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219B1 -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 Google Patents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219B1
KR101460219B1 KR1020120144588A KR20120144588A KR101460219B1 KR 101460219 B1 KR101460219 B1 KR 101460219B1 KR 1020120144588 A KR1020120144588 A KR 1020120144588A KR 20120144588 A KR20120144588 A KR 20120144588A KR 101460219 B1 KR101460219 B1 KR 10146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fixture
hole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0604A (en
Inventor
이용춘
이근기
박병석
한창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주식회사화이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주식회사화이날기업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12014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219B1/en
Publication of KR2014008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6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전기, 통신 및 설비 시공을 위해 조적벽체에 매립되는 각종 매립함과 고정구를 타공정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하여 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틀어짐없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설치때마다 측정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수평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정밀설치가 용이하며 고정수단 통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고정작업시 위치변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양측면은 전면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되고 불규칙한 천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단부는 둘 이상의 뾰족하게 형성된 천장쐐기부(11)를 형성하며 전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하나 이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고정수단 관통공(12)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 둘 이상의 암나사부(21)가 형성되는 받침(20)과; 불규칙한 바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20)의 암나사부(21)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나결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쐐기볼트(30)와; 상기 본체(10)의 고정수단 관통공(12)에 삽입되어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함 또는 고정구(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ogether a masonry wall for an apartment house and a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installed without measurement every time it is installed. It is equipped with horizontal checking means and it is installed precisel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means is formed as an elongated hole and the positional change is easy during the fixing ope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eiling wedge portion 11 formed by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upper and lower sides ar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and tightly adhered firmly to the irregular ceiling scene. (10) having a fastening means through-hole (12) formed i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having at least one elongated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ppor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body 20 and having a larg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two female threads 21 on the edge; A wedge bolt (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be firmly adhered to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and has a sharp bottom at its lower end; And a fixing means 40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through-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fixing the embedding box or fixture 3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gether.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structure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전기, 통신 및 설비 시공을 위해 조적벽체에 매립되는 각종 매립함과 고정구를 타공정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하여 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틀어짐없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설치때마다 측정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수평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정밀설치가 용이하며 고정수단 통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고정작업시 위치변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ogether a masonry wall for an apartment house and a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installed without measurement every time it is installed. It is equipped with horizontal checking means and it is installed precisely. And a fixed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wall can be fixed together with the burying walls for masonry walls for co-residential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s of the fixing means are formed as elongated holes to facilitate the positional change during the fix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선, 통신선, 난방수배관, 냉온수배관, 환기배관, 에어컨배관 등은 대부분 바닥, 천장, 벽체를 통해 연결되며 이들 중 바닥과 벽체를 통해 연결될 때는 미리 매립된 주름관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러한 주름관 배관이 단자함, 수전함 등의 매립함 또는 고정구를 통해 조적벽체에 매립배관된 뒤 전면만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기타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있다.Generally, most of the electric lines, communication lines, heating water piping, hot water piping, ventilation piping, and air conditioner piping installed in apartment buildings are connected through floor, ceiling and wall. When these are connected through floor and wall, And these pipes are buried in the masonry wall through the embedding box or fixture of the terminal box, the water receiving box, or the like, so as to be exposed only to the front surface, and are connected to other members.

