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133B1 -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 Google Patents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33B1
KR101457133B1 KR1020127025743A KR20127025743A KR101457133B1 KR 101457133 B1 KR101457133 B1 KR 101457133B1 KR 1020127025743 A KR1020127025743 A KR 1020127025743A KR 20127025743 A KR20127025743 A KR 20127025743A KR 101457133 B1 KR101457133 B1 KR 10145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r
timer
network
deactivation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791A (ko
Inventor
밍 아이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2013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4Medium of transmission, e.g. fibre, cable, radio
    • H04L2012/5608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ISR의 활성화/비활성화의 최적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나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또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과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여,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에 따라UE에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ISR 활성화/비활성화의 실행 흐름이 최적화되어 네트워크 측과 UE측의 ISR 처리가 훌륭하게 일치되며 소용 없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방지된다.

Description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METHOD FOR OPTIMIZING ACTIVATION/DEACTIVATION IDLE STATE SIGNALING REDUCTION(ISR) AND NETWORK SIDE DEVICE}
본 발명은 2010년 6월 18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 번호가 201010209863.1이며 발명의 명칭이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UE(사용자 단말) 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 및 UE에 관한 것이다.
EPS(Evolved Packet System, 진화된 패킷 시스템)에 있어서, ISR(Idle State Signaling Reduction)은 유휴 상태에서의 시그널링의 감소 기술로서 유휴(ILDE)상태인 UE(User Equipment)와 네트워크 간의 시그널링 부담을 저하시킨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 서빙 GPRS 지원 노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엔티티이며,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엔티티이다.
UE가 E-UTRAN에서의 MME와 UTRAN에서의 SGSN에 동시 등록되어 ISR이 활성화된 후에 유휴 상태인 UE가 E-UTRAN의 등록된 TAI(Tracking Area ID, 트랙킹 영역 식별자) LIST 중의 트랙킹 영역(TA)와 UTRAN의 등록된 RA(Routing Area, 라우팅 영역)에서 캠핑하거나 이동 시에 네트워크 측과의 시그널링 인터랙션이 필요없다.
ISR의 활성화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제어되며, 유휴 상태의 UE가 E-UTRAN 또는 UTRAN에서 TAU(Tracking Area Update,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또는 RAU(Routing Area Update,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를 개시할 때, MME 또는 SGSN는 TAU 수락 메시지 또는 RAU 수락 메시지를 통하여 ISR의 활성화 여부를 UE에 지시하며, UE는 이 지시에 따라 ISR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TIN(Temporary Identity used in Next update, 차회 업데이트에 사용되는 임시 식별자)의 초기값은 ATTACH(어태치) 성공된 후에 UE에 의해 설정된다. UE는 E-UTRAN에서 초기 ATTACH 성공될 때, TIN의 원래 값이 무엇이든지 상관 없이,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ty 전역 고유 (사용자) 임시 식별자)로 다시 설정한다. 한편 UE는 GERAN/UTRAN에서 초기 ATTACH 성공될 때, TIN의 원래 값이 무엇이든지 상관 없이, 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tation Identity, 패킷 임시 이동국 식별자)로 다시 설정한다. 또한 UE에 의해 수신된 TAU 수락 메시지 또는 RAU 수락 메시지가 ISR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로컬(local)에 저장된 TIN의 원래 값이 무엇이든지 상관없이 GUTI 또는 P-TMSI로 설정한다. TAU 수락 메시지에 의해 ISR 활성화가 지시되는 경우, UE는 TIN의 값에 따라 TIN의 설정을 결정한다. TIN 값이 P-TMSI 또는 RAT-related TMSI(Radio Access Type related TMSI, 무선 액세스 타입 관련 임시 이동국 식별자)인 경우 TIN은 RAT-related TMSI로 설정되며, TIN값이 GUTI인 경우 TIN값은 GUTI로 설정된다. 한편 RAU 수락 메시지에 의해 ISR 활성화가 지시되는 경우, UE는 TIN값에 따라 TIN의 설정을 결정한다. 만약 TIN 값이 GUTI 또는 RAT-related TMSI이면, TIN값은 RAT-related TMSI로 설정되며, 만약 TIN값이 P-TMSI이면, TIN값은 P-TMSI로 설정된다. 여기서 TIN값은 단지 구분 역할만 하고 있다.
