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07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071B1
KR101458071B1 KR20130059555A KR20130059555A KR101458071B1 KR 101458071 B1 KR101458071 B1 KR 101458071B1 KR 20130059555 A KR20130059555 A KR 20130059555A KR 20130059555 A KR20130059555 A KR 20130059555A KR 101458071 B1 KR101458071 B1 KR 10145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ner cylinder
lid
shaft
dry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곤
유승곤
Original Assignee
유진곤
유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곤, 유승곤 filed Critical 유진곤
Priority to KR2013005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0Floors, roofs, or bottoms; False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부에 뚜껑(11)이 마련되어 있는 외통(1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지는 내통(30)으로서, 상기 외통(1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대하여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며, 자체의 외주부와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망사 형상의 내통(30); 상기 내통(30)을 향하여 측면 또는 하면에서 구동되는 건조팬(50); 및 상기 건조팬(50)을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집열판(70)과 상기 집열판(70)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발전기(60);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30)의 상부에는 상기 내통(30)의 상단 외주면(31b)에 대하여 나사산 결합되는 뚜껑(3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통(10)에는 상기 내통(30)의 외주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경사진 중간 바닥면(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측 중간 바닥면(12)의 끝단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구동원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같은 내용물을 담아두는 용기(容器)는 시간이 흐르면서 밀폐된 공간 안에서 많은 수분을 함유한 내용물이 부패함으로 인한 악취와 곰팡이 및 각종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 세균과 유해 가스가 생기는데 용기를 열면서 상기와 같은 유해한 것들이 작게는 사용자의 폐부로 호흡되는 것은 물론, 대기(大器)중의 공기와 융화되면서 지구의 온난화 등 심각한 환경문제의 주범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참고 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97259호 (2005년 06월 16일 등록, 발명의 명칭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에서는 2중 건조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형태 그대로 건조시키기 때문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된 용기 안에서 방치되어 악취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97259호 (2005년 06월 16일 등록, 발명의 명칭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성 물질이 배출되게 하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건조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어 있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주면 및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자체의 외주면과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통;
상기 내통을 향하여 구동되는 건조팬; 및
상기 건조팬을 구동시키기 위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의 상부에는 이의 내부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통에는 상기 내통의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경사진 중간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측 중간 바닥면의 끝단에는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통의 뚜껑에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부재는 상기 내통의 뚜껑에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내통의 바닥에는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부재는 사용자의 구름 조작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성 물질이 배출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고, 건조팬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히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게 하여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로부터 압착하여 내통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이 주변으로 배출되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특히 도 2는 압착 전의 모습을 도 3은 압착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사용자의 구름 동작에 의해 내통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음식물을 압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내통을 향하여 건조팬이 구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로부터 압착하여 내통(30)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이 주변으로 배출되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특히 도 2는 압착 전의 모습을 도 3은 압착 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사용자의 구름 동작에 의해 상기 내통(3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내통(30)을 향하여 건조팬(50)이 구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부에 뚜껑(11)이 형성되어 있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주면 및 바닥면(1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어 있으며 자체의 외주면과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통(30)과, 상기 내통(30)을 향하여 구동되는 건조팬(50)과 상기 건조팬(50)을 구동시키기 위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발전기(60)를 포함한다.
건물의 외곽으로 집열판(70)이 설치되고, 상기 집열판(70)을 통해 얻어진 태양에너지가 상기 발전기(60)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전환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 이러한 전력을 수급하여 상기 건조팬(50)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건조팬(50)이 구동되면서 상기 외통(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내통(30)의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얻기 위한 상기 집열판(70)이 도시되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풍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팬(50)이 구동되도록 하는 풍차형태의 풍력발전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통(30)의 상부에는 뚜껑(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통(10)에는 상기 내통(30)의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경사진 중간 바닥면(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측 중간 바닥면(12)의 끝단에는 유체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측 뚜껑(31)은 상기 내통(30)의 상단 외주면(31b)에 대하여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인위적 조작 없이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엎어지더라도 상기 내통(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내통측 뚜껑(31)에는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30)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로 승하강되는 압착판(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판(46)은 상기 내통측 뚜껑(31)에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4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조작되게 구성된다.
상기 내통측 뚜껑(31)의 중앙 부분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고정축(48)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48)의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0)의 하부로는 외측으로 나사산 부분이 형성된 회전축(4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1)의 외측으로는 상기 회전축(41)에 형성된 나사산 부분에 맞물리고 상기 고정축(48)에 대하여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홈(44)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41)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이동축(4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42)의 하부에는 상기 내통(30)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 되는 상기 압착판(4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41)에 나사산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축(42)이 하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압착판(46)이 강제로 하강된다. 상기 압착판(46)이 하강되어 상기 내통(30)의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함유한 수분을 빼주며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여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축(48)의 하단 끝단에 고무(45)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축(42)의 탈락을 방지하고, 장치가 손상되지 않도록 쿠션 역할을 해준다.
더욱이, 상기 내통(30)의 바닥에는 특히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30)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부재(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부재(38)는 사용자의 구름 조작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되게 구성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외부로 노출된 구름판(32)에 하부로 향하는 힘을 가하면, 상기 구름판(32)의 중심축에 고정된 힌지고정(35)에 의해 상기 구름판(32)의 힘의 방향이 상향으로 전환되고, 상향의 힘을 토대로 상기 구름판(32)과 상기 승하강 부재(38)를 연결하는 구름 연결구(36)에 의해 상기 승하강 부재(38)가 승강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38)의 상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한 번 더 압축해주는 것이다.
사용자의 구름 조작이 종료되면 구름판(32)은 다시 원위치 복원되고 그에 따라 내통(30)에 채워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들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생기고 이때 건조팬이 구동되어 내통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외통 11: 뚜껑
12: 바닥면 14: 배출구
30: 내통 31: 내통측 뚜껑
31a: 상단 내주면 31b: 상단 외주면
32: 구름판 35: 힌지고정
36: 구름 연결구 38: 승하강 부재
40: 손잡이 41: 회전축
42: 이동축 44: 홈
45: 고무 46: 압착판
48: 고정축 50: 건조팬
60: 발전기 70: 집열판

