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01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10B1
KR101459010B1 KR1020070073255A KR20070073255A KR101459010B1 KR 101459010 B1 KR101459010 B1 KR 101459010B1 KR 1020070073255 A KR1020070073255 A KR 1020070073255A KR 20070073255 A KR20070073255 A KR 20070073255A KR 101459010 B1 KR101459010 B1 KR 10145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safe
sound
hearing loss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0287A (en
Inventor
이남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10B1/en
Publication of KR2009001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중인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 청각 저하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여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판단할 경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추출하여 상기 안전 음압과 비교하여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을 제한하는 음압 관리부를 포함하여 사운드 크기 감소에 따른 불편함 없이 청력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roblem of hearing loss by adjusting the sound volume being output from a portable terminal. When determining that the maximum sound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setting is confirmed to cause hearing loss, And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for comparing the detected sound pressure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so as to limit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over the safe sound pressure, so that the sound pressure can be adjusted to a sound range that does not cause an abnormality in hearing without inconvenience due to sound size reduction.

사운드, 청력, 청각 저하, 사운드 조절, 청각 보호, 인지 음압 Sound, hearing, hearing loss, sound control, hearing protection, cognitive sound pressur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hearing loss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중인 사운드 크기를 조절함으로 청각 저하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control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 problem of auditory perception by adjusting a sound size being outputted from a portable terminal.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used as a necessity indispensable to modern peop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ale or female, and service providers and terminal manufacturers are developing products (or services) competitively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companies.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 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phone book, a game, a short message, an e-mail, a morning call, a digital camera,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음악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의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카세트 없이도 휴대용 단말기만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편리성 때문에 젊은층을 중심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multimedia tr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producing a music fil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released.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laying the above-mentioned music file is capable of listening to music using only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using the conventional MP3 player or the portable cassette.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어폰을 사용하여 상기 음악 청취 기능을 장시간 이용할 경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may provide a lot of convenience to the user and may have adverse effects. For example, when the music listening function is used for a long time by using an ear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hearing loss may be caused.

상기와 같은 청력 저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력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예 : 'SONY'사의 ALVS 기능)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고음의 출력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임계값 이상의 사운드 출력을 제한하여 상기 청력 저하를 방지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hearing los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SONY' ALVS function) that provides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The above-mentioned function is to prevent the output of high tone that may cause the hearing loss, thereby preventing the hearing loss by restricting the sound output above the threshold value.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상기 임계값 이상의 사운드 출력이 불가능하여 고음의 사운드를 청취하고자 할 경우마다 상기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고음의 사운드를 청취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제공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s inconvenient to disable the function and listen to the high-pitched sound every time it is desired to listen to a high-pitched soun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output sound above the threshold valu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시간에 따라 역치값 만큼씩 볼륨을 줄여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귀에 무리를 주지 않는 볼륨까지 내려 주는 방법(삼성전자 출원번호 P2006-0069983)으로 해결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목표 음량까지 작아지는 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되며, 시간을 짧게 할 경우 음량의 감소를 인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a method of decreasing the volume by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ime so that the volume is finally reduced to a volume that does not inflict strain on the user's ear (Samsung Electronics Application No. P2006-0069983) It takes a long time to reduce the volume to the target volume by a method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range that can not be felt, and the decrease of the volume is recognized when the time is shortened.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정 크기의 사운드 출력을 제한하지 않고도 출 력 사운드의 청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청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hearing loss caused by listening to an output sound without limiting the sound output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를 조절하여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hearing loss by adjusting output sound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을 제한하여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decrease in hearing ability by limiting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more than a safe sound pressur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여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판단할 경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추출하여 상기 안전 음압과 비교하여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을 제한하는 음압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earing loss in a portable terminal, the apparatus comprising: And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for comparing the detected sound pressure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to limit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above the safe sound pressur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볼륨 설정 상태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경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추출하여 안전 음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을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venting hearing loss in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hecking a maximum sound pressure according to a volume setting; And extracting a perceived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and comparing the detected perceived sound pressure with a safe sound pressure; and limiting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level above the safe sound pressure level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지하는 인지 음압을 기준으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한함으로써, 사운드 크기 감소에 따른 불편함 없이 청력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stricting the sound over the safe sound pressure based on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perceived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size can be adjusted to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n abnormality in hearing without inconvenience due to a decrease in sound siz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청력 저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지하는 음압을 기준으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a sound over a safe sound pressure based on a sound pressure perceived by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of hearing loss that may be caused by listening to a sound being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for a long time .