본원에서 “영역 업데이트”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를 가리킨다. 이하 UE가 UTRAN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ATTACH된 후에 E-UTRAN에 진입하여 TAU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U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UE가 UTRAN에서의 RA로부터 E-UTRAN에서의 TA에 진입할 때, TAU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정되면, TAU 개시를 트리거하며(단계 S101); UE가 MME에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보내며(단계 S102~단계 S103); UE가 기존 S4 SGSN(SGSN의 일 종류이며 ISR를 지원하고, 본원 중의 SGSN은 모두 S4-SGSN를 가리킴)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MME가 기존 SGSN에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며(단계 S104, 단계 S105, 단계 S107); 그다음 MME가 서빙 GW/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UE의 베어러 정보를 수정하도록 통지하고(단계 S109~단계 S113); MME가 HSS에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송신하여 기존 SGSN 중의 UE 위치 정보를 삭제하도록 HSS에 통지하며(단계 S114~단계 S116);기존 SGSN가 Iu인터페이스 연결을 해제하며(단계 S117, 단계 S118); HSS가 MME에 위치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피드백하며(단계 S119); MME는 UE에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피드백하여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가 완료된다(단계 S120~단계 S121). TAU의 프로세스에서 MME가 UE에 대하여 다시 인증할 수가 있다 (단계 S106).
종래의 규범(TS23.060과 TS23.401)에서는 상기 TAU 프로세스 중의 ISR 활성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
단계 S105에서, SGSN이 MME에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송신 시, ISR 활성화를 지시하며,
단계 S107에서, SGSN이 MME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가 ISR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SGSN이 UE의 컨텍스트를 유지해야 한다.
이하 몇 개의 관련 타이머를 결합하여 상기 규정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 측에서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유지되고,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는 UE의 IDLE상태에서 작동되며, UE와 네트워크 측의 NAS(Non-Access Stratum, 비접속 계층) 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되면(UE가 연결 상태에 진입하면), Mobile Reachable timer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정지된다.
네트워크 측에서 UE의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유지되고,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되는 동시에 UE와 네트워크 측 간에 NAS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되지 않았으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암시적인 디태치 프로세스가 개시되며, 타이머가 만료되면 네트워크 측에 의해 암시적인 디태치 프로세스를 작동하며, UE와 네트워크 측 간에 NAS 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되면, 네트워크에 의해 정지된다.
UE는 접속 방식과 ISR 상태에 따라 주기적인 TAU 타이머와 주기적인 RAU타이머 중의 하나, 또는 주기적인 TAU 타이머와 주기적인 RAU타이머를 함께 유지한다.
ISR 비활성화인 경우 UTRAN를 통해 접속될 때, UE는 주기적인 RAU 타이머를 유지해야 하며, 주기적인RAU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UE는 주기적인 RAU 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한다. 한편 ISR 비활성화인 경우 E-UTRAN을 통해 접속될 때, UE는 주기적인 TAU 타이머를 유지해야 하며, 주기적인 TAU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UE는 주기적인 TAU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한다. UE가 유휴 상태로 진입한 후, 주기적인 TAU 타이머와 주기적인 RAU타이머 중의 하나, 또는 주기적인 TAU 타이머와 주기적인RAU타이머가 동시에 작동되며, UE와 네트워크 간에 NAS 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될 때 정지된다.
ISR 활성화된 후에 UE는 상기 두 타이머를 동시에 유지해야 한다. UE가 UTRAN에 체류 시, 만약 주기적인 TAU 타이머가 만료되면 UE가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E-UTRAN Deactivate ISR Timer)를 작동해야 하며, UE가 다음에 E-UTRAN에 진입할 때 즉시적으로 TAU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한다. 만약 E-UTRAN Deactivate ISR Timer가 만료되면 UE가 로컬(local)에서 ISR을 비활성화해야 하며, 즉, TIN을 “P-TMSI”로 설정한다. UE가 EMM-DEREGISTERED (EPS Mobility Management-DEREGISTERED, EPS 이동성 관리 등록 취소 상태) 상태 또는 EMM-CONNECTED(EPS Mobility Management-CONNECTED, EPS 이동성 관리 연결 상태) 모드에 진입할 경우에는 E-UTRAN Deactivate ISR Timer를 정지한다. UE가 E-UTRAN에서 체류하는 경우 만약 주기적인 RAU 타이머가 만료되면, UE가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GERAN/UTRAN Deactivate ISR Timer)를 작동해야 하며, UE가 다음에 UTRAN에 진입하는 경우UE가 즉시적으로 RAU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한다.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여기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UTRAN DEACTIVATE ISR Timer가 만료될 경우, UE가 ISR을 비활성화해야 한다. UE가 GMM-DEREGISTERED(GPRS Mobility Management-DEREGISTERED, GPRS 이동성 관리 등록 취소 상태) 상태 또는 GMM-CONNECTED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한다.
