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19B1 -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19B1
KR101454619B1 KR1020130067723A KR20130067723A KR101454619B1 KR 101454619 B1 KR101454619 B1 KR 101454619B1 KR 1020130067723 A KR1020130067723 A KR 1020130067723A KR 20130067723 A KR20130067723 A KR 20130067723A KR 101454619 B1 KR101454619 B1 KR 10145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barrier
primary
wal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902A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8Wall construction hollow-walled, e.g. double-walled with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Abstract

액화가스 배출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은 외벽에 결합되어 액화가스와 외부를 단열시키는 단열패널 어셈블리, 단열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액화가스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방벽 어셈블리, 단열패널 어셈블리와 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 및 방벽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CARGO FOR LIQUEFIED GAS AND UN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배출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C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액화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의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가스 수송선박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액화가스 수송선박에는 초저온상태로 액화시킨 액화가스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화물창에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액화가스는 대기압 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며, 대략 -162°C 정도의 비등 온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는 화물창은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35%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기타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독특한 단열패널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은 그 구조에 따라 독립형(self-supporting) 방식과 멤브레인(membrane)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은 액화가스를 선박에 싣고 내리기 위해서 배관들이 화물창의 상부로부터 연결되는 구조인 펌프타워를 이용하였다. 도 1은 펌프타워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펌프타워는 외부의 로딩(Loading) 장치에 연결되어 화물창 내부로 액화가스를 유입하는 로딩파이프(Loading Pipe)와, 외부의 언로딩(Unloading) 장치에 연결되어 화물창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언로딩파이프(Unloading Pipe)와, 각 언로딩파이프에 결합되는 펌프로 이루어진다.
액화가스 수송선박에 사용되는 펌프타워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150톤 가까이 되는 중량을 가지고 있어 선박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연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액화가스의 흐름에 마찰을 일으켜 액화가스를 저온으로 유지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2-0047608호에는 원통형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2-0047608호(2012.05.14.)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언로딩을 위한 펌프타워 구조를 삭제할 수 있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화물창의 저부에 배출유로를 형성하면서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벽에 결합되어 액화가스와 외부를 단열시키는 단열패널 어셈블리;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액화가스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방벽 어셈블리;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방벽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유닛;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는 1차 단열패널과 2차 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벽 어셈블리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을 액화가스로부터 밀봉하는 1차 방벽과, 상기 1차 단열패널과 상기 2차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1차 방벽이 누설되는 경우 2차 단열패널을 액화가스로부터 밀봉하는 2차 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1차 방벽 또는 상기 2차 방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1차 단열패널은 복수로 포함되어 서로 이웃하는 1차 단열패널끼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1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2차 단열패널은 복수로 포함되어 서로 이웃하는 2차 단열패널끼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2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1간격, 상기 제2간격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액화가스 화물창의 외부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를 밀봉하는 밀봉벽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벽은,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1차 단열패널을 밀봉하는 1차 밀봉벽과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외벽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2차 단열패널을 밀봉하는 2차 밀봉벽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화물창의 저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배출유로를 폐쇄하기 위해 방벽에 폐쇄부재를 밀봉하는 과정; 액화가스 화물창의 상부에 마련되는 리퀴드 돔을 통해 액화가스를 화물창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 파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폐쇄부재를 파손하는 과정; 상기 파손된 폐쇄부재를 통해 액화가스가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되는 과정; 액화가스가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 및 상기 파손된 폐쇄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은 액화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타워 구조를 삭제함으로써, 선박의 제작공수와 비용을 절감하고 선박의 무게를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거 가능한 폐쇄부재를 사용하면서도 화물창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중의 폐쇄부재를 사용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폐쇄부재의 재설치 과정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펌프타워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폐쇄부재가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2차 방벽에 폐쇄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1차 방벽에 폐쇄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액화천연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은 액화가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1차 방벽(210), 1차 방벽(210)을 둘러싸는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 및 이를 둘러싸는 외벽(10)을 포함한다.
단열패널은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폼 등과 같이 단열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경량인 재료가 이용된다. 더불어 단열패널은 화물창 내부에 수송되는 액화천연가스의 슬로싱(Sloshing, 출렁거림)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야 한다.
슬로싱(Sloshing)이란,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이 다양한 해상 상태에서 운동할 때 화물창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유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화물창 내부의 일부 영역에만 액체가 차 있을 경우, 액체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에 의해 화물창 벽면과 천장에 위치하는 단열패널은 심한 충격을 받게 되며 이를 슬로싱 충격(Sloshing impact)이라 한다. 상기 슬로싱 현상은 선박 운항 중 선박의 동적 움직임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화물창은 슬로싱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외벽(10)은 선체(hull)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는 단열성능 향상, 기밀성 향상을 위해 2단의 단열패널이 적층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1차 방벽(210)을 1차 단열패널(11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 보조패널(131)을 이용할 수 있다. 보조패널은 일 예로 플라이우드(Flywoo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방벽(210)이 파괴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1차 단열패널(110)과 2차 단열패널(120) 사이에는 2차 방벽(2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2차 방벽(2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상, 하 단열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차 방벽(220)의 상, 하에는 중간 보조패널(132)이 마련될 수 있다.
