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470B1 -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470B1
KR100814470B1 KR1020070080824A KR20070080824A KR100814470B1 KR 100814470 B1 KR100814470 B1 KR 100814470B1 KR 1020070080824 A KR1020070080824 A KR 1020070080824A KR 20070080824 A KR20070080824 A KR 20070080824A KR 100814470 B1 KR100814470 B1 KR 10081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andslide
debris flow
eart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원
Original Assignee
(주)바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바이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8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토석류 감지부를 포함하는 계측부와 메인로거부를 포함한다. 토석류 감지부는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계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횡 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를 통해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고, 메인로거부는 토석류 감지부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직접적으로 토석류 산사태의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설치된 다수의 토석류 감지부 사이의 소정의 거리와 각각의 토석류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을 토대로 토석류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토석류, 무선통신, 계측

Description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bris flow landslides}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사태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전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매년 장마와 같은 집중 호우로 인한 산사태에 의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산의 계곡을 따라 급격히 흘러내리는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는 다른 종류의 산사태에 비하여 피해규모가 가장 크다.
토석류란, 산지의 급사면이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의 한 종류로, 오랫동안 풍화작용(風化作用)을 받아 흙과 암석편이 많이 생긴 산 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해 물로 포화 되어 그 무게가 마찰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현상이며, 이류(泥流)라고도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산지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예방보다는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산사태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사전에 산사태 예상 지 역 및 위험 지역을 미리 예측하고, 관측함으로써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세운다면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산사태 발생 징후의 파악을 위해 산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지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산사태를 정확하게 측정,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토석류 산사태의 경우, 산사태의 정확한 발생 위치와, 속도를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석류의 움직임 및 속도를 측정하여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한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토석류 감지부를 포함하는 계측부와 메인로거부를 포함한다. 토석류 감지부는 계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횡 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를 통해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고, 메인로거부는 토석류 감지부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또한, 설치된 다수의 토석류 감지부 사이의 소정의 거리와 각각의 토석류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을 토대로 토석류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토석류 감지부는 접점 출력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토석류 감지부의 와이어는 토석류가 발생할 시에 토석류의 하중에 의해 쉽게 절단되기 때문에, 감지 장치 전체를 새로이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 파손 부분만을 교체하여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토석류 감지부는 광 감지 센서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계곡부에 광원과 반사판을 마주보게 설치하여 토석류의 흐름이 발생할 경우 광원의 단절에 의해 토석류를 감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와이어의 교체도 필요 없이 토석류의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보수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메인로거부는 강우량의 증감에 따라 계측부의 계측 빈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강우량계 및 비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강우량에 따라 계측 빈도를 제어함으로써 집중호우시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여부를 좀 더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는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는 토석류 거동 관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석류 거동 관측부는 토사층과 암반층에 천공하여 설치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토사층과 암반층의 거동을 관측함으로써, 토석류 감지부에서 토석류의 흐름을 감지하기 전에 토석류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기울기를 각도로 환산하는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기울기 센서로는 전해질 및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는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함수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석류 거동 관측부에서 토사층의 거동을 감지하기 전에 강우 조건과 산사태를 관련지어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 발생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메인로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CDMA모뎀을 이용한 TCP/IP 통신 방법을 통해 전송, 저장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CP/IP 통신은 기존 Polling 통신 방식과는 달리 전국 대부분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요금이 저렴하며, 모니터링 서버 측에 별도의 CDMA모뎀 장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는 기상청의 강우량 데이터를 스크래핑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청 강우량 데이터의 공유로 경제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지역별로 산사태 예보 강우량을 비교하여 산사태 발생 가능성의 기준치 설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토석류 산사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방법 형태로 구현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경사면 상의 토사층 이동의 계측과 더불어, 계곡부에서 토석류의 움직임 및 속도를 계측할 수 있고,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 및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토석류의 발생을 좀 더 정확하게 관측하여 적절한 대책을 세워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발명의 이해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우천 시 토석류 산사태를 감지하는 시스템인 토석류 산사태 모니 터링 시스템(100)은 계측부(110), 메인로거부(120), 모니터링 서버(130), 산사태 감시 통합 서버(140)로 구성된다.
계측부(110)는 토석류 감지부(112)와 토석류 거동 관측부(114), 함수비 측정부(116)를 포함한다.