현재의 규범에 의한 규정에 의하면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타이머 길이(즉 지정 시간(timing period), 이하 이와 동일함. 본원에서 타이머 길이, 지정 시간, 타이머 값 등 명사의 의미가 동일함)가 주기적인 TAU TIMER 또는 주기적인 RAU TIMER의 지정 시간보다 조금 길다. ISR 활성화일 때 MME에서의 Implicit Detach Timer의 타이머 값은 UE의 E-UTRAN Deactivate ISR Timer의 타이머 값보다 길어야 하고, SGSN에서의 Implicit Detach Timer의 타이머 값은 UE의 GERAN/UTRAN Deactivate ISR Timer의 타이머 값보다 길어야 한다.
UE가 RAU를 개시할 시, TIN의 설정 값에 따라 RAU요청에 상이한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ISR가 활성화된 후에(이때 TIN이 RAT-related TMSI로 설정됨), RAU요청에 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tation Identity, 패킷 임시 이동국 식별자)만 포함되면 된다. ISR 비활성화인 경우, 만약 TIN이 P-TMSI로 설정되면 RAU요청에 P-TMSI만 포함되면 된다. 만약 TIN이 GUTI로 설정되면 UE가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ty, 전역 고유 임시 식별자)를 P-TMSI로 매핑하여 RAU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만약 UE가 P-TMSI도 가지고 있으면 P-TMSI도 RAU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야 한다. SGSN가 두개의 임시 식별자가 포함되는 요청을 수신 시, P-TMSI를 이용하여 로컬(local)에서 UE 컨텍스트의 유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로써 단계 S105에서, 만약 기존 SGSN이 UE의 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후, Implicit Detach Timer의 만료 전에 MME로부터의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단계 S104) SGSN이 여전히 MME에ISR 활성화를 지시하면, MME가 U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한다. 이때 UE가 우선 UTRAN ATTACH를 통해 자신의 TIN을 P-TMSI로 설정했으므로, TAU 수락 메시지가 ISR 활성화를 지시할 시, UE는 TIN를 RAT-related TMSI로 설정한다. 만약 이때 UE가 다시 E-UTRAN에서 UTRAN으로 돌아가는 동시에 UE가 ISR의 활성화 상태(즉, TIN이 RAT-related TMSI로 설정됨)를 확정하면, P-TMSI인 식별자를 이용하여 RAU를 개시한다. 이때 SGSN가 유지하는 Implicit Detach Timer가 이미 만료되었을 수 있고 SGSN가 Implicit Detach Timer의 만료 후에 암시적인 디태치 프로세스를 개시하므로, 이때SGSN에는 UE의 컨텍스트가 없으므로 SGSN가 P-TMSI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UE의 컨텍스트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때 UE의 RAU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거절되므로, UE가 ATTACH프로세스를 다시 개시해야 한다. 네트워크도 인증 프로세스를 다시 개시할 수 있다. UE측의 ISR상태와 네트워크 측의 ISR상태(UE의 컨텍스트에 대한 네트워크 측 유지 상태)의 상이함으로 인해 UTRAN를 통한 UE의 접속 프로세스에 일정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07에서, SGSN이 MME로부터의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당해 UE의 컨텍스트를 유지해야 하는 점에 대해 언급했지만 규범에서 UE 컨텍스트의 구체적인 유지 시간에 대해 규정하지 않았다. 만약 SGSN가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후,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만료 전에 MME로부터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MM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하고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만료 후에 계속하여 UE의 컨텍스트를 유지한다면, SGSN에서 쓸모없는 컨텍스트가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쓸모없는 정보들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이 마련되지 않았다.
로컬(local)에서 ISR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 UE측에서 상기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기본 사상은 다음과 같다.
1) UTRAN에서 네트워크가 RAU를 통하여 U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만약 UE의 주기적인 TAU 타이머가 이미 만료되면 UE가 ISR을 활성화시키지 않거나 또는 로컬(local)에서 ISR을 비활성화한다. 그 후에 만약 UE가 E-UTRAN에 진입하면 UE가 TAU를 개시할 때 TAU요청 메시지에는 P-TMSI와 GUTI인 두개의 임시 식별자가 포함되게 된다.
2) E-UTRAN에서 네트워크가 TAU를 통하여 U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만약 UE의 주기적인 RAU 타이머가 이미 만료되면 UE가 ISR을 활성화시키지 않거나 또는 로컬(local)에서 ISR를 비활성화한다. 그 후에 만약 UE가 UTRAN에 진입하면 UE가 RAU를 작동할 때 RAU요청 메시지에는 P-TMSI와 GUTI인 두개의 임시 식별자가 포함되게 된다.