2차 단열패널(120) 하부에는 하부 보조패널(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보조패널(133)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와 외벽(10)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매개체로 사용된다. 2차 단열패널(120)과 외벽(10)은 접착 또는 기계적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슬로싱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2차 단열패널(120)과 외벽(10)은 탄성을 가지는 접착물질인 매스틱(12)(Mastic)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매스틱(12)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가 외벽(10)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창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도 슬로싱 충격으로부터 단열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액화가스 화물창의 하역(Loading and Unloading)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화가스 화물창은 하역과정을 위해 펌프타워(30)를 구비하였다. 펌프타워(30)는 외부로부터 화물창 내부로 액화가스를 유입하는 로딩파이프와 화물창 내부로부터 외부로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언로딩파이프와 언로딩파이프에 결합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로딩은 화물창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화물창 공간에 액화가스를 가득 채우는 데 유리하나 언로딩은 화물창 저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화물창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모두 외부로 유출하는 데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펌프타워(30)는 화물창 상부의 리퀴드 돔(20)(Liquid Dome)으로부터 화물창 저부에까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또한 액화가스의 슬로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장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타워(30)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가 증가(액화가스 수송선박 1척에 대하여 150톤 가까이 됨)하여 운항연비를 떨어뜨리고 선박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은 펌프타워(30)를 삭제하면서도 하역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로딩과정은 화물창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리퀴드 돔(20)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져도 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언로딩과정은 화물창의 저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펌프타워(30)를 삭제하는 경우, 화물창의 저부에 액화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유로(300)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러나 액화가스는 미세한 압력과 온도차이에서도 기화되는 성질이 강하고, 액화가스가 단열패널 내부로 침입하여 기화하는 경우 화물창에 큰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방벽에 의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은 기밀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액화가스를 언로딩하기 위한 배출유로(300)를 형성하기 위해 방벽에 결합하는 폐쇄부재(410, 42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폐쇄부재가 설치되기 전 상태를, 도 5는 2차 방벽(220)에 2차 폐쇄부재(420)를 설치한 상태를, 도 6은 1차 방벽(210)에 1차 폐쇄부재(41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배출유로(300)는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 방벽 어셈블리(210, 220), 및 외벽(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300)를 통해 액화가스가 배출될 때 단열패널에 액화가스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유로(300)는 밀봉벽(310, 32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밀봉벽은 방벽 어셈블리(210, 22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금속성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배출유로(300)가 외벽(10)을 관통하면 배출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은 배출유로(300)를 폐쇄하는 폐쇄부재(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를 화물창에 유입하기 위해서는 배출유로(300)를 차단하여야 한다. 이 때 배출유로(300)의 차단은 방벽 어셈블리(210, 220)의 기밀성에 준하는 기밀성을 보유하는 것이 좋다. 방벽 어셈블리(210, 220)는 SUS(Stainless Use Steel)나 금속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금속성 물질을 사용하는 폐쇄부재(410, 420)를 방벽 어셈블리(210, 220)에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화물창의 기밀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배출유로(300)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벽은 1차 단열패널(110)을 밀봉하는 1차 밀봉벽(310)과 2차 단열패널(120)을 밀봉하는 2차 밀봉벽(32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밀봉벽(310)은 1차 방벽(210)과 2차 방벽(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액화가스가 배출되면서 1차 단열패널(11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차 밀봉벽(320)은 2차 방벽(220)과 외벽(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액화가스가 배출되면서 2차 단열패널(120) 또는 외벽(10)과 2차 단열패널(120)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달리, 밀봉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밀봉벽은 1차 방벽(210)과 외벽(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 가능하다. 일체로 형성되는 밀봉벽에 단차가 구비되는 경우 추가의 폐쇄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추가의 폐쇠부재는 1차 폐쇄부재(410)가 침투되는 경우 2차로 배출유로(300)를 차단하게 된다.
폐쇄부재(410, 420)를 방벽 어셈블리(210, 220)로부터 분리하거나 폐쇄부재(410, 420)를 파손시켜 배출유로(300)를 노출시키기 위해 파손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손유닛(500)은 화물창 내부에서 폐쇄부재(410, 420)에 접근하거나 외벽(10)에서 폐쇄부재(410, 42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3에는 외벽(10)에서 2차 폐쇄부재(420)에 접근하는 파손유닛(500)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차 폐쇄부재(420)를 파손시킨 파손유닛(500)은 회전하면서 병진운동을 계속하여 1차 폐쇄부재(410)까지 파손시키게 된다.