이러한 조적벽체 매립함 또는 고정구는 바닥과 벽체 및 천장 콘크리트가 설치된 이후 조적벽체를 쌓을 위치에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채로 위치고정되어 벽돌을 쌓을 때까지 상기 매립함 또는 고정구를 위치고정하고 있어야 한다.The buried wall embedding fixture or fixture should be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at the position where the coarse wall is to be stacked after the floor, the wall and the ceiling concrete are installed, and the buried compartment or fixture should be fixed until the bricks are piled up.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조적벽체 매립함 또는 고정구 고정구조(50)는 공사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사각파이프(51)의 하단에 너트(52)를 용접한 뒤, 상기 너트(52)에 볼트머리가 하향하도록 볼트(53)를 결합하여 천장과 바닥에 밀착되도록 볼트(53)를 돌려 고정시킨 뒤, 사각파이프(51)의 전면에 드릴 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을 타공한 뒤, 배면에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밀착시키고 전면에서 고정볼트(54)를 상기 타공된 구멍을 통하여 관통시켜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고정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masonry wall embedding or fixing device fixing structure 50 is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commonly found in construction sites, and a nut 52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square pipe 51 A bolt 53 is coupled to the nut 52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is downwardly and the bolt 53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bottom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And the fixing bolts 54 are passed through the perforated holes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 or the fixing holes 3 so as to be embedded in the fixing holes 2 or 3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적벽체 매립함 또는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구조(50)는 사각파이프(51)의 상단면이 천장에 그리고 볼트머리가 바닥에 닿을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장면에 닿는 사각파이프(51)는 불규칙한 천장면에 온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바닥면에 닿는 볼트머리는 압착 밀착면이 하나의 회전 중심점이 되어 강하게 밀착시켜 고정하여도, 도 3의 (a1)과 (b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공정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F)을 받게 되면 도 3의 (a2)와 (b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머리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소정각도(∠a)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에는 볼트머리가 더 많이 돌아가면서 풀려 사각파이프(51)가 옆으로 쓰러져 버리는 경우도 위험한 사례도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fixing structure 50 for fixing the masonry wall embedding box or fixtur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upper face of the square pipe 51 touches the ceiling and the bolt head touches the floor, 3 (a1) and (b1), even though the square pipe 51 which is touched can not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irregular ceiling surface, and the bolt head which touches the tread surface is firmly adhered firmly, As shown in (a2) and (b2) of FIG. 3, when a shock (F) due to carelessness of another process worker is receive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bolt head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 And in the worst case, there is a dangerous case where the square pipe 51 is loosened while the bolt head is rotated more and more.

물론, 상기 충격(F)은 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야기되는 충격이나, 실제로 작업현장에서는 매우 자주 발생되는 일이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고정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Of course, the impact F is a shock caused by carelessness of another worker,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a practical work site. Therefore, development of a more rigid fixing structure is required.

도 3에서는 각도(∠a)를 약 10도로 표현하였으나 이보다 작은 각도로 틀어지는 경우에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같이 틀어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도 3의 (b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와 통신설비의 경우에는 배선과 연결된 콘센트(5)등의 설치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커버 설치작업이 어렵고, 도 3의 (a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비의 경우 매립되는 매립박스, 원형 수전구, 수전엘보우 및 티가 작은 각도라도 틀어지게 되면, 수전(4)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FIG. 3, the angle? A is expressed by about 10 degrees, but when the angle is changed to a smaller angle, it is not recognized at all. 3 (b3), it may be possible to install the outlet 5 connected to the wiring in the case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equipment, bu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cover, and as shown in FIG. 3 (a3) It is impossible to install the faucet 4 if the landfill box, round water bulb, faucet elbow, and tee are tilted at a small angle.

이러한 오차확인이 벽체 미장 또는 타일마감후 수전설치 작업시에나 발견되는데 이때는 이미 너무 늦어 해당부분을 파손시켜 재설치후 부분적으로 벽체마감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error check is found at the time of installing a waterproofing after finishing a wall or tile. However, at this time, it is already too late to break the part and re-install the wall partly.

또한, 종래 조적벽체 매립함 또는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구조(50)는 매립함(2) 또는 고정구(3)가 설치될 위치를 측정하여 관통공(55)을 뚫어야 하는데, 재사용하는 경우 작업장소를 옮길 때마다 새로 관통공(55)을 뚫게되어 몇 번 사용하면 관통공(55)이 너무 많아져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게 되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통공(55)을 잘못 뚫게 되면 다시 뚫는 방법 외에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fixing structure 50 for fixing the masonry wall embedding or fixture of the related art has to drill the through hole 55 by measuring the position where the embedding box 2 or the fixture 3 is to be installed. In case of reuse, The through hole 55 is drilled every time it is moved, and if it is used a number of times, the through hole 55 becomes too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position and making it impossible to use it any more. Further, if the through hole 55 is erroneously inser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adjusted except for the method of re-drill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공동주택의 전기, 통신 및 설비 시공을 위해 조적벽체에 매립되는 각종 매립함과 고정구를 타공정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하여 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틀어짐없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설치때마다 측정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수평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정밀설치가 용이하며 고정수단 통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고정작업시 위치변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out measuring every time of installation and it is equipped with horizontal checking means so that it is easy to precisely install i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fixed wall and an embedding box for a masonry wall toge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양측면은 전면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되고 불규칙한 천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단부는 둘 이상의 뾰족하게 형성된 천장쐐기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 둘 이상의 암나사부(21)가 형성되는 받침(20)과; 불규칙한 바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20)의 암나사부(21)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나결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쐐기볼트(30)와; 상기 본체(10)의 고정수단 관통공(12)에 삽입되어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함 또는 고정구(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eiling wedge portion (11) formed in a vertically long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and firmly attached to the irregular ceiling scene, (10); A suppor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body 20 and having a larg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two female threads 21 on the edge; At least two wedge bolts (30)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more firmly adhered to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and knott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fixing means (40) for fixing the embedding box or fixture (3)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through 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Th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fastening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the housing and the fastener together.