상기 방법에는 여전히 상기 UE측의 ISR상태에 의해 지시되는 컨텍스트 유지 상황과 실제 유지 상황이 일치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또한 UE가 일 네트워크에서 다른 일 네트워크로 이동할 시 ISR 비활성화로 인하여 어떤 상황이든지 막론하고 TAU요청이나 RAU요청에 모두 두개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어느 정도 랑비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측이 두개의 임시 식별자를 수신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측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증가되며 TAU 또는 RAU의 처리 시간이 연장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ISR 활성화 과정과 ISR 활성화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 및 사용자 단말(UE)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SR(Idle State Signalling Reduction)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은,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 및/또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며;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 수신한 확정 결과에 따라 UE에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은,
UE가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송신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를 확정하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 또는 정지하고 다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2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 및/또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제 1활성화 확정 수단; 및
확정 결과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UE는,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송신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 수단; 및
상기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를 확정하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하거나 또는 정지하여 다시 작동하는ISR 비활성화 타이머 재작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ISR의 활성화와 비활성화 과정 및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 측과 UE측의 ISR 처리의 일치함이 훌륭하게 확보되어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규범에서 규정된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안출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안출된 다른 일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UE의 구조도.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 및 UE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 MME와 SGSN 인터랙션이 ISR을 활성화하는지를 확인하는 경우, 현재 네트워크 노드의 ISR 활성화에 대한 지원함이 확인되면 ISR를 활성화한다. 하지만 이로인하여 네트워크 측과 UE측의 ISR상태가 동일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방법은 단계 S201과 단계 S202를 포함한다.
단계 S201에서,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나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또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UE가 UTRAN에서의 RA로부터 E-UTRAN에서의 TA에 진입할 때 TAU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이때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SGSN이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이다.
또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UE가 E-UTRAN에서의 TA로부터 UTRAN에서의 RA로 진입할 때 작동하는 RAU 프로세스이다. 이때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이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SGSN이다.
단계 S202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수신되는 확정 결과에 따라 UE에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지시를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UE가 UTRAN에서의 RA로부터 E-UTRAN에서의 TA로 진입할 때 작동하는 TAU 프로세스인 경우, SGSN가 확정 결과를 MME로 송신한다.
또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UE가 E-UTRAN에서의 TA로부터 UTRAN에서의 RA로 들러갈 때 개시하는 RAU 프로세스인 경우, MME가 확정 결과를 SGSN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UE가 유휴 상태에 진입할 때 작동되며, 상기 UE가 연결 상태에 진입할 때, 즉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와 NAS 시그널링 연결을 설립할 때 정지되며 타이머가 만료되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을 작동한다.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UE가 연결 상태에 들어가거나 또는UE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NAS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될 때 정지되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를 트리거하여 UE의 디태치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디태치 프로세스는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유지되는 상기 UE의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컨텍스트 요청을 수신 시 자신이 유지하는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을 활성화하는 것이며, 종래의 실행 흐름 처럼 네트워크 노드가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 경우만에 ISR을 활성화하는 것이 아니다. 종래 처럼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에 따라 ATTACH 타이머를 작동하면, UE가 ISR 활성화일 때 다시 돌아올 경우에 컨텍스트가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나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또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과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 활성화를 확정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ISR의 활성화/비활성화의 최적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에서,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302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자신이 유지하는 상기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며, 만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303을 수행하며, 만료되었으면 단계 S304를 수행한다.
단계 S303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되지 않았으므로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아직 작동하지 않았다. 현재 규범에 의하면, ISR 활성화일 때,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작동 시에 지정된 시간 길이가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길이보다 길며, UE가 ISR 활성화 상태에서 다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있는 네트워크에 돌아온다 해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여전히 UE의 컨텍스트를 저장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 처럼 UE 컨텍스트가 검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계 S304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ISR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물론, 이 실시예의 단계 S302에서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작동 중이 아니면 단계 S303을 수행하며, 작동 중이면 단계 S304를 수행한다.
아울러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 여부 및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로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이 알게 되며,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으로 시간이 좀 더 지나면 UE 컨텍스트의 삭제가 의미되므로, ISR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이로써 UE가 ISR 비활성화 지시를 수신 직후 ISR를 비활성화하므로서 UE가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있는 네트워크로 돌아와도, 네트워크 측과 UE측에서 ISR을 활성화하지 않았어, 네트워크 측이 UE에 의해 제공된 식별자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UE 컨텍스트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미리 설명해 두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ISR 비활성화는 UE가 ISR를 활성화하지 않아 ISR 활성화를 하지 아니함을 유지하는 경우와, UE가 이미 SR을 활성화했으나 ISR을 비활성화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1〉
UE가 E-UTRAN에서의 TA로부터 UTRAN에서의 RA에 진입할 때 작동되는 RAU인 경우, UE가 UTRAN에 체류함을 선택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가 E-UTRAN을 통하여 접속되어 EPS 시스템에 ATTACH된 후에 UE가 셀을 재선정하여 UTRAN에 접속되는 경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UE가 활성화/비활성화를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단계 S401에서, UE가 SGSN에 RAU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메시지의 송신 전 또는 후에 UE의 주기적인 TAU 타이머가 만료된다.
