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466B1 -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466B1
KR101456466B1 KR1020130105735A KR20130105735A KR101456466B1 KR 101456466 B1 KR101456466 B1 KR 101456466B1 KR 1020130105735 A KR1020130105735 A KR 1020130105735A KR 20130105735 A KR20130105735 A KR 20130105735A KR 101456466 B1 KR101456466 B1 KR 10145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plate
plates
oper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제
구도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10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차량의 충돌시험용 대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는 범퍼빔의 전방충돌을 테스트하는 시험장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며, 충격시험이 수행되는 범퍼빔이 장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홀이 구비되는 제1, 제2 정반; 상기 대차와 상기 제1, 제2 정반 사이에 구성되며, 상하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대차의 높이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유닛; 및 상기 상하 이동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정반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을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TEST CART DEVICE FOR IMPACT TEST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빔이 장착되는 정반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구성하여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을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 또는 조립부품 업체에서 최초로 신차 혹은 조립품을 개발하는 경우, 개발된 제품의 안전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되는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체크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안전성은 승차자의 생명에 관련하는 바,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서, 범퍼빔이 경우, 저속 충돌 시, 변위량을 검출하여 완성도를 측정하는데,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범퍼빔을 장착하여 충격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평면도이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3)의 전방에 장착되는 정반(5)에 스테이(7)가 후방에 연결된 범퍼빔(9)을 횡방향으로 장착한 후, 이를 배리어(11; BARRIER)에 저속으로 충돌시켜 그때의 범퍼빔(9)의 변위량을 검출하거나, 펜들럼(PENDULUM; 미도시) 시험을 통하여 검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는 대차(3)의 전방에 장착되는 정반(5)의 크기와 위치가 고정되는 바,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와 장착위치가 각기 다른 범퍼빔(9)에 대응하기가 어려워 다차종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없으며, 범퍼빔(9)의 형상 및 크기와 장착위치에 맞는 정반(5)을 각각 새롭게 제작하거나, 정반(5)에 범퍼빔(9)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홀을 가공해야만 하여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시험에 사용되는 범퍼빔(9)에 대응하여 대차(3)에 장착되는 정반(5)을 교체하거나 정반에 장착홀 가공으로 인해 교체시간 또는 가공시간이 요구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고, 시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범퍼빔이 장착되는 정반을 분리 구성하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을 정반에 원활하게 장착하여 시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차종별 범퍼빔에 대응하여 정반을 제작하거나 교체하는 것을 배제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는 범퍼빔의 전방충돌을 테스트하는 시험장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며, 충격시험이 수행되는 범퍼빔이 장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홀이 구비되는 제1, 제2 정반; 상기 대차와 상기 제1, 제2 정반 사이에 구성되며, 상하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대차의 높이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유닛; 및 상기 상하 이동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정반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을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 이동유닛은 상기 대차의 전방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후면과 연결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블록에 대응하는 전방에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가이드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작동모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차의 폭 방향으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후방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모터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회전축 선단이 상기 대차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서보 모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좌우 이동유닛은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대차의 폭 방향과 수평 하게 장착되는 수평 가이드 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상에서 상기 제1 정반과 제2 정반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정반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에 장착되어 작동로드 선단이 상기 제1, 제2 정반의 후방에 각각 연결되고, 작동압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정반을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실린더는 분할 구성된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을 향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양방향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의 길이 및 높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의하면, 범퍼빔이 장착되는 정반을 분리 구성하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을 정반에 원활하게 장착하여 장착성과 시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에 대응하여 종래 정반을 새로 제작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배제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범퍼빔 장착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적용되는 상하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적용되는 좌우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는 범퍼빔(101)이 장착되는 정반(110)을 분리 구성하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101)을 정반(110)에 원활하게 장착하여 시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차종별 범퍼빔(101)에 대응하여 정반(110)을 제작하거나 교체하는 것을 배제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103), 제1, 제2 정반(110a, 110b), 상하 이동유닛(120), 및 좌우 이동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대차(103)는 범퍼빔(101)의 전방충돌을 테스트하는 시험장에서 양측에 구비된 휠(W)을 통해 베리어(104)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은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며, 충격시험이 수행되는 범퍼빔(101)이 스테이(102)를 통해 장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홀(11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111)은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의 길이 및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이동유닛(120)은 상기 대차(103)와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 사이에 구성되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를 상기 대차(103)의 높이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하 이동유닛(120)은 장착 플레이트(123), 작동모터(125), 리드 스크류(127), 및 이동블록(1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는 