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76B1 -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76B1
KR101455376B1 KR1020140078626A KR20140078626A KR101455376B1 KR 101455376 B1 KR101455376 B1 KR 101455376B1 KR 1020140078626 A KR1020140078626 A KR 1020140078626A KR 20140078626 A KR20140078626 A KR 20140078626A KR 101455376 B1 KR101455376 B1 KR 10145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turbine
power
ai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4007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455 priority patent/WO20151994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압축기(11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량 수용하는 에어 탱크(120)와 이 에어 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30)로 구비되는 압축 공기 생성부(100); 상기 레귤레이터(130)를 통해 유동하는 압축 공기를 유입구(212)로 유입하여 내부의 터빈(210)을 회전시키면서 유출구(2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복수 개가 직렬로 구비되도록 하는 터빈 구동기(210)와 이들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 상부를 지나면서 각 터빈 구동기(210)의 유입구(212)측으로 압축 공기를 유도하는 공급밸브(221)와 각 터빈 구동기(210)의 유출구(213)를 통해 유도되는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222) 및 공급 밸브(221)와 배출밸브(222)의 사이를 지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23)를 구비하는 에어 파이프(220) 및 직렬로 구비되는 일정 갯수의 터빈 구동기(210)를 구동축간 유니버설 조인트(215)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동시 구동되는 마지막 터빈 구동기(210)의 구동축(214)과 동력 전달 수단(231)에 의해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230)로 구비되는 발전부(200); 발전기(230)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여 축전된 전력을 분배 송전하는 송배전부(30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Wind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마력 이상의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 이상의 공기가 생성되도록 하고, 이 압축공기의 유동압에 의해 복수의 터빈이 구동되도록 하여 이 복수의 터빈들에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를 통해 발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은 크게 화석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과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은 화석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발전을 위해 현재는 대부분이 이러한 화석 에너지에 의존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화석 에너지는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점차 줄어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화석 에너지를 얻으면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위해 요소인 환경오염이나 방사능 노출이라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자력 발전에 따른 폐기물 처리와 폐 연료봉을 이용한 무기화 및 발전소 사고 등의 다양한 문제점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원은 풍력, 수력, 조력이기는 하나 이러한 자연 동력원으로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설비와 비용이 필요로 된다.
이에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발전설비로서 태양열이나 태양빛을 이용한 에어지가 주목을 받고 있기는 하나 설치 공간의 확보와 집광 및 집열 효율이 아직은 경제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대체 에너지로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에너지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력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러한 대량의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아직은 화석 에너지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발전소 증설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가 발전이 제안되고 있고, 오지 등에서는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을 충당하도록 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9-0027085호(2009.03.16.명칭:압축공기 발생장치)는 자연 에너지로부터 생성되는 고압의 공기를 동력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자연 에너지로부터 회전 에너지를 발생하는 자연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된 회전 에너지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이 회전 에너지에 의해 저압의 공기가 생성되면 이 저압의 공기에 의해 터빈을 구동시켜 고압 컴프레셔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생성되도록 하고, 이렇게 생성된 고압의 공기를 동력원으로 발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발전을 위한 자연 동력은 저회전이므로 이를 변속시켜 고속의 회전력이 형성되도록 해야 하고, 이 고속의 회전력이 저압 컴프레셔를 동작시켜 저압의 압축공기가 생성되도록 하며, 저압의 압축공기가 터빈을 돌려 발생되는 고속 회전력에 의해 고압 컴프레셔가 동작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생성하는데 따른 다양한 구동장치가 필요로 되는 폐단이 있다.