단계 S402에서, SGSN이 UE에 의해 송신된 RAU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MME에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S403에서, MME가 SGSN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며, MME 자신이 유지하는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 여부를 판단한다.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되지 않았으면 MME가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이미 만료되었으면, 이때 종래 타이머 길이의 규정과 처리 과정에 의하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아직 완요되지 않아,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가 확정되면 MME가 ISR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단계 S404에서, SGSN은 MME로부터의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후의 결과를 수신하며, 네트워크 노드가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ISR 활성화 또는 ISR 비활성화를 지시할지를 확정한다.
단계 S405에서, SGSN은 ISR의 활성화/ISR 비활성화 지시를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MME에 송신한다.
단계 S406에서, SGSN은 RAU 수신 (RAU ACCEPT) 메시지를 통하여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를 UE에 송신하며, UE는 종래의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에 따라 처리하며 된다.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 만료 또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 시, ISR의 비활성화가 확정됨으로써 UE측의 ISR 상태가 비활성화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UE가 E-UTRAN으로 다시 돌아와도, 1개의 임시 식별자를 사용하여 TAU를 작동하므로 네트워크 측의 ISR상태와 UE측의 ISR상태가 모두 비활성화 상태이며 양자가 일치된다. 이로써ISR 활성화인 경우 UE가 임시 식별자를 네트워크에 제공하였으나 네트워크는 이 임시 식별자에 따라 UE 컨텍스트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 2〉
UE가 UTRAN에서의 RA로부터 E-UTRAN에서의 TA에 개시하는 TAU인 경우, UE는 E-UTRAN에 체류하는 것을 선택한다.
UE가 UTRAN을 통하여 접소되어 EPS 시스템에 ATTACH된 후에, UE가 셀을 재선장하여 E-UTRAN에 접속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UE가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UE가 MME에 TAU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MME가 UE에 의해 송신된 TAU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SGSN에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며;
SGSN은 MME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유지하는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 여부를 판단하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SGSN이 ISR 활성화를 확정하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 이미 만료되었으면, 이때 종래의 타이머의 길이 규정과 처리과정에 따르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아직 만료되지않아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이 확정되면, SGSN은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며;
MME는 SGSN으로부터의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대한 확정 결과를 수신하며, 이 네트워크 노드가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ISR 활성화 또는 ISR 비활성화에 대한 지시를 확정하며;
MME가 ISR 활성화/ ISR 비활성화에 대한 지시를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SGSN에 송신하며;
MME가 TAU를 통하여 TAU ACCEPT 메시지를 수신하여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를 UE에 송신하며, UE는 종래의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른 일 ISR의 활성화/비활성화의 최적화 방법을 제고하며, 도 5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501에서,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502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아직 만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503를 수행하고, 만약 만료되었으면 단계 S504를 수행한다.
단계 S503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 아직 만료되지 않았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작동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규범에 의하면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길이가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ISR의 활성화 상태에서 UE가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있는 네트워크에 다시 돌아올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상기 UE 컨텍스트를 여전히 저장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 처럼 UE 컨텍스트를 검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계 S504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ISR 활성화를 확정하며, ISR 활성화의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단계 S505에서,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ISR 활성화의 확정 결과를 수신한 후에, 이 네트워크 노드가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 것을 확정되면 UE에 ISR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확정하며, ISR 활성화에 대한 지시를 영역 업데이트 수신 메시지를 통해 UE에 송신함과 더불어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여기서 UE가 제 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ISR 활성화에 대한 지시를 수신할 때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가 이미 만료되었으면, UE가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하거나 정지 후에 재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정지 후에 재작동하는 것은 바로 다시 작동함을 의미하므로서 후술 실시예에 나타나는 재작동은 모듀 정지 후에 재작동을 의미한다.
단계 S506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피드백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 후에,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이면, UE가 제 1 네트워크에서 ISR을 비활성화하는 지정 시간보다 좀 더 긴 지간을 지정하여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을 다시 작동한다.
물론 단계 S502에서,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작동여부에 따라 ISR을 활성화하겠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는 UE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UE의 유휴 상태에서는 주기적으로 작동되고, UE의 연결 상태, 즉, UE와 제 1 네트워크 간에 NAS 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될 때에는 정지되고,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를 트리거하여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상기 UE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됨과 아울러 ISR이 활성화 상태일 때에 작동되고, 상기 UE의 연결 상태, 즉, UE와 제 1 네트워크 간에 NAS 시그널링 연결이 설립될 때에는 정지하고, 자신의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를 드리거하여 ISR을 비활성화한다.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타이머가 주기적인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SGSN이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 MME이고,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며,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타이머가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 (periodic tracking area update timer)이다.