토석류 감지부(112)는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계곡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횡 방향으로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설치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토석류의 이동 여부와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설치된 토석류 감지부(112) 사이의 소정의 거리와 각각의 토석류 감지부(112)에서 측정된 시간을 토대로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토석류 감지부(112)는 와이어나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토석류 감지부(112)의 와이어(113)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와이어(113)는 평상시에는 붙어 있다가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 단선 감지기(111)에서 와이어(113)의 끊어짐을 통해 토석류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접점 출력방식을 이용한다. 와이어(113)는 토석류의 하중에 의해 쉽게 절단되므로, 감지 장치 전체를 새로이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 파손 부분만을 교체하여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와이어(113)를 광원으로 대체한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토석류 감지부(112)의 와이어(113)를 광원으로 대체 하여 광원의 단절에 의해 토석류를 감지할 수 있다. 와이어(113)를 광원으로 대체한 토석류 감지부(112)는, 평상시에는 광 송수신기(119)에서 송신한 광원이 광 송수신기(119)와 마주보게 설치된 반사판(117)에 반사되어 다시 광 송수신기(119)로 수신되지만,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에는 광원이 단절되어 토석류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는 광 감지 센서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광 감지 센서방식은 감지 장치 전체의 재설치 없이 토석류의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보수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토석류 거동 관측부(114)는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토사층과 암반층에 천공하여 설치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토사층과 암반층의 거동을 관측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토석류 거동 관측부(114)는 토석류 감지부(112)에서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기 전에 토석류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기울기 센서는 기울기를 각도로 환산하는 측정 방식을 가진다. 기울기 센서로는 전해질 및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전해질 센서는 유리관에 전해질을 넣고 탐침을 삽입하여, 기울기에 따른 전해질의 접촉면 차이에 의한 탐침 사이의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고, Mems 가속도 센서는 마이크로 규모의 미세한 구조물이 가속도 방향에 따라 기울어질 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가속도로 인식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Mems 가속도 센서는 저가형 장비이기 때문에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경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울기를 손쉽고 빠르게 측정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자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함수비 측정부(116)는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 즉, 함수층(물이 함유되어있는 지층)에 물이 어느 정도 들어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집중 강우시 토층이 쉽게 포화에 이르게 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지력이 크게 저하되 기 때문에 붕괴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토석류 산사태의 경우 발생 요인 중 특히 강우량을 중요시해야 한다. 함수비 측정부(116)는 강우 조건과 산사태를 관련지어 토석류 거동부(114)에서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기 전에 토석류 산사태 발생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메인로거부(120)는 현장상황(통신, 전원)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토석류 감지부(112)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강우량계(122) 및 비감지 센서(124)를 내장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강우량의 증감에 따라 계측 빈도를 제어할 수 있어, 집중호우시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여부를 더욱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계측부(110)에서 측정한 데이터가 RF로거(150)를 통해 메인로거부(120)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계측부(1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함수비 측정부(116), 토석류 거동 관측부(114), 토석류 감지부(112)가 각각에 연결된 소형 RF로거(150)를 통해 메인로거부(120)와 양방향 통신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강우량의 증감에 따라 RF로거(15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을 하며 로거 상태 및 계측에 의한 시스템 운용 모드 변경 및 긴급 보고를 할 수 있으므로 집중호우시 토석류 산사태의 발생 여부를 좀 더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RF로거(15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로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측정 항목은 공통적으로 전압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5는 메인로거부(120)와 모니터링 서버(130)가 CDMA모뎀(160)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메인로거부(120)는 연결된 CDMA모뎀(16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130)와 양방향 통신을 한다. 모니터링 서버(130)는 메인로거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CDMA모뎀(160)을 이용한 TCP/IP 통신 방법을 통해 전송하여 저장한다. TCP/IP 통신 방법은 기존 Polling 통신 방식과는 달리 전국 대부분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패킷 단위로 요금이 부가되어 저렴하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30) 측에 별도의 CDMA모뎀 장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서버(130)는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과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도 6은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은 메인로거부(120) 및 RF로거(15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TCP/IP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SMS를 통해 메인로거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으로 되어있다. 또한, 관리기준치 설정을 통해 산사태 발생시 간단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의 경보 관리 내역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30)는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상청의 강우량 데이터를 30분 간격으로 스크래핑한 후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8은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토석류로 인한 산사태 발생의 가장 주된 원인은 집중호우이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수의 강우량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강우량계를 전국적으로 설치하기에는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상청 강우량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용증가 없이 경제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고, 전국 강수량 데이터 및 그래프의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지역별로 산사태 예보 강우량을 비교하여 유추된 산사태 발생 가능성으로 기준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서버(130)는 GIS기능이 내장된 산사태 감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웹 기반 산사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이러한 GIS기능이 내장된 산사태 감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주요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산사태 감시 통합 서버(140)는 모니터링 서버(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존 데이터와 통합시켜서, 이 통합된 데이터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상기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제 비탈면에 적용하여 배치 기준을 제시한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석류 산사태의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우천시 강우량을 측정한다(S100). 