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668B1 -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 Google Patents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668B1
KR101453668B1 KR1020130050192A KR20130050192A KR101453668B1 KR 101453668 B1 KR101453668 B1 KR 101453668B1 KR 1020130050192 A KR1020130050192 A KR 1020130050192A KR 20130050192 A KR20130050192 A KR 20130050192A KR 101453668 B1 KR101453668 B1 KR 10145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sewage
frame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2341A (en
Inventor
진두남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3005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668B1/en
Publication of KR201400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하고,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for a sub-collector, wherein an inspecting port capable of inspecting the inside of an excellent toilet is integrally formed on a frame so that the inside of the excellent toil can be easily checked without separating the open / And the watertight plat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late to prevent the entry of the contaminants into the gap between the watertight plate and the watertight plate so as to prevent the inope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n advance, And the stopper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plat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plate can be changed. Thus, the position of the drop of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pen / Prevents bottlenecks in sewage and initial storm, and allows the sewage and initial storm to flow more smoothly .

Figure R1020130050192
Figure R1020130050192

Description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for a sub-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for a sub-container which is capable of easil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ithout separating the open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 device for a subcontractor which is constructed so as to integrally form an inspection port capable of inspecting the inside of a toilet, and to inspect or dredge the inside of the excellent toilet without removing the frame.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Generally, sewerage refers to the sewage generated in the household and the factory wastewater from the factory or workplace, and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inwater drains sewage collected through the drainage line of the road.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ewage is connected to the river at the discharge side, so sewage flows into the river.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That is, a commonly known sewer pipe includes an excellent toilet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to purify the inflow sewage, and includes a sub-pipe to guide the sewage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perior toilet.

한편 종래의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등록번호: 10-0969488)는 별도의 점검구가 마련되지 않아 우수토실의 내부에 모래나 자갈이 유입되면 이를 준설하기 위해 하수유입홀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ntrol apparatus for the flow rate control of the secondary pipes installed in the superior floor ("Registration of the excellent floor and the soil inflow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xcellent floor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time" Registration No. 10-0969488)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ame installed in the sewage inflow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stopper plate coupled to the frame have to be separated.

또한 프레임에 설치된 물막이판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사이에 갭이 발생되어 오수 및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축에 협잡물이 걸려 개폐판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gaps are generated between the cardboard plate installed in the fram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horizontal holding stopper, and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storm are introduced, resulting in the clogging of the rotary shaf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inner wall of the excellent canopy can be easily inspected or dredged and the inner wall of the stopper plate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late to prevent the entry of the contaminants into and out of the watertight plat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for a subassembly configured to easily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an open / close plate by removing only a water film plate without separating the open / close plate by engaging a weight with both bent sides of the open / .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stopper plates separately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stopper plates can be varied to prevent the bottleneck of the sewage and the initial good by preventing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pen / And to provide a flow control device for a sub-pip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troducing sewage and initial storm.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개폐판을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간 프레임에 링크결합시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이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a secondary container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bearing by allow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to be linked to the frame through an eyebolt, .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우수의 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40);과,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레벨판(50);과,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과,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40)은 오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 1절곡면(41)의 외측에는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411)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레벨판(50)은 폐쇄된 개폐판(40)의 타측과 부분 중첩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 control device for a sub-pipe, comprising: An open / close board 40 installed on the frame 20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rain, and a frame 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0 A stopper plate 6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to intermittently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and a stopper plate 6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20, (70) for guiding the wastewater and the initial storm to the excellent soil (11) and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wherein the open / close plate (40) A first folded surface 41 which is upwardly folded is formed, an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first folded surfaces 41,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osed opening / closing plate 40 in order to adjust the horizontal level of the stopper plate 60,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invention,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further has brackets (51) on both sides of its bottom surface,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joined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ame (20) And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brackets 51.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스토퍼판(6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hird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stopper plate (60) is formed with a second folded surface (621) whose cross section is bent upwards in a "┏" shap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And a plurality of downwardly directed bending plates 62 and a plurality of downwardly directed adjustment plates 63 coupled between the upwardly bent plates 62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partially overlap both side surfac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can be varied. As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varies,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pen / close plate 4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bottleneck phenomenon and to smoothly introduce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고,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의 제 2절곡면(621) 일측에는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urth invention, in the third invention, the water diaphragm (70)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and on the side of the second folded surface (621)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plate 622 further extends to one side of the plate 70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plate 70. [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diaphragms 622 are preferably fixed at an upward angle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eing opened.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에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plate (412) for interlock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each first folded surface (41)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phragm 70 is further coupled with an opening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y interfering with the latching plate 412.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7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one side turning radiu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And a stopper pin 73 which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nuts 72 of the nut 72 and interferes with the engaging plate 412.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oyancy tank (42) is further coupled to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y a buoyancy force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21a are formed along the first connection bar 421 and are coupled through two connection bars 421 which are bolt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angle and length.

