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383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383B1
KR101457383B1 KR1020120127177A KR20120127177A KR101457383B1 KR 101457383 B1 KR101457383 B1 KR 101457383B1 KR 1020120127177 A KR1020120127177 A KR 1020120127177A KR 20120127177 A KR20120127177 A KR 20120127177A KR 101457383 B1 KR101457383 B1 KR 10145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mage
user terminal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564A (ko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383B1/ko
Priority to PCT/KR2013/010183 priority patent/WO2014073923A1/ko
Publication of KR2014006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개인 보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운영 서버 및 수신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앱을 저장하고, 상기 앱의 실행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한 순간에 수신자가 바로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범인의 색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PERSONAL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각종 흉악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를 상대로 한 납치, 성범죄 등의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예방 및 사후 조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성이나, 어린이를 범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개인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개인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운영 서버 및 수신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앱을 저장하고, 상기 앱의 실행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앱을 통해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촬영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별도의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되고,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 모듈은 사용자의 안경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 보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몸체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수단은 경고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수단으로서, X-밴드가 사용되고, 상기 경고 표시부는 형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방법은,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 수신을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로부터 수락이 있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개인 보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촬영 모듈로부터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한 순간에 수신자가 바로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가해자의 색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촬영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촬영되는 경우, 별도의 촬영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게 된다.
이와 다르게, 사용자 촬영 영상이 별도의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촬영 모듈이 안경 등에 부착하게 되는 경우, 몸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서, 가해자의 얼굴 등의 촬영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에 경고 표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는 경우, 가해자에게 촬영이 진행되고 있음을 미리 알림으로써, 가해자의 행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자 단말기가 사용자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가해행위의 장소와 영상을 동시에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신고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부착하는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를 부착하는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의 촬영 모듈이 안경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수신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보다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징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영역들의 크기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운영 서버(120) 및 수신자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앱을 저장하고, 상기 앱의 실행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상기 운영 서버(120)에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예컨대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예컨대 상기 스마트폰이 동작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별도의 촬영 모듈에서 촬영되고, 상기 촬영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최초로 실행시키면,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할 사람을 요구하는 화면이 나타나고, 상기 사용자는 예컨대, 부모, 배우자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앱을 실행하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운영 서버(120)를 통해서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이때의 사용자 촬영 영상은 기존의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운영 서버(12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운영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도시안됨),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도시안됨), 및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달하기 위한 송신 수단(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20)는 기존의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는 상기 운영 서버(120)가 전송하는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는 스마트 폰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는 상기 운영 서버(120)에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할 지을 문의하는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승락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는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와 동일한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기능이 반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수신자 단말기(130) 측의 촬영 영상을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한 순간에 수신자가 바로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가해자의 색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부착하는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2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200)는 예컨대 홀더(210) 및 클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더(210)는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배면 형상을 갖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220)은 상기 홀더(21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홀더(210)를 사용자의 옷 등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립(220)은 상기 홀더(210)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클립(220)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홀더(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 케이스(200)는 상기 클립(220) 대신 벨크로 패스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200)는 예시적인 것이며,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자에게 부착시키기 위한 어떠한 변형도 가능함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실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를 부착하는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을 별도로 부착하고,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은 X-밴드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은 경고 표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표시부(310)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의 표면에 형성된 형광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200)가 직접 사용자의 옷 등에 부착되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가해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을 구동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가해자의 가해행위가 발생한 이후, 가해자의 색출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예방적인 효과는 미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인 보호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품의 상품화가 널리 진행되어 알려진 경우,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은 가해자에게 촬영이 진행되고 있음을 미리 알림으로써, 가해자의 행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구동되어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의 착용만으로도 가해자의 가해 행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은 경고 표시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표시부(310)가 형광층으로 구현되는 경우, 밤에도 더욱 효과적으로 가해행위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부착 수단(300)은 X-밴드를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나, 의류, 모자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의 촬영 모듈이 안경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100)은 앞선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촬영 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사용자 촬영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촬영되지 않고 촬영 모듈(400)을 통해서 촬영된다.
상기 촬영 모듈(400)이 촬영한 사용자 촬영 영상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수신된 사용자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서 상기 운영 서버(12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촬영 모듈(400)는 이미지 촬영 수단(도시안됨) 및 송신 수단(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촬영 모듈은 안경 등에 부착되어 질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같이, 사용자 촬영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촬영되는 경우, 별도의 촬영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촬영 영상이 별도의 촬영 모듈(400)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촬영 모듈(400)이 안경 등에 부착하게 되는 경우, 몸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서, 가해자의 얼굴 등의 촬영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경우, 가해가의 가해행위 발생시 가해자의 얼굴 등이 촬영되지 못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촬영 영상이 사용자의 얼굴에서 촬영되는 경우, 가해자의 키높이와 유사한 위치에서 촬영되므로, 근거리에서도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될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순간적으로 몸은 사용자와 정면으로 마주할 수 없게된다 할지라고, 반사적으로 얼굴은 가해자를 향하게 되어 가해자의 얼굴식별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를 얼굴에 부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시스템(100)은 소형의 촬영 모듈(400)을 구비하여, 안경 또는 선글라스등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모듈(400)은 안경에 부착되고 있으나,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하여, 상기 촬영 모듈(400) 자체가 안경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보호 방법에 의하면, 운영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저장한다(단계 S110). 이때, 사용자 촬영 영상은 앞의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별도의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서버(12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운영 서버(120)는 수신자 단말기(130)에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 수신을 문의한다(단계 S120). 예컨대 수신자 단말기(130)는 벨소리, 진동 등의 동작으로 메시지가 왔음을 알리고, 수신자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 촬영 영상 수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수신자로부터 수락의 신호가 상기 운영 서버(120)에 전송되면(단계 S130), 상기 운영 서버(120)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130)에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단계 S140). 이때, 사용자 촬영 영상은 실시간으로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송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계 S110의 과정에서 운영 서버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계 S140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수신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과 사용자 위치정보가 동시에 수신자 단말기(130)에 전송되는 경우, 수신자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에는 영상화면(A영역)과 지도화면(B영역)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화면에는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수신자 단말기가 사용자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가해행위의 장소와 영상을 동시에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신고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인 보호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운영 서버 130: 수신자 단말기
200: 사용자 단말기 케이스 210: 홀더
220: 클립 300: 사용자 단말기 부착수단
310: 경고 표시부 400: 촬영 모듈

