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033B1 -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033B1
KR101457033B1 KR1020140083434A KR20140083434A KR101457033B1 KR 101457033 B1 KR101457033 B1 KR 101457033B1 KR 1020140083434 A KR1020140083434 A KR 1020140083434A KR 20140083434 A KR20140083434 A KR 20140083434A KR 101457033 B1 KR101457033 B1 KR 10145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rver
bidirectional
flick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to KR102014008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점멸기의 원격 제어장치는 도로변에 설치되며, 모뎀이 설치된 메인점멸기와 상기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서브점멸기가 1개조로 구성된 양방향 제어기; 상기 양방향 제어기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양방향 중계기; 상기 양방향 중계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는 기관통신망; 상기 기관통신망의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를 구비한 중앙제어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On-and-Off Light Remote Control Method an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의 다수 개소에 설치된 점멸기의 위치 및 작동 불량 등의 정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 제어시스템은 원거리에서 원하는 시각에 선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가로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으나, 관리자가 단방향으로만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로등 시스템의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주제어장치에서 지역 번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이를 가로등 콘트롤러에서 수신하여 제어 신호중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자신의 지역번호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연속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할당된 가로등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방향 가로등 무선제어 시스템의 가로등 콘트롤러에서는 가로등을 무선에 의해 원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지만, 이는 가로등기구의 절전 제어 및 램프, 안정기, 점멸기 등의 전반적인 운용 상태 및 고장 여부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비 절감형 점멸기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이는 각 지역별 점멸기의 각종 정보를 갖는 점멸기 감시제어기에 근거리 통신이 용이한 지그비 모듈을 탑재하여 지역별 점멸기 감시제어기 간의 지그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 점멸기 감시제어기의 데이터를 공중파 통신모듈을 탑재한 하나의 게이트웨이로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종래의 점멸기 제어시스템은 원거리에서 원하는 시각에 선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으나, 관리자가 단방향으로만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점멸기 시스템의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주제어장치에서 지역 번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이를 점멸기 콘트롤러에서 수신하여 제어 신호중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자신의 지역번호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연속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할당된 점멸기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콘트롤러에서는 점멸기를 무선에 의해 원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지만, 이는 점멸기의 전반적인 운용상태 및 고장여부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1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변에 복수로 설치된 점멸기에서 무선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여 점멸기의 위치정보 및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운용상태 및 고정여부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되며, 모뎀이 설치된 메인점멸기와 상기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서브점멸기가 1개조로 구성된 양방향 제어기; 상기 양방향 제어기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양방향 중계기; 상기 양방향 중계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는 기관통신망; 상기 기관통신망의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를 구비한 중앙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점멸기는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점멸기에는 서브점멸기의 신호를 받고,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모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점멸기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점멸기 및 서브점멸기에는 마그네트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오프시 서브점멸기에서 신호가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의 모뎀으로 송신되고, 상기 모뎀의 신호는 양방향 중계기를 통해 서버로 송신되고, 송신된 신호는 양방향 제어기의 고유 ID 별로 구별되어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동되는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는 통합서버와 전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방향 제어기에 연결되는 앱이 설치되어 양방향 제어기로부터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를 전송받고, 조회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양방향 제어기를 점등 또는 소등을 원격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점멸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가 한개의 메인점멸기에 RF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1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메인점멸기의 모뎀에서 신호가 송신되어 양방향 중계기에 송신하는 2단계; 상기 양방향 중계기의 신호를 받아 중앙제어부의 서버에 저장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1단계는 복수의 서브점멸기는 등록 전 자기 위치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는 양방향 제어기의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각기 분류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에 부여된 일련번호, ID, 좌표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로부터 신호가 오프되면 상기 메인점멸기의 모뎀에서 신호 송신이 중단됨으로써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이상 발생을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복수로 설치된 점멸기에서 무선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여 점멸기의 위치정보 및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운용상태 및 고정여부를 원격지에서 확인 및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기의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를 나타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기의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기의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를 나타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기의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멸기의 원격 제어장치는, 도로변에 설치되며, 모뎀이 설치된 메인점멸기(120)와 상기 메인점멸기(120)에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서브점멸기(140)가 1개조로 구성된 양방향 제어기(100); 상기 양방향 제어기(100)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신호를 서버(460)에 송신하고, 서버(46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양방향 중계기(200); 상기 양방향 중계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는 기관통신망(300); 상기 기관통신망(300)의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460)를 구비한 중앙제어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방향 제어기(100)는 통상 도로변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온/오프 시키는 점멸기이며, 상기 점멸기는 일정한 거리 내의 지역에 N개가 한조를 구성하는데, N-1개는 RF신호를 발생하는 서브점멸기(140)이며, 1개는 모뎀이 구비된 메인점멸기(120)이다.
