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80B1 -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 Google Patents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80B1
KR101456080B1 KR20130136840A KR20130136840A KR101456080B1 KR 101456080 B1 KR101456080 B1 KR 101456080B1 KR 20130136840 A KR20130136840 A KR 20130136840A KR 20130136840 A KR20130136840 A KR 20130136840A KR 101456080 B1 KR101456080 B1 KR 10145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ixing band
backpack
book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우
김민규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이필우
김민규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우, 김민규, 김석원 filed Critical 이필우
Priority to KR2013013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된 책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책가방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뒤쪽에 형성된 어깨걸이를 포함하는 배낭식 책가방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된 ㅗ 형태의 궤도가 수납공간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바닥판; 및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 뒷면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궤도에 삽입되는 T자형 걸이부가 상기 궤도에 삽입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궤도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하고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이부가 상기 궤도를 따라서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책가방은, 바닥판에 형성된 돌출부와 한쪽 끝이 바닥판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밴드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책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BACK PACK}
본 발명은 배낭식 책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방의 내부에 수납된 책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식 책가방은 등에 짊어지는 형태로 사용하는 책가방으로 양 어깨에 가방의 무게가 고르게 분산되어 학생용 책가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직장인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낭식 책가방은 지퍼 등을 이용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형식으로 내부에 책 등을 물건을 넣도록 되어 있으며, 책을 수납하는 공간이 크게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책이 내부에서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낭식 책가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배낭식 책가방은 내부에 수납공간(12)이 마련된 본체(10)와 이러한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걸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낭식 책가방은 어깨걸이(20)를 양 어깨에 걸치면, 수납공간(12) 뒷면(14)의 반대면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다. 따라서 내부에 수납된 책이 수납공간(12)의 뒷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책이 항상 자기 모양을 유지하지만, 수납공간(12)은 앞뒤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바닥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통은 수납공간(12)의 뒷면(14)에 비스듬히 기대고 있는 형태가 된다.
이때, 수납된 책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책의 형태에 변화가 없지만, 얇은 책과 노트의 경우는 모양이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낭식 책가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에 수직하게 돌출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기둥부의 내부 공간에는 단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을 후방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푸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하는 책가방에 대한 기술(대한민국 등록고안 20-0463144)이 개발되었지만, 푸시플레이트와 탄성밴드로 인해서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주름형태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의 내용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된 책가방용 책꽂이에 대한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8159)도 개발되었지만, 별도의 수납부를 구성하여 활용도가 떨어지고 수납된 책을 뒤쪽으로 정리하여 주지 못하여 효과가 뛰어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등록고안 20-046314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815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하면서도 내부에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배낭식 책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납된 책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책가방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뒤쪽에 형성된 어깨걸이를 포함하는 배낭식 책가방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된 ㅗ 형태의 궤도가 수납공간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바닥판; 및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 뒷면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궤도에 삽입되는 T자형 걸이부가 상기 궤도에 삽입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궤도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하고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이부가 상기 궤도를 따라서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수납된 책이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에 설치된 궤도를 따라서 한쪽 끝이 움직이는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책들을 안쪽으로 당김으로써 수납된 책이 구부러져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밴드를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책들을 고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궤도의 앞쪽 끝에 고정밴드의 T자형 걸이부가 궤도에 탈착될 수 있는 출입부를 구비함으로써 책을 수납할 때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과 돌출부를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책의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의 높이는 1~3cm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고정밴드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돌출부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을 필요가 없다. 돌출부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으면 다양한 책의 크기에 의해서 수납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3~6cm로 구성하는 것이 책들의 두께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닥판에 형성된 돌출부와 한쪽 끝이 바닥판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밴드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책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밴드가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책을 수납할 때의 편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가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책가방에 책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낭식 책가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 관련 표현의 기준은, 도 3에서 A로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가방의 상하의 방향을 높이방향, B로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좌우로의 방향을 가로방향, C로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전후의 방향을 폭방향으로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가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책가방에 책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책가방은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한 쌍의 어깨걸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일반적인 배낭식 책가방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책가방은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판(100)에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도면에서는 표시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나 1~3cm의 높이로 형성되어 수납된 책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이고 공간을 구분하는 정도는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돌출구조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며, 라운드 모양의 요철구조도 가능하다.
나아가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은 3~6cm로 형성하고, 바닥판(100)과 돌출부(120)의 재질을 고무재질로 구성하여, 수납된 책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는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책가방의 바닥판(100)에는 상부가 개방된 ㅗ자 형태의 궤도(110)가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궤도(110)가 동작하기 위하여, 궤도(110)의 위쪽이 개방된 위치에서는 돌출부(120)가 끊어진 구조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책가방은 수납된 책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200)를 포함한다.
고정밴드(200)는 한쪽 끝에 T자형의 걸이부(210)가 형성되고, 이 T자형의 걸이부(210)는 바닥판(110)에 형성된 궤도(110)를 따라서 폭방향의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밴드(200)의 다른 쪽 끝은 수납공간 후면(14)의 위쪽에 연결되어, 걸이부(210)의 이동에 의해서 수납된 책을 후면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밴드(200)의 걸이부(210)는 바닥판(100)의 궤도(110)에 항시 삽입된 구조일 수도 있으나, 책을 수납할 때 편리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한 쌍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궤도(110)의 앞쪽 끝에 출입부(112)를 만들어 걸이부(210)를 궤도(110)에 넣고 뺄 수 있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납공간의 후면(14)에 연결되는 고정밴드(200)의 다른 쪽 끝도 후면(14)에 고정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는 고정밴드(200)를 탄성 재질로 구성하여 고정밴드(200)의 탄성에 의해서 걸이부(210)를 이동시킴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책을 후면(14)쪽으로 밀착시킨다.
다른 구조로서 고정밴드(200)의 다른 쪽 끝을 후면(1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버클 등을 이용하여 후면에 고정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구조로서 고정밴드(200)의 다른 쪽 끝을 후면(14)을 통해서 가방 본체(10)의 외부로 연결한 뒤에 사용자의 조작에서 의해서 걸이부(210)를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밴드(200)를 탄성 재질로 구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수납공간의 외부로 연결된 고정밴드(200)의 타단을 어깨걸이(20) 등에 설치된 롤러 등의 구조물에 감거나 직접 당기는 방법으로 걸이부(210)를 후면(14)쪽으로 이동시켜서 수납된 책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책가방에 책을 수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걸이부(210)가 궤도(110)에서 빠져 있는 상태에서 책을 수납한다. 고정밴드(210)의 걸이부가 궤도(110)에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책을 수납하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다.
그리고 고정밴드(200)의 탄성을 이용하여 걸이부(210)를 궤도(110) 앞쪽 끝의 출입부(112)에 끼운다. 책을 수납한 뒤에 걸이부(210)를 당기면, 탄성 재질의 고정밴드(200)가 늘어나서 걸이부(210)를 궤도(110)의 출입부(112)에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걸이부(210)를 궤도(110)에 끼워 넣으면, 고정밴드(200)의 탄성에 의해서 걸이부(210)가 궤도(110)를 따라 후면(14)쪽으로 이동하면서 책을 후면(14)에 밀착시킨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며, 수납된 책이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수납공간
14: 후면 20: 어깨걸이
100: 바닥판 110: 궤도
112: 출입부 120: 돌출부
200: 고정밴드 210: 걸이부