여기에서, 상기 안전 음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를 말한다.Here, the safe sound pressure refers to a sound range in which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affect the hearing loss even if he / she is listening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안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roposing sound over a saf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4세대 광대역 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A broadband system terminal and the lik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음압 관리부(102), 메모리부(106), 입력부(108), 표시부(110), 및 통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음압 데이터 베이스(10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a memory unit 106, an input unit 108, a display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unit 112,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may include a sound pressure database 104.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기 설정되어 있는 볼륨에 대한 최대 음압을 확인하도록 지시한다.The microprocessor unit (MPU)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nd instructs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to check the maximum sound pressure for a preset volume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부터 안전 음압 이상의 최대 음압을 확인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측정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 음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를 말한다.The control unit 100 then instructs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to measure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when it confirms that the maximum sound pressure of the sound pressure exceeds the safe sound pressure from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Here, the safe sound pressure refers to a sound range in which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affect the hearing loss even if he / she is listening for a long time.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신호를 제한하도록 처리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0 causes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to limit the signal exceeding the safe sound pressure.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볼륨별 최대 음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최대 음압을 상기 안전 음압과 비교한다.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receives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00 to check the maximum sound pressure for each volume and compares the detected maximum sound pressure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여기에서,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상기 볼륨에 따른 최대 음압 정보를 기 저장하는 음압 데이터 베이스(10)를 검색하여 상기 최대 음압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may check the maximum sound pressure by searching the sound pressure database 10 storing the maximum sound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이후,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 신호를 제한한다.Then,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receives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00 and restricts the sound pressure sig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afe sound pressure.

상기 음압 데이터 베이스(104)는 상기 출력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운드의 크기인 안전 음압 정보, 볼륨별 최대 음압의 크기 값을 포함한다.The sound pressure database 104 includes safe sound pressure information, which is the magnitude of a sound that does not affect the hearing loss even when the output sound is listened to for a long time, and a magnitude value of the maximum sound pressure per volume.

상기 메모리부(106)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음압 관리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06 includes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a flash ROM. The ROM stores the microcode of the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and various reference data.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RAM i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and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the flash ROM stores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such as a phone book, an origination message, and a received message.

상기 입력부(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예 ; 볼륨 조절 요청 등)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The input unit 108 includes numeric key buttons 0 to 9 and a menu key, a cancel button, an OK button, a talk button, an end button, an Internet access button, a navigation key And a character input key), and provides the controller 100 with key input data (e.g., volume control request, etc.)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moving images, still images, and the like that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10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통신부(112)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2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of data input / output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are performed on data to be transmitted, RF processing is performed for transmission, and in case of a receiver, the received RF signal is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the baseband signal to recover data.

상기 음압 관리부(102)의 역할은 상기 제어부(102)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02.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are separatel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when the product is actually implemented, the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all of them.

이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를 장시간 청취함으로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지하는 음압을 기준으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음압을 기준으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an apparatus for limiting the sound above the safe sound pressure based on the sound pressure recognized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that may cause hearing loss by listening to the sound being outpu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for a long time, In the description, a method for limiting the sound above the safe sound pressure based on the sound pressure perceived by the user using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지 음압을 추출하기 위한 음압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3은 음압 관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음압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perceived sound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sound pressure curv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인지 음압 보정부(10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음압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인지 음압 추출에 불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도 2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may include a recognition sound pressure correction unit 103, and the sound pressure database is un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sound pressure extraction.

상기 인지 음압 보정부(103)는 상기 입력받은 신호의 음압을 음압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을 추출하도록 처리한다.The perceived sound pressure correction unit 103 processes the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by using a sound pressure correction filter to extract a sound pressure that can be perceived by a person.

즉, 도 3(a)와 같이 도시한 곡선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음압 보정 필터를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 음압(301)과 주파수별 음압(303) 사이의 해당하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음압(305)을 추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3 (b), the minimum sound pressure 301 that can be perceived by a person and the sound pressure 303 (sound pressure per frequency) 303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are obtained by using a sound pressure correction filter having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 To be recognized by the corresponding person between the sound pressure and the sound pressur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지 음압을 추출한 음압 관리부(102)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음압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3C,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extracts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so as not to output the signal exceeding the safe sound pressure even if a signal exceeding the safe sound pressure is input.

즉, 상기 음압 관리부(102)는 기 설정되어 있는 안전 음압 이상의 인지 음압만을 제한하도록 처리한다.That is,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processes only the sound pressur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safe sound pressur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uggesting sound over safe sound pressur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4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볼륨을 확인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볼륨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도록 지시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first checks the current volum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step 401, and then proceeds to step 403 so that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part 102 checks the maximum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volume Indicate.

즉,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은 음압 관리부(102)는 볼륨 단계별 최대 음압을 기 저장하는 음압 데이터 베이스(104)를 검색하여 볼륨에 따른 최대 음압을 획득하여 볼륨 설정 상태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receiving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sound pressure database 104 storing the maximum sound pressure according to each volume level to obtain the maximum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volum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최대 볼륨이 안전 음압 이상인지 확인한다.Then,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405 where it determines whether the maximum volume acquired in the step is great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여기에서, 상기 안전 음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사운드 크기를 말한다.Here, the safe sound pressure refers to a sound range in which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affect the hearing loss even if he / she is listening for a long time.

만일, 상기 최대 볼륨이 안전 음압보다 작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볼륨 설정 상태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volume is small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volume setting state is not a state in which hearing loss may occur, and performs the process of step 401 again.