상기 대차(103)의 전방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모터(125)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의 하부에서 회전축 선단이 상기 대차(103)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터(125)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서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스크류(127)는 상기 작동모터(12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모터(125)의 정, 역방향 작동 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29)은 상기 리드 스크류(127)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모터(12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127)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후면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는 상기 이동블록(129)에 대응하는 전방에 상기 이동블록(129)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록(129)의 이동을 가이드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작동모터(125)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으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129)의 후방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1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상하 이동유닛(120)은 상기 작동모터(125)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될 경우, 작동모터(125)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27) 상에서 이동블록(129)이 상,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를 상기 대차(103)의 높이 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수단의 수직 가이드 레일(128)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 상에서 시험장의 지면과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129)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리드 스크류(127)를 따라 상,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블록(129)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이동유닛(130)은 상기 상하 이동유닛(120)의 전방에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정반(110a)과 상기 제2 정반(110b)을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좌우 이동유닛(130)은 수평 가이드 레일(131), 레일블록(133), 및 작동 실린더(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은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정반(110a)과 상기 제2 정반(110b)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양측에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과 수평 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블록(1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 상에서 상기 제1 정반(110a)과 제2 정반(110b)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은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폭 방향 양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 하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블록(133)은 상기 각 수평 가이드 레일(13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의 후방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 하부에 2개씩 4개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실린더(135)는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의 전방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의 사이 중앙에 장착되어 작동로드 선단이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의 후방에 각각 연결되고, 작동압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을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실린더(135)는 분할 구성된 상기 제1 정반(110a)과 상기 제2 정반(110b)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 좌, 우측을 향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양방향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실린더(135)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 실린더(135)의 작동압인 공압 혹은 유압의 공급은 일반적인 유공압 공급시스템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자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좌우 이동유닛(130)은 상기 작동 실린더(135)에 작동압이 공급되면, 작동 실린더(135) 양측에 구비된 작동로드가 대차(103)의 폭 방향 좌, 우측을 향하여 각각 왕복 이동되어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작동 실린더(135)는 양측에 구비된 작동로드 중, 하나의 작동로드만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 중, 이동하는 작동로드와 연결된 제1 정반(110a) 또는 제2 정반(110b) 만 상기 대차(103)의 폭방향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레일블록(133)은 상기 작동 실린더(135)의 작동 시, 이동하는 제1 정반(110a)과 제2 정반(110b)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적용되는 상하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에 적용되는 좌우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에서 상하 이동유닛(120)은 대형차량과 같이 범퍼빔(101)의 폭 길이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범퍼빔(101)이 충격시험에 적용될 경우, 도 3의 (S1) 또는 (S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모터(125)가 작동하여 리드 스크류(127)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블록(129)은 작동모터(125)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27)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를 상기 대차(103)의 높이 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이 상하 이동 플레이트(121)와 함께 대차(103)의 전방에서 상, 하부로 각각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수단의 수직 가이드 레일(128)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3) 상에서 시험장의 지면과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129)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리드 스크류(127)를 따라 상,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블록(129)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에서 좌우 이동유닛(13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폭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중대형 차량의 범퍼빔(101)이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에 장착되도록 작동압의 공급에 따라 상기 작동 실린더(135)의 작동로드가 상기 대차(103)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은 상기 작동 실린더(135)의 작동로드와 함께 대차(103)의 폭 방향 좌, 우측을 향하여 각각 이동되어 대차(103)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폭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중대형 차량의 범퍼빔(101)을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실린더(135)는 양측에 구비된 작동로드 중, 하나의 작동로드만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 중, 이동하는 작동로드와 연결된 제1 정반(110a) 또는 제2 정반(110b) 만 상기 대차(103)의 폭방향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유닛(130)의 작동 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레일블록(133)은 상기 작동 실린더(135)의 작동 시, 이동하는 제1 정반(110a)과 제2 정반(110b)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유닛(120)과 좌우 이동유닛(130)의 작동을 통해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범퍼빔(101)을 분할 구성된 상기 제1, 제2 정반(110a, 110b)에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100)를 적용하면, 범퍼빔(101)이 장착되는 정반(110)을 제1, 제2 정반(110a, 110b)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하 이동유닛(120)과 좌우 이동유닛(130)을 통해 대차의 전방에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101)을 정반(110)에 원활하게 장착하여 장착성과 시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종별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범퍼빔(101)에 대응하여 종래 정반을 새로 제작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배제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범퍼빔(101) 장착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101 : 범퍼빔