Claims (6)

  1. 내부에 수납공간(12)이 마련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의 뒤쪽에 형성된 어깨걸이(20)를 포함하는 배낭식 책가방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된 ㅗ 형태의 궤도(110)가 수납공간의 폭 방향(C)으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가로 방향(B)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20)가 형성된 바닥판(100); 및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 뒷면(14)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궤도(110)에 삽입되는 T자형 걸이부(210)가 상기 궤도에 삽입되는 고정밴드(20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궤도(110)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하고 형성되어, 상기 T자형 걸이부(210)가 상기 궤도(110)를 따라서 폭방향(C)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궤도의 앞쪽 끝에, 상기 고정밴드의 T자형 걸이부가 상기 궤도에 탈착될 수 있는 출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및 돌출부가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1~3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3~6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가방.
KR20130136840A 2013-11-12 2013-11-12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KR10145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840A KR101456080B1 (ko) 2013-11-12 2013-11-12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840A KR101456080B1 (ko) 2013-11-12 2013-11-12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080B1 true KR101456080B1 (ko) 2014-11-06

Family

ID=5228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840A KR101456080B1 (ko) 2013-11-12 2013-11-12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54B1 (ko) 2023-07-24 2024-01-29 윤지영 학생용 가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59A (ko) * 2010-11-05 2012-05-15 김경진 책가방용 책꽂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59A (ko) * 2010-11-05 2012-05-15 김경진 책가방용 책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54B1 (ko) 2023-07-24 2024-01-29 윤지영 학생용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9780A1 (en) Portable computer case with integrated storage features
KR101569684B1 (ko)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
KR200464468Y1 (ko) 슬라이더형 옷걸이대
EP3021704B1 (en) Device for separated storage of cards and money
JP2002142841A (ja) 小物入れ
US9314079B2 (en)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objects
KR101929680B1 (ko) 여행용 가방
KR102307033B1 (ko) 여행용 캐리어
WO2015101193A1 (zh) 冰箱
KR101456080B1 (ko) 수납된 책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배낭식 책가방
US3812960A (en) Box for tape reels
US8480191B1 (en) Storage apparatus
US4388935A (en) Hingeless compact
KR20200088081A (ko) 책 휘어짐 방지 가방
KR20120122488A (ko) 분리가 가능한 물품수납부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KR20200039396A (ko) 신발 정리기구
US9571147B1 (en) Portable storage buckling unit
US9369554B2 (en) Key holder—cell phone holder combination
KR102048731B1 (ko) 모듈형 여행 가방
KR101767874B1 (ko) 무선충전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키트
KR101370875B1 (ko) 다기능 가방
JP2011244880A (ja) 化粧料容器
KR20150094063A (ko) 어깨 거치식 링거대
CN210203668U (zh) 一种箱包
CN205585513U (zh) 多层容积快速可变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