즉, 제 1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되며, 제 2 네트워크는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된다.
U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함이 확정될 경우, UE와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각각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동시 작동한다. 종래의 규범에 따르면 ISR이 활성화될 경우 상기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지정 시간이 제 1 네트워크의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지정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UE가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있는 네트워크에 다시 돌아올 때 만약 UE의 제 1 네트워크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았으면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UE 컨텍스트를 삭제하지 않는다. 만약 UE의 제 1 네트워크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이미 만료되었다면 UE가 이미 ISR을 비활성화시켜, 이때 네트워크 측에서 ISR을 비활성화시키지 않았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UE측의 ISR 오퍼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601에서, UE가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S602에서, UE가 제 1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인하며, 만약 만료되지 않았다면 단계 S603을 수행하고, 만료되었으면 단계 S604를 수행한다.
단계 S603에서, 종래의 실행 흐름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 즉, ISR 활성화 지지 정보가 포함된 영역 업데이트 수신 메시지를 수신 후에, ISR을 활성화한다.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IDLE상태으로 전환 만료되었으면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주기적인 타이머를 작동하고, 이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는 동시에 유휴 상태에 처해있으면 제 2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한다.
단계 S604에서, UE가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하거나 다시 작동한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가 주기적인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가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다.
이하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행 흐름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 1〉
UE가 E-UTRAN에서의 TA로부터 UTRAN에서의 RA에 개시하는 RAU인 경우, 즉 UE는 UTRAN에 체류함을 선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E-UTRAN을 통하여 접속되어 EPS시스템에 ATTACH되고 UE가 셀을 재선택하여 UTRAN에 접속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UE가 활성화/비활성화 작업의 전체 셀행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계 S701에서, UE가 SGSN에 RAU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메시지의 송신 전 또는 후의 어느 시간에, UE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TAU 타이머가 만료되었으나 UE가 아직도RAU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다.
단계 S702에서, SGSN이 UE로부터 송신된 RAU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MME에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MME는 SGSN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유지하는 UE의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여부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UE에 대응된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미만료이면, MME가 ISR 활성화를 확정한며, 그다음은 종래의 실행 흐름에 따라 처리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만약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이미 만료됨을 아울러 암시적인 디태치 타아머가 동작 중이면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이하부터 모든 실행 흐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이 상황에 의하여 하는 것이다.
단계 S703에서, SGSN이 MME로부터의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된 ISR 활성화의 확정 결과를 수신하며, SGSN은 자신이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UE에 ISR 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이 확정될 시, 단계 S704를 수행한다
단계 S704에서, SGSN은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MME에 송신한다.
단계 S705에서, MME가 상기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 시, 만약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이면, UE의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값보다 좀 더 긴 지정 시간으로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을 다시 작동한다.
단계 S706에서, SGSN이 RAU ACCEPT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UE에 송신한다.
단계 S707에서, UE가 ISR 활성화 지시가 포함된 RAU ACCEPT메시지를 수신 시, UE의 주기적인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인하며, 만약 만료이면 UE의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하거나 다시 작동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 2〉
UE가 UTRAN에서의 RA로부터 E-UTRAN에서의 TA에 개시된 TAU인 경우, 즉 UE가 E-UTRAN에 체류함을 선택한다.
UE가 UTRAN을 통하여 접속되어 EPS시스템에 ATTACH되고 UE가 셀을 재선택하여 E-UTRAN에 접속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UE가 활성화/비활성화 작업을 완료하는 실행 흐름은 다음과 같다.
UE가 MME에 TAU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메시지의 송신 전 또는 후에, UE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 RAU타이머가 만료되었으나 UE는 아직 TAU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으며;
MME가 UE에 의해 송신된 TAU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SGSN에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며;
SGSN은 MME에 의해 컨텍스트 요청(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며, 자신이 유지하는 UE의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 여부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미만료이면 SGSN이 ISR 활성화를 확정하고, 그다음은 종래의 실행 흐름에 따라 처리하면 되므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함을 아울러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이 동작 중이면,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이하부터 실행 흐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이 상황에 의해 하는 것이다.
MME가 SGSN으로부터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된 ISR 활성화의 확정 결과를 수신하며, MME가 자신이 ISR 활성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UE에 ISR 활성화를 지지하는 것을 확정 시, MME는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SGSN에 송신한다.
