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64B1 -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 Google Patents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64B1
KR101459664B1 KR1020130128703A KR20130128703A KR101459664B1 KR 101459664 B1 KR101459664 B1 KR 101459664B1 KR 1020130128703 A KR1020130128703 A KR 1020130128703A KR 20130128703 A KR20130128703 A KR 20130128703A KR 101459664 B1 KR101459664 B1 KR 10145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release button
button
lock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복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3012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buckle having an inertia lever preventing a seat belt from being released even though a sudden inertial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ertia lever fixes an upper end portion of a slider in a hook manner as soon as a tongue plate is inserted, and an opposite side of the inertia lever fixes a release button. Thus, the release of the tongue plate due to the inertia may be perfectly prevent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inertia force. Also, since the button spring is mount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release button, the button may be balanced in left and right sides and independently move with respect to a locking pin to reduce detachment noises and prevent successive troubles.

Description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나 항공기 등 승객을 구속하는 목적으로 좌석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장치 및 이 시트벨트 장치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관성력이 작용하여도 시트벨트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관성레버가 장착된 시트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device installed in a seat for restraining a passenger such as an automobile or an aircraft, and a buckle for the seat belt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buckle of the seat belt is equipped with the inertial lever.

종래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좌석에는 충돌 등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시트벨트가 설치되며, 이런 종류의 시트벨트를 간단하고 쉽게 착탈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버클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버클은 텅플레이트를 받아들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락플레이트를 갖춘 락킹기구와 텅플레이트가 버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해제버튼을 갖춘 해제기구로 구성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seat belt is installed in a seat of a car or an airplane in order to protect a passenger from a collision. In order to easily and easily detach a seat belt of this kind, a buckle is generally provided, And a releasing mechanism having a releasing button for releasing the tongue plate to the outside of the buckle.

시트벨트의 버클에 대해서는 시트벨트의 지지를 받은 텅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해 버클의 락플레이트가 텅플레이트의 결합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해제저지 핀이 락플레이트의 상승 저지 위치에 유지하는 것으로 시트벨트가 승객에게 장착되고, 텅플레이트와 버클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이 해제 방향으로 압압되어 해제 저지 핀을 비결합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텅플레이트를 버클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며, 버클 본체에 텅플레이트가 잠금 위치까지 일단 완전하게 삽입되어 잠금된 후에는 버클에 충격이 더해져도 텅플레이트의 결합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일이 없이 잠금 상태에 확실히 보관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락플레이트를 상시 잠금 위치에 압압하며 동시에 해제 버튼을 현위치에 복귀시키고, 또한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를 하기 위해 해제 버튼을 가벼운 힘으로 압압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With respect to the buckle of the seat belt, the tongue plate supported by the seat belt is inserted into the buckle so that the lock plate of the buckle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of the tongue plate and the release inhibition pin is held at the rising stop position of the lock plate, The tongue plate is attached to the passenger, and the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tongue plate and the buckle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to move the release stop pin to the non-engagement position, thereby releasing the tongue plate from the buckle, After the lock plate is completely inserted to the lock position, the lock plate is held by the spring at the lock position by the spring so that the lock plate can be held in the locked state without being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and locking state of the tongue plate even if an impact is added to the buckle. While at the same time returning the release button to its current position, So that the release button can be depressed with a light force to release it.

여기서 근래에는 차량 충돌 등의 사고 시에 승객과 시트벨트 간의 느슨함에 의한 여러 가지 트러블 발생의 방지를 도모하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또는 버클 자체를 화약의 순간적인 폭발력을 이용하여 끌어내리는 버클 프리텐셔너 등의 안전장치가 제안되었다.A seat belt pretensioner for preventing various troubles caused by slackness between a passenger and a seat belt at the time of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or a safety device such as a buckle pretensioner for pulling down the buckle itself by using instantaneous explosive force of a gunpowder .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트벨트의 느슨함에 의해 발생하는 트러블을 방지,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는 프리텐셔너 등의 동작에 의해 버클에 순간적인 가속이 발생하면 버튼을 압압하지 않는 경우에도 의도하지 않게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텅플레이트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버클 자체를 시트벨트가 긴장될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끈다든지 반대로 시트벨트 자체를 긴장시킬 방향으로 끌게 되면, 해제를 위해 설치된 해제버튼이나 해제 저지 핀에 관성력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해 잠금 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시켜 텅플레이트를 배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f instantaneous acceleration occurs in the buckl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pretensioner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or improve troubles caused by slackness of the seat belt, the locking state is unintentionally released even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The tongue plate is discharged. More specifically, if the buckle itself is momentarily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 belt will be tensed, or if the seat belt itself is pulled in the direction to tense, the release button or the released stopper The inertial force acts on the pin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locked state, thereby forcib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thereby discharging the tongue plate.