따라서 N-1개의 서브점멸기(140)에서 신호를 메인점멸기(120)의 모뎀에 전송하는 과정에 계속 반복되어 위치 정보 및 기타 상태 정보를 송신토록 한다. 상기 서브점멸기(140)는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데 구체적으로는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120)에 신호를 전송한다. 편의에 따라서 지그비 통신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되는 신호는 위치 정보 및 기타 상태 정보이다.
상기 메인점멸기(120)에는 서브점멸기(140)의 신호를 받고, 서버(460)에 신호를 송신하는 모뎀이 포함된다. 상기 메인점멸기(120) 및 서브점멸기(140)는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나 단전 상황에서도 계속적인 신호 생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서브점멸기(140)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메인점멸기(120)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점멸기(120) 및 서브점멸기(140)에는 마그네트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마그네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서브점멸기(140)의 온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서브점멸기(140)에서 신호가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120)의 모뎀으로 송신된다.
상기 송신된 신호는 양방향 제어기(100)의 고유 ID 별로 구별되어 데이터로 저장된다. 상기 메인점멸기(120)의 모뎀의 신호는 양방향 중계기(200)를 통해 서버(460)로 송신되고, 만약 N-1개의 서브점멸기(140) 중 일부가 오프시 나머지 서브점멸기(140)의 신호가 메인점멸기(120)로 송신되고, 고장난 서브점멸기(140)에 대한 정보는 더이상 송신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해 에러 상태가 주제어부의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연동되는 클라이언트(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500)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중앙제어부(400)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또한 양방향 제어기(100) 및 양방향 중계기(200)에 대한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400)의 서버(460)는 전용서버(462)와 통합서버(464)를 포함한다. 즉, 전용서버(462)에는 가설 및 생산회사의 제품 및 운영 시스템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 관리자의 양방향 제어기(100)들의 신호가 저장되는 용도로 사용되고, 통합서버(464)는 관리자가 서로 다른 즉 타사 제품들의 전용 서버를 하나로 통합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호환성 즉 본 발명인의 시스템과 타사의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방향 제어기(100)에 연결되는 모바일단말기(600)가 포함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600)에 탑재된 앱(어플리케이션)이 양방향 제어기(100)로부터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를 전송받고, 조회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양방향 제어기를 점등 또는 소등을 원격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바일단말기(600)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이며, 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양방향 제어기(100)를 원격제어로 점,소등시킬 수 있고, 점,소등 시간이나 타이머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관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기(600)는 기관통신망(30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점멸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140)가 한개의 메인점멸기(120)에 RF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1단계(S1); 상기 신호를 받은 메인점멸기(120)의 모뎀에서 신호가 송신되어 양방향 중계기(200)에 송신하는 2단계(S2); 상기 양방향 중계기(200)의 신호를 받아 중앙제어부(400)의 서버(460)에 저장하는 3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단계(S1)는 복수의 서브점멸기(140)는 등록 전 자기 위치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2단계(S2)는 해당 양방향 제어기(100)의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 신호를 중앙제어부(400)의 서버(460)로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2단계(S2)는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140)로부터 신호가 오프되면 상기 메인점멸기(120)의 모뎀에서 신호 송신이 중단됨으로써 상기 중앙제어부(400)에서 이상 발생을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3단계(S3)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각기 분류하여 서버(460)에 저장한다. 상기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200)에 부여된 일련번호, ID, 좌표 중 택일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점멸기(140)는 RF방식으로 신호를 메인점멸기(120)로 송신한다.
이 신호를 받은 메인점멸기(120)는 모뎀을 이용하여 양방향 중계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 양방향 중계기(200)는 신호를 중앙제어부(400)의 서버(460)에 송신한다.