SGSN이 상기 컨텍스트 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시 시, 만약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이면, UE의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값보다 좀 더 긴 지성 시간으로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다시 작동한다.
MME는 TAU ACCEPT를 통하여 ISR 활성화 지시를 UE에 송신한다.
UE는 ISR 활성화 지시가 포함된 TAU ACCEPT 메시지를 수신 시, UE의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이하며, 만약 만료이면 UE의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 또는 다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은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를 제공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수단을 구비한다.
제 1활성화 확정 수단 801은, UE가 영역 업데이트 시에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를 통하여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 및/또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송신 수단802는 확정 결과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801은 구체적으로,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 만료되면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이면 ISR 비활성화를 확정한다.
또는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801은 구체적으로,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의 만료와 동시에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이면,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상기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로부터 피드백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가 ISR 활성화 지시임을 판단될 겨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이 동작 중임이 판단되면,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작동 또는 재작동하는, 디태치 타이머 재작동 수단803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801은 구체적으로,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이 미만료이면 ISR 활성화를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다시 작동 시, 그의 지정 시간은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지정 시간보다 길다.
상기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이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이고,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다.
또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SGSN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MME이고,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UE를 더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지시 수신 수단901은,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한다.
ISR 비활성화 타이머 재작동 수단902는, 상기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 시,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가 확정되면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작동하거나 재작동한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가 주기적인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가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적인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적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결합 실시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는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와 광학 메모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블록과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지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된 지령을 통해 지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지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지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보다시피,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한 여러 가지 변경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변경과 변형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도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과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황에 따라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를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여, 제 2 네트워크 엔티티가 확정 결과에 따라UE에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 2 네트워크에 속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Detach Timer)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함은,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이미 만료될 경우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인 경우,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이미 만료되고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인 경우,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함은,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인 경우, ISR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피드백된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지시가 ISR 활성화 지시인 것으로 확정될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정지하고 다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UE에 대응되는 다시 작동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지정 시간은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지정 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ISR 활성화 지시를 수신할 시, 만약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UE가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하여 다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이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SGSN(서빙 GPRS 지원 노드)이거나; 또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SGSN이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타이머는 주기적인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이거나; 또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주기적인 타이머는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함은,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미만료인 경우 ISR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상태 시그널링 감소(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네트워크에 위치하며,
    UE의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제 2 네트워크 내의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와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황에 따라 I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정하기 위한 제 1활성화 확정 수단; 및
    확정 결과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은 구체적으로,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될 경우에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인 경우에 ISR 비활성화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은 구체적으로,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만료되는 경우 또는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가 동작 중인 경우, ISR 활성화를 확정하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로부터 피드백된 ISR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가 ISR 활성화 지시인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를 정지하여 다시 작동하기 위한 재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항에 있어서,
    다시 작동된 상기 UE에 대응되는 암시적인 디태치 타이머(Implicit Detach Timer)의 지정 시간은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의 지정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
  17. 제 12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이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이거나; 또는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이며,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SGSN이며, 제 2 네트워크 측의 장치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E-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이며;
    상기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UE의 제 1 네트워크의 ISR 비활성화 타이머는 GERAN/UTRAN ISR 비활성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활성화 확정 수단은 상기 UE에 대응되는 이동 도달 가능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가 미만료인 경우 ISR 활성화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제 1 네트워크 측의 장치.