여기서 이러한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쇼크프루프 장치가 없는 일반적인 시트벨트용 버클에서는 해제버튼에 압압되어 있는 스프링력을 증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스프링이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스프링에 저항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의 압압력(즉, 해리력)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성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tongue plate from being discharged, in a conventional buckle for a seat belt without a shock-proof device, a method of increasing the spring force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can be considered. However, (I.e., dissociation force) of the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release button.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버클의 급가속 발생에 따른 관성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버클 내부 본체 베이스에 관성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쇼크프루프 장치를 갖춘 버클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inertial force resulting from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buckle, a separate component is provided on the buckle inner main body base so as to allow the inertial lever to pivot and to prevent the release button from moving in the release direction Several buckles have been proposed.

종래 쇼크프루프 장치를 갖춘 버클로는 독일국 특허 공개 제9202526.9호 공보(DE9202526.9 U1, 제1 종래기술)에서 제안된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 및 비해제 방향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해제 버튼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면에서 해제 버튼 자체의 관성력이 관성 레버에 더해지게 되어 있지만, 상기 쇼크프루프 장치에서는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의 관성에 대해서는 관성레버에 의해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지만 이 해제 방향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하기 위해서는 관성레버의 관성력에 의한 모멘트를 해제 버튼의 관성력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As a buckle having a conventional shock proof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buckle having a shock-proof device in which the releasing direction of the releasing button proposed in DE 9202526.9 (DE9202526.9 U1, first prior art) The inertial force of the release button itself is added to the inertial lever. However, in the shock proof device, inertia of the release button in the release direction is prevented by the inertial lever from moving in the release dire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t the moment due to the inertial force of the inertial lever to be larger than the moment due to the inertial force of the release button.

여기서, 양(+)의 모멘트를 설정할 경우 이 쇼크프루프 장치에서는 해제 버튼의 비해제 방향으로 관성이 생기면 해제 버튼은 자체의 관성력으로 비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해제 버튼의 수직면에 원형으로 당접하는 관성레버의 관성력이 비해제 방향으로 이동되는 해제 버튼의 관성력보가 커져 해제 버튼이 해제 방향으로 이동해버릴 우려가 있으며, 또한 쇼크프루프 장치에서는 이러한 양(+)의 모멘트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양(+)의 모멘트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 및 비해제 방향의 어느 방향의 관성에 대해서도 관성 레버에 의한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에의 이동 저지가 불확실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moment of positive (+) moment is set in this shock proof device, if the inertia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release button as compared with the release button, the release button tries to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ertial force of the release butt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ertia force of the release button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inertia force of the lever and the release button is moved in the release direction. In the shock proof device, the positive moment can be set to be the same, +) Is set to be the same, it is uncertain whether the releasing button is released from the releasing direction by the inertia lever in any direction of the releasing direction of the releasing button o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leasing direction.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국 특허 공개 2005-144138(제2 종래기술)에서 제안된 쇼크프루프 장치로써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으로의 관성력에 의해 관성 레버에 작용하는 토크와 해제 버튼의 비해제 방향으로의 관성력에 의해 관성 레버에 작용하는 토크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해제 버튼의 어느 방향으로의 관성력에도 확실히 텅플레이트를 버클 내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성이 있었다.Another prior art is the shock-proof device prop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44138 (second prior art), in which the torque acting on the inertial lever by the inertial force in the release direction of the release button and the torque So that the tongue plate can be surely held in the buckle even in the inertia force in any direction of the release button.

제1 종래기술은 관성 레버의 관성력에 의한 모멘트와 해제 버튼의 관성력에 의한 모멘트를 동일하게 설정하지 않으면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 및 비해제 방향의 어느 방향의 관성에 대해서도 관성 레버에 의한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서는 텅플레이트와 버클과의 해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first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f the moment due to the inertial force of the inertial lever and the moment due to the inertial force of the release button are not set the s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tongue plate and the buckle can not be preven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dissociation between the tongue plate and the buckle can not be surely obtain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inertial force.

제2 종래기술은 해제 버튼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상쇄를 위해서 관성 레버의 관성력을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해리를 방지하는 구조로써 관성레버의 질량 및 부피를 과하게 증가시켜야할 필요성을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second conventional art has a problem that the inertia force of the inertial lever can be set to a larger value in order to cancel the inertial force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thereby preventing the dissociation of the inertial lever so that the mass and volume of the inertial lever must be increased excessively .

상기와 같이 해제버튼에 당접시키는 것과 관성레버의 관성모멘트를 응용하여 해제버튼의 관성력을 상쇄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버클들은 관성레버의 질량 및 부피를 증강시켜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높은 비중의 비철금속류나 소결용 금속분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원재료 가의 상승 및 제조공법에 의한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시트벨트의 해제를 위해 해제 버튼의 압압 시 관성 레버의 무게가 더해져 해리력 증대를 초래함은 물론 일반적인 착용과 탈거 시에도 동작하는 관성레버에 의해 이음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The buckles having a structure for abutting the release button and having a structure for canceling the inertial force of the release button by applying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inertial lever need to increase the mass and the volume of the inertial lever so that the non-ferrous metal of high specific gravity, The weight of the inertia lever is increased when the release button is pressed to release the seat bel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detachment force, 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joint occurrence due to the inertial lever which operates even when worn and detached.

