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795B1 -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795B1
KR101454795B1 KR1020130086018A KR20130086018A KR101454795B1 KR 101454795 B1 KR101454795 B1 KR 101454795B1 KR 1020130086018 A KR1020130086018 A KR 1020130086018A KR 20130086018 A KR20130086018 A KR 20130086018A KR 101454795 B1 KR101454795 B1 KR 10145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landslide
location tracking
tag
early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AP)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되며 각각이 충전 배터리로 동작하는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상기 각 태그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한 뒤,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가 감지되면,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 를 포함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낮은 단가로 형성가능한 태그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AP) 간의 통신과 선형 부재(Lm)를 활용해 태그의 위치 정보 획득하여 낙석 및 산사태의 위치 파악이 신속하게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landslide and rock fail using wireless mesh network and location tracking}
본 발명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낮은 단가와 이동이 가능한 태그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낙석 및 산사태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안전 사고 예방이 조기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관련기술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산사태 및 낙석 조기경보시스템(500)은 복수의 산사태 및 낙석 감지장치(100), 게이트웨이(510), 데이터로거(520), 서버(5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산사태 및 낙석 감지장치(100)는 산사태 또는 낙석의 위험이 있는 경사면에 설치되어 센서노드를 이루는데, 센서노드를 이루는 산사태 및 낙석 감지장치(100) 상호간에는 송수신부(170)에 의해 무선 멀티 홉 애드 혹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산사태 또는 낙석 감시장치(100)는 라우터(Router) 기능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선센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산사태 및 낙석 감지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 통신장애가 발생할 경우 우회루트를 제공하여 통신이 두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관련기술문헌 1 내지 3에 따른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은 설치 비용이 부담스럽고 운용이 어려우며, 여러 개의 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 공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각 센서노드의 가격과 전원 공급에 대한 것이 단점으로 제시되었다.
[관련기술문헌]
1. 산사태 및 낙석 조기경보 시스템 및 방법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12642호)
2.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등록번호 제10-0814470호)
3.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구조물 및 구조물 기울기 원격 측정 시스템(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594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낮은 단가로 형성가능한 태그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 간의 통신과 선형 부재(Lm)를 활용해 태그의 위치 정보 획득하여 낙석 및 산사태의 위치 파악이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그에 충전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유선 전원 공급이 불필요하며, 각 태그는 이동이 가능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게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산사태 및 낙석이 발생될 위험이 있는 위험지역까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와 위험지역 사이의 다수 지점 각각에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태그를 설치시켜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되도록 하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한편,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와 위험지역 사이에 설치된 태그의 위치 변위 감지를 통해 추가적인 산사태 및 낙석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통신망을 통해 자동 볼라드를 구동하여 차량의 유입 방지하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CCTV에 대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재난 동영상에 대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조기 경보 서버로 재난 정보 전송하여 상기 조기 경보 서버(60)에 의한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되며 각각이 충전 배터리로 동작하는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상기 각 태그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한 뒤,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가 감지되면,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AP); 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통신망을 통한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의 유입을 방지하는 자동 볼라드;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에 따라 재난 동영상을 획득하는 CCTV; 및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조기 경보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조기 경보 서버에 의한 인근 차량 및 시민에게 메시지 전송과 연동되어 낙석 또는 산사태 지역을 지도에 위치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GIS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건 발생시 경광등을 온(ON) 상태로 유지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은, 낮은 단가로 형성가능한 태그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 간의 통신과 선형 부재(Lm)를 활용해 태그의 위치 정보 획득하여 낙석 및 산사태의 위치 파악이 신속하게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은, 각 태그에 충전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유선 전원 공급이 불필요하며, 각 태그는 이동이 가능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게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상에서의 각 태그(30-1 내지 30-n) 간의 선형 부재로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이 실제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상에서의 각 태그(30-1 내지 30-n) 간의 선형 부재로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이 실제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 (10),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20), 제 1 태그(30-1) 내지 제 n 태그(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통신망(40), 자동 볼라드(50), 조기 경보 서버(60), CCTV(70) 및 GIS 서버(80)를 포함한다.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30-1 내지 30-n)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하고,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30-1 내지 30-n)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한다.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되면,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한다.
여기서 산사태 및 낙석이 발생될 위험이 있는 위험지역까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와 위험지역 사이의 다수 지점 각각에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태그(30)를 설치시켜 무선 메쉬 네트워크(20)에 포함되도록 하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한편,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와 위험지역 사이에 설치된 태그(30)의 위치 변위 감지를 통해 추가적인 산사태 및 낙석을 모니터링한다.