강우량의 측정은 메인로거부에 내장된 강우량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강우량에 따라 토석류 발생을 관측하기 위한 계측 빈도를 제어한다(S110). 즉, 강우량이 많을수록 계측 빈도는 높아지고, 강우량이 적을수록 계측 빈도는 낮아진다. 계측 빈도를 제어함으로써 집중호우시 토석류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여부를 더욱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설정된 계측 빈도에 따라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를 측정(S120)하고,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S130),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S140)하여 이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각각 메인로거부에 저장한다(S150).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를 측정(S120)하는 단계는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기 전에 토석류 산사태의 발생시기의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S130)하기 위해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토사층과 암반층에 천공하여 설치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데, 기울기 센서는 기울기를 각도로 환산하는 측정 방식을 가진다. 이와 같이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함으로써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기 전에 토석류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로는 전해질 센서 이외에도, Mems 가속도 센서 등의 당업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토석류 이동의 감지는 토석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계곡부에 감지 장치를 설치하여 직접적으로 토석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직접적으로 토석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의 끊어짐을 이용한 접점 출력 방식과 광원의 단절을 이용한 광 감지 센서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로거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S160)되 고,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 내에 설정된 경보상황 발생 여부에 부합되는지 판단된다(S170). 설정된 경보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경보를 발생한 후(S180) 그 정보를 통합서버에 저장하고(S190), 설정된 경보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시에는 경보 발생 없이 바로 통합서버에 정보를 저장한다(S190).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부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 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토석류 감지부의 와이어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토석류 감지부의 와이어를 연결 상태를 광원으로 대체한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계측부에서 측정한 데이터가 RF로거를 통해 메인로거부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도 1의 메인로거부와 모니터링 서버가 CDMA모뎀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6은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의 경보 관리 내역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GIS기능이 내장된 산사태 감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주요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제 비탈면에 적용하여 배치 기준을 제시한 일 실시 예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석류 산사태의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24)

  1. 계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횡 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를 통해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는 토석류 감지부를 포함하는 계측부와;
    상기 토석류 감지부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로거부를 포함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로거부는 내장된 강우량계 및 비감지 센서를 통해 강우량의 증감에 따라 계측 빈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감지부는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 와이어의 끊어짐을 통해 토석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접점 출력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감지부는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 광원의 단절에 의해 토석류를 감지할 수 있는 광 감지 센서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소정의 토석류 산사태 발생 예상 지점의 암반층 상부 토사층 거동을 관측하는 토석류 거동 관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거동 관측부는 토사층과 암반층에 천공하여 설치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기울기를 각도로 환산하는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전해질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함수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인로거부로부터 CDMA모뎀을 이용한 TCP/IP 통신 방법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실시간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3. 계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횡 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를 통해 토석류의 이동을 감지하는 토석류 감지 단계; 및
    상기 토석류 감지 단계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강우량계 및 비감지 센서를 통해 강우량의 증감에 따라 계측 빈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감지 단계는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 와이어의 끊어짐을 통해 토석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접점 출력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감지 단계는 토석류가 발생했을 시 광원의 단절에 의해 토석류를 감지할 수 있는 광 감지 센서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정의 토석류 산사태 발생 예상 지점의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는 토석류 거동을 관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토사층과 암반층에 천공하여 설치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암반층 상부 토사층의 거동을 관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기울기를 각도로 환산하는 측정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전해질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강우량과 토사층의 함수비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함수비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를 수행하는 메인로거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인로거 외부의 모니터링 서버가 CDMA모뎀을 이용한 TCP/IP 통신 방법을 통해 전송받아 다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웹 스크래핑을 이용하여 실시간 강수량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방법.