마지막으로, 종래의 시트벨트 버클의 경우, 텅플레이트를 버클로부터 배출시켜 주는 스프링(이젝트 스프링)이 배출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통상적으로 버클 몸체 내부 해제기구 후방의 중앙부에 단 하나만이 위치하고 또한, 부착구 구성품도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후미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승객이 시트벨트의 탈거를 위해 텅플레이트를 버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공된 해제버튼을 누르면, 압력이 이젝트 스프링 및 락핀으로 전해져 텅플레이트가 배출 및 삽입 되면서 락핀이 해제버튼을 충격하는 충격음을 발생시켜 승객들의 버클 착용시 상당히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inal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eat belt buckle, only one spring (eject spring) for discharging the tongue plate from the buckle is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behind the buckle body internal release mechanism in order to maximize the discharge performance, The components are also located at the rear center portion where the spring is installed.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passenger pushes the releasing button provided to release the tongue plate to the outside of the buckle for detachment of the seat belt,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eject spring and the lock pin, and the tongue plate is discharged and insert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which is considerably unpleasant when the passenger wears the buckle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들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관성력의 크기 및 방향에 관계없이 관성에 의한 텅플레이트와 버클과의 해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le of a seat belt which can reliably prevent dissociation between a tongue plate and a buckle due to inertia regardless of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inertia force do.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해리력 증대를 최소화하고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e of a seat belt capable of minimizing an increase in dissociation force and reducing a manufacturing cost in spite of such a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버클의 해제버튼의 조작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여 최종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le of a seat belt that can reduce noise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a release button of a buckle, thereby improving the end user's user experi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제버튼과 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해제버튼과 결합하는 프레임과 이젝트스프링을 수용하여 텅플레이트를 버클 외부로 밀어 배출시키는 이젝터와 락스프링을 수용하여 락플레이트를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저지하는 위치로 고정시키는 락핀이 장착된 락슬라이더와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저지하는 래치를 갖춘 락플레이트와 관성력을 받는 관성레버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해제버튼에는 지지대 안착홈이 형성되며, 락슬라이더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관성레버는 락핀과 해제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피벗 방식으로 움직이며, 그 일측은 지지대 안착홈에 수용되고 그 타측은 텅플레이트가 삽입된 경우, 후크홈에 수용되어 관성에 의한 해제버튼 및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rame that houses a release button and other components and is engaged with a release button, an ejector and a lock spring that receive the eject spring and push the tongue plate out of the buckle, A lock plate having a lock slider equipped with a lock pin for holding the lock plate in a position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tongue plate, a lock plate having a latch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tongue plate, and an inertial lever receiving an inertia force, And the release button is formed with a support seat receiving groove, a lock slider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and the inertia lever is positioned between the lock pin and the release button and moves in a pivot manner, one side of which is received in the support seat receiving groove, When the plate is inserted, it is housed in the hook groove and prevents movement of the release button and the slider due to inertia The features.

또한 상기의 시트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위하여 해제버튼을 누르면 후크홈에 수용된 관성레버의 일측이 후크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uckle of the seat belt, when the release button is pressed to release the tongue plate, one side of the inertial lever housed in the hook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또한 상기의 시트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해제버튼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버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uckle of the seat belt, the release button is supported by a button spring supported by the frame.

또한 상기의 시트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버튼스프링은 두 개이며 해제버튼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uckle of the seat belt, the two button springs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lease button.