102 : 스테이 103 : 대차
104 : 베리어 110 : 정반
110a : 제1 정반 110b : 제2 정반
111 : 장착홀 120 : 상하 이동유닛
121 : 상하 이동 플레이트 123 : 장착 플레이트
125 : 작동모터 127 : 리드 스크류
128 : 수직 가이드 레일 129 : 이동블록
130 : 좌우 이동유닛 131 : 수평 가이드 레일
133 : 레일블록 135 : 작동 실린더

Claims (11)

  1. 범퍼빔의 전방충돌을 테스트하는 시험장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며, 충격시험이 수행되는 범퍼빔이 장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홀이 구비되는 제1, 제2 정반;
    상기 대차와 상기 제1, 제2 정반 사이에 구성되며, 상하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대차의 높이방향 상, 하부로 각각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유닛; 및
    상기 상하 이동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정반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을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유닛은
    상기 대차의 전방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후면과 연결되는 이동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블록에 대응하는 전방에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가이드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작동모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차의 폭 방향으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후방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터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회전축 선단이 상기 대차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서보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유닛은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대차의 폭 방향과 수평 하게 장착되는 수평 가이드 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상에서 상기 제1 정반과 제2 정반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정반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에 장착되어 작동로드 선단이 상기 제1, 제2 정반의 후방에 각각 연결되고, 작동압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정반을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분할 구성된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의 폭 방향 좌, 우측을 향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양방향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의 길이 및 높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KR1020130105735A 2013-09-03 2013-09-03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KR10145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35A KR101456466B1 (ko) 2013-09-03 2013-09-03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35A KR101456466B1 (ko) 2013-09-03 2013-09-03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466B1 true KR101456466B1 (ko) 2014-10-31

Family

ID=5199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735A KR101456466B1 (ko) 2013-09-03 2013-09-03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4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19B1 (ko) * 2014-12-09 201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시험용 대차
CN106501007A (zh) * 2016-10-28 2017-03-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rcar及前后端低速碰撞试验装置及基于该装置的试验方法
KR102076785B1 (ko) * 2018-12-26 2020-05-1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20200119172A (ko) * 2019-04-09 2020-10-19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112525563A (zh) * 2020-11-20 2021-03-19 湖南根轨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悬浮转向架综合试验台及试验设备
CN112710445A (zh) * 2020-12-17 2021-04-27 同济大学 一种跨坐式单轨单轴转向架的模拟试验台
KR20210083962A (ko) * 2019-12-27 2021-07-07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394U (ko) * 1997-12-26 1999-07-15 김덕중 차량 후드시험용 지그
KR20100059478A (ko)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충격시험용 변위측정장치 및 변위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394U (ko) * 1997-12-26 1999-07-15 김덕중 차량 후드시험용 지그
KR20100059478A (ko)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충격시험용 변위측정장치 및 변위측정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19B1 (ko) * 2014-12-09 201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시험용 대차
CN106501007A (zh) * 2016-10-28 2017-03-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rcar及前后端低速碰撞试验装置及基于该装置的试验方法
CN106501007B (zh) * 2016-10-28 2019-01-2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rcar及前后端低速碰撞试验装置及基于该装置的试验方法
KR102076785B1 (ko) * 2018-12-26 2020-05-1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20200119172A (ko) * 2019-04-09 2020-10-19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2176557B1 (ko) * 2019-04-09 2020-11-09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20210083962A (ko) * 2019-12-27 2021-07-07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2314104B1 (ko) * 2019-12-27 2021-10-15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112525563A (zh) * 2020-11-20 2021-03-19 湖南根轨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悬浮转向架综合试验台及试验设备
CN112525563B (zh) * 2020-11-20 2023-11-24 湖南根轨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悬浮转向架综合试验台及试验设备
CN112710445A (zh) * 2020-12-17 2021-04-27 同济大学 一种跨坐式单轨单轴转向架的模拟试验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466B1 (ko) 차량의 충격시험용 대차장치
KR101285094B1 (ko) 차량의 크래시 박스용 노치 성형장치
CN102466557B (zh) 可调试发动机罩刚度试验台架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264095B (zh) 连续冲剪机
CN102825408B (zh) 一种立柱组焊工装
CN104330268A (zh) 车身安全性的多功能试验系统
CN107498167B (zh) 一种能共用多种门框中柱点焊专机
CN203197573U (zh) 一种应用于立体车库载车板边梁生产的数控联合生产线
CN217194077U (zh) 门窗型材加工用吊装式钻铣装置
CN102581447B (zh) 汽车车门防撞杆焊接机
CN112304631B (zh) 激振装置
CN104308437B (zh) 用于汽车前地板与前排座椅安装横梁焊接的夹具
CN102152004B (zh) 激光焊输送线
CN105729135A (zh) 加工中心
CN201900385U (zh) 激光焊输送线
KR101454649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CN110523454B (zh) 一种移动支撑装置和车辆性能试验平台
CN204712474U (zh) 一种便携式3d打印工作台
EP3721021B1 (en) Earth moving machine with a vertically movable engine compartment
CN207155252U (zh) 一种高精度三轴直线驱动数控机床
CN107685209B (zh) 一种环保型行走三工位机器人焊接工作站
CN201235446Y (zh) 数控等离子切割机专用导轨
KR101382344B1 (ko) 차체 프레임용 정렬장치
CN220095942U (zh) 一种汽车连杆件打标装置
CN105382092B (zh) 一种带有随动压料装置的数控液压冲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