제 9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점검구(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보조프레임(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inth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20)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rame (21)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so that an inspection hole (211) can be formed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a check plate 212 for closing the check port 211 is coupled.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설치되는 각봉(43)과, 상기 각봉(43)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리(R)가 형성된 제 1아이볼트(I)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은 각봉(43)의 양측 수평선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리(R')가 형성된 제 2아이볼트(I')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아이볼트(I)의 고리(R)는 제 2아이볼트(I')의 고리(R')와 상호 간 링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ncludes a square ba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first eye bolt I formed with a ring R fixed to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 Wherein the frame (20) comprises a second eyebolt (I ') formed with a ring (R') fix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ine on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The ring R of the first eye bolt I is preferably linked to the ring R 'of the second eye bolt I'.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하수로(10)에는 개폐판(40)을 통해 우수토실(11)의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90)이 다중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90)은 하수로(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invention, a plurality of screens (90) for preventing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excellent toilets (11)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The screen 90 includes a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wage canal 10 and a second contaminant screen 90b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And a second contaminant screen 90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wage canal 10 as much as possible.

제 12발명은, 제 11발명에서,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이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elfth invention according to the el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venth invention, each of the obstacle screens (90) comprises a supporting bar (9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er path (10) through an anchor bolt (911) And a plurality of latching plates 92 fixed to the upper surface by bolts while being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latching plates 92 are fixed to the support bars 91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uprigh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tor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stituted by a resilient metal plate so that the angle can be vari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uperior water pressure.

본 발명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따르면,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port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excellent toilets is integrally formed in the frame, so that the inside of the excellent toilets can be easily checked or dredged without separating the open /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from being inactivated by preventing the entry of the contaminants between the watertight plates by connecting the watertight plates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late.

또한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can be easily moved by removing only the water film plate without separat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by connecting the weight to both bent side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또한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plate is separated and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bottleneck of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by preventing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pen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또한 개폐판을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간 프레임에 링크결합시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이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 closing plate is linked to the frame through the eyebolts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rotary shaft,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bearing is not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스토퍼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2에서 수평레벨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서 개폐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저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요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rate control apparatus for a sub-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control device of a sub-pipe extracted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2,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plate in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in FIG. 2,
Figure 7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screen excerpted in Figure 1;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ottom view of Fig. 7,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cess in Fig.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low rate control apparatus for a submerg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스토퍼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수평레벨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작동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rate control apparatus for a sub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rate control apparatus for a subassembly extracted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2,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plate in Fig. 2, Fig. 6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asily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without detach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by engaging a weight with both bent side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 device for a subcontractor, which is configured to integrally form an inspection port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a frame and to easily inspect or dredge the inside of the wellcontainer without separating the frame.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는 크게 프레임(20)과, 개폐판(40)과, 수평레벨판(50)과, 스토퍼판(60) 및 물막이판(70)으로 구성된다.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secondary structure is largely constituted by a frame 20, an open / close plate 40, a horizontal level plate 50, a stopper plate 60 and a diaphragm plate 70.

상기 프레임(20)은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 또는 기존 하수로 상의 우수토실(11)에 설치된 스틸그레이팅(미도시)을 제거하고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20 is formed on the sewage canal 10 and removes the steel grat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superior toe chamber 11 associated with the secondary pipe 12 .

이러한 상기 프레임(20)은 우수토실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경우, 점검구(211)가 형성되도록 보조프레임(21)을 더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Such a frame 20 can be constructed by further coupling the auxiliary frame 21 so that the inspection hole 211 is formed when the superior toilets are relatively large.

이 때 상기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오수, 초기우수 및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필요시 점검판(212)를 분리하여 프레임(20)에 결합된 개폐판(40)과, 스토퍼판(60)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11)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21, a check plate 212 having a handle for closing the check hole 211 is coupled to prevent the inflow of sewag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coupled to the frame 20 and the inside of the excellent toilets 11 can be inspected or dredged without separating the stopper plate 6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의 양측에 보조프레임(21)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우수토실(11)의 형태에 따라 프레임(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uxiliary frame 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or behind the frame 20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xcellent toilets 11.