본 발명에 따르면, 텅플레이트의 삽입과 동시에 관성레버가 슬라이더 상단 부위를 후크 형식으로 고정시키고 그 반대편 일측은 해제버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관성력의 크기 및 방향에 관계없이 관성에 의한 텅플레이트의 해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of the tongue plate, the inertial lever fixe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lider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is fixed in the release button, thereby reliably releasing the tongue plate due to inertia regardless of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inertia for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버튼의 양쪽에 버튼 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으로 버튼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시키고 락핀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탈착 소음을 줄이고 연쇄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spring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lease button to maintain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utton and to move independently of the lock pin, thereby reducing the desorption noise and preventing the chain failur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프루프 장치를 갖춘 시트벨트의 버클의 사시도,
도2는 상기 버클의 프레임(200)을 나타낸 사시도,
도3a와 도3b는 상기 버클의 관성레버(300)를 상면 및 하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4는 상기 버클의 락슬라이더(400)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상기 버클의 락플레이트(500)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상기 버클의 이젝터(600)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상기 버클의 해제버튼(100)을 나타낸 사시도,
도8a는 상기 버클의 측면 단면도,
도8b는 상기 버클에 텅플레이트(1000)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9a와 도9b는 상기 버클이 가속도를 받는 경우 힘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le of a seat belt with a shock proo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200 of the buckle,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ertial lever 300 of the buckl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slider 400 of the buckl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plate 500 of the buckl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jector 600 of the buck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ease button 100 of the buckle,
8A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buckle,
8B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ngue plate 1000 is inserted into the buckle,
9A and 9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force when the buckle is subjected to accel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의 가독성을 위하여 도면상 대응되는 구조이거나 동일한 구성임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일부 도면상의 부호를 생략하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in some drawing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readability of the drawings, if they are construed corresponding to the drawings or can be easily confirmed to be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사시도를, 가시성을 위하여 일부 구성을 반투명으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해제버튼(100)이 결합하고 프레임(200)의 내부에는 관성레버(300), 락슬라이더(400) 및 이와 결합하는 락핀(410), 락플레이트(500), 이젝터(600) 등의 구성이 수용된다. 또한 락슬라이더(400)의 후단에는 락플레이트(500)에 의해 지지되는 락스프링(420)이 구비되고 이젝터(600)의 후단에는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는 이젝트스프링(610)이 구비되며 실시 예에 따라 해제버튼(100)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역시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는 버튼스프링(110) 두 개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in a translucent state for the sake of visibility. The release button 1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200 and the inertia lever 300, the lock slider 400 and the lock pin 410, the lock plate 500, (600) are accommodated. A lock spring 420 supported by the lock plate 50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 slider 400 and an eject spring 610 supported by the frame 20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ejector 600 Two button springs 110, which are also supported by the frame 200, may be symmetrically provided at the rear edge of the release button 100. [

도2는 구성요소 중 프레임(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프레임(200)에는 락슬라이더(400)의 락핀(410)이 해제 상태(텅플레이트가 배출된 상태)에서 안착되는 제1 안착홈(210)이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 상태(텅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락핀(410)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220) 역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터(600)를 배출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트스프링(610)이 안착되는 이젝트스프링 지지부(230)가 후단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단, 즉 해제버튼(100)이 결합하는 측에는 해제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튼스프링(110)이 안착되는 버튼스프링 지지부(240)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후 설명할 관성레버(300)의 피벗축(310)이 안착되는 회전홈(250) 역시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락플레이트 지지대(260)에는 락플레이트(500)의 양측이 안착되며 경사부(s)가 마련되어 있어 해제버튼(100)을 눌러 락플레이트(500)가 뒤로 밀릴 때 반대쪽에 위치하는 락핀(410)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200 among the components. The frame 200 has a first seating groove 210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 slider 400 so that the lock pin 410 of the lock slider 400 is seated in a released state (a state in which the tongue plate is discharged)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on which the lock pin 410 is seated is also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Also, an eject spring supporting portion 230 on which an eject spring 610 for pushing the ejector 600 in the ejecting direction is seated can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end. A button spring support portion 240 on which a button spring 11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release button is seated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lease button 100 to which the release button 100 is coupled. The rotary groove 250 on which the pivot shaft 310 of the inertial lev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may also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 lock plate 500 is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lock plate 500 and the slope part s is provided. When the lock plate 500 is pushed backwar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100, It plays the role of lifting.

도3a와 도3b는 각각 관성레버(300)에 대한 상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관성레버(300)에는 프레임(200)의 회전홈(250)에 결합되는 피벗축(310)이 구비되어 있어 프레임(200)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피벗축(310)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각각 관성레버 지지대(320) 및 후크(3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계속된다.
FIGS. 3A and 3B are top and rear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the inertial lever 300. FIG. The inertial lever 300 is provided with a pivot shaft 310 coupled to the rotation groove 250 of the frame 200 and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ame 200. In addition, inertial lever supports 320 and hooks 3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vot shaft 310,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continued later.

도4는 락슬라이더(400)의 사시도이다. 락슬라이더(400)는 락핀용 홈(450)에 락핀(410)이 결합하며 상기 락핀(410)이 프레임(200)의 제1 안착홈(210) 내지 제2 안착홈(220)에 위치하는 것으로 각각 해제 상태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슬라이드바(430)는 추후 설명할 락플레이트(500)의 슬라이드홈(510)에 락스프링(420)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게 된다. 특히 후크홈(440)이 구비되어 있어 추후 관성레버(300)의 후크(330)와 결합하여 그에 의한 지지를 받게 된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slider 400. FIG. The lock slider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ck pin 410 is coupled to the lock pin groove 450 and the lock pin 410 is posi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210 to 220 of the frame 200 Respectively, in the released state and the locked state. The slide bar 430 is engaged with the slide groove 510 of the lock plate 50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lock spring 420 interposed therebetween. In particular, the hook groove 440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hook 330 of the inertial lever 300 and supported by the hook 330.