이후,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통신망(40)을 통해 자동 볼라드(50)를 구동하여 차량의 유입 방지하도록 자동 볼라드(5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통신망(40)을 통해 CCTV(70)에 대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재난 동영상에 대한 획득 후, 조기 경보 서버(6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통신망(40)을 통해 조기 경보 서버(60)로 재난 정보 전송하여 조기 경보 서버(60)에 의한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CCTV(70)를 제어함으로써, 실제적으로 태그(30)에 대한 변위가 일어났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재난 동영상을 획득한 뒤, 조기 경보 서버(60)로 전송을 연속적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한 조기 경보 서버(60)는 안전 방재 방송이나 재난 방송 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푸쉬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치 변위가 발생한 태그(30)의 인근 차량 및 시민에게 SMS, LMS, MMS와 같은 메시지 전달 기능을 제공한다.
요약하자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전주 등 기존 시설물에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태그(Tag)와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하여 각 태그의 위치 파악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태그 위치의 변위가 생기는 경우 낙석 또는 산사태로 인식하는 것이다. 즉,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태그 위치 변위 감지시 태그(Tag) 간에는 실선형태의 선형 부재(Lm)로 연결하여 낙석 및 토사 유입시 태그의 변위가 생기도록 하는 원리를 따르는 것이다.
한편,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은 경광등 및 스피커 등의 추가 설치를 통해, 경고 기능에 대한 추가가 가능하다.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건 발생시 경광등을 온(ON) 상태로 유지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와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로 연결되어 관리를 받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30)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음을 관리자나 통행하는 사람 및 차량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가로등에 설치시 충전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태양광으로 충전된 전기 에너지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일몰 후나, 태양광이 없는 낮시간에는 충전 배터리를 통해 동작함으로써, 태양광 전지 활용 등으로 녹색 보안(Green security)을 제공한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는 메쉬 토폴로지에 체계화된 무선 노드들인 제 1 태그(30-1) 내지 제 n 태그(30-n)로 구성된 통신망이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는 일반적으로 메쉬 클라이언트인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 제 1 태그(30-1) 내지 제 n 태그(30-n),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메쉬 라우터,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다.
제 1 태그(30-1) 내지 제 n 태그(30-n)를 이루는 각 태그(30)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부재(Lm)로 연결되어 낙석 및 토사 유출이 있을 경우 태그의 위치 변위가 생긴다. 또한, 각 태그(30)는 토양의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며, 본체는 전파의 투과가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4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4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4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40)은 자동 볼라드(50), 조기 경보 서버(60), CCTV(70), GIS 서버(8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 볼라드(Automatic bollard: 50)는 주요 위험 지역 도로에 설치됨으로써, 낙석 및 산사태 발생시 자동 또는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에 의한 원격으로 차량의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GIS 서버(80)는 조기 경보 서버(60)에 의한 인근 차량 및 시민에게 메시지 전송과 연동되어 낙석 또는 산사태 지역을 지도에 위치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30-1 내지 30-n)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한다(S11).
단계(S11) 이후,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30-1 내지 30-n)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한다(S12).
단계(S12)의 수행 결과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단계(S13)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단계(S12)로 회귀하여 각 주기 마다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S13)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된 경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한 뒤, 통신망(40)을 통해 자동 볼라드(50)를 구동하여 차량의 유입 방지하도록 자동 볼라드(5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14a).
단계(S14a)와 함께,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통신망(40)을 통해 CCTV(70)에 대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재난 동영상에 대한 획득 후, 조기 경보 서버(60)로 전송한다(S14b).
그리고 단계(S14a) 및 단계(S14b)와 함께,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10)는 통신망(40)을 통해 조기 경보 서버(60)로 재난 정보 전송하여 조기 경보 서버(60)에 의한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한다(14c).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
20: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30-1 내지 30-n: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
40: 통신망
50: 자동 볼라드
60: 조기 경보 서버
70: CCTV
80: GIS 서버

Claims (7)

  1.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eal time location system Access Point:RAP)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 감지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되,
    산사태 및 낙석이 발생될 위험이 있는 위험지역까지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와 위험지역 사이의 다수 지점 각각에 선형 부재(Lm)로 연결된 태그를 설치시켜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되도록 하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한편,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와 위험지역 사이에 설치된 태그의 위치 변위 감지를 통해 추가적인 산사태 및 낙석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통신망을 통해 자동 볼라드를 구동하여 차량의 유입 방지하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CCTV에 대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재난 동영상에 대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조기 경보 서버로 재난 정보 전송하여 상기 조기 경보 서버(60)에 의한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2. 삭제
  3. 삭제
  4.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선형 부재(Lm)로 연결되며 각각이 충전 배터리로 동작하는 제 1 태그 내지 제 n 태그(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상기 각 태그의 위치 분석을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수행한 뒤, 산사태 또는 낙석에 의한 각 태그의 위치 변위가 감지되면, 위치 변화가 감지된 태그의 위치를 통해 낙석 및 산사태 위치 파악을 수행하는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RAP); 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통신망을 통한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의 유입을 방지하는 자동 볼라드;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재난 지점으로의 팬, 틸트, 줌 제어에 따라 재난 동영상을 획득하는 CCTV;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사고 예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조기 경보 서버; 및
    상기 조기 경보 서버에 의한 인근 차량 및 시민에게 메시지 전송과 연동되어 낙석 또는 산사태 지역을 지도에 위치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GIS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용 억세스포인트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건 발생시 경광등을 온(ON) 상태로 유지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시스템.
