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790B1 -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790B1
KR101453790B1 KR1020130097059A KR20130097059A KR101453790B1 KR 101453790 B1 KR101453790 B1 KR 101453790B1 KR 1020130097059 A KR1020130097059 A KR 1020130097059A KR 20130097059 A KR20130097059 A KR 20130097059A KR 101453790 B1 KR101453790 B1 KR 101453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keyword
medium
exposure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13009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별로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에 따라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산정하여 광고효율을 최적화시키고, 클라이언트에 광고매체가 표시되면서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여 광고주에게도 광고효율에 따라 광고비용을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매체 관리모듈(102)과; 등록된 광고매체(300)에 대한 키워드별로 광고의 노출수 대비 클릭수인 컨버전효율을 확인하는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과;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별로 광고매체별에 노출되는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과; 광고주에 대한 정보와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모듈(108)과;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의 노출순위를 키워드별로 비딩한 광고단가 순서대로 광고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과; 클라이언트(200)가 광고매체(300)에 접속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서 설정한 광고매체(300)의 노출횟수에 따라서 키워드별 광고순위별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노출 관리모듈(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Optimizing system for frequency of advertisement exposure using advertisement efficiency media}
본 발명은 키워드별로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에 따라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산정하여 광고효율을 최적화시키고, 클라이언트에 광고매체가 표시되면서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여 광고주에게도 광고효율에 따라 광고비용을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인 오프라인을 통한 상품 판매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상품 판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온/오프라인으로 상품을 많이 판매하기 위해서는 광고 등의 적극적 마케팅 방법을 통하여 일반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널리 알려야 한다. 따라서 각종 포털 사이트에 광고를 하거나 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의 온라인 광고 입찰방식에서는 광고주의 입찰 및 경쟁을 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광고주의 과도한 경쟁과 광고비를 부추기는 것으로 광고를 해야 하는 광고주에게 많은 부담을 주었다.
또한, 광고주가 광고매체를 선택할 수 있지만 그 매체에 대한 네임밸류에 연연하거나 광고하려는 매체의 특성(사용자방문자수, 주사용 연령대, 콘텐츠 종류, 광고효과 등)은 정확히 알지 못한 채 광고비를 지불하여 정확한 광고효과를 알 수 없거나 광고비 대비 광고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키워드별로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에 따라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산정하여 광고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클라이언트에 광고매체가 표시되면서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여 광고주에게도 광고효율에 따라 광고비용을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은,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매체 관리모듈(102)과; 등록된 광고매체(300)에 대한 키워드별로 광고의 노출수 대비 클릭수인 컨버전효율을 확인하는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과;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별로 광고매체별에 노출되는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과; 광고주에 대한 정보와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모듈(108)과;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의 노출순위를 키워드별로 비딩한 광고단가 순서대로 광고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과; 클라이언트(200)가 광고매체(300)에 접속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서 설정한 광고매체(300)의 노출횟수에 따라서 키워드별 광고순위별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노출 관리모듈(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매체별로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에 의해 키워드별로 광고의 컨버전효율이 확인되면 키워드별로 광고매체(300)에 따라 기존에 산정된 광고단가를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차등 적용하는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112)과; 광고매체(300)를 통해 광고가 노출되면 키워드별 순위결정과정에서 선정된 광고단가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의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에 따른 광고단가 지급율을 합산하여 최종광고비를 정산하는 광고비용 정산모듈(1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고매체(300)는 각종 웹사이트, 블로그, 상품판매사이트, 어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버전효율은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고주로부터 제공받는 광고는 텍스트 광고, 플로팅 광고, 음성광고, 배너 등을 모두 포함하며 키워드별 및 키워드 그룹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동일금액 또는 최대단가를 비딩한 광고주가 다수인 경우에 광고주의 계정잔고를 비교하여 계정잔고가 많은 순으로 비딩광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광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은 키워드별로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컨버전효율에 따라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산정하여 광고효율에 따라서 광고의 노출을 최적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키워드별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에 의해서 키워드를 기준으로 전체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광고의 노출순위를 최적화하거나 또는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전체 광고의 노출순위를 최적화하여 선택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 광고매체가 표시되면서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여 광고주에게도 광고효율에 따라 광고비용을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매체별 노출횟수 최적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광고관리서버(100)에서 키워드별로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의 광고효과인 컨버전효율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컨버전효율에 따라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산정하여 광고효율을 최적화시키고, 클라이언트(100)를 광고매체(300)가 표시되면서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여 광고주에게도 광고효율에 따라 광고비용을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서버(100)는, 광고매체 관리모듈(102),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 광고정보 관리모듈(108),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112), 광고노출 관리모듈(114), 광고비용 정산모듈(116)을 구비한다.