도5는 락플레이트(5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락플레이트(500)에는 슬라이드홈(510)이 구비되어 락슬라이더(400)의 슬라이드바(430)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락플레이트(500)는 락슬라이더(40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게 되며 이러한 움직임으로 텅플레이트(미도시)를 고정(잠금 상태)하거나 고정을 해제(해제 상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고정 래치(520)가 텅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된 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텅플레이트를 구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텅플레이트가 삽입될 때 이젝터(600)가 밀게되는 돌출부(530)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락플레이트(50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축(540)이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plate 500. FIG. The lock plate 500 is provided with a slide groove 510 so that the slide bar 430 of the lock slider 400 is engaged. As a result, the lock plate 500 moves under the guidance of the lock slider 400 and serves to lock (unlock) or unlock (unlock) the tongue plate (not shown). At this time, the fixing latch 520 is fitted in a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ngue plate, thereby fixing and fixing the tongue plate. A protrusion 530 to which the ejector 600 is pushed when the tongue plate is inserted can be symmetrically provided and a support shaft 540 for fixing the lock plate 500 to the frame 200 can be provided on both sides have.

도6은 이젝터(600)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젝터(600)의 후단의 스프링홈(620)에는 이젝트스프링(610, 본 도면에서는 미도시)이 끼워져 그 반대쪽은 프레임(200)의 이젝트스프링 지지부(230)의 지지를 받아 이젝터(600)에게 미는 힘을 제공한다. 텅플레이트(미도시)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 버클에 삽입되면서 이젝터(600)의 전단, 즉 당접부(610)를 밀며 삽입되며 이 때 작용하는 에너지는 이젝트스프링(610)에 저장되며 추후 해제버튼(100)을 눌러 해제 상태로 전환될 때 이 저장된 에너지로 텅플레이트를 밀어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텅플레이트가 삽입되면서 이젝터(600)가 뒤로 밀리면 푸쉬바(630)가 락플레이트(500)의 돌출부(530)를 밀며 락핀(410)을 제2 안착홈(220)으로 위치하게 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jector 600. FIG. An eject spring 610 (not shown in the figure) is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620 at the rear end of the ejector 600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eject spring support portion 230 of the frame 200, Provide strength. The tongue plat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eat belt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ushes the front end of the ejector 600, that is, the contact portion 610. The energy is then stored in the eject spring 610, When the button 100 is depressed, the tongue plate is pushed out of the tongue plate by the stored energy. When the ejector 600 is pushed back while the tongue plate is inserted, the push bar 630 pushes the protrusion 530 of the lock plate 500 and positions the lock pin 410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도7은 해제버튼(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해제버튼(100)에는 양측으로 버튼스프링(110)이 안착될 버튼스프링 안착부(120)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텅플레이트(미도시)의 분리를 위해 해제버튼(100)을 누르는 경우, 락핀(410)을 뒤로 밀어 제2 안착홈(220)으로 이동시켜 버클을 해제하기 위한 락핀 푸쉬부(130)가 역시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 안착홈(140)에는 관성레버(300)의 관성레버 지지대(320)가 수용된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lease button 100. FIG. When the release button 100 is pressed to release the tongue plate (not shown), the release button 10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with the button spring seating part 120 to which the button spring 110 is to b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lock pin push portion 130 for releasing the buckle by moving the lock pin 410 backwar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may also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The inertial lever support 320 of the inertial lever 300 is received in the support seat seating groove 140.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벨트의 버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단, 각 스프링들의 도시는 생략)이다. 상기 도면 및 앞서 설명했던 도면들을 토대로 버클의 작동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8a는 텅플레이트(1000)가 장착되기 전의 버클의 상태를 나타낸다. 관성레버(300)의 관성레버 지지대(320)는 해제버튼(100)의 지지대 안착홈(140)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젝터(600)는 이젝트스프링 지지부(230)에 안착된 이젝트스프링(미도시)의 미는 힘에 의해 앞쪽, 즉 해제버튼(100)을 향해 전진되어 있다. 락슬라이더(400)의 락핀(410)은 도2에서 볼 수 있는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락슬라이더(400)와 결합되어 있는 락플레이트(500)의 고정 래치(520)는 위쪽을 향해 들려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Figs. 8A and 8B are side sectional views (not shown) of the buckl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buck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drawings and the above-described drawings. 8A shows the state of the buckle before the tongue plate 1000 is mounted. The inertial lever support 320 of the inertial lev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seat seating groove 140 of the release button 100 and the ejector 600 is mounted on the ejection spring support portion 230 And is advanced toward the front side, that is, toward the release button 100 by the pushing force. The lock pin 410 of the lock slider 40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10 as seen in FIG. 2, and thus the locking latch 520 of the lock plate 500,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 slider 400, Is held upwardly.