파손유닛(500)이 폐쇄부재(410, 420)를 분리하거나 파손시키는 방법으로는 폐쇄부재(410, 420)를 타격하여 훼손하거나 폐쇄부재(410, 420)와 방벽(210, 220)의 결합부위를 분리하는 방법, 드릴이나 송곳 등을 이용하여 펀칭(Punching)하는 방법, 날카로운 날이나 레이져 등을 이용하여 자르는 방법, 또는 열을 이용하여 녹이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파손유닛(500)의 일 예로 드릴을 도시하였다.
파손유닛(500)의 일 예로 드릴을 이용하는 경우 방벽 어셈블리(210, 220)를 손상치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구멍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폐쇄부재는 보통 재활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방벽 어셈블리(210, 220)는 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벽 어셈블리(210, 220)가 손상되는 경우 액화가스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로 침투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방벽 어셈블리(210, 220)를 재설치하는 데는 폐쇄부재(410, 420)를 재설치하는 것과 달리 고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다만, 파손유닛(500)을 이용하여 폐쇄부재(410, 420)에 구멍을 뚫을 때 폐쇄부재(410, 420)의 잔해가 액화가스에 섞여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액화가스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폐쇄부재(410, 420)는 방벽 어셈블리(210, 220)와 마찬가지로 2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2차 방벽(220)에 결합하는 2차 폐쇄부재(420)와 1차 방벽(210)에 결합하는 1차 폐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손유닛(500)은 배출유로(300)에서 진퇴운동 가능하며, 2차 폐쇄부재(420)를 파손한 후에 병진운동을 계속하여 1차 폐쇄부재(410)를 파손시키게 된다. 도 3에는 파손유닛(500)이 배출유로(300)에 위치하여 진퇴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위치하더라도 폐쇄부재(410, 420)를 파손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파손유닛(500)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배출유로(300)는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배출유로(300)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폐쇄부재가 설치되기 전 상태를, 도 5는 2차 방벽에 폐쇄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 6은 1차 방벽에 폐쇄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부재(410, 42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물창 내부에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공간과 배출유로(300)가 연통된다. 도 5는 2차 폐쇄부재(420)를 2차 방벽(220)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2차 폐쇄부재(420)로 인하여 화물창 내부에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공간은 2차 단열패널(120)과 기밀하게 분리된다. 도 6은 1차 폐쇄부재(410)를 1차 방벽(210)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1차 폐쇄부재(410)로 인하여 화물창 내부에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공간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와 기밀하게 분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단열패널 사이에 배출장치가 마련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배출유로(300)가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를 관통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단열패널 사이에 배출장치가 마련되는 경우 별도의 배출유로(300) 관통 작업이 필요 없다는 점 등에서 작업 공정상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단열패널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후에 삽입패널(111)를 간격에 삽입하여 마무리된다.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와 방벽 어셈블리(210, 220)의 설치과정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차 단열패널(120)은 제2간격(a)을 두고 배치된 후에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글라스 울(121)(Glass Wool) 등으로 간격이 채워진 후 2차 방벽(220)이 설치될 수 있다. 1차 단열패널(110)은 제1간격(b)을 노출시킨 채로 제2간격(a)보다 넓은 제1간격(b)을 두고 배치된 후에 서로 떨어진 2차 방벽(220)을 트리플렉스(221)(Triplex)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밀봉할 수 있다. 그 후 제1간격에 삽입패널(111)을 삽입하여 간격이 채운 후 1차 방벽(210)을 설치하여 화물창이 완성된다.
