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67B1 - 분리수거대 - Google Patents

분리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67B1
KR101459367B1 KR20130005010A KR20130005010A KR101459367B1 KR 101459367 B1 KR101459367 B1 KR 101459367B1 KR 20130005010 A KR20130005010 A KR 20130005010A KR 20130005010 A KR20130005010 A KR 20130005010A KR 101459367 B1 KR101459367 B1 KR 10145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frame
support frame
fix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666A (ko
Inventor
황종부
Original Assignee
황종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부 filed Critical 황종부
Priority to KR2013000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볼트 및 나사 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가 용이한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회전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수거대{A apparatus for separate collection}
본 발명은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볼트 및 나사 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가 용이한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된 분리수거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파이프로 구성된 박스형의 프레임(2)에 복수개의 그물망(4)을 걸어, 각각의 그물망(4)에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
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은 금속파이프로 구성된 사각형의 상부지지대와, 이 상부지지대(6)의 각 모퉁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부재(8)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6)의 상면에는 걸림편(10)이 구비되어, 이 걸림편(10)에 그물망(4)의 입구부 둘레를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수거대는 공공장소에 상시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분리수거일과 같은 특정한 날에만 설치하여, 주민들이 평상시에 모아두었던 분리수거대상인 쓰레기를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분리수거일 이외의 날에는 분리수거대를 한곳에 모아 보관하다가, 분리수거일에 미리 정해진 장소까지 운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분리수거대는 프레임(2)의 큰 부피로 인하여 일일이 용접, 볼트 및 나사 등 체결수단의 결합을 통해 설치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설치장소를 변경시에는 일일이 체결수단을 풀어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가능한 분리수거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회전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링크부재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서 각각 회전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회전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판과,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1회전판의 타단과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이 서로 포개지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끝단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억지 끼움하는 끼움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하부에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외부에 끼움 결합하는 상기 끼움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고정결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대설치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와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 하면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수거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크게 지면 상부로 소정거리를 갖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재(100), 상기 프레임부재(100) 하부에 회전(절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지면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재(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재(200)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프레임(110)을 고정하는 고정부(300)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00)는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물품이 수납되는 분리포대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재(100)는 프레임(110), 포대설치핀(120) 및 제1길이조절바(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110)에는 포대설치핀(120)이 분리포대의 크기에 맞게 간격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핀 삽입공(111)이 형성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포대설치핀(120)은 프레임(110) 상면에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 구비될 수 있지만, 프레임(11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분리포대의 크기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10)과 나사결합 등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길이조절바(130)는 관 형상의 프레임(11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이 양측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된 제1길이조절바(1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스토퍼(131)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수평길이 연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제1길이조절바(130)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여 더 많은 분리포대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제1길이조절바(130)에는 상술한 핀 삽입공(111)과 동일한 핀 삽입공(111)이 형성되어 포대설치핀(1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프레임(110)은 내측에 제1길이조절바(1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110)이 두 분체로 분리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에 의해 상기 제1길이조절바(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길이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부재(200)는 프레임부재(100)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프레임부재(100)가 지면 상부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기 구성으로 지지프레임(210) 및 높이조절수단(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10)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프레임(110) 하면과 경첩(2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포개어질 수 있도록 회전시키고, 설치시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시켜 지면에 설치된다.
또한 높이조절수단(220)은 지지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분리수거대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작업환경에 따라 프레임부재(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220)은 조절바(221) 및 고정핀(222)을 포함한다.
조절바(221)는 수직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지지프레임(110) 하면을 통해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조절바(221) 및 상기 조절바(221)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0)에는 고정핀(222)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공(22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22)의 삽입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222)은 지지프레임(210) 및 조절바(221)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223)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10) 하면에서 인출된 조절바(221)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 상부에 소정 높이로 위치하는 프레임부재(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311), 끼움구(312) 및 고정판(313)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311)는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이때 몸체(311)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는 끼움구(312)가 지지프레임(110) 외부를 감싸도록 억지 끼움할 수 있게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10)이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에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서로 마주보는 변과 면 사이의 이격길이가 몸체(311)의 길이가 된다.
아울러, 몸체(311)는 내측에는 상술한 제2길이조절바(314)가 구비되어 프레임(110) 내측에 구비된 제1길이조절바(130)를 통해 프레임(110)의 수평길이가 조절되는 경우, 그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311)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구(312)는 일측이 개방되며, 몸체(311)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개방된 곳을 통해 프레임(110) 양측으로 회전된 지지프레임(2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억지 끼움 된다.
고정판(313)은 끼움구(312)가 결합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지프레임(210)에 일단이 용접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고정판(313)은 탄성 복원에 의해 지지프레임(110) 외부에 억지 끼움하는 끼움구(312)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끼움구(312)가 지지프레임(11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하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각각의 지지프레임(110)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110)과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110)이 지면 상부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몸체(311) 양단에 구비된 끼움구(312)를 설치된 지지프레임(110) 외부가 감싸지도록 억지 끼움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외부 충격이나 분리수거물품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다음, 몸체(311)를 하방으로 눌러 지지프레임(110)과 억지 끼움된 끼움구(312) 외면이 탄성 복원이 가능한 고정판(31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313)이 상기 끼움구(312)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고정부(300)를 통해 지면과 고정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포대설치핀(120)에 분리포대를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이동 및 분리가 간편함과 동시에 용접, 볼트 및 나사 등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도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설치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제2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20)에서의 프레임부재(100) 및 지지프레임부재(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변경된 고정부(300)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고정부(3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0) 및 지지프레임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재(3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부재(320)는 제1회전판(321), 제2회전판(322) 및 회전핀(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회전판(321)은 일단이 프레임(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제2회전판(322)은 일단이 지지프레임(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제1회전판(321)의 타단과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회전핀(323)은 제1 및 제2회전판(321,322)의 서로 포개지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21,322)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부재(32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 하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핀(323)을 중심으로 제1회전판(321)은 프레임(110)을 제2회전판(322)은 지지프레임(210)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210)이 서로 직각이 될 수 있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링크부재(320)의 최대길이는 제1회전판(321)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프레임(110)의 제1중심점과 제2회전판(322)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프레임(210)의 제2중심점을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였을 때의 길이보다 좀더 길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회전판(321,322)이 프레임(110) 및 지지프레임(210)을 각각 밀어내는 힘의 작용이 더 클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링크부재(320)는 제1 및 제2회전판(321,322)이 회전핀(323)을 중심으로 서로 일직선이 될 수 있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판(321,322)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S)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삽입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제1회전판(321)에 삽입홈(H)이 형성되고, 제2회전판(322)에 스토퍼(S)가 구비되는 경우, 지지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판(322)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전판(322)에 형성된 스토퍼(S)가 제1회전판(321)에 형성된 삽입홈(H)에 걸려 더 이상 회전이 불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대는 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를 하나의 분리수거대에 같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프레임부재 110: 프레임
120: 포대설치핀 130: 제1길이조절바
200: 지지프레임부재 210: 지지프레임
211: 경첩 212: 고정공
220: 높이조절수단 221: 조절바
222: 고정핀 223: 고정공
300: 고정부 310: 고정부재
311: 몸체 312: 끼움구
313: 고정판 314: 제2길이조절바
320: 링크부재 321: 제1회전판
322: 제2회전판 323: 회전핀