또한, 상기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천장쐐기부(11)는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를 위하여 본체(10)와 분리되어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iling wedge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for replacement due to breakage or abrasion, (Not shown).

또한, 상기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현장에서 매립함(2) 및 고정구(3)의 높이변경에 따른 정밀한 조절을 위하여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긴 하나 이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고정수단 관통공(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cisely control the height of the embedding box 2 and the fixing hole 3 in the field, the main body 1 has a vertical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astening means through-hole 12 formed by at least one long hole lo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또한, 상기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고정수단 관통공(12) 옆에 다수의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되는 눈금부(13)를 형성하여 매립함(2)과 고정구(3)의 높이 측정이 정밀하고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scale portion 13 having a plurality of graduations and numerical values next to the fixing means through-holes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embedding box 2 and the fixture 3 is precise and easy to measure.

또한, 상기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 또는 받침(20)의 소정위치에 액체와 기포가 내설된 투명체로 이루어진 수평확인부(22)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xing structure in which the coarse-wall masonry wall burying compartment and the fixture are fixed together, a horizontal check part 22 (see FIG. 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liquid and air bubbles embed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20 ) Is preferably provided.

또한, 상기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평면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장공의 고정수단 관통공(12)과 천장쐐기부(11) 및 외곽을 정밀하게 절단한 뒤 좌우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by means of a laser by means of a fixing means through-hole 12, a ceiling wedge portion 11, And then bending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ase plate.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공동주택의 전기, 통신 및 설비 시공을 위해 조적벽체에 매립되는 각종 매립함과 고정구를 타공정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하여 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틀어짐없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설치때마다 측정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수평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정밀설치가 용이하며 고정수단 통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고정작업시 위치변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order to construct electricity, communication and facilities of apartment house, various kinds of landfills and fixtures buried in masonry walls are firmly fixed so as not to rotate even in case of carelessness caused by other worker's work. And the scale is mark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out measurement every time of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install it with the horizontal check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through hole is formed as a long hol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provide a fixed structure in which the masonry wall embedding box and the fixture can be fixed together.

도 1 은 종래의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작업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조적벽체 매립함 및 고정구의 고정구조의 변형예를 보이는 사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xing structure of a masonry wall and fixing fixtures.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xing structure of a masonry wall and a fixture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oper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x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all-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a fixed wall embedding box and fix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ed structure of a fixed wall embedding box and a fix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xed structure of the fixed wall and the masonry wall embedding chamb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in order that the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and that the terms or words use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 by a method.

(실시예1)(Example 1)

먼저,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조(1)는 본체(10)와 받침(20)과 쐐기볼트(30)와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5, the fix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base 20, a wedge bolt 30, and fixing means 40. As shown in FIGS.

먼저, 상기 본체(10)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양측면은 전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단부는 3개의 뾰족하게 형성된 천장쐐기부(11)를 형성하며 전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다수의 장공으로 형성된 고정수단 관통공(1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 관통공(12) 옆에 다수의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되는 눈금부(13)를 형성하여 매립함(2)과 고정구(3)의 높이 측정이 용이하게 한다. First,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 shape in a cross-section,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re bent at right angles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ends are formed with three pointed ceiling wedge portions 11 A fixing means through hole 12 formed by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scale portion 13 having a plurality of graduations and numerical values is formed beside the fixing means through hole 12, Thereby facilitating the measurement of the height of the container (2) and the fixture (3).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천장쐐기부(11)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를 위하여, 본체(10)와 분리되어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가능한 구조이므로, 상기 천장쐐기부(11)는 마모에 강하고 강도가 높은 재질을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the ceiling wedge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 by using the fixing means 40 for replacement due to breakage or abrasion due to long-term use, .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detach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iling wedge portion 11 is manufactured by heat-treating a material having high abrasion resistance and high strength.