한편, 상기 최대 볼륨이 안전 음압보다 큼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볼륨 설정 상태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함으로써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의 음압을 측정하도록 지시한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압 관리부(102)로 하여금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신호만을 제한하도록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volume is great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volume sett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hearing loss may occur, and proceeds to step 407 so that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part 102 In step 409, 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102 processes only the signal exceeding the safe sound pressure.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0 ends the algorithm.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안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roposing sound above a safe sound pressure lev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지 음압을 추출하기 위한 음압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a perceived sound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지 음압을 기준으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한하기 위한 음압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및,FIG. 3 is a graph showing a sound pressure curve for restricting the sound above the safe sound pressure based on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전 음압 이상의 사운드를 제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uggesting a sound over safe sound pressur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preventing hearing loss in a portable terminal,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여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판단할 경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추출하여 안전 음압과 비교한 후, 상기 인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하가 되도록 음원의 음압을 감소시키는 음압 관리부를 포함하고,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is determined so that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is less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level after comparing the detected sound pressure level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level, And a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for reducing the sound pressure, 상기 음압 관리부는, 주파수에 따른 음원의 음압 및 최소 음압 간 차이를 이용하여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판단하며,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hearing loss can be caus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nd pressure and the minimum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상기 최소 음압은, 주파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minimum sound pressure is defined as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음압 관리부는,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includes: 상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안전 음압과 비교한 후, 상기 인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일 경우 음원의 음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cognition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and reduces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when the recognition sound press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음압 관리부는,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includes: 상기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과 안전 음압을 비교하여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comparing the maximum sound pressure and the saf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volume setting to determine a state capable of causing the hearing los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음압 관리부는,The sound pressure management unit includes: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최대 음압을 확인할 경우,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audible sound is in a state capable of causing the hearing loss when the maximum sou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안전 음압은,The safe sound pressure is,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음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sound pressure is 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hearing loss even if he / she is listening for a long time. 휴대용 단말기에서 청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eventing hearing loss in a portable terminal,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을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the maximum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volume setting, 주파수에 따른 음원의 음압 및 최소 음압 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볼륨 설정 상태가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volume setting state is capable of causing a hearing loss using a difference between a sound pressure and a minimum sound pressure of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 frequency;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경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추출하여 안전 음압과 비교한 후, 상기 인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하가 되도록 음원의 음압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Extracting a perceived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and comparing the detected perceived sound pressure with a safe sound pressure and decreas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so that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is less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상기 최소 음압은, 주파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minimum sound pressure is defined as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frequency.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인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하가 되도록 음원의 음압을 감소시키는 과정은,Wherein the step of reduc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such that the perceived sound press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상기 입력 신호의 인지 음압을 안전 음압과 비교한 후, 상기 인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일 경우 음원의 음압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mparing the sensed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ignal with the safe sound pressure, and reduc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when the sensed sound press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는,The condition capable of causing the hearing loss may include, 상기 볼륨 설정에 따른 최대 음압과 안전 음압을 비교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mparing the maximum sound pressure and the saf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volume setting.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청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는,The condition capable of causing the hearing loss may include,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의 상기 최대 음압이 상기 안전 음압 이상인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maximum sound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afe sound pressure.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안전 음압은,The safe sound pressure is, 장시간 청취해도 청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음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ound pressur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hearing loss even if he / she is listening for a long time.
KR1020070073255A 2007-07-23 2007-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59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55A KR101459010B1 (en) 2007-07-23 2007-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55A KR101459010B1 (en) 2007-07-23 2007-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87A KR20090010287A (en) 2009-01-30
KR101459010B1 true KR101459010B1 (en) 2014-11-07

Family

ID=4048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255A KR101459010B1 (en) 2007-07-23 2007-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136A (en)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557A (en) * 1998-11-16 2000-06-15 구자홍 Volume setting up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system
KR20070053493A (en) * 2005-11-21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sound pressure level of the bluetooth head set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557A (en) * 1998-11-16 2000-06-15 구자홍 Volume setting up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system
KR20070053493A (en) * 2005-11-21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sound pressure level of the bluetooth head set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87A (en)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869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20070140471A1 (en) Enhanced usage of telephone in noisy surroundings
CN108541080B (en) Method for realizing loop connection between first electronic equipment and second electronic equipment and related product
US20190132666A1 (en) Headset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US20040151336A1 (en) Handheld device having an auto-volume control means for earphone plugg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7080524A1 (en) Call privac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201100643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arphone mounting in portable terminal
KR1017785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in portable terminal
CN109981904B (en) Volum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US20080220820A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JP2013048386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voice output method, and voice output program
KR101459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N112714215A (en) Mobile terminal sound sett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2670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N113407147A (en) Audio play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64632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a cal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782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versa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101672942B1 (en)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13474B1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tting between wireless terminal and headset
KR10138689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nec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connection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KR200700156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volume key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KR100493728B1 (en) Method for serving free call in mobile telephone
CN117202011A (en) Volume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