공개특허 제2013-0038702호(2013.04.18.명칭:압축공기를 이용한 전력발생장치)는 콤프레샤와 에어탱크 사이에 전력발생장치가 구비되도록 하고, 전력발생장치에는 축전지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전력발생장치는 일측의 유입구와 타측의 관통구를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하도록 하면서 전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나, 전력발생장치에서의 발생 에너지가 어떻게 축전지에 충전되는지의 구성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콤프레샤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회전체만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가 없는 미완성의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9-0027085호(2009.03.16.) 공개특허 제2013-0038702호(2013.04.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 공급되는 공기가 일정 압력으로 복수 개의 터빈 구동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면서 발전기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한 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발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발전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빈 구동기의 구동축간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터빈 구동기의 손쉬운 설치와 함께 안정적인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발전기와 복수 개의 터빈 구동기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발전 조합 구조를 복수로 구비되도록 하면서 각 터빈 구동기로는 압축 공기 공급관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여 발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량 수용하는 에어 탱크와 이 에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로 구비되는 압축 공기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유동하는 압축 공기를 유입구로 유입하여 내부의 터빈을 회전시키면서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복수 개가 직렬로 구비되도록 하는 터빈 구동기와 이들 복수의 터빈 구동기들 상부를 지나면서 각 터빈 구동기의 유입구측으로 압축 공기를 유도하는 공급밸브와 각 터빈 구동기의 유출구를 통해 유도되는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 및 공급 밸브와 배출밸브의 사이를 지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하는 에어 파이프 및 직렬로 구비되는 일정 갯수의 터빈 구동기를 구동축간 유니버설 조인트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동시 구동되는 마지막 터빈 구동기의 구동축에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구비되는 발전부;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여 축전된 전력을 분배 송전하는 송배전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의해 공기 압축기를 가동시킬 수 있는 전력만 공급되면 복수의 터빈 구동기를 통해 발생되는 전력에 의해 자가 발전과 함께 잉여 전력을 이용한 전력 공급량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터빈 구동기를 통해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력 손실에 따른 에어 압력 저하를 방지시켜 안정된 전력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빈 구동기들은 구동축간 유니버설 조인트로서 연결되게 함으로써 터빈 구동기들의 설치 시 구동축간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안정되게 구동력이 전달될 수가 있으므로 설치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일정 갯수의 터빈 구동기와 하나의 발전기로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발전 구조를 복수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용량의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부의 터빈 구동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발전부에서 터빈 구동기간 연결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구조를 개력적으로 예시한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는 크게 압축 공기 생성부(100)와 발전부(200)와 송배전부(3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압축 공기 생성부(100)에는 공기 압축기(110)와 에어 탱크(120)와 레귤레이터(130)가 구비되고, 발전부(200)에는 터빈 구동기(210)와 에어 파이프(220)와 발전기(230)로서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압축 공기 생성부(100)의 공기 압축기(110)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발전에 필요한 압축 공기의 생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공기 압축기(110)는 스크류형 공기 압축기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기 압축기(110)에서 생성한 압축 공기는 일정 용량의 에어 탱크(120)에 채워지게 된다.
에어 탱크(120)에 채워지는 압축 공기가 일정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 압축기(110)의 구동을 중단시키도록 하며, 따라서 에어 탱크(120)에는 일정 압력의 압축 공기가 채워지도록 한다.
에어 탱크(120)에 채워진 압축 공기는 레귤레이터(130)를 지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즉 레귤레이터(130)는 에어 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하면서 설정한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압축 공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발전부에 공급되어 발전을 일으키는 촉매로 작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부의 터빈 구동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발전부(200)에서 터빈 구동기(210)는 내부로 터빈(211)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면서 일측에는 압축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21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압축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유출구(21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터빈 구동기(210)는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터빈(211)을 회전시켜 이 터빈(211)의 회전력을 구동축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압축 공기의 유동력이 터빈(211)의 기계적 운동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터빈 구동기(210)는 도 4에서와 같이 터빈(211)에 축고정된 구동축(214)의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면서 직렬로 일정 갯수의 터빈 구동기(210)가 연결된다.
터빈 구동기(210)들간 구동축(214)은 플랜지축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으나 터빈 구동기(210)들의 좀더 자유로운 장착을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215)로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터빈 구동기(210)들은 내부에서 터빈(211)이 회전하는 구성이므로 보다 견고한 고정이 되어야 하는데 구동축(214)간을 동일 축선상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터빈 구동기(210)의 구동축(214)간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구동력 전달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니버설 조인트(215)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은 에어 파이프(220)로서 연결되며, 에어 파이프(220)는 압축 공기 생성부로부터 마지막에 위치하는 터빈 구동기(210)를 지난 위치에까지 형성되는 구성이다.