Claims (6)

  1.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회전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링크부재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서 각각 회전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회전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양끝단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억지 끼움하는 끼움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하부에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외부에 끼움 결합하는 상기 끼움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프레임 및 제1길이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길이조절바는 관 형상의 상기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이 양측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몸체, 끼움구 및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측에 제2길이조절바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에 구비된 상기 제1길이조절바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수평길이가 조절되는 경우, 그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판;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1회전판의 타단과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이 서로 포개지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양끝단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억지 끼움하는 끼움구;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하부에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재 외부에 끼움 결합하는 상기 끼움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고정결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대설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와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재 하면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대.
KR20130005010A 2013-01-16 2013-01-16 분리수거대 KR10145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5010A KR101459367B1 (ko) 2013-01-16 2013-01-16 분리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5010A KR101459367B1 (ko) 2013-01-16 2013-01-16 분리수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66A KR20140092666A (ko) 2014-07-24
KR101459367B1 true KR101459367B1 (ko) 2014-11-07

Family

ID=5173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5010A KR101459367B1 (ko) 2013-01-16 2013-01-16 분리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499B1 (ko) *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40Y1 (ko) * 2006-05-25 2006-08-16 김선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20100008163U (ko) * 2009-02-06 2010-08-16 황종부 조립식 분리수거대
KR20100107111A (ko) * 2009-03-25 2010-10-05 김성수 접이식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40Y1 (ko) * 2006-05-25 2006-08-16 김선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20100008163U (ko) * 2009-02-06 2010-08-16 황종부 조립식 분리수거대
KR20100107111A (ko) * 2009-03-25 2010-10-05 김성수 접이식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499B1 (ko) *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66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367B1 (ko) 분리수거대
CN206004166U (zh) 一种采用11折型材的传动柜
CN210249153U (zh) 一种工程造价用图纸悬挂支架
CN206534292U (zh) 一种可收折的嵌入式桌子
CN205157957U (zh) 一种可旋转式户外摄影装置
CN211715913U (zh) 一种化工用弧形管道固定架
CN201996002U (zh) 折叠床
CN208331576U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减震平台
CN207800866U (zh) 一种惯导天线简易快速折叠收放装置
CN106245900A (zh) 一种实用型脚手架连接装置
CN210536558U (zh) 光伏发电板支架及具有其的光伏发电板装置
CN208957306U (zh) 幼教电子交互式白板推车
CN212973946U (zh) 一种消防器材箱
CN207488486U (zh) 一种激光雷达保持水平姿态的装置
CN208913419U (zh) 一种喷焊散粉收集装置
CN208749222U (zh) 一种电力施工用简易式安全防护装置
JP2012093566A (ja) 立て看板
CN206581573U (zh) 一种建筑施工用操作平台
CN206404197U (zh) 一种灭火器的固定装置
CN208638894U (zh) 一种苗木种植用松土装置
CN210930394U (zh) 一种工程造价用图纸固定装置
CN204785422U (zh) 一种带延长板的摇臂式电视机架
CN217927843U (zh) 一种机电设备用减震装置
CN204734076U (zh) 一种简易安装的办公桌支撑架
KR200244205Y1 (ko) 정지판의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트랙터 착탈형 로터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