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901B1 -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901B1
KR101453901B1 KR1020140034893A KR20140034893A KR101453901B1 KR 101453901 B1 KR101453901 B1 KR 101453901B1 KR 1020140034893 A KR1020140034893 A KR 1020140034893A KR 20140034893 A KR20140034893 A KR 20140034893A KR 101453901 B1 KR101453901 B1 KR 10145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frame
folded
lif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운
정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너지
김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너지, 김재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03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레그가 복수개 구비되고, 하천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지지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지지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 측 하천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베이스와; 상기 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수심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압축되게 구비되며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MOORING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며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의 최소단위가 셀이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광모듈이라 한다. 일반적인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복수개의 태양광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등록특허 제0959554호에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다수의 지지 기둥에 의해 평지 또는 경사지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태양광발전시스템은 기둥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므로 태양광모듈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이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설치된 토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해야할 경우 철거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시 토목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지반침하가 발생할 경우 유지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저수지, 댐 등의 수면 위에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시범 설치되어 운영되는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아직 시험단계로 육상 설치비용의 1.5~3배 정도 소요되고, 내구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서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저수지, 댐 등의 수면 위에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야 발전량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종래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유속에 따라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장소 확보가 용이한 수변 지역에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위에 따라 길이가 가변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수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속이 빠른 곳에도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림자가 생기지 않게 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저하하지 않는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레그가 복수개 구비되고, 하천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지지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지지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 측 하천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베이스와; 상기 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수심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압축되게 구비되며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절첩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링크부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절첩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되게 결합된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는 상기 절첩축을 중심으로 한 개씩 구비되거나, 한 쌍씩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절첩링크부와; 상기 절첩링크부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링크부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절첩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되게 결합된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파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측 하천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파일베이스와; 상기 파일베이스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파일과; 상기 한 쌍의 승강파일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상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육상과 수상의 경계영역인 수변에 설치되므로 현재 사용하지 않는 유휴부지에 태양광발전 설비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국토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사용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승강링크, 절첩링크, 안내파일 등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유속이 빠른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승강링크, 절첩링크, 안내파일 등을 서로 조합하여 지지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수위의 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이 상하로만 움직이므로 프레임자체의 각도 변화가 작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발전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홍수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평수기와 홍수기의 측면상태를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홍수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평수기와 홍수기의 측면상태를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홍수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홍수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의 홍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의 평수기와 홍수기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는 수변 또는 하천에 설치된다. 수변은 평수기 또는 갈수기에는 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고, 홍수기에는 하천의 물이 유입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는 평수기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바닥에 가까운 높이(h1)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홍수기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2)로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가 설치되는 수변은 강변, 저수지, 하천, 고수부지와 같이 수위의 변화가 있는 곳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가 적용되는 수상구조물은 태양광발전시스템, 어류 양식구조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상구조물(120)과, 수변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그안착부(130)와, 지지프레임(110)이 수변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링크부(14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0)은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수상구조물(120)이 상하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10)은 격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는 계류장치(100)가 수변의 물 위에 부유될 수 있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체(미도시)가 수용된다.
지지프레임(110)은 상부에 배치되는 수상구조물(120)의 크기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 될 수 있도록 모듈형태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10)은 내구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지지프레임(110)은 강도의 보강을 위해 판면에 강도보강 와이어(미도시) 또는 보강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110)에는 수상구조물(120)의 보수 또는 부력체(미도시), 승강지지링크부(140)의 보수 등을 위해 관리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발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지지레그(111)가 구비된다. 지지레그(111)는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갈수기에 지지프레임(110)이 직접 하천의 바닥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레그(111)는 갈수기에 바닥(B)에 형성된 레그안착부(130)에 안착된다.
수상구조물(120)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반면, 어류의 양식을 위한 양식구조물은 지지프레임(110)의 가운데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수상구조물(120)이 태양광발전시스템인 경우, 태양광모듈에서 형성된 전기에너지는 송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실(미도시)로 공급되고, 전기실(미도시)에서 변압기(미도시)를 통해 전압이 변환되게 된다.
레그안착부(130)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11)의 위치에 대응되게 하천(W)의 바닥(B)에 설치된다. 레그안착부(130)는 평수기 또는 갈수기에 하천(W)의 수위가 최저로 낮아졌을 때 지지레그(111)가 안착되어 지지프레임(110)이 바닥(B)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레그안착부(130)는 승강링크(143)가 수위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며 승강되는 것을 고려하여 승강링크(143)의 곡률반경 상에 위치되도록 설계한다.