에어 파이프(220)의 각 터빈 구동기(210) 상부에서는 터빈 구동기(210)의 유입구(211)측으로의 압축 공기 공급을 단속하도록 하는 공급밸브(221)가 구비되고, 공급밸브(221)가 구비되는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 에어 파이프(220)에는 터빈 구동기(210)의 유출구(212)와 연결되어 유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 배출을 단속하도록 하는 배출밸브(222)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 사이의 에어 파이프(220)에는 바이패스밸브(223)가 장착되도록 하여 공급밸브(221)에서 배출밸브(222)로의 직접적인 압축 공기 유동이 차단 단속되도록 한다.
이때의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는 3웨이 밸브로 이루어지고, 바이패스밸브(223)는 2웨이 밸브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터빈 구동기(210)를 지난 에어 파이프(220)의 단부에는 압축 공기의 배출압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에어 파이프(220)의 배출 단부에는 소음기(224)가 장착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어 파이프(220)를 통해 모든 터빈 구동기(210)에 압축 공기를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각 터빈 구동기(210)의 터빈(2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터빈 구동기(210)를 통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구동축(214)을 통해서 회전력이 발생되며, 이런 구동축(214)에는 일정 간격으로 발전기(23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의 발전기(230)는 발전 용량을 감안하여 유니버설 조인트(215)를 이용해서 연결되는 터빈 구동기(210)의 갯수가 정해지도록 하며, 유니버설 조인트(215)로 축연결되는 터빈 구동기(210)들 중 마지막 터빈 구동기(210)의 구동축(214)과 발전기(230)가 동력 전달 수단(231)을 통하여 연결되게 함으로써 터빈 구동기(210)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발전기(230)가 구동되면서 발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발전기(230)는 터빈 구동기(210)의 3~5개에 하나씩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터빈 구동기(210)의 구동축(214)과 발전기(230)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231)으로는 풀리와 벨트로 적용할 수도 있고,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적용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축(214)간 유니버설 조인트(215)로 연결되는 3~5개의 터빈 구동기(210)와 이들 터빈 구동기(210)들 중 하나의 구동축(214)과 동력 전달 수단(231)을 통해 발전기(230)가 연결되도록 하는 조합을 도 5에서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발전기(230)를 통해 발전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발전부(200)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게 되면 이들 전력은 송배전부(300)로 모아지게 된다.
송배전부(300)는 크게 발전기(23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모여지도록 하고, 이렇게 모여진 전력을 일부는 외부 전력을 차단시키면서 공기 압축기(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다양한 사용 분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발전기(230)에서는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력을 만들어 출력을 하게 되므로 발전기(230)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일단 송배전부(300)에 모여지도록 한 후 우선은 에너지원인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기(1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으로 공급되게 한다.
공기 압축기(110)를 구동시키는 전력 외 남는 전력은 필요로 하는 곳으로 보내지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작용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구조를 개력적으로 예시한 구조도로서, 우선 공기 압축기(110)는 외부 전력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가동되도록 한다.
외부 전력에 의해 공기 압축기(110)를 가동하게 되면 공기 압축기(11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는 에어 탱크(120)에 채워지게 된다.
에어 탱크(120) 내의 압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 압축기(110)의 가동은 중단되며, 에어 탱크(120)를 통해 유출되는 압축 공기는 레귤레이터(130)를 지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만 공급되도록 한다.
레귤레이터(13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에어 파이프(220)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 에어 파이프(220)에 구비되는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는 모두 3웨이 밸브로서 이루어진다.
즉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는 에어 파이프(220)에서 터빈 구동기(210)의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에 연통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가 터빈 구동기(210)측으로 개방되면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 사이의 에어 파이프(220)로는 압축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특히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 사이의 에어 파이프(220)에는 2웨이 밸브인 바이패스 밸브(223)가 구비되면서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가 터빈 구동기(210)의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측으로의 압축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면 터빈 구동기(210)를 거치지 않고서도 개방된 바이패스 밸브(223)를 통해서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터빈 구동기(210)가 정상적인 구동 상태인 경우에는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가 터빈 구동기(210)의 유입구(212)와 유출구(213)측으로 개방되면서 터빈 구동기(210)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터빈 구동기(210)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유동압에 의해 터빈(211)이 회전하게 되면 터빈(211)과 축고정되는 구동축(214)이 회전하게 되며, 터빈 구동기(210)의 유출구(213)로 유출된 압축 공기는 다시 에어 파이프(220)를 통해서 인접한 터빈 구동기(210)측 공급밸브(221)로 공급된다.