광고매체 관리모듈(102)은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를 광고매체DB(12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광고매체(300)는 각종 콘텐츠와 함께 광고가 제공되는 것으로, 각종 웹사이트, 블로그, 상품판매사이트, 태블릿PC, 스마트TV,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로 제공되는 각종 어플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는 광고가 표시되는 페이지 또는 어플 등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은 등록된 광고매체(300)에 대한 키워드별로 광고의 노출수 대비 클릭수인 컨버전효율을 확인한다. 이때, 컨버전효율은
Figure 112013074163694-pat00001
으로 계산되며 키워드 그룹으로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버전효율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워드별로 개별적인 광고매체(300)의 컨버전효율을 의미하며 최고의 컨버전효율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도 산정할 수도 있다.
키워드(그룹) 1 키워드(그룹) 2 키워드(그룹) 3
노출
횟수
클릭
횟수
컨버전
효율
노출
횟수
클릭
횟수
컨버전
효율
노출
횟수
클릭
횟수
컨버전
효율
광고매체1 100 10 10% 100 2 2% 100 0 0%
광고매체2 100 8 8% 100 6 6% 100 7 7%
광고매체3 100 5 5% 100 0 0% 100 10 10%
광고매체4 100 0 0% 100 10 10% 100 3 3%
이러한 광고매체(300)의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은 주단위, 월단위 또는 분기별로 재산정되어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컨버전 효율이 급격히 변화하는 시즌(여름, 겨울, 입학, 졸업 취직 등) 또는 이슈(발렌타인데이, 블랙데이등)가 있을 때에도 재산정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별로 광고매체별에 노출되는 노출횟수를 재설정한다. 이러한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와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2)로 이루어진다.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는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매체별로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한다. 예를 들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를 기준으로 하면, 키워드 1은 컨버전 효율이 가장 높은 광고매체 1의 노출횟수가 전체의 약 43%정도인 경우에 최적의 광고노출대비 클릭수를 예상할 수 있고, 컨버전효율이 가장 낮은 광고매체 3인 경우 노출횟수가 전체의 약 21%인 경우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광고매체4에서는 노출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에 의해서 재산정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최적의 노출횟수에 의하여 각각의 광고매체(300)별로 광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키워드(그룹) 1 키워드(그룹) 2 키워드(그룹) 3
광고매체1 10/(10+8+5+0)×100
=43.5
2/(2+6+0+10)×100
=11.1
7/(0+7+10+3)×100
=35
광고매체2 8/(10+8+5+0)×100
=34.8
6/(2+6+0+10)×100
=33.3
7/(0+7+10+3)×100
=35
광고매체3 5/(10+8+5+0)×100
=21.7
0/(2+6+0+10)×100
=0
10/(0+7+10+3)×100
=50
광고매체4 0/(10+8+5+0)×100
=0
10/(2+6+0+10)×100
=55.5
3/(0+7+10+3)×100
=15
또한,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2)는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한다. 예를 들면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하면, 광고매체 1에서 노출되는 전체 키워드별(그룹) 중에서 키워드(그룹) 1의 노출횟수가 전체의 약 83.3%, 키워드(그룹) 2의 노출횟수가 약 16.7%, 키워드(그룹) 3의 노출횟수가 0인 경우에 최적의 광고노출대비 클릭수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광고매체 2에서 노출되는 전체 키워드별(그룹) 중에서 키워드(그룹) 1의 노출횟수가 전체의 약 38.1%, 키워드(그룹) 2의 노출횟수가 약 28.6%, 키워드(그룹) 3의 노출횟수가 33.3인 경우에 최적의 광고노출대비 클릭수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서 광고매체를 기준으로도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키워드별 노출횟수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그룹) 1 키워드(그룹) 2 키워드(그룹) 3