승강지지링크부(140)는 지지프레임(110)과 이에 결합된 수상구조물(120)이 하천(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하천(W)의 바닥(B)에 고정설치되는 링크베이스(141)와, 링크베이스(141)와 지지프레임(110)을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되게 형성되는 승강링크(143)와, 승강링크(143)가 링크베이스(141)에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연결힌지(145)를 포함한다.
링크베이스(141)는 하천(W)의 바닥(B)에 고정설치되어 승강링크(143)가 회동되며 지지프레임(110)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승강링크(143)는 하단은 연결힌지(1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지지프레임(110) 선단의 링크결합힌지(1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링크(143)는 내부에 이동실린더(143a)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장마철과 같이 하천(W)이 만수위가 될 경우 승강링크(143)의 길이가 길어지며 지지프레임(110)이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10)이 부력에 의해 하천(W)에 부유되는 힘에 의해 승강링크(143)가 연결힌지(145)로부터 회동되고, 이동실린더(143a)가 승강링크(143)로부터 외부로 이동되어 길이가 신장되거나 승강링크(143)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가 수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천(W)의 수위가 낮은 평수기의 경우(h1),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지지레그(111)가 레그안착부(130) 상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승강링크(143)는 수위에 대응되게 연결힌지(145)에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천(W)의 수위가 높아지는 홍수기의 경우(h2),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이 부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이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10)의 선단에 결합된 승강링크(143)가 연결힌지(145)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10)은 승강링크(143)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천(W)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링크베이스(141)가 승강링크(143)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승강링크(143)가 회동되게 되므로 와이어에 의해 지지프레임(110)이 연결된 경우와 비교할 때 빠른 유속에서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평수기와 홍수기일 때 계류장치(100a)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a)는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절첩링크부(150)가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절첩링크부(150)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절첩링크(151)와, 종방향절첩링크(153)과 90도 방향으로 이동되어 설치되는 횡방향절첩링크(153)를 포함한다.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횡방향절첩링크(153)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하게 작동된다.
종방향절첩링크(151)는 하천(W)의 바닥(B)에 설치되는 절첩링크베이스(151a)와, 절첩링크베이스(151a)에 대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하부링크(151b)와 상부링크(151c)를 포함한다. 절첩링크베이스(151a)는 한 쌍의 하부링크(151b) 및 한 쌍의 상부링크(151c)가 절첩되는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절첩링크베이스(151a)는 하천(W)의 바닥(B)에 고정설치된다.
한 쌍의 하부링크(151b)는 절첩링크베이스(151a)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접혀지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부링크(151c)는 절첩축(151d)를 중심으로 지지프레임(11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수기 때에는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횡방향절첩링크(153)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기 때에는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횡방향절첩링크(153)가 펼쳐지며 상승된다.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횡방향절첩링크(153)가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접혀지며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승강링크(143)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계류장치(100)에 비해 외력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횡방향절첩링크(15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외력에 대응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b)의 홍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100b)는 앞서 설명한 종방향절첩링크(151)와 함께 안내파일부(160)가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의 상하이동을 지지한다.
안내파일부(160)는 지지프레임(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안내파일부(160)는 바닥에 설치되는 파일베이스(161)와, 파일베이스(161)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파일(163)과, 한 쌍의 승강파일(163)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프레임(110)의 최대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바(165)를 포함한다.
이 때, 지지프레임(110)의 선단에는 레일결합고리(11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일결합고리(115)는 승강파일(163)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파일(163)의 이송홈(163a)에 레일결합고리(115)가 삽입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높아지면 지지프레임(110)은 부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종방향절첩링크(151)가 펼쳐지며 상승한다. 이 때, 지지프레임(110)은 레일결합고리(115)가 승강파일(16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높이제한바(165)는 레일결합고리(115)에 접촉가압되어 지지프레임(110)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승높이를 제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b)는 종방향절첩링크(15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수직하게 배치된 승강파일(163)이 지지프레임(110)의 승강위치를 잡아주게 되므로 유속이 빠른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c)의 홍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a)는 횡방향절첩링크(153)와 종방향절첩링크(151)를 구성하는 상부링크(151c)와 하부링크(151b)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c)는 한 개씩의 제1단링크(173)와 제2단링크(175)가 절첩되게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10)의 승강을 지지하는 단링크부(17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c)는 단링크부(170)의 구조가 간소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00a)에 비해 지지하는 하중과 외력이 약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속이 약한 곳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지지프레임(110)과 수상구조물(120)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실시예의 계류장치(100b)의 경우 구조적으로 빠른 유속에서도 네 가지 실시예의 계류장치(100,100a,100b,100c) 중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육상과 수상의 경계영역인 수변에 설치되므로 현재 사용하지 않는 유휴부지에 태양광발전 설비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국토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사용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승강링크, 절첩링크, 안내파일 등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유속이 빠른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는 승강링크, 절첩링크, 안내파일 등을 서로 조합하여 지지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수위의 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승강하더라도 위치변화가 적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발전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110 : 지지프레임