상기 개폐판(40)은 상기 프레임(2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30)에 결합되어 우수토실(1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을 갖는 구조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is coupled to a rotary shaft 30 which is transversely coupled to the frame 20 to open and close the superior toe chamber 11 and to open the sewage, And both sides have a first bent surface 41 that is upwardly bent.

아울러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 수평레벨판(50)이다. 이러한 수평레벨판(50)은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0.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to align the horizontal level of the stopper plate 60 that interrupts the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이러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폐판(40)이 폐쇄되면 개폐판(40)의 타측과 스토퍼판(60)이 상호 간 들뜸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출 수 있는 구성이다.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s further coupled with brackets 51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which have a cross-sectional shap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20 in a "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can be adjusted. As a result, when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closed, the horizontal level of the stopper plate 6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and the stopper plate 60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아울러 상기 스토퍼판(60)은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된다.The stopper plate 60 includes an upward curved plate 62 formed with a second curved surface 621 bent upwar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And a plurality of drainage regulating plates 63 which are jo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such a manner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partially overlapped.

여기서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은 제 2절곡면(621)이 "┏"자 형상으로 물막이판(70)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내측으로 오수, 우수 및 초기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upward bent plate 6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folded surface 621 is in contact with the header plate 70 in a "┏" shape so as to guide sewage, storm, and initial storm to the inside.

아울러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이다.Each of the dew regulating plates 63 is formed with an elongated groove 64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ew regulating plate 63 can be var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n addition, And the dropping position of the initial storm is changed to prevent the bottleneck of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so that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can be introduced more smoothly.

한편 상기 물막이판(70)은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diaphragm 7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20 to guide the sewage and initial storm to the excellent toilets 11 to prevent them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이러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다.The water film plate 70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물막이판(70)과 접하는 상기 스토퍼판(60)의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은 물막이판(70)과의 사이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단면이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되는 구조이다.The upwardly bent plate 62 of the stopper plate 60 contacting with the water film plate 70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water film plate 70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water film plate 70 And a "┏" -shaped watertight plate 622 which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70 is further joined.

이 때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상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도록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물막이판(7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At this time, each of the water level plates 622 is inclined at an upward angle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level plate 622 gradually increases upward to prevent the first folded surface 41 of the open / close plate 40 from being interfered, It is a fixed structure.

한편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외측에는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추(411)가 제 1절곡면(41)의 일측과 타측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weight 411 for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folding surface 41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olding surface 4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이러한 상기 각 무게추(411)는 개폐판(40)의 높이 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있어 개폐판(40)을 분리하지 않고, 물막이판(70)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eights 411 are dispos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pen / close board 40, so that only the weir plate 70 is removed without separating the open / close board 4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 /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이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구조이다.A locking plate 412 for block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folded surface 4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412) to interfere with the open / close plate (4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여기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된다.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7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one rotation radiu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a nut 72 fixed to the coupling holes 71, And a stopper pin 73 coupled to one of the nuts 72 of the nut 72 to interfere with the engagement plate 412.

이러한 구성은 상기 스토퍼핀(73)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is configuration can easil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according to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stopper pin 73.

또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buoyancy tank 42 is further coupl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2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oyancy tube 42. The buoyancy tube 4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by buoyancy to close the opening / And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length by being coupled through two connecting bars 421 which are bolted to each other.

한편 하수로(10)에는 오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됨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90)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wage ca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90 for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sewage and initial storms.

이러한 스크린(90)은 각종 협잡물을 미리 분리하여 우수토실(11)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로(10) 상에 다단 설치된다.The screen 90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on the sewage system 10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nt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excellent toilets 11 in advance by separating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in advance.

이러한 스크린(90)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된다.This screen 90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consisting of a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and a second contaminant screen 90b.

여기서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은 하수로(10)의 양측이 개방되도록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이와 반대로 제 2협잡물스크린(90b)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다.Here, the first obstacle screen 90a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such that both sides of the sewage canal 10 are open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bstacle screen 90b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rst obstacle screen 90a,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wage canal 10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wage canal 10 is opened.

이러한 구조는 협잡물을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분산시켜 각 협잡물스크린(90)에 협잡물이 쌓여 "댐" 현상이 발생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제 1협잡물스크린(90a)으로 제거되지 않는 협잡물은 제 2협잡물스크린(90b)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This structure distributes the impurities to the first impurity screen 90a and the second impurity screen 90b so that the impurities on each impurity screen 90 are piled up to cause a "dam" phenomenon to prevent the function of removing impurities from being lost And the contaminants not to be removed by the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can be removed through the second contaminant screen 90b.

아울러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된다.Each of the obstacle screens 90 includes a support bar 9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canal 10 through an anchor bolt 911 and a bolt- And a plurality of latching plates 92 which are fixedly secured.