Claims (3)

  1. 상부에 뚜껑(11)이 마련되어 있는 외통(1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지는 내통(30)으로서, 상기 외통(1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대하여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며, 자체의 외주부와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망사 형상의 내통(30);
    상기 내통(30)을 향하여 측면 또는 하면에서 구동되는 건조팬(50); 및
    상기 건조팬(50)을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집열판(70)과 상기 집열판(70)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발전기(60);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30)의 상부에는 상기 내통(30)의 상단 외주면(31b)에 대하여 나사산 결합되는 뚜껑(3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통(10)에는 상기 내통(30)의 외주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경사진 중간 바닥면(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측 중간 바닥면(12)의 끝단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측 뚜껑(31)의 중앙 부분의 상측 부분에는 상기 내통측 뚜껑(31)에 대하여 손잡이(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통측 뚜껑(31)의 중앙 부분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고정축(48)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축(48)의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0)의 하부로는 외측으로 나사산 부분이 형성된 회전축(41)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41)의 외측으로는 상기 회전축(41)에 형성된 나사산 부분에 맞물리고 상기 고정축(48)에 대하여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홈(44)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41)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이동축(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축(42)의 하부에는 상기 내통(30)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되는 압착판(46)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0)의 바닥에는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부재(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부재(38)는 사용자의 구름 조작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30059555A 2013-05-27 2013-05-2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45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555A KR101458071B1 (ko) 2013-05-27 2013-05-2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555A KR101458071B1 (ko) 2013-05-27 2013-05-2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071B1 true KR101458071B1 (ko) 2014-11-20

Family

ID=5229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555A KR101458071B1 (ko) 2013-05-27 2013-05-2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0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314A (ko) * 2008-12-13 2010-06-23 차선재 음식물 쓰레기 습,열교환식 건조장치
KR20100083574A (ko) * 2009-01-14 2010-07-22 강태암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20100094165A (ko) * 2009-02-18 2010-08-26 (주)씨에스아이엔씨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3274A (ko) * 2010-04-09 2011-10-17 노태진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314A (ko) * 2008-12-13 2010-06-23 차선재 음식물 쓰레기 습,열교환식 건조장치
KR20100083574A (ko) * 2009-01-14 2010-07-22 강태암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20100094165A (ko) * 2009-02-18 2010-08-26 (주)씨에스아이엔씨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3274A (ko) * 2010-04-09 2011-10-17 노태진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5803A (zh) 一种能净化空气的家用垃圾箱
KR20170011414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탈수장치
CN107282592A (zh) 一种厨房垃圾中食物残渣回收设备
CN106395191A (zh) 一种环保除臭垃圾桶
CN206661384U (zh) 厨房垃圾处理装置
KR1014580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466079B1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531333U (zh) 一种环保型厨余垃圾脱水装置
CN106588157B (zh) 生物干化设备及生物干化方法
CN203999304U (zh) 改进型污泥加热烘干处理机
KR200454709Y1 (ko) 씽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208037287U (zh) 脚踏式收口垃圾桶
KR101086922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CN204231788U (zh) 用于金属破碎设备电气控制柜
KR101541690B1 (ko) 음식물 쓰레기 압축 장치
KR100998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5293859A (zh) 污泥加热烘干处理机
CN104029969A (zh) 太阳能除臭垃圾箱
CN212603584U (zh) 一种垃圾固液分离破碎处理装置
KR20140008851A (ko) 태양광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8160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4751121U (zh) 旋转式紫外线垃圾桶
CN205758068U (zh) 一种带厨余垃圾处理装置的橱柜
CN202155360U (zh) 厨房垃圾处理容器
KR102351361B1 (ko) 오염비닐 수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