KR1020130086018A 2013-07-22 2013-07-22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10145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18A KR101454795B1 (ko) 2013-07-22 2013-07-22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18A KR101454795B1 (ko) 2013-07-22 2013-07-22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795B1 true KR101454795B1 (ko) 2014-10-29

Family

ID=5199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018A KR101454795B1 (ko) 2013-07-22 2013-07-22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7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7B1 (ko) 2016-09-20 2017-02-08 강형진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
KR102057109B1 (ko) * 2019-09-09 2019-12-18 김정완 IoT 기반의 비탈면 안정성 모니터링을 포함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235173B1 (ko) 2020-10-12 2021-04-05 주식회사 에스티알 낙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웹 브라우저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낙석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KR102253922B1 (ko) * 2020-11-27 2021-05-20 주식회사 아주엔지니어링 유지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CN114485788A (zh) * 2022-01-12 2022-05-13 北京科技大学 基于倾斜与强振特征的边坡危岩体崩塌预警方法及装置
CN114964241A (zh) * 2022-06-21 2022-08-30 中南大学 一种带有运动轨迹与姿态监测的人造危岩体及其构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187A (ja) * 2005-11-01 2007-05-24 Teruya:Kk センサ入力機能付きバッテリーレス型rfidタグを用いた崩落予知システム
KR20070066769A (ko) * 2005-12-22 2007-06-27 (주)지엠지 센서와 연동되는 붕괴 위험 위치 영상 획득 시스템
KR100814470B1 (ko) * 2007-08-10 2008-03-17 (주)바이텍코리아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3830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케이티 산사태 및 낙석 조기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187A (ja) * 2005-11-01 2007-05-24 Teruya:Kk センサ入力機能付きバッテリーレス型rfidタグを用いた崩落予知システム
KR20070066769A (ko) * 2005-12-22 2007-06-27 (주)지엠지 센서와 연동되는 붕괴 위험 위치 영상 획득 시스템
KR100814470B1 (ko) * 2007-08-10 2008-03-17 (주)바이텍코리아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3830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케이티 산사태 및 낙석 조기경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7B1 (ko) 2016-09-20 2017-02-08 강형진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
KR102057109B1 (ko) * 2019-09-09 2019-12-18 김정완 IoT 기반의 비탈면 안정성 모니터링을 포함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235173B1 (ko) 2020-10-12 2021-04-05 주식회사 에스티알 낙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웹 브라우저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낙석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KR102253922B1 (ko) * 2020-11-27 2021-05-20 주식회사 아주엔지니어링 유지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CN114485788A (zh) * 2022-01-12 2022-05-13 北京科技大学 基于倾斜与强振特征的边坡危岩体崩塌预警方法及装置
CN114485788B (zh) * 2022-01-12 2022-10-11 北京科技大学 基于倾斜与强振特征的边坡危岩体崩塌预警方法及装置
CN114964241A (zh) * 2022-06-21 2022-08-30 中南大学 一种带有运动轨迹与姿态监测的人造危岩体及其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795B1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JP6974457B2 (ja) デジタルデータを提供する音響方法及びシステム
US8368559B2 (en) Network of traffic behavior-monitoring unattended ground sensors (NeTBUGS)
EP2814012B1 (en) Cooperative intrusion detection
CN212160931U (zh) 一种用于车路协同的etc-x系统
US20130063282A1 (en) Roadway detection
CN102063780A (zh) 基于物联网技术的公路护栏撞击定位和报警系统及方法
EP2089736B1 (fr) Systeme goniometrique de mini capteurs doppler en reseaux pour la surveillance de perimetres
CN103646539A (zh) 警报和报警系统
Prachi et al. Intelligent accident-detection and ambulance-rescue system
CN105844859A (zh) 一种公路危岩无线监测预警系统
GB2533396A (en)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 embankment
CN104183092A (zh) 破坏性近震快速反应触发系统和方法
KR101391388B1 (ko) 차량 통행 제한장치 및 이에 설치되는 태양광 재난 감시시스템
CN111060162A (zh) 一种利用无人机编队的山洪预警监测系统及方法
US20170103656A1 (en) Wrong Way Alert
US11594142B1 (en) Terrestrial acoustic sensor array
EP2773977B1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RU2536429C1 (ru)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CN203325155U (zh) 破坏性近震快速预警系统
JP7482906B2 (ja) 照明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を用いて緊急支援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789667B (zh) 用于标识和跟踪目标的系统和方法
CN104180857A (zh) 基于核电站的应急环境监测方法和系统
Rathnayaka et al. Elephant intrusion detection, deterrence and warning system (“Tusker Alert”)
Druta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Buried Cable Animal Detection System and Deer Warning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