물론, 상기 좌우양측면 절곡각도는 소정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천장쐐기부(11)의 쐐기형상은 보다 많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left and right side bending angles can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wedge shape of the ceiling wedge portion 11 can be formed more.

또한, 상기 장공의 고정수단 관통공(12)은 하나의 장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현장에서 매립함(2) 및 고정구(3)의 높이변경 발생시 별도의 통공을 형성할 필요없이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2 of the long hole fixing means may be formed as one long hole, an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uried box 2 and the fixing hole 3 without forming a separate hole in the field Do.

상기 눈금부(13)는 천장으로부터의 높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업자들 대부분이 천장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매립함(2)과 고정구(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scale part 13 preferably displays the height from the ceiling. This is because most of the workers are installing the landfill (2) and fixture (3)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ceiling.

상기 본체(10)의 측면부 또는 받침(20)에 액체와 기포가 내설된 투명체로 이루어진 수평확인부(22)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수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확인부(22)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ide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or the horizontal check portion 22 made of a transparent body in which liquid and air bubbles are installed is provided on the base 20 to easily confirm the level. The horizontal check unit 22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monitor which is well known in the art.

이 때, 상기 본체(10)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도 가능하지만, 금속판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장공의 고정수단 관통공(12)과 천장쐐기부(11) 및 외곽을 정밀하게 절단한 뒤 좌우측면을 절곡기를 이용하여 절곡하여 형성하게 되면, 매우 정밀한 제품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하기되는 받침(20)도 함께 레이저로 절단하여 함께 결합하게 되면 직각과 수평이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10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pi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C' sha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aser on the metal plate to fix the through hole 12, the ceiling wedge 11, If the outer periphery is precisely cut and then left and right sides are bent by using a bending machine, a very precise product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Of course, when the base 20 is also cut with a laser and join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having a right angle and a horizontal precision.

또한, 상기 받침(20)은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 최소 두 개의 암나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21)의 형성을 위해서 받침(20)에 암나사부(21)를 탭핑하거나, 통공을 형성하고 너트를 용접할 수도 있다. The base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nd is formed to be wid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t least two female threads 21 on the side of the base. In order to form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may be tapped on the base 20, or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nd the nut may be welde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20)을 보다 넓게 형성하고 암나사부(21)를 2개 설치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20 is formed wider and two female threads 21 are provided.

또한, 상기 쐐기볼트(30)는 받침(20)의 암나사부(21)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나결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Further, the wedge bolt 30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from above and is formed to have a sharp bottom end.

그러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20)에 암나사부(21)를 3개 또는 4개 이상 형성하고 쐐기볼트(30)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이 보다 견고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6, it is more robust to form three or four female threads 21 on the base 20 and to fix the wedge bolts 30 by coupling them.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본체(10)의 고정수단 관통공(12)에 삽입되어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함 또는 고정구(3)를 고정한다. 종래 사용되는 볼트가 주로 이용되며 고정구(3)의 고정시에는 나비너트(41)와 함께 이용하는 것도 작업이 용이하다.
The fixing means 4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through-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fixes the embedding box or fixture 3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It is easy to work with the butterfly nut 41 when the fastener 3 is fixed.

이와 같이 제작된 조적벽체 매립함 또는 고정구의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installing the buried container 2 or the fixture 3 using the thus-fabricated buried wall embedding box or fixing device fix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미리 제작된 본 발명의 고정구조(1)를 현장으로 운반한다.First, the prefabricated fix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to the site.

다음, 벽체가 조적될 위치를 표시한 먹줄을 확인하고 매립함(2) 또는 고정구(3)가 설치될 위치를 측정하여 고정구조(1)를 위치시켜 천장에 천장쐐기부(11)를 밀착시킨다. Next, the diagonal line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wall is to be mated is check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mbedding box 2 or the fixture 3 is to be installed is measured, and the fixing structure 1 is positioned to closely contact the ceiling wedge portion 11 with the ceiling .