배출유로(300)가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다는 의미는 제1간격(b)과 제2간격(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출유로(300)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간격(a)에 대응하는 외벽(10)에 배출홀(11)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패널 어셈블리(110, 120)를 관통하는 배출유로(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유로(300)를 통해 배출되는 액화가스가 단열패널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벽(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봉벽(310, 320)으로 구획되는 배출유로(300)를 제외한 간격에는 위와 같이 글라스 울(121)과 삽입패널(111)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외벽, 11: 배출홀,
20: 리퀴드 돔, 30: 펌프타워,
110: 1차 단열패널, 111: 삽입패널,
120: 2차 단열패널, 121: 글라스 울,
131: 상부 보조패널, 132: 중간 보조패널,
133: 하부 보조패널, 210: 1차 방벽,
220: 2차 방벽, 221: 트리플렉스,
300: 배출유로, 310: 1차 밀봉벽,
320: 2차 밀봉벽, 410: 1차 폐쇄부재,
420: 2차 폐쇄부재, 500: 파손유닛

Claims (5)

  1. 외벽에 결합되어 액화가스와 외부를 단열시키는 단열패널 어셈블리;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액화가스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방벽 어셈블리;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방벽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유닛;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 어셈블리는 1차 단열패널과 2차 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벽 어셈블리는 상기 1차 단열패널을 액화가스로부터 밀봉하는 1차 방벽과, 상기 1차 단열패널과 상기 2차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1차 방벽이 누설되는 경우 2차 단열패널을 액화가스로부터 밀봉하는 2차 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1차 방벽 또는 상기 2차 방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패널은 복수로 포함되어 서로 이웃하는 1차 단열패널끼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1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2차 단열패널은 복수로 포함되어 서로 이웃하는 2차 단열패널끼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2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1간격, 상기 제2간격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액화가스 화물창의 외부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를 밀봉하는 밀봉벽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벽은,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1차 단열패널을 밀봉하는 1차 밀봉벽과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외벽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2차 단열패널을 밀봉하는 2차 밀봉벽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5. 액화가스 화물창의 저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배출유로를 폐쇄하기 위해 방벽에 폐쇄부재를 밀봉하는 과정;
    액화가스 화물창의 상부에 마련되는 리퀴드 돔을 통해 액화가스를 화물창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
    파손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폐쇄부재를 파손하는 과정;
    상기 파손된 폐쇄부재를 통해 액화가스가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되는 과정;
    액화가스가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 및
    상기 파손된 폐쇄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KR1020130067723A 2013-06-13 2013-06-13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KR10145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23A KR101454619B1 (ko) 2013-06-13 2013-06-13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23A KR101454619B1 (ko) 2013-06-13 2013-06-13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902A KR20130099902A (ko) 2013-09-06
KR101454619B1 true KR101454619B1 (ko) 2014-10-27

Family

ID=4945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723A KR101454619B1 (ko) 2013-06-13 2013-06-13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78A (ko) * 2018-12-07 202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200070646A (ko) * 2018-12-10 2020-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베이스 서포트 역할을 겸하는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210124231A (ko) * 2020-03-18 2021-10-1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액체 상태인 천연 가스의 탱크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5774A1 (fr) * 2022-05-20 2023-11-24 Gaztransport Et Technigaz Dôme gaz et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 tel dôme ga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174A (ko) * 2009-04-02 2010-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 및 그 건조방법
KR20110126575A (ko) * 2011-10-12 2011-1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KR20130011274A (ko) * 2011-07-21 2013-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18024A (ko) * 2011-08-12 2013-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174A (ko) * 2009-04-02 2010-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 및 그 건조방법
KR20130011274A (ko) * 2011-07-21 2013-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18024A (ko) * 2011-08-12 2013-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10126575A (ko) * 2011-10-12 2011-1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78A (ko) * 2018-12-07 202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603752B1 (ko) * 2018-12-07 2023-11-17 한화오션 주식회사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200070646A (ko) * 2018-12-10 2020-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베이스 서포트 역할을 겸하는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543441B1 (ko) * 2018-12-10 2023-06-15 한화오션 주식회사 펌프타워 베이스 서포트 역할을 겸하는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210124231A (ko) * 2020-03-18 2021-10-1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액체 상태인 천연 가스의 탱크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
KR102586601B1 (ko) * 2020-03-18 2023-10-06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액체 상태인 천연 가스의 탱크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
KR20230143628A (ko) * 2020-03-18 2023-10-12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액체 상태인 천연 가스의 탱크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
KR102654638B1 (ko) * 2020-03-18 2024-04-03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액체 상태인 천연 가스의 탱크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902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0836B2 (ja) 液化天然ガス(lng)の格納容器のための構成
US3396539A (en) Vapor barrier means for underground storage system
EP2320123B1 (en) Double barrier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454619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액화가스 화물창의 배출방법
KR101571427B1 (ko)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10170749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 구조 및 단열 구조의 연결 방법
KR20100110172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그 건조방법
KR101131537B1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그 건조방법
KR10155626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2020966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불활성 가스 파이프 시스템
KR1012911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단열구조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65222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체
KR101985214B1 (ko) 카고탱크 구조체 및 카고탱크 구조체의 설치방법
KR20230011995A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탱크의 리퀴드 돔
KR101599284B1 (ko) 액화연료 저장탱크
JP5752533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保冷構造、液化ガスタンク及び浮体構造物
KR20200070646A (ko) 펌프타워 베이스 서포트 역할을 겸하는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31084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20010603A (ko) 액화 가스 수송 선박의 화물창 및 그 조립방법
KR20220092202A (ko)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220092201A (ko)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180029175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파우더 단열재 충진 장치
KR20150042008A (ko) 액화가스 수송선의 단열창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창 및 그 단열창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수송선
KR10237951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파우더 단열재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