광고매체1 10/(10+2+0)×100
=83.3
2/(10+2+0)×100
=16.7
0/(10+2+0)×100
=0
광고매체2 8/(8+6+7)×100
=38.1
6/(8+6+7)×100
=28.6
7/(8+6+7)×100
=33.3
광고매체3 5/(5+0+10)×100
=33.3
0/(5+0+10)×100
=0
10/(5+0+10)×100
=66.7
광고매체4 0/(0+10+3)×100
=0
10/(0+10+3)×100
=76.9
3/(0+10+3)××0
=23.1
광고정보 관리모듈(108)은 광고주에 대한 정보와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면 광고정보DB(1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광고는 텍스트 광고, 플로팅 광고, 음성광고, 배너 등을 모두 포함하며 키워드별 및 키워드 그룹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등록된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금액의 예치금은 계정잔고DB(126)에 저장된다.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의 노출순위를 키워드별로 비딩한 광고단가 순서대로 광고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동일금액 또는 최대단가를 비딩한 광고주가 다수인 경우에 광고주의 계정잔고를 비교하여 계정잔고가 많은 순으로 비딩광고순위를 결정하여 비딩광고순위DB(128)에 저장한다. 이때, 광고단가는 각각의 키워드별로 결정하거나 또는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결정할 수도 있다.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112)은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에 의해 키워드별로 광고의 컨버전효율이 확인되면 키워드별로 광고매체(300)에 따라 기존에 산정된 광고단가를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차등 적용한다. 예를 들면, 표 4와 같이 키워드의 광고비용이 100원인 경우에 컨버전효율이 100인 경우를 기준으로 분석된 키워드 1인 경우에는 광고매체1에 100원의 광고단가를 그대로 적용하고, 광고매체2에 80원, 광고매체3에 50원이 각각 광고단가로 적용된다.
키워드(그룹) 1 키워드(그룹) 2 키워드(그룹) 3
컨버전효율 광고단가 지급율 컨버전효율 광고단가 지급율 컨버전효율 광고단가 지급율
광고매체1 100 100% 20 20% 70 70%
광고매체2 80 80% 60 60% 100 100%
광고매체3 50 50% 100 100% 30 30%
광고노출 관리모듈(114)은 클라이언트(200)가 광고매체(300)에 접속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300)의 노출횟수에 따라서 키워드별 광고순위별로 광고를 노출시킨다.
광고비용 정산모듈(116)은 광고매체(300)를 통해 광고가 노출되면 키워드별 순위결정과정에서 선정된 광고단가를 기준으로 광고매체(300)의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에 따른 광고단가 지급율을 합산하여 최종광고비를 정산한다.
이하, 도 3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매체별 노출횟수 최적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광고관리서버(100)의 광고정보 관리모듈(108)은 광고주로부터 광고주에 대한 정보 및 광고매체(300)에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광고정보DB(124)에 저장한다(단계 S101). 이때,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는 텍스트 광고, 플로팅 광고, 음성광고, 배너 등을 모두 포함하며 제공받은 광고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또한, 광고를 등록한 광고주로부터 광고비용에 사용되는 금액을 입금받으면 이를 계정잔고DB(126)에 저장한다.
그리고, 광고관리서버(100)의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광고매체(300)에 노출되는 광고의 순위를 키워드별로 비딩한 광고단가가 높은 순서대로 결정한다(단계 S102). 이때, 동일금액 또는 최대단가를 비딩한 광고주가 다수인 경우에 광고주의 계정잔고를 비교하여 계정잔고가 많은 순으로 비딩광고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광고단가는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는 광고관리서버(100)의 광고매체 관리모듈(102)을 통해서 관리하며 광고매체DB(122)에 저장한다(단계 S103). 이러한 광고매체(300)는 각종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제공하는 것으로, 언론사 웹사이트, 블로그, 상품판매사이트, 태블릿PC, 스마트TV,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로 제공되는 각종 어플을 포함한다.