111 : 지지레그 113 : 링크결합힌지
115 : 레일결합고리 120 : 수상구조물
130 : 레그안착부 140 : 승강지지링크부
141 : 링크베이스 143 : 승강링크
143a : 이동실린더 145 : 연결힌지
150 : 절첩링크부 151 : 종방향절첩링크
151a : 절첩링크베이스 151b : 하부링크
151c : 상부링크 151d : 절첩축
153 : 횡방향절첩링크 160 : 안내파일부
161 : 파일베이스 163 : 승강파일
163a : 이송홈 165 : 높이제한바
170 : 단링크부 171 : 단링크베이스
173 : 제1단링크 175 : 제2단링크
177 : 절첩축

Claims (5)

  1.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레그가 복수개 구비되고,
    하천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지지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지지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 측 하천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베이스와;
    상기 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이동실린더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심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압축되며,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가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상기 승강링크의 곡률반경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2.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절첩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절첩링크와, 상기 종방향절첩링크에 대하여 90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종방향절첩링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횡방향절첩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절첩링크와 상기 횡방향절첩링크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절첩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되게 결합된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는 상기 절첩축을 중심으로 한 개씩 구비되거나, 한 쌍씩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5.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절첩링크부와;
    상기 절첩링크부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링크부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절첩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절첩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되게 결합된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파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측 하천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파일베이스와;
    상기 파일베이스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파일과;
    상기 한 쌍의 승강파일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상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20140034893A 2014-03-25 2014-03-25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45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93A KR101453901B1 (ko) 2014-03-25 2014-03-25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93A KR101453901B1 (ko) 2014-03-25 2014-03-25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901B1 true KR101453901B1 (ko) 2014-11-04

Family

ID=5228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93A KR101453901B1 (ko) 2014-03-25 2014-03-25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9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74B1 (ko) * 2018-03-16 2018-07-13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101867263B1 (ko) * 2017-12-13 2018-07-19 주식회사 북극곰 수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계류시공장치
KR20200114635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수위조절시스템
EP4344990A1 (de) * 2022-09-28 2024-04-03 Robert Zimmermann Solarschwimmvorrichtung
KR102668001B1 (ko) * 2023-08-28 2024-05-22 주식회사 브리콘 해상 발전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752A (ja) * 2006-03-22 2007-10-04 Hitachi Zosen Corp 杭式係留装置
KR20130020008A (ko) * 2011-08-18 2013-02-2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러그 장착용 핸들링 장치
KR20130035566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89112B1 (ko) * 2013-09-05 2014-04-28 김재운 수변 태양광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752A (ja) * 2006-03-22 2007-10-04 Hitachi Zosen Corp 杭式係留装置
KR20130020008A (ko) * 2011-08-18 2013-02-2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러그 장착용 핸들링 장치
KR20130035566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89112B1 (ko) * 2013-09-05 2014-04-28 김재운 수변 태양광발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63B1 (ko) * 2017-12-13 2018-07-19 주식회사 북극곰 수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계류시공장치
KR101877774B1 (ko) * 2018-03-16 2018-07-13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20200114635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수위조절시스템
EP4344990A1 (de) * 2022-09-28 2024-04-03 Robert Zimmermann Solarschwimmvorrichtung
KR102668001B1 (ko) * 2023-08-28 2024-05-22 주식회사 브리콘 해상 발전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901B1 (ko)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491740B1 (ko) 베이스 및 수력 터빈 설치 방법
RU259197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урбины
KR101687539B1 (ko) 수상 태양 광 발전 장치
KR101281175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PT1228310E (pt) Método e sistema para instalação e transporte de uma central de energia eólica no mar
WO2012026883A9 (en) A modular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solar, wind, wave, and/or current energy convertors
KR20150006520A (ko)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762286B1 (ko)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CN107351985B (zh) 一种漂浮式水上光伏阵列的锚固系统
KR20170100603A (ko) 수중 전기 시스템을 위한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173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261406B1 (ko) 계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037110A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 계류 시스템
CN202067804U (zh) 浮力式承载机构及使用该结构的太阳能装置
KR102318201B1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KR101640901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192552B1 (ko) 파력발전용 부체 및 이를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KR101712344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WO20170450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tide driven power generators
CN103332271B (zh) 一种吹砂用可行进式浮动平台
KR101389112B1 (ko) 수변 태양광발전시스템
CN107654339B (zh) 一种海底扫平装置
CN205754178U (zh) 一种球形浮筒的漂浮式太阳能电站安装架
KR102480001B1 (ko) 수상태양광 발전구조물 단계별 계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