Claims (14)

  1. 앱이 저장되고, 상기 앱의 실행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사용자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자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X-밴드를 통해 사용자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X-밴드는 형광층으로 형성된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앱을 통해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은, 별도의 촬영 모듈로부터 촬영되고,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사용자 촬영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사용자의 안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27177A 2012-11-12 2012-11-12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KR10145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77A KR101457383B1 (ko) 2012-11-12 2012-11-12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PCT/KR2013/010183 WO2014073923A1 (ko) 2012-11-12 2013-11-11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77A KR101457383B1 (ko) 2012-11-12 2012-11-12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64A KR20140061564A (ko) 2014-05-22
KR101457383B1 true KR101457383B1 (ko) 2014-11-04

Family

ID=506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77A KR101457383B1 (ko) 2012-11-12 2012-11-12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7383B1 (ko)
WO (1) WO2014073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6494A (zh) * 2018-07-27 2018-09-21 尹展豪 使用文字信息的智能手机防盗追踪方法
KR102111994B1 (ko) * 2019-06-05 2020-05-18 주식회사 팬라인 모바일 cctv 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67A (ko) * 2009-04-01 2010-10-11 김익년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KR20110107145A (ko) * 2010-03-24 2011-09-30 (주)아이윈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안내시스템
KR20110138049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20118369A (ko) * 2011-04-18 2012-10-26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67A (ko) * 2009-04-01 2010-10-11 김익년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KR20110107145A (ko) * 2010-03-24 2011-09-30 (주)아이윈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안내시스템
KR20110138049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20118369A (ko) * 2011-04-18 2012-10-26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923A1 (ko) 2014-05-15
KR20140061564A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3564A1 (zh) 一种对抗样本的检测方法及电子设备
CN110889941A (zh) 施工人员安全监控系统及方法
JP2010081480A (ja) 携帯型不審者検出装置、不審者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CN105872952A (zh) 基于可穿戴设备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20160196736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WO2011092553A1 (en) Garment for monitoring and patrolling and a territorial surveillance system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KR10145738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보호 시스템 및 개인 보호 방법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5420A (ko)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20150029049A (ko) 신체 후방 감시 시스템
KR20140070356A (ko) 범죄 보호용 장치
EP34223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eking help and smart footwear
JP2007235910A (ja) 安全行動支援システム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TWI668596B (zh) 監視系統及具有該監視系統的可穿戴裝置
KR20090126988A (ko) 위험 상황 알림용 영상 촬영 및 전송 장치
TWI773141B (zh) 危險預知應對裝置及系統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0480319Y1 (ko) 휴대용 영상 및 음성 기록 장치
KR20200015291A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86329Y1 (ko) 스마트 경보 장치
KR200453024Y1 (ko) 보안 장치
JP5033218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