광고관리서버(100)의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은 키워드별로 등록된 광고매체(300)에 대한 광고의 노출수 대비 클릭수인 컨버전효율을 확인한다(단계 S104). 이때, 컨버전효율은
Figure 112013074163694-pat00002
으로 계산되며 키워드 그룹으로 산정할 수 있다.
키워드별로 전체 광고매체의 컨버전효율이 확인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별로 광고매체별에 노출되는 노출횟수를 재설정한다(단계 S105).
이때,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를 통해서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매체별로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고(단계 S106),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2)를 통해서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한다(단계 S107).
이러한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 의해서 산정된 키워드별 노출횟수에 의하여 각각의 광고매체(300)별로 광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200)가 광고매체(300)에 접속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서 설정된 광고매체의 노출횟수에 따라서 키워드별 광고순위별로 광고를 노출시킨다(단계 S108). 이때, 클라이언트(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매체(300)에 노출되는 광고는 광고매체의 콘텐츠에 관련된 광고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고매체가 웹사이트인 경우에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대표어를 확인하고, 대표어에 대응되는 키워드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광고매체에 광고가 노출되면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112)은 광고의 키워드별 광고매체(300)의 컨버전효율을 확인하여 기존에 산정된 광고단가를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차등 적용하여 재산정하고(단계 S109), 광고주의 계정잔고DB(126)에 저장된 계정잔고에서 광고비로 정산한다(단계 S110). 예를 들면, 키워드의 광고비용이 100원인 경우에 컨버전효율이 100인 경우를 기준으로 분석된 키워드 1인 경우에는 광고매체1에 100원의 광고단가를 그대로 적용하고, 광고매체2에 80원, 광고매체3에 50원이 각각 광고단가로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광고관리서버
102 : 광고매체 관리모듈
104 :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
106 :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
106-1 :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
106-2 :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
108 : 광고정보 관리모듈
110 :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
112 :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
114 : 광고노출 관리모듈
116 : 광고비용 정산모듈
200 : 클라이언트
300 : 광고매체
400 : 광고주

Claims (10)

  1.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매체 관리모듈(102)과;
    등록된 광고매체(300)에 대한 키워드별로 광고의 노출수 대비 클릭수인 컨버전효율을 확인하는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과;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별로 광고매체별에 노출되는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과;
    광고주에 대한 정보와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모듈(108)과;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의 노출순위를 키워드별로 비딩한 광고단가 순서대로 광고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과;
    클라이언트가 광고매체(300)에 접속하면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에서 설정된 광고매체의 노출횟수에 따라서 키워드별 광고순위별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노출 관리모듈(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키워드를 기준으로 광고매체별로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키워드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광고노출횟수 재설정모듈(106)은 광고매체별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을 바탕으로 광고매체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에 노출되는 키워드의 노출횟수를 재설정하는 광고매체별 노출순위 재설정부(10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고매체 컨버전효율 확인모듈(104)에 의해 키워드별로 광고의 컨버전효율이 확인되면 키워드별로 광고매체(300)에 따라 기존에 산정된 광고단가를 컨버전효율에 연동하여 차등 적용하는 키워드별 광고매체 광고단가 재산정모듈(112)과;
    광고매체(300)를 통해 광고가 노출되면 키워드별 순위결정과정에서 선정된 광고단가를 기준으로 광고매체의 키워드별 컨버전효율에 따른 광고단가 지급율을 합산하여 최종광고비를 정산하는 광고비용 정산모듈(1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광고매체(300)는 각종 웹사이트, 블로그, 상품판매사이트, 어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버전효율은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광고주로부터 제공받는 광고는 텍스트 광고, 플로팅 광고, 음성광고, 배너 등을 모두 포함하며 키워드별 및 키워드 그룹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동일금액 또는 최대단가를 비딩한 광고주가 다수인 경우에 광고주의 계정잔고를 비교하여 계정잔고가 많은 순으로 비딩광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키워드별 광고단가 산정모듈(110)은 유사 키워드가 함께 분류되는 키워드그룹별로 광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10. 삭제