다음, 상기 받침(20)에 나결된 쐐기볼트(30)를 회전시켜 길어지게 하여 바닥에 꽉 물려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되, 수평확인부(22)를 확인하면서 수평이 유지되도록 위치시켜 고정시켜 본체(10)를 타 작업자의 충격에도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한다. Next, the wedge bolt 30 connected to the base 20 is rotated to make it lengthen and tightly joined to the floor so that the horizontal wedge bolt 30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floor. ) Should be firmly installed so that it can not be rotated even by the impact of other workers.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천장면에 접촉되는 천장쐐기부(11)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게 되고 바닥면에 접촉되는 쐐기볼트(3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게 되므로, 외부충격에 따른 회전 중심점이 발생되지 않아 상태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since the ceiling wedge portion 11 contacting the ceiling surface has three or more contact points and the wedge bolt 30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has two or more contact points, The rotation center point does not occur and the state is fixed.

상기 고정구조(1)는 제작시 수직과 수평이 정밀하게 제작되었으므로 수평을 맞추면 수직도 맞추어진다.Since the fixing structure 1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recisely manufactur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vertical structure is adjusted when the horizontal structure is adjusted.

다음, 상기 매립함(2) 또는 고정구(3)가 배치될 위치를 확인하고 본체(10)의 배면에 밀착시킨다.Next, the position where the buried container 2 or the fixture 3 is to be placed is confirm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다음, 상기 매립함(2) 또는 고정구(3)가 밀착된 위치에 고정수단 관통공(12)을 통하여 고정수단(40)을 삽입시켜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고정한다. 이때, 매립함(2)의 경우, 덮개(2a)를 결합한 뒤 덮개(2a)에 관통하여 결합한다.Next, the fixing means 40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means through-hole 12 at the position where the embedding box 2 or the fixture 3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embedding box 2 or fixture 3.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embedding box 2, the lid 2a is engag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lid 2a.

다음, 벽돌로 벽체를 쌓으면서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벽체 내에 매립시킨다.Next, the embedding box 2 or the fixture 3 is buried in the wall while the brick wall is being stacked.

다음, 상기 매립함(2)과 고정구(3)를 고정했던 고정수단(40)을 푼다.Next, the fixing means 40 fixing the embedding box 2 and the fixture 3 are unfastened.

다음, 상기 고정구조(1)의 쐐기볼트(30)를 풀고 고정구조(1)를 분리한다.Next, the wedge bolt (30) of the fixing structure (1) is released and the fixing structure (1) is detached.

다음,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Next, move to the next location.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조적벽체 내에 매립함(2) 또는 고정구(3)를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타 작업자가 타 공정을 위해 이동 및 작업시 발생되는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도 회전되지 않아 정밀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개선된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By the above-mentioned process, the buried box 2 or the fixing box 3 can be easily and firmly fixed, so that the other worker can not rotate due to inadvertent impact caused by movement or work for another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fixing structure which is fixed to be fixed.

미설명부호 2a는 매립함(2)의 덮개이고 6은 냉온수배관이다.
Reference numeral 2a denotes a cover of the landfill 2, and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cold / hot water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구조 2: 매립함
3: 고정구 4: 수전
5: 콘센트 10: 본체
11: 천장쐐기부 12: 고정수단 관통공
13: 눈금부 20: 받침
21: 암나사부 22: 수평확인부
30: 쐐기볼트 40: 고정수단
41: 나비너트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fixed structure 2: buried
3: fixture 4: faucet
5: Outlet 10: Body
11: ceiling wedge 12: fixing means through hole
13: scale part 20: base
21: Female thread part 22: Horizontal check part
30: wedge bolt 40: fastening means
41: butterfly nut