  20. 삭제
  21. 삭제
KR1020127025743A 2010-06-18 2011-06-10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KR101457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09863.1A CN102083047B (zh) 2010-06-18 2010-06-18 一种激活/去激活isr优化方法及网络侧设备
CN201010209863.1 2010-06-18
PCT/CN2011/075576 WO2011157202A1 (zh) 2010-06-18 2011-06-10 一种激活/去激活isr优化方法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91A KR20120138791A (ko) 2012-12-26
KR101457133B1 true KR101457133B1 (ko) 2014-10-31

Family

ID=4408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43A KR101457133B1 (ko) 2010-06-18 2011-06-10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55334B2 (ko)
EP (1) EP2584804B1 (ko)
KR (1) KR101457133B1 (ko)
CN (2) CN103313284B (ko)
WO (1) WO2011157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3284B (zh) * 2010-06-18 2016-05-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去激活isr优化方法及网络侧设备
KR101573156B1 (ko) * 2011-08-12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시그널링 감소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CN102264057B (zh) * 2011-08-17 2013-12-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处理移动管理上下文的方法及装置
CN103037502B (zh) * 2011-09-30 2019-06-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终端触发消息的方法及系统
WO2013078637A1 (zh) * 2011-11-30 2013-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去激活用户承载的方法和装置
GB2500723A (en) 2012-03-30 2013-10-02 Nec Corp Intersystem reselection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of different types
WO2013149372A1 (en) * 2012-04-01 2013-10-10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 mode mobility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CN103609151B (zh) * 2012-04-10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网络中节省信令的方法及装置
GB2501278A (en) * 2012-04-18 2013-10-23 Nec Corp Rendering ineffective a ready timer depending on an initiated inter-system change
CN103458505B (zh) * 2012-05-29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电模式下控制信令发送的方法和系统
CN105191368B (zh) * 2013-05-07 2018-11-06 Lg电子株式会社 为了邻近服务对isr能力进行去激活的方法
US9794870B2 (en) 2013-06-28 2017-10-1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feedback of flow-to-rat mapping preferences
US9814037B2 (en)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CN104427525A (zh) * 2013-08-19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sr激活及去激活的方法
US10154458B2 (en) 2013-09-04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eachability of a user equipment in idle state
RU2645157C2 (ru) * 2013-09-27 2018-02-1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Epc-улучшение для длинного drx 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го состояния
US9693289B2 (en) * 2015-03-24 2017-06-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derating communications with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based on UE power saving modes
EP3459275B1 (en) * 2016-05-20 2020-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periodic updating timer of a user equipment
US10313941B2 (en) * 2016-06-09 2019-06-04 Apple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mobility between networks
CN109429323B (zh) * 2017-06-30 2021-06-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Tti-b激活、去激活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EP3689044B1 (en) * 2017-09-29 2022-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n idle early data transmission solution accommodating power-saving mode
CN114666022A (zh) * 2020-12-23 2022-06-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接态定位方法、装置及设备
CN113490274B (zh) * 2021-08-26 2022-08-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下行数据寻呼方法、sgw、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0223A (zh) * 2008-02-01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跨接入网元切换的方法及移动性管理网元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8482B2 (en) * 2003-11-17 2010-06-15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uspend mode in an Ethernet-based communications system
CN100473216C (zh) * 2006-04-03 2009-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路由更新方法
CN101415175B (zh) * 2007-10-16 201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注册处理方法及装置
CN101472340B (zh) * 2008-01-30 201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约信令的方法及其系统
CN101505471B (zh) * 2008-02-04 2011-11-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空闲状态信令优化过程中实现上下文同步的方法及系统
CN101568177B (zh) * 2008-04-21 2011-08-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周期性位置区更新方法、系统及装置
CN101572942B (zh) 2008-04-30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隐分离方法、系统和装置
CN105007619A (zh) * 2008-06-27 2015-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sr去激活方法及isr去激活指示装置
CN101577955B (zh) * 2008-07-11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闲模式下节约信令功能的激活判断方法及系统
CN101646158B (zh) 2008-08-05 2012-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性管理处理方法、系统和设备
WO2010051873A1 (en) * 2008-11-10 2010-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circuit-switched fallback functionality
ATE551862T1 (de) * 2009-01-30 2012-04-15 Vodafone Holding Gmbh Reduzierung der signalisierungslast von einer mobilen vorrichtung zu einem mobilen netzwerk
CN103313284B (zh) 2010-06-18 2016-05-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去激活isr优化方法及网络侧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0223A (zh) * 2008-02-01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跨接入网元切换的方法及移动性管理网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7762A1 (en) 2014-09-04
US8755334B2 (en) 2014-06-17
KR20120138791A (ko) 2012-12-26
EP2584804B1 (en) 2017-01-04
CN103313284B (zh) 2016-05-18
EP2584804A1 (en) 2013-04-24
CN102083047A (zh) 2011-06-01
CN102083047B (zh) 2014-12-10
WO2011157202A1 (zh) 2011-12-22
US9173166B2 (en) 2015-10-27
EP2584804A4 (en) 2013-07-17
CN103313284A (zh) 2013-09-18
US20130223312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133B1 (ko) Is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측의 장치
US106456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U2020209603B2 (en) Terminal energy-saving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terminal energy-sav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20115694A (ja) 端末状態の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KR201400507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의 핸들링
US20190021134A1 (en) User plane optimization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WO2018126961A1 (zh) 通信的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
JP202050662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ページングのための方法、基地局及び通信デバイス
WO2018137459A1 (zh) 通信的方法、终端和接入网设备
JP2018532320A (ja) 無線リソース制御(rrc)接続を解放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159999B2 (e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WI685273B (zh) 位置追踪方法及使用其之基站與用戶設備
EP3684115B1 (en) Method for allowing user equipment to detach from network entity
JP6994040B2 (ja) 接続解放方法及び装置
CN114424625B (zh) 防止不期望的接入限制缓和的系统和方法
WO2018001301A1 (zh) 用户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和网关
KR101488883B1 (ko) 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