한편, 일부의 터빈 구동기(210)가 고장나거나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터빈 구동기(210)로 압축 공기를 유도하는 공급밸브(221)와 배출밸브(222)를 작동 전환시키는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223)가 개방되게 함으로써 고장 또는 점검이 필요한 터빈 구동기(210)를 바이패스하여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 공기가 에어 파이프(220)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게 되면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에서 터빈(211)이 거의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터빈(211)에 연결된 각 구동축(214)을 일제히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214)과 유니버설 조인트(215)로 연결된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이 구동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구동력은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 중 하나의 터빈 구동기(210)와 풀리와 벨트 또는 스프로킷과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수단(231)을 통해 발전기(230)에 전달됨으로서 발전을 하게 된다.
다만 하나의 발전기(230)에서 발전될 수 있는 전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구동축(214)과 유니버설 조인트(215)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의 결합 구조를 여러번 반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의 각 터빈 구동기(210)들은 하나의 에어 파이프(220)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
한편 구동축(214)과 유니버설 조인트(215)로서 연결되는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들은 발전기(230)에 걸리는 구동 부하를 감안하여 이 구동 부하에도 각 터빈 구동기(40)의 터빈(211)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갯수로서 구비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발전기(230)를 통해 생성하는 발전량은 제한적이므로 원하는 정도의 발전량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발전기(230)를 구비해야만 한다.
따라서 구동축(214)과 유니버설 조인트(215)로서 연결되는 복수의 터빈 구동기(210)와 하나의 발전기(230)로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반복 증설함으로써 복수의 발전기(230)를 통해 원하는 정도의 발전량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복수의 발전기(60)를 통해 생성되는 전력은 이미 실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송배전부(300)에 공급되므로 송배전부(300)에서는 이를 적절하게 배분해서 송전되도록 한다.
송배전부(300)에 수집된 전력은 우선적으로 외부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면서 공기 압축기(110)에 공급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고, 공기 압축기(110)로 공급하고도 남는 잉여 전력은 다양한 사용처에 공급되게 함으로써 외부 전력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적으로 경감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전장치를 통해 더욱 많은 발전량을 생산하게 되면 아파트나 고층건물 또는 공장 등에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충당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력에 대한 의존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전력을 공급받을 수가 있게 된다.
외부 전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게 되면 전기료에 대한 부담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역으로 전력 판매가 가능하므로 수익성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 압축기(110)와 레귤레이터(130) 및 발전기(230)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기만 하면 터빈 구동기(210)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킴에 의해서 전력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으므로 최근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압축 공기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100 : 압축 공기 생성부 110 : 공기 압축기
120 : 에어 탱크 130 : 레귤레이터
200 : 발전부 210 : 터빈 구동기
211 : 터빈 212 : 유입구
213 : 유출구 214 : 구동축
215 : 유니버설 조인트 220 : 에어 파이프
221 : 공급밸브 222 : 배출밸브
223 : 바이패스밸브 224 : 소음기
230 : 발전기 231 : 동력 전달 수단
300 : 송배전부

Claims (6)

  1. 공기 압축기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량 수용하는 에어 탱크와 이 에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로 구비되는 압축 공기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유동하는 압축 공기를 유입구로 유입하여 내부의 터빈을 회전시키면서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복수 개가 직렬로 구비되도록 하는 터빈 구동기와 이들 복수의 터빈 구동기들 상부를 지나면서 각 터빈 구동기의 유입구측으로 압축 공기를 유도하는 공급밸브와 각 터빈 구동기의 유출구를 통해 유도되는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 및 공급 밸브와 배출밸브의 사이를 지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하는 에어 파이프 및 직렬로 구비되는 일정 갯수의 터빈 구동기를 구동축간 유니버설 조인트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동시 구동되는 마지막 터빈 구동기의 구동축에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구비되는 발전부;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여 축전된 전력을 분배 송전하는 송배전부;