도8b는 텅플레이트(1000)가 버클에 삽입된 상태의 버클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텅플레이트(1000)가 삽입되면서 이젝터(600)를 밀고 들어가며 이 때 이젝터(600)의 푸쉬바(630)가 락플레이트(500)의 돌출부(530)를 미는데 락플레이트(500)는 양측에 구비된 지지축(540)에 의해 프레임(200)에 지지되므로 지렛대의 원리로 락플레이트(500)는 고정 래치(520) 지점이 아래쪽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결국 락플레이트(500)와 결합되어 있는 락슬라이더(400) 및 이에 결합된 락핀(410)이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락핀(410)은 이 힘과 락스프링이 미는 힘에 의해 프레임(200)의 제1 안착홈(210, 도2)에서 이탈하여 제2 안착홈(220)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며 이러한 락핀(410)의 이동으로 락플레이트(500)는 고정 래치(520)가 텅플레이트(1000)에 맞물린 채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원리로 텅플레이트(1000)가 시트벨트 버클에 구속되며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이 때 관성레버(300)는 일측, 즉 관성레버 지지대(320)가 해제버튼(100)의 지지대 안착홈(14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락핀(410)의 이동에 의해 락슬라이더(400)가 관성레버(300)를 밀고 들어오면 후크(330)가 후크홈(44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8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uckle with the tongue plate 1000 inserted into the buckle. The push plate 630 of the ejector 600 pushes the projecting portion 530 of the lock plate 500 at this time and the lock plate 5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The lock plate 500 is urged downward by the point of the fixing latch 520 and the locking plate 500 is locked with the locking plate 500. [ The slider 400 and the lock pin 410 coupled thereto are subjected to a downward force. 2) of the frame 200 due to this force and the pushing force of the lock spring and is mov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The lock pin 410 is fix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The lock plate 500 is firmly fixed with the fixing latch 520 engaged with the tongue plate 1000. [ With this principle, the tongue plate 1000 is restrained by the seat belt buckle and protects the occupant. At this time, the inertial lever 300 i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one side, that is, the inertial lever support 320 is receiv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140 of the release button 100, When the slider 400 pushes the inertial lever 300, the hook 330 is retained in the hook groove 440.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해제버튼(100)은 따로 구비된 버튼스프링(110, 도1)에 의해 독립적으로 탄성을 제공받으므로 락핀(410)이나 락슬라이더(400), 혹은 이젝터(600)와는 독립되어 상기 각 구성들과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텅플레이트(1000)가 삽입되며 락핀(410)이 제1 안착홈(210, 도2)에서 제2 안착홈(22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락핀(410)이 해제버튼(100)의 락핀 푸쉬부(130, 도7)을 타격하는 소음 등 종래의 시트벨트 버클 구조에서 존재할 수 있는, 락슬라이더(400), 혹은 이젝터(600) 등의 구성이 해제버튼(100)을 타격하는 소음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버튼스프링(110)을 하나가 아닌 두 개를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하여 해제버튼(100)을 지지하므로 해제버튼(100)이 눌러지거나 원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의 움직임이 부드러워지며 원활해질 수 있다.
The release button 100 is independent of the lock pin 410 or the lock slider 400 or the ejector 600 because the release button 100 is independently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separately provided button spring 1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terval with 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Therefore, when the tongue plate 1000 is inserted and the lock pin 410 moves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210 (FIG. 2)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20, the lock pin 410 of the release button 100 The structure of the lock slider 400 or the ejector 600 or the like which may exist in the conventional seat belt buckle structure such as noise hitting the seat 130 (Fig. 7) may eliminate the noise hitting the release button 100 have. In addition, since the two button springs 110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instead of one but the release button 100 is supported, the movement in the process of depressing or restoring the release button 100 is smooth and smooth have.