KR1020070080824A 2007-08-10 2007-08-10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1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24A KR100814470B1 (ko) 2007-08-10 2007-08-10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24A KR100814470B1 (ko) 2007-08-10 2007-08-10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470B1 true KR100814470B1 (ko) 2008-03-17

Family

ID=3941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24A KR100814470B1 (ko) 2007-08-10 2007-08-10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470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258A2 (ko) * 2008-07-10 2010-01-14 Lee Dong Hyuk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CN102043163A (zh) * 2009-10-19 2011-05-04 韩国地质资源研究院 用于感测泥石流的摆动型设备及其感测泥石流的方法
CN102175992A (zh) * 2011-02-23 2011-09-07 西南交通大学 基于单纯形法的泥石流次声定位方法
KR101103697B1 (ko) * 2011-09-30 2012-01-1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CN102358331A (zh) * 2011-09-07 2012-02-22 广东工业大学 一种铁道沿线山体滑坡协同检测系统及处理方法
KR101171743B1 (ko) 2012-03-15 2012-08-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사 거동 표준 시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사 거동 추적 방법
KR101242491B1 (ko) * 2012-07-11 2013-03-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내부충격력 측정장치
KR101256900B1 (ko) 2012-02-15 2013-04-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방댐 유지관리를 위한 준설퇴적물 유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 방법
KR101454795B1 (ko) * 2013-07-22 2014-10-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CN104848825A (zh) * 2015-05-15 2015-08-19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泥石流排导槽肋槛后最大冲刷深度的测算方法及应用
KR20160004772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CN105678062A (zh) * 2015-12-30 2016-06-15 广州地理研究所 泥石流流量和容重沿程变化预测方法
KR101633737B1 (ko) 2015-11-02 2016-06-27 (주)동남엔지니어링 지역단위별 토사층 붕괴여부 감지시스템
CN107180287A (zh) * 2017-07-19 2017-09-19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汶川强震区的泥石流物源转换为泥石流的转换率计算方法
KR101894495B1 (ko) 2017-08-17 2018-09-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석류 재해 예보 시스템 및 방법
CN109506607A (zh) * 2018-12-13 2019-03-22 南昌大学 一种滑坡地表及地下裂缝综合监测系统
CN110887957A (zh) * 2019-12-25 2020-03-17 浙江师范大学 一种用于台风——暴雨条件下浅层土质滑坡灾害的监测装置
KR20200031319A (ko) 2018-09-14 2020-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댐 붕괴에 의한 토양 거동 시물레이션 방법
KR102305468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시스템
KR102305467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방법
KR102305464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KR102550707B1 (ko) 2022-10-12 2023-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경사지 균열 감지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산사태 조기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30A (ko) * 1999-11-26 2000-03-06 이인구 암반균열 진전 측정에 의한 낙석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JP2000258193A (ja) 1999-03-08 2000-09-22 Nishimura Sokuryo Sekkei Jimusho:Kk 斜面監視システム
JP2002250037A (ja) 2001-02-27 2002-09-06 East Japan Railway Co 斜面崩壊検知装置
JP2002365149A (ja) 2001-06-12 2002-12-18 Hitachi Cable Ltd 道路斜面崩落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8193A (ja) 1999-03-08 2000-09-22 Nishimura Sokuryo Sekkei Jimusho:Kk 斜面監視システム
KR20000012330A (ko) * 1999-11-26 2000-03-06 이인구 암반균열 진전 측정에 의한 낙석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JP2002250037A (ja) 2001-02-27 2002-09-06 East Japan Railway Co 斜面崩壊検知装置
JP2002365149A (ja) 2001-06-12 2002-12-18 Hitachi Cable Ltd 道路斜面崩落検知装置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258A3 (ko) * 2008-07-10 2010-04-29 Lee Dong Hyuk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WO2010005258A2 (ko) * 2008-07-10 2010-01-14 Lee Dong Hyuk 산사태 모의 실험장치
CN102043163B (zh) * 2009-10-19 2013-08-14 韩国地质资源研究院 用于感测泥石流的摆动型设备及其感测泥石流的方法
CN102043163A (zh) * 2009-10-19 2011-05-04 韩国地质资源研究院 用于感测泥石流的摆动型设备及其感测泥石流的方法
CN102175992A (zh) * 2011-02-23 2011-09-07 西南交通大学 基于单纯形法的泥石流次声定位方法
CN102358331A (zh) * 2011-09-07 2012-02-22 广东工业大学 一种铁道沿线山体滑坡协同检测系统及处理方法
KR101103697B1 (ko) * 2011-09-30 2012-01-1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KR101256900B1 (ko) 2012-02-15 2013-04-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방댐 유지관리를 위한 준설퇴적물 유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 방법