    로서 이루어지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기는 외부 전력과 함께 분전기로부터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구동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파이프의 공급밸브와 배출밸브는 3웨이 밸브로 이루어지고, 바이패스밸브는 2웨이 밸브로 이루어지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는 3~5개의 터빈 구동기들에 하나씩 연결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풀리와 벨트 또는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축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는 3~5개의 터빈 구동기와 이들 터빈 구동기들 중 하나의 구동축과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발전기로서 이루어지는 구조가 복수로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발전기를 통해 발전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20140078626A 2014-06-26 2014-06-26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45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626A KR101455376B1 (ko) 2014-06-26 2014-06-26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PCT/KR2015/006455 WO2015199450A1 (ko) 2014-06-26 2015-06-24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626A KR101455376B1 (ko) 2014-06-26 2014-06-26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76B1 true KR101455376B1 (ko) 2014-10-27

Family

ID=5199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626A KR101455376B1 (ko) 2014-06-26 2014-06-26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5376B1 (ko)
WO (1) WO20151994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57B1 (ko) 2015-09-09 2016-03-08 이동훈 압축유체를 이용한 발전용 터빈장치
CN106640489A (zh) * 2016-12-22 2017-05-10 徐伟忠 一种采用柔性连接离合涡轮构成的发电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0126B2 (ja) 2019-01-25 2024-04-17 ドラゴナス、ハラランボス、テオドロス 風力エネルギー生成器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879A (ja) * 1990-09-25 1992-05-07 Shigeyoshi Ayabe 送風器に依る永久的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20020090955A (ko) * 2002-10-12 2002-12-05 이은진 유체기기 동력을 이용한 순환싸이클의 직류발전장치
JP2008297998A (ja) * 2007-05-31 2008-12-11 Shimane Univ 風力発電装置
KR20140023475A (ko) * 2012-08-16 2014-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배관 구조를 갖는 발전기 시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879A (ja) * 1990-09-25 1992-05-07 Shigeyoshi Ayabe 送風器に依る永久的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20020090955A (ko) * 2002-10-12 2002-12-05 이은진 유체기기 동력을 이용한 순환싸이클의 직류발전장치
JP2008297998A (ja) * 2007-05-31 2008-12-11 Shimane Univ 風力発電装置
KR20140023475A (ko) * 2012-08-16 2014-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배관 구조를 갖는 발전기 시동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57B1 (ko) 2015-09-09 2016-03-08 이동훈 압축유체를 이용한 발전용 터빈장치
CN106640489A (zh) * 2016-12-22 2017-05-10 徐伟忠 一种采用柔性连接离合涡轮构成的发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450A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5448C (zh) 自动高效全天候风能发电机组
CN105386948B (zh) 驱动系和具有该驱动系的风力发电设备
KR101455376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WO2008039089A1 (en) Concentrator for wind turbine
KR100773115B1 (ko) 풍력 발전기
KR20060120873A (ko) 수력발전기 시스템
KR20090019880A (ko) 밀폐형 터널식 발전시스템
JP2008172988A (ja) 混成発電装置システム。
JP2013024161A (ja) 高層ビル下水の落下エネルギーを利用するビル内水力発電システム
CN106194574A (zh) 电前蓄能滤波的水平轴式风力机、风力机组及曳引系统
KR20110058194A (ko) 풍력 터빈을 이용한 압축공기 생산 시스템
JP2021535977A (ja) 水車回転体管路支持型管路タービンと管路タービンを多段に直列設置した水力発電装置
RU2746822C9 (ru) Турбогенера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способы его установки и эксплуатации
WO2018095446A1 (en) Power system using a renewable source of mechanical energy
KR20130082186A (ko)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US20090102193A1 (en) Fluid-driven electric generator for operatively connecting to a conduct carrying a fluid
KR102087088B1 (ko) 원통형 링기어 또는 링기어 옆면에 베벨기어가 형성된 터빈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유체에너지 이용시스템
WO2016083899A1 (pt) Gerador de energia e sistema de geração de energia
RU2112153C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 тепловым двигателем
US20110133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in small/large scale in an eco-friendly manner without usage of any raw materials
CN103498761B (zh) 风力储能发电系统
CN220185267U (zh) 一种蓄能补压恒动力发电装置
RU2437035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комплекс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KR20200028699A (ko) 수차회전체 관로지지형 관로터빈과 관로터빈을 다단으로 직렬 설치한 수력 발전장치
RU2680822C1 (ru) Гелиоветря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