Claims (6)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양측면은 전면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되고 불규칙한 천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단부는 둘 이상의 뾰족하게 형성된 천장쐐기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 둘 이상의 암나사부(21)가 형성되는 받침(20)과;
불규칙한 바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20)의 암나사부(21)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나결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쐐기볼트(30)와;
상기 본체(10)의 고정수단 관통공(12)에 삽입되어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함 또는 고정구(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end portion forms a ceiling wedge portion 11 having two or more sharp points so as to firmly adhere to the irregular ceiling surface.
A suppor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body 20 and having a larg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two female threads 21 on the edge;
At least two wedge bolts (30)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more firmly adhered to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and knott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fixing means (40) for fixing the embedding box or fixture (3)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through 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Fixed structure that can fix both box and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천장쐐기부(11)는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를 위하여 본체(10)와 분리되고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wedge part (11) of the main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and detachable using fixing means (40) for replacement due to breakage and abrasion Fixed structure that can fix both box and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현장에서 매립함(2) 및 고정구(3)의 높이변경에 따른 정밀한 조절을 위하여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긴 하나 이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고정수단 관통공(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xing means through-hole 12 formed in at least one long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precisely adjust the height of the embedding box 2 and the fixture 3 in the field A fixed structure that can fix both the landfill and fixture toge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고정수단 관통공(12) 옆에 다수의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되는 눈금부(13)를 형성하여 매립함(2)과 고정구(3)의 높이 측정이 정밀하고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graduation portion 13 having a plurality of graduations and numerical values next to the fixing means through holes 12 so that the height of the embedding chamber 2 and the fixture 3 can be precisely measured It is a fixed structure that can fix the buried compartment and fixture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 또는 받침(20)의 소정위치에 액체와 기포가 내설된 투명체로 이루어진 수평확인부(22)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orizontal check part (2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20) and made of a transparent body in which liquid and bubbles are embedded. Fixable fixed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평면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장공의 고정수단 관통공(12)과 천장쐐기부(11) 및 외곽을 정밀하게 절단한 뒤 좌우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precisely cutting the fixing hole (12) and the ceiling wedge part (11) of the elongated hole and the outer edge by using a laser, and be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Fixed structure that can fix the wall embedding box and fixture together.
KR1020120144588A 2012-12-12 2012-12-12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KR101460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88A KR101460219B1 (en) 2012-12-12 2012-12-12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88A KR101460219B1 (en) 2012-12-12 2012-12-12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04A KR20140080604A (en) 2014-07-01
KR101460219B1 true KR101460219B1 (en) 2014-11-21

Family

ID=5173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588A KR101460219B1 (en) 2012-12-12 2012-12-12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2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08B1 (en) *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Electrical box fixing apparatus for masonry wall
KR102079806B1 (en) * 2019-08-06 2020-02-20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Terminal box for guiding concrete he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90Y2 (en) 1993-10-15 1998-12-16 株式会社内山商会 Tripod stepladder
KR200336928Y1 (en) 2003-09-23 2003-12-31 남창록 a supporting apparatus for electric wire box bury in brick wall
KR100981455B1 (en) 2010-01-20 2010-09-13 (주)나이스엔테크 Masonry for faucet stand
KR200457328Y1 (en) 2011-04-26 2011-12-15 강희준 A reinforcement bar using for building a brick ho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90Y2 (en) 1993-10-15 1998-12-16 株式会社内山商会 Tripod stepladder
KR200336928Y1 (en) 2003-09-23 2003-12-31 남창록 a supporting apparatus for electric wire box bury in brick wall
KR100981455B1 (en) 2010-01-20 2010-09-13 (주)나이스엔테크 Masonry for faucet stand
KR200457328Y1 (en) 2011-04-26 2011-12-15 강희준 A reinforcement bar using for building a brick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04A (en)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662B1 (en)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KR101460219B1 (en) Fixing Structure of Built-in Service Box and Fixing Member for Apartment House
WO2006089061A3 (en) Multi-purpose tool
KR200457795Y1 (en) Vertical Pipe Fixture
KR100730477B1 (en) Inside pipe protection device of apartment house wall
KR101469845B1 (en) Jig for fixing of plumbing
CN104989101B (en) Discharging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CN204059326U (en) A kind of pit retaining monitoring device
KR20130118566A (en) A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or the sinking and the water level
KR20110108902A (en) Exterior fixing device of building
KR101033530B1 (en) Safety kit for supporting ceiling formwork
KR101241325B1 (en) Carrying channel with symbol indication part
KR102587888B1 (en) Marking member for location indic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0441415Y1 (en) The measuring apparatus of length for construction of drains
CN218060451U (en)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horizontal displacement monitoring device
JP2009174124A (en) Pile core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KR20120008602A (en) level meter for multipurpose
CN207423169U (en) A kind of inclinometer pipe fixing device for installing
KR20110020339A (en) Sleeve for protecting pipe in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5545266B2 (en) Concrete receiving bracket for piping through hole
KR200415449Y1 (en) B-board
KR101260618B1 (en) A construction system of free form construction using template and the method of the same
CN208038944U (en) High ferro horizontal control point built-in fitting
CN208427759U (en) A kind of Anti-inclining lithium electricity electric drill
JP2019117042A (en) Positioning tool of installation plate for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