KR101171743B1 (ko) 2012-03-15 2012-08-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사 거동 표준 시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사 거동 추적 방법
KR101242491B1 (ko) * 2012-07-11 2013-03-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내부충격력 측정장치
KR101454795B1 (ko) * 2013-07-22 2014-10-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위치추적을 이용한 산사태 및 낙석 조기 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4772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KR101641870B1 (ko) 2014-07-04 2016-07-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CN104848825A (zh) * 2015-05-15 2015-08-19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泥石流排导槽肋槛后最大冲刷深度的测算方法及应用
CN104848825B (zh) * 2015-05-15 2017-03-22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泥石流排导槽肋槛后沟床最大冲刷深度的测算方法及应用
KR101633737B1 (ko) 2015-11-02 2016-06-27 (주)동남엔지니어링 지역단위별 토사층 붕괴여부 감지시스템
CN105678062A (zh) * 2015-12-30 2016-06-15 广州地理研究所 泥石流流量和容重沿程变化预测方法
CN105678062B (zh) * 2015-12-30 2018-11-09 广州地理研究所 泥石流流量和容重沿程变化预测方法
CN107180287A (zh) * 2017-07-19 2017-09-19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汶川强震区的泥石流物源转换为泥石流的转换率计算方法
CN107180287B (zh) * 2017-07-19 2020-08-04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汶川强震区的泥石流物源转换为泥石流的转换率计算方法
KR101894495B1 (ko) 2017-08-17 2018-09-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석류 재해 예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319A (ko) 2018-09-14 2020-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댐 붕괴에 의한 토양 거동 시물레이션 방법
CN109506607A (zh) * 2018-12-13 2019-03-22 南昌大学 一种滑坡地表及地下裂缝综合监测系统
CN110887957A (zh) * 2019-12-25 2020-03-17 浙江师范大学 一种用于台风——暴雨条件下浅层土质滑坡灾害的监测装置
KR102305468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시스템
KR102305467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방법
KR102305464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KR102550707B1 (ko) 2022-10-12 2023-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경사지 균열 감지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산사태 조기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51005A (ko) 2022-10-12 2024-04-19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경사지 균열 감지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산사태 조기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70B1 (ko)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chimura et al. Precaution and early warning of surface failure of slopes using tilt sensors
Uhlemann et al. Assessment of ground-based monitoring techniques applied to landslide investigations
Hürlimann et al. Debris-flow monitoring and warning: Review and examples
US6530284B1 (en) Geographical displacement sensing unit and monito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deglia et al.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patterns for monitoring of rock slope deformation mechanisms
KR102124546B1 (ko) 비탈면 경보 장치와 연동된 낙석과 토석 대책 시설의 관리 및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710666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 복합 사면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008251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JP3894494B2 (ja) 土砂災害予知システム、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土砂災害予知方法
KR101071067B1 (ko) 진동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시스템
Sheikh et al. Rainfall-induced unstable slop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through tilt sensors
Hugentobler et al. Borehole monitoring of thermo-hydro-mechanical rock slope processes adjacent to an actively retreating glacier
Picarelli et al. Performance of slope behavior indicators in unsaturated pyroclastic soils
KR101965589B1 (ko) 온도데이터를 이용한 저수지 모니터링 시스템
JP4027107B2 (ja) 土砂異常検出装置、土砂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土砂異常検出方法
KR100812389B1 (ko) 사면 붕괴 감시를 위한 측정방법
JP2015145592A (ja) 地盤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地盤状態監視方法
KR102315081B1 (ko) 모바일로 연동 가능한 자동 계측 시스템
KR101182414B1 (ko) 온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방법
KR101129870B1 (ko) 센서를 이용한 이종 시설물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ane et al. Instrumentation practice for slope monitoring
KR101230662B1 (ko) 사방댐 재난관리 감시시스템
KR101633737B1 (ko) 지역단위별 토사층 붕괴여부 감지시스템
CN113160521B (zh) 一种触发式泥石流检测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