또한 양방향 중계기(200)는 서버(460)에서 변경된 점소등 데이터를 메인점멸기(120)로 전송할 때 한번 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다수 번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서버(460)에서는 보안등의 변경된 점소등 데이터를 1회 송신 하지만 신호를 중계하는 양방향 중계기(200)는 일정한 시간마다 반복해서 여러 번 보안등의 변경된 점소등 데이터를 메인점멸기(1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메인점멸기(120)는 다시 양방향 중계기(200)로부터 받은 신호를 복수의 서브점멸기(14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서버(460)에 송신된 신호는 데이터로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각 양방향 제어기(100)의 위치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자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하는 양방향 제어기(10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아울러 고장 발생시 해당 양방향 제어기(100)를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방향 제어기(100)는 관리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직접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아울러 스마트폰에서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즉, 각 양방향 제어기(100)의 점,소등 시간이나 점,소등 상태 확인 등의 작업이 스마트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양방향 제어기 120 : 메인점멸기
140 : 서브점멸기 200 : 양방향 중계기
300 : 기관통신망 400 : 중앙제어부
462 : 전용서버 464 : 통합서버
500 : 클라이언트

Claims (13)

  1. 도로변에 설치되며, 모뎀이 설치된 메인점멸기와 상기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서브점멸기가 1개조로 구성된 양방향 제어기;
    상기 양방향 제어기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양방향 중계기;
    상기 양방향 중계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는 기관통신망;
    상기 기관통신망의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를 구비한 중앙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제어기를 점등 또는 소등을 원격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양방향 제어기를 점등 또는 소등을 원격 제어로 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의 서버는 전용서버와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서버는 양방향 제어기들의 신호가 저장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통합서버는 타사 제품들의 전용 서버를 하나로 통합 운영 및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여 자사의 시스템과 타사의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메인점멸기 및 상기 서브점멸기에는 마그네트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오프시 서브점멸기에서 신호가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의 모뎀으로 송신되고,
    상기 모뎀으로 송신된 신호는 양방향 중계기를 통해 중앙제어부의 서버로 송신되어 중앙제어부에서 이상발생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점멸기는 RF방식으로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점멸기에는 서브점멸기의 신호를 받고,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모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점멸기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메인점멸기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의 서버로 송신된 신호는 양방향 제어기의 고유 ID 별로 구별되어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동되는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양방향 제어기에 연결되는 앱이 설치되어 양방향 제어기로부터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를 전송받고,
    조회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멸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가 한개의 메인점멸기에 RF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1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메인점멸기의 모뎀에서 신호가 송신되어 양방향 중계기에 송신하는 2단계; 및
    상기 양방향 중계기의 신호를 받아 중앙제어부의 서버에 저장하는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복수의 서브점멸기는 등록 전 자기 위치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양방향 제어기의 위치정보, 전압, 전류, 누전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각기 분류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양방향 중계기에 부여된 일련번호, ID, 좌표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점멸기로부터 신호가 오프되면 상기 메인점멸기의 모뎀에서 신호송신이 중단됨으로써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이상 발생을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KR1020140083434A 2014-07-04 2014-07-04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KR10145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434A KR101457033B1 (ko) 2014-07-04 2014-07-04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434A KR101457033B1 (ko) 2014-07-04 2014-07-04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033B1 true KR101457033B1 (ko) 2014-10-31

Family

ID=5199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434A KR101457033B1 (ko) 2014-07-04 2014-07-04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292A (ko) * 2006-01-25 2006-10-19 주식회사 포에프 릴레이 중계방식을 이용한 가로등 양방향 원격 제어시스템
KR20090072690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유에스엔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00078781A (ko) * 2008-12-30 2010-07-08 (주)유비엔씨 태양광 기반 가로등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가로등 디밍 컨트롤시스템
KR101175996B1 (ko) * 2012-03-21 2012-08-23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292A (ko) * 2006-01-25 2006-10-19 주식회사 포에프 릴레이 중계방식을 이용한 가로등 양방향 원격 제어시스템
KR20090072690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유에스엔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00078781A (ko) * 2008-12-30 2010-07-08 (주)유비엔씨 태양광 기반 가로등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가로등 디밍 컨트롤시스템
KR101175996B1 (ko) * 2012-03-21 2012-08-23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7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commissioning and locating lighting system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94747Y1 (ko)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CA2932986C (en) Networking groups of photocontrol devices
KR101294684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 제어시스템
JP6879658B2 (ja) 光信号装置
EP3763090B1 (en) Smart light switch/thermostat for control and energy management
EP3469859B1 (de) Adresszuweisung und konfigurierung von komponenten eines beleuchtungssystems mittels transponder
KR101648865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분전함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110048257A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33039A (ko) 로라를 이용한 스마트 보안등 제어기
CN104470035A (zh) 道路照明智能电源系统
KR101457033B1 (ko) 양방향 원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장치
CN101546188A (zh) 基于安防系统的智能楼宇节能系统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2054350B1 (ko) 무선조광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4929346U (zh) 用于无线灯光控制的联网装置及无线灯光控制系统
KR101593142B1 (ko) 디밍 제어 시스템
JP5454551B2 (ja) 交通信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装置
KR20160094584A (ko) 대규모의 스마트 가로등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79284A (ja) 車線運用状態表示装置
KR101572040B1 (ko) 예비 가로등 점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310279Y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등기구 제어 시스템
KR20130096839A (ko) 전등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427014B1 (ko) 스마트 공공조명용 가로등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