEX),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등의 USB 기능을 내장하여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 USB 장치(이하 "USB 장치"라 함.)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PC에 연결되면, 상기 호스트 PC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함.) 레벨(level)에서 상기 USB 장치의 매스 스토리지를 최우선 순위로 인식한다. 이는, 상기 매스 스토리지 드라이버가 상기 OS 내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OS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WINDOWS이다.
다시 말해, 상기 매스 스토리지 드라이버는 멀티 기능(Multi-Function)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호스트 PC는 상기 USB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다른 USB 기능(모뎀, OBEX, WIPI 등)과 상기 매스 스토리지를 동시에 인식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호스트 PC가 매스 스토리지 이외의 다른 USB 기능(모뎀, OBX, WIPI 등)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상기 USB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 셋트(Configuration Set; 이하 "설정정보"라 함.)가 변경되어야 했었다.
즉, 상기 USB 장치는 상기 매스 스토리지만으로 할당된 설정정보를 디스커넥트(disconnect)하고 상기 매스 스토리지 이외의 다른 USB 기능들로 할당된 설정정보를 리커넥트(reconnect)해야 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USB 장치에 구비된 USB 기능의 설정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설정정보는 USB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USB유닛(10)에 포함된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포함한 정보이다. 상기 설정정보는 일부 USB 기능(A)를 포함하거나 또는 모든 USB 기능(B) 을 포함하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매스 스토리지 이외의 다른 USB 기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상기 할당된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USB 기능을 리커넥트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설정정보로 리커넥트됨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에서는 상기 매스 스토리지는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기능 USB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USB 기능 중 매스 스토리지와 그 이외의 USB 기능이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USB 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기능 USB 장치는, 호스트 PC 연결시 가장 먼저 인식되는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및 USB 프로토콜에 따라 USB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유닛과,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대응하는 설정정보가 각각 할당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어부와,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이 상기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유닛에는 모뎀(Modem), 객체 교환(Object Exchange;OBEX),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전화접속, (동기 관리자)Sync Manager, 가상 직렬(Virtual Serial)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매스 스토리지 또는,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정보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대응되는 USB 기능의 기기정보(descriptor)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상기 설정정보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는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설정정보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의 제어부에는 멀티 기능이 미지원되는 설정정보가 할당된다.
상기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설정정보는 상기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이 조합되어 상기 제어부로 할당된다.
상기 멀티 기능이 미지원되는 설정정보는 매스 스토리지 정보만이 상기 제어부로 할당된다.
상기 제어부들은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은, 다기능 USB 장치와, 상기 다기능 USB 장치가 접속되면 매스 스토리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호스트 P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 PC에는, 상기 USB 장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 결과 USB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를 제일 먼저 인식하고 USB 표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유닛(CPU)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에 연결 구성된 각 제어부로부터 기기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USB 장치는 상기 기기정보 요청에 따라 내장된 모든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매스 스토리지에 대한 기기정보만을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들 중 다른 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상기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호스트 PC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은, 매스 스토리지 또는 USB유닛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대응되는 설정정보가 각각 할당된 두 개 이상의 제어부가 구비된 USB 장치가 호스트 PC에 접속되는 접속단계, 상기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호스트 PC는 USB 허브 컨트롤러를 제일 먼저 인식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 인식단계, 상기 인식된 USB 허브 컨트롤러에게 기기정보를 요청하는 기기정보 요청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부들은 모든 기기정보를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하는 기기정보 전송단계, 상기 기기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상기 호스트 PC는 상기 USB 장치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과정 수행단계, 상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호스트 PC가 상기 USB 장치의 모든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USB 기능 동시인식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의 기기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USB 기능 동시인식단계는, 상기 호스트 PC에서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이 동시에 인식 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USB 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모드 전환없이 USB 장치에 내장된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와 그 이외의 USB 기능이 호스트 PC에서 동시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트 PC에서 USB 장치에 내장된 매스 스토리지와 그 이외의 USB 기능이 동시 인식됨에 따라 호스트 PC에서는 매스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동시에 다른 USB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USB 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함.) 장치(100)에는, Windows의 운영체제 레벨(Operating System level) 관리에 따라 소정 정보를 저장하는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112)와, 상기 매스 스토리지 이외의 USB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USB유닛(114)이 구비된 기능모듈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USB유닛(114)에는 모뎀, 객체 교환(Object Exchange; OBEX), 위피(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전화접속, (동기 관리자)Sync Manager, 가상 직렬(Virtual Serial) 포트 등의 USB 기능이 포 함/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유닛(114)은 상기 USB 장치의 특성에 따라 두 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모듈부(110)에 구비된 매스 스토리지(112)만을 제어하도록 컨피그레이션 셋트(Configuration Set; 이하 "설정정보"라 함.)가 할당된 제1제어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제어부(120)에 할당된 설정정보에는 멀티 기능(Multi-Function)이 지원되지 않는 매스 스토리지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이하 "기기정보"라 함.)와 상기 매스 스토리지만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제어부(120)는 후술하는 호스트 PC(200)로부터 상기 USB 장치(100)의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매스 스토리지에 대한 기기정보를 상기 호스트 PC(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능모듈부(110)에 구비된 USB유닛(114)을 제어하도록 설정정보가 할당된 제2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제어부(130)에 할당된 설정정보에는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USB 기능의 기기정보와 상기 USB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정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2제어부(130)는 상기 호스트 PC(200)로부터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기기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제2제어부(130)에 각각 할당된 설정정보에 대한 모든 USB 기능이 상기 호스트 PC(200)에서 동시에 인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140)가 구비된다. 또,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는 상기 제1제어 부(120)와 제2제어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PC(200)와 접속을 위한 USB 포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USB 포트(150)와 연결되어 상기 USB 장치(100)의 설정정보에 대한 모든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호스트 PC(200)가 구비된다.