버클의 해제는 해제버튼(100)을 누르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먼저 해제버튼(100)이 밀려 들어오면 관성레버(300)는 피벗축(310)에 의해 프레임(200)의 회전홈(250, 도2)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해제버튼(100)의 움직임은 관성레버 지지대(320)로 전달되어 관성레버(300)는 도8b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며, 그에 따라 후크(330)가 후크홈(44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락핀 푸쉬부(130, 도7)가 락핀(410)을 후방, 즉 제1 안착홈(210, 도2) 쪽으로 밀며 이 때 락플레이트(500) 역시 후방으로 밀리므로 락플레이트(500)의 지지축(540, 도5)이 프레임(200)의 경사부(s)에 당접하면서 락플레이트(500)는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힘을 받으며 이 힘에 의해 락핀(410)은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되고 고정 래치(520)가 위로 들리면서 텅플레이트(100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구속이 해제된 텅플레이트(1000)는 이젝트스프링(미도시)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이젝터(600)를 밀면 그에 의해 따라 밀려 나와 밖으로 배출된다.
The release of the buckle can be achieve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100. When the release button 100 is pushed in first, the inertial lever 300 is pivoted by the pivot shaft 310 to the rotation grooves 250, The movement of the release button 100 is transmitted to the inertial lever support 320 so that the inertial lever 3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8B, 330 are released from the hook groove 440. At the same time, the lock pin push portion 130 (FIG. 7) pushes the lock pin 410 rearward, that is, toward the first seating groove 210 (FIG. 2) The lock plate 500 is urg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support shaft 540 (FIG. 5) abuts against the inclined portion s of the frame 200. By this force, the lock pin 410 is rot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10 And releases the restraint to the tongue plate 1000 as the fixed latch 520 is lifted upward. In the tongue plate 1000 whose restraint is released,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eject spring (not shown) pushes the ejector 600 and is pushed by the ejector 6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9a와 도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버클이 가속도를 받는 경우 힘의 관계(화살표로 표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9a와 관련하여, 버클이 왼쪽, 즉 해제버튼(100) 방향으로 가속도를 받는 경우, 해제버튼(100)은 그 반대쪽, 즉 버튼이 눌리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받게 되며, 락슬라이더(400) 역시 해제버튼(100)과 같은 방향의 관성력을 받게 된다. 두 경우 모두, 락핀(410)을 제1 안착홈(210, 도2)으로 이동시켜 버클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이므로 의도치 않은 버클의 해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상단에 무게중심(CG)을 보유하는 관성레버(300)는 관성력에 의하여 피벗축(31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므로 관성레버 지지대(320)는 해제버튼(100)이 받는 관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해제버튼(100)에 힘을 작용하여 관성에 의한 해제버튼(100)의 해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막는다. 또한 락슬라이더(400)의 후크홈(440)에는 관성레버(300)의 후크(330)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관성력에 의해 관성레버(300)는 상기 체결을 더욱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락슬라이더(400)는 관성력을 받는 방향, 즉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없게 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관성에 의한 버클의 해제를 막을 수 있다.
9A and 9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orce (indicated by an arrow) when the buckl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cceleration.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buckle receives acceleration in the left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release button 100, the release button 100 receives inertial force on the opposite side, The inertial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lease button 100 is received. In both cases, when the lock pin 410 is mov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210 (Fig. 2) and a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buckle, unintentional release of the buckle may occur. However, since the inertial lever 300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CG at the upper end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pivot shaft 310 due to the inertial force, the inertial lever supporter 320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310, The force is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release button 100 in the release direction by inertia. The hook 330 of the inertial lever 300 is fastened to the hook groove 440 of the lock slider 400 and the inertial lever 300 is urged by the inertial force in a direction to further secure the fastening The lock slider 400 can not move in the direction of receiving the inertia force, that is, in the release direction, and the release of the buckle due to inertia can be prevented in this way.

도9b는 도9a와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를 받을 경우의 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가속도에 의해 관성레버(300)는 시계 반대 방향, 즉 락슬라이더(400)와의 체결을 해제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지만 관성레버 지지대(320)는 지지대 안착홈(140)에 안착되어 있고, 또한 해제버튼(100)은 자신에 받는 관성력과 버튼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하여 정지해 있으려고 하므로, 결국 관성레버(300)에 작용하는 관성에 의한 회전력은 상쇄된다. 또한 락슬라이더(400)가 받는 관성력은 해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므로 버클은 결국 잠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IG. 9B shows a force relationship when the acceleration is recei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FIG. 9A. The inertia lever 300 receives for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e., in a direction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lock slider 400, while the inertia lever support 320 is seated in the support seat receiving groove 140, The button 100 is intended to stop due to the inertia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00 and the elasticity of the button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due to the inertia acting on the inertial lever 300 is canceled. In addition, since the inertia force received by the lock slider 400 ac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lease direction, the buckle can eventually maintain the locked state.

결국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버클은 하나의 관성레버(300)가 동시에 해제버튼(100)과 락슬라이더(400)의 관성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므로 어느 방향으로의 관성력 발생에도 의도치 않은 버클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스프링(100)을 대칭적으로 구비하여 버클 내의 다른 구성이 해제버튼(100)을 타격하는 소음을 없앨 수 있으며 해제버튼(100)의 이동에 있어 좌우 밸런스를 제공하여 움직임이 원활해지므로 더욱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buckle of the seat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inertia lever 300 by the inertia of the release button 100 and the lock slider 400 at the same tim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spring 100 is symmetrically provided, other configurations in the buckle can eliminate noise hitting the release button 100 and provide a left-right balance in the movement of the release button 100,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user experie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해제버튼 110: 버튼스프링
120: 버튼스프링 안착부 130: 락핀 푸쉬부
140: 지지대 안착홈 200: 프레임
210: 제1 안착홈 220: 제2 안착홈
230: 이젝트스프링 지지부 240: 버튼스프링 지지부
250: 회전홈 260: 락플레이트 지지대
300: 관성레버 310: 피벗축
320: 관성레버 지지대 330: 후크
400: 락슬라이더 410: 락핀
420: 락스프링 430: 슬라이드바
440: 후크홈 450: 락핀용 홈
500: 락플레이트 510: 슬라이드홈
520: 고정 래치 530: 돌출부
540: 지지축 600: 이젝터
610: 이젝트스프링 620: 스프링홈
630: 푸쉬바
100: release button 110: button spring
120: Button spring seat part 130: Lock pin push part
140: support base seating groove 200: frame
210: first seating groove 220: second seating groove
230: eject spring supporting part 240: button spring supporting part
250: rotation groove 260: lock plate support
300: inertia lever 310: pivot axis
320: inertial lever support 330: hook
400: lock slider 410: lock pin
420: lock spring 430: slide bar
440: Hook groove 450: Groove for lock pin
500: Lock plate 510: Slide groove
520: Fixing Latch 530:
540: Support shaft 600: Ejector
610: eject spring 620: spring groove
630: Push bar