KR1020130097059A 2013-08-16 2013-08-16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KR101453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9A KR101453790B1 (ko) 2013-08-16 2013-08-16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9A KR101453790B1 (ko) 2013-08-16 2013-08-16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790B1 true KR101453790B1 (ko) 2014-10-23

Family

ID=5199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59A KR101453790B1 (ko) 2013-08-16 2013-08-16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7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07B1 (ko) * 2017-04-26 2018-10-30 주식회사 애드오피 광고 서비스의 미디에이션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97762B1 (ko) * 2018-06-29 2019-07-08 주식회사 제이슨그룹 대표상품을 이용한 광고 방법
CN113011165A (zh) * 2021-03-19 2021-06-2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被封锁关键词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00A (ko) * 2000-05-08 2001-11-16 문병로 경쟁기반의 가변적 인터넷 광고 발주장치 및 방법
KR20060115432A (ko) * 2005-05-06 2006-11-09 (주)나무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를 이용한 광고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8019A (ko) * 2006-02-02 2008-11-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광고 발행자의 성능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클릭 사기를억제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6256A (ko) * 2010-12-14 2012-06-22 (주)리차드캐서린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00A (ko) * 2000-05-08 2001-11-16 문병로 경쟁기반의 가변적 인터넷 광고 발주장치 및 방법
KR20060115432A (ko) * 2005-05-06 2006-11-09 (주)나무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를 이용한 광고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8019A (ko) * 2006-02-02 2008-11-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광고 발행자의 성능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클릭 사기를억제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6256A (ko) * 2010-12-14 2012-06-22 (주)리차드캐서린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07B1 (ko) * 2017-04-26 2018-10-30 주식회사 애드오피 광고 서비스의 미디에이션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97762B1 (ko) * 2018-06-29 2019-07-08 주식회사 제이슨그룹 대표상품을 이용한 광고 방법
CN113011165A (zh) * 2021-03-19 2021-06-2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被封锁关键词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581B2 (en) Risk premiums for conversion-based online advertisement bidding
US7908238B1 (en) Prediction engines using probability tree and computing node probabilities for the probability tree
US8700452B1 (en)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pricing models for services
US20200286121A1 (en) Network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implementing online commerce
KR100849041B1 (ko) 인터넷상의 광고영역의 점유를 위한 경매시스템 및운영방법
US20140095301A1 (en) Revenue adjustment processes
US20100198694A1 (en) Advertisement Slot Configuration
US20090012852A1 (en) Data marketplace and broker fees
US20120036024A1 (en) Mixed auctions
US8799081B1 (en) Externality-based advertisement bid adjustment
US200903270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ssist Data to Optimize Digital Ads
US20090327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Index to Measure a Performance of Digital Ads as Defined by an Advertiser
US200903270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Normalized Impressions To Optimize Digital Ads
JP2012502388A (ja) 検索広告に関する競売および課金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記録媒体
US102171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id adjustments in an online advertisement exchange
JP6199884B2 (ja) オンライン広告を配信する精密制御アプリケーション
Zhang et al. Statistical arbitrage mining for display advertising
US20120158522A1 (en) Randomized auctions with priority option
AU2018200995A1 (en) Auction method and server that establishes a sales price at the lowest bidding price among bidding prices of the selected winning bidders for all winning bidders satisfying an auction condition
US202103042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electronic advertising opportunities
US20130132201A1 (en) Managing revenue sharing bids
KR101453790B1 (ko) 매체별 광고효율에 따른 광고의 노출횟수 최적화 시스템
US20120296763A1 (en) Auction method and server
KR101049516B1 (ko) 한계비딩을 이용한 광고의 노출순위 관리시스템 및 노출순위 관리방법
KR101343085B1 (ko) 광고매체 등급별 광고 노출 및 과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