상기 호스트 PC(200)에는, 상기 USB 포트(150)와 연결되어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USB 컨트롤러(210)가 구비된다. 또, 상기 USB 컨트롤러(210)는 상기 USB 장치의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USB 컨트롤러(210)에 의해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USB 장치(100)의 기기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USB 장치(100)와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함.)(220)이 구비된다. 또, 상기 CPU(220)는 상기 요청된 기기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상기 초기화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전송된 기기정보에 대한 모든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을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USB 컨트롤러(210)는 USB 장치(100)가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계속 감지한다(S10).
상기 감지결과 상기 USB 장치(100)가 접속되면, CPU(220)는 상기 USB 장치(100)의 USB 허브 컨트롤러(140)를 먼저 인식한다(S20).
그리고, 상기 CPU(220)는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로 기기정보를 요청한다(S30).
그러면,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는 제1제어부(120)와 제2제어부(130)로 기기정보 요청 명령을 인가한다. 즉,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는 USB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게 기능모듈부(110)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 요청 명령을 인가하는 것이다.
제40단계에서는, 상기 요청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제2제어부(140)는 각각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USB 기능의 기기정보를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정보와 상기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포함한 정보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제어부(120)는 멀티 기능(Multi-Function)이 지원되지 않는 USB 기능으로 조합된 설정정보에 따라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112)에 대한 기기정보만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는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USB 기능으로 조합된 설정정보에 따라 USB유닛(11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만약, 상기 제2제어부(130)는 상기 설정정보가 모뎀, 전화접속, Virtual Serial 포트의 USB 기능으로 조합되어 있다면, 모뎀, 전화접속, Virtual Serial 포트에 대한 기기정보만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제2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된 기기정보는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140)에 의해 호스트 PC(200)로 전송된다(S50).
제60단계에서 상기 기기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상기 CPU(220)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70).
이에 따라, 상기 CPU(220)는 상기 전송된 기기정보에 대한 모든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S80). 이는, 상기 호스트 PC(200)가 상기 매스 스토리지를 인식하는 동시에, 모뎀, OBEX,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전화접속, Sync Manager, Virtual Serial 포트 등의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함께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상기 호스트 PC(200)는 상기 인식된 USB 기능에 대한 드라이버(driver)가 설치되면, 상기 인식된 USB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USB 장치에 구비된 USB 기능의 설정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USB 장치 110 : 기능모듈부
112 :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114 : USB유닛
120 : 제1제어부 130 : 제2제어부
140 : USB 허브 컨트롤러 150 : USB 포트
200 : 호스트 PC 210 : USB 컨트롤러
220 : CPU(중앙처리유닛)

Claims (18)

  1. 호스트 PC 연결시 가장 먼저 인식되는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및 USB 프로토콜에 따라 USB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유닛과,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대응하는 설정정보가 각각 할당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어부, 그리고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이 상기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정정보는 매스스토리지 또는 USB유닛에 포함된 USB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정보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대응되는 USB 기능의 기기정보(descriptor)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유닛에는 모뎀(Modem), 객체 교환(Object Exchange;OBEX),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전화접속, (동기 관리자)Sync Manager, 가상 직렬(Virtual Serial)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5. 호스트 PC 연결시 가장 먼저 인식되는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및 USB 프로토콜에 따라 USB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유닛과,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대응하는 설정정보가 각각 할당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어부, 그리고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이 상기 호스트 PC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는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설정정보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의 제어부에는 멀티 기능이 미지원되는 설정정보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설정정보에는 상기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이 조합되어 상기 제어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기능이 미지원되는 설정정보에는 매스 스토리지 정보만이 상기 제어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들은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USB 장치와,
    상기 다기능 USB 장치가 접속되면 매스 스토리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호스트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PC에는,