Claims (4)

해제버튼과 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해제버튼과 결합하는 프레임과 이젝트스프링을 수용하여 텅플레이트를 버클 외부로 밀어 배출시키는 이젝터와 락스프링을 수용하여 락플레이트를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저지하는 위치로 고정시키는 락핀이 장착된 락슬라이더와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저지하는 래치를 갖춘 락플레이트와 관성력을 받는 관성레버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에 있어서,

해제버튼에는 지지대 안착홈이 형성되며, 락슬라이더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관성레버는 락핀과 해제버튼 사이에 위치하여 피벗 방식으로 움직이며, 그 일측은 지지대 안착홈에 수용되고 그 타측은 텅플레이트가 삽입된 경우, 후크홈에 수용되어 관성에 의한 해제버튼 및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The frame accommodates the releasing button and other components and engages with the release button. The ejector accommodates the ejector and the lock spring, which receives the ejection spring and pushes the tongue plate out of the buckle. The lock plate is fixed to the position to prevent the tongue plate from being ejected. A lock plate having a latch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tongue plate and an inertial lever for receiving an inertia force, the buckle comprising:

The rocker slider has a hook groove formed therein. The inertia lever is positioned between the lock pin and the release button and moves in a pivoting manner. One side of the rocker slider is accommodated in a support seat receiv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the movement of the release button and the slider due to the inertia is prevented, and the buckle of the seat belt is provided with the shockproof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텅플레이트의 배출을 위하여 해제버튼을 누르면 후크홈에 수용된 관성레버의 일측이 후크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inertial lever housed in the hook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when the release button is pressed for discharging the tongue plate.
제1항에 있어서,
해제버튼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버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ease button is supported by a button spring supported by the frame.
제3항에 있어서,
버튼스프링은 두 개이며 해제버튼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wo button springs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lease button.
KR1020130128703A 2013-10-28 2013-10-28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KR101459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3A KR101459664B1 (en) 2013-10-28 2013-10-28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3A KR101459664B1 (en) 2013-10-28 2013-10-28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664B1 true KR101459664B1 (en) 2014-11-12

Family

ID=5228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703A KR101459664B1 (en) 2013-10-28 2013-10-28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0B1 (en) * 2016-04-18 2017-09-1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Buckle for Seatbelt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Unit
KR102024057B1 (en) * 2018-12-31 2019-09-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Buckle for seatbelt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575A (en) * 1999-05-14 2000-11-21 Nsk Ltd Seat belt device
KR100303797B1 (en) * 1999-08-17 2001-09-24 이승복 Seat belt buckle
KR100885405B1 (en) * 2007-11-27 2009-02-27 주식회사 삼송 The buckle of the seat belt possess the shock proof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575A (en) * 1999-05-14 2000-11-21 Nsk Ltd Seat belt device
KR100303797B1 (en) * 1999-08-17 2001-09-24 이승복 Seat belt buckle
KR100885405B1 (en) * 2007-11-27 2009-02-27 주식회사 삼송 The buckle of the seat belt possess the shock proof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0B1 (en) * 2016-04-18 2017-09-1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Buckle for Seatbelt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Unit
KR102024057B1 (en) * 2018-12-31 2019-09-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Buckle for seatbelt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405B1 (en) The buckle of the seat belt possess the shock proof system
KR101504228B1 (en) A seat belt buckle with a strain relief structure
EP2543273B1 (en) Seatbelt buckle apparatus
US7124481B2 (en) Buckle device
US8950780B2 (en) Seat belt buckle and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JP5613743B2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US9009932B2 (en) Buckle for preventing inertial de-buckling
US8429799B2 (en) Seat belt buckle
US9113679B2 (en)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KR101459664B1 (en) A seat belt buckle with a shock-proof device
GB2227513A (en) A safety belt buckle
KR20110074745A (en) Shock-proof seat belt buckle for a motor vehicle
JP4101982B2 (en) Buckle device
EP1671558B1 (en) Buckle device
KR101778630B1 (en) Buckle for Seatbelt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Unit
GB2322158A (en) Vehicle seat belt buckle
KR200416588Y1 (en) Seat belt buckle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release movement due to inertia
KR101755930B1 (en) Buckle device for seat belt of vehicle
KR101126494B1 (en) Buckle of Seat-Belt
JP3963866B2 (en) Buckle device
JP2001046118A (en) Buckle device
JP2004217038A (en) Child seat
JP2016124324A (en) Knee restraint device
JP2024054025A (en) Extension Unit
KR101593978B1 (en) Fixed device for automatically lock the safety be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