    상기 USB 장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 결과 USB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를 제일 먼저 인식하고 USB 표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유닛(CPU)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에 연결 구성된 각 제어부로부터 기기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장치는 상기 기기정보 요청에 따라 내장된 모든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매스 스토리지에 대한 기기정보만을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들 중 다른 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상기 할당된 설정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USB 기능에 대한 기기정보를 호스트 P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15. 매스 스토리지 또는 USB유닛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대응되는 설정정보가 각각 할당된 두 개 이상의 제어부가 구비된 USB 장치가 호스트 PC에 접속되는 접속단계;
    상기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호스트 PC는 USB 허브 컨트롤러를 제일 먼저 인식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 인식단계;
    상기 인식된 USB 허브 컨트롤러에게 기기정보를 요청하는 기기정보 요청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부들은 모든 기기정보를 상기 호스트 PC로 전송하는 기기정보 전송단계;
    상기 기기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상기 호스트 PC는 상기 USB 장치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과정 수행단계; 그리고
    상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호스트 PC가 상기 USB 장치의 모든 USB 기능을 동시에 인식하는 USB 기능 동시인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매스 스토리지의 기기정보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 기능이 지원되는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의 기기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SB 기능 동시인식단계는,
    상기 호스트 PC에서 상기 매스 스토리지 및 USB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USB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기능이 동시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장치를 이용한 USB 기능 동시인식 방법.
KR1020070130207A 2007-12-13 2007-12-13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146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07A KR101460360B1 (ko) 2007-12-13 2007-12-13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07A KR101460360B1 (ko) 2007-12-13 2007-12-13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72A KR20090062772A (ko) 2009-06-17
KR101460360B1 true KR101460360B1 (ko) 2014-11-10

Family

ID=4099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207A KR101460360B1 (ko) 2007-12-13 2007-12-13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708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200390099Y1 (ko) 2005-05-06 2005-07-18 (주)오성링크 Usb를 이용한 멀티 hdd 스토리지 장치
KR100543951B1 (ko) 2004-04-28 2006-01-20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컴퓨터와 주변장치간의 접속을 위한 자동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장치
KR20070054900A (ko) * 2005-11-24 2007-05-30 정경현 외장형 유에스비-디엠비 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708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100543951B1 (ko) 2004-04-28 2006-01-20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컴퓨터와 주변장치간의 접속을 위한 자동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장치
KR200390099Y1 (ko) 2005-05-06 2005-07-18 (주)오성링크 Usb를 이용한 멀티 hdd 스토리지 장치
KR20070054900A (ko) * 2005-11-24 2007-05-30 정경현 외장형 유에스비-디엠비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72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6853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127541B2 (en)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dapters
EP2661064B1 (en) Method for identifying universal serial bus hos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480184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式切替方法
US8356118B2 (en) Storage device and storage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US20100241772A1 (en) Thin client server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iver of a usb device
US20050216620A1 (en) KVM and USB peripheral switch
US8665474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medium for minimizing unnecessary processing associated with connection/disconnection of a same host
JP4556220B2 (ja) データ伝送ブリッジ装置とそのコントロールチップ及びデータ伝送ブリッジ方法
EP2428897B1 (en) Server device connecting with usb device and device sharing method
JP2009259296A (ja) 電子デバイスの構成方法
US10380049B2 (en) Multi-host supported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automobile head unit using the same
EP22112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USB endpoint multiplexing
KR20130003863A (ko)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US9569375B2 (en) Unifying class device interface with one host interface by using embedded controller
US20050091437A1 (en) Multi-function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bridge
US20090019192A1 (en) Usb transmiss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ccessing data in a first usb specification with a speed of a second usb specification
KR101366993B1 (ko)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시스템 및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방법
US20160077986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real-time switching and sharing of usb electronic devices among hosts
US201001800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USB endpoint multiplexing
KR101460360B1 (ko) 다기능 usb장치, 그의 usb 기능 동시인식 시스템 및방법
US200501826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automatically adjusting USB mass storage device
EP1594068A2 (en) PCI Bus system
TWM494348U (zh) 提供主機即時切換及分享通用串列匯流排(usb)電子設備之電子裝置
EP2587386B1 (en) Electronic systems and management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