이 때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engaging plates 92 is fixed to the support bar 91 in an upright position in an advancing direction of the storm, and is made of a resilient metal plate, .

이러한 구조는 도 7의 (a)와, 같이 오수 또는 초기우수 시에는 협잡물이 우수토실(11)로 유입되지 않도록 협잡물이 걸러지도록 기능한다.Such a structure serves to filter out the contaminants so that the contaminants do not flow into the fine toilets 11 at the time of wastewater or initial storm as shown in FIG. 7 (a).

이와 반대로 도 7의 (b)와 같이, 수량이 많은 우수시에는 개폐판(40)이 폐쇄되는 바, 협잡물이 걸쳐진 걸림판(92)이 우수의 수압에 의해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각도가 낮아지게 되어 협잡물이 개폐판(40)을 지나 하천으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b), when the amount of water is high,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closed, and the angle of the engaging plate 92, So that the impurities are discharged to the stream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이에 따라 별도로 각 걸림판(92)에 걸쳐진 협잡물을 제거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협잡물이 제거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contaminants without removing the contaminants on the respective engaging plates 92, which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또한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하수로의 수위가 낮아지므로, 상기 각 걸림판(92)은 금속판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도 7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 협잡물이 우수토실(11)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7 (a)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metal plate, so that the contaminants do not flow into the superior soil chamber 11, Fun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서 개폐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서 요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separated, Fig. 9 is a bottom view of Fig. 8, to be.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개폐판(40)을 회전축(30)이 없이 프레임(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and is structured such that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can be installed on the frame 20 without the rotary shaft 30.

이를 위해 상기 개폐판(40)의 저면에는 각봉(43)을 설치하고, 상기 각봉(43)의 양측에는 고리(R)가 형성된 제 1아이볼트(I)가 고정된다.A square bar 4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and a first eyebolt I having a ring 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봉(43)의 양측 수평선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R')가 형성된 제 2아이볼트(I')가 고정된다.The frame 20 has a second eyebolt I 'formed with a ring 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line on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이 때 각봉(43)의 양측에 고정된 상기 제 1아이볼트(I)의 고리(R)는 프레임(20)에 고정된 제 2아이볼트(I')의 고리(R')와 상호 간 링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아이볼트(I)는 고리(R)가 지면과 수평되게 고정되고, 제 2아이볼트(I')는 고리(R')가 지면과 수직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호 간 링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10의 (c)와 같이, 개폐판(40)과 동반 회동하는 제 1아이볼트(I)의 고리(R)가 일정각도 회동하면 제 2아이볼트(I')의 고리(R') 간섭에 의해 아래로 지속적으로 회동하지 않고 일정각도로만 회전된다.
The ring R of the first eyebolts I fixed to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at this time is connected to the ring R 'of the second eyebolts I' fixed to the frame 20, .
Here, the first eye bolt I is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ring R and the second eyebolts I 'are interlinked with each other while the ring R' is fix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
10 (c), when the ring R of the first eye bolt I rotating together with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ring R 'of the second eye bolt I' ) It is only rotated at a certain angle without intermittently turning down due to interference.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20)에 회전축(30)을 베어링 결합시켜도 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개폐판(40)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structure can prevent the bearings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rotating shaft 30 can not be coupled to the frame 20 by bearing,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can be used permanently.

또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rotary shaft is not requir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하수로 11: 우수토실 12: 차집관거
20: 프레임 21: 보조프레임 211: 점검구
212: 점검판
30: 회전축
40: 개폐판 41: 제 1절곡면 411: 무게추
412: 걸림판 42: 부력통
421: 연결바 421a: 체결공
43: 각봉
50: 수평레벨판 51: 브라켓
60: 스토퍼판 62: 상향절곡판 621: 제 2절곡면
622: 지수판 63: 낙수조절판
64: 장홈
70: 물막이판 71: 결합홀 72: 너트
73: 스토퍼핀
90: 스크린 90a: 제 1협잡물스크린 90b: 제 2협잡물스크린
91: 지지바 911: 앵커볼트
92: 걸림판
I: 제 1아이볼트 R: 고리
I': 제 2아이볼트 R': 고리
10: sewage line 11: excellent toilets 12:
20: Frame 21: Auxiliary frame 211: Inspection port
212: inspection plate
30:
40: open / close plate 41: first bent surface 411: weight
412: Retaining plate 42: Buoyant tube
421: connecting bar 421a: fastening hole
43: Square bar
50: Horizontal level plate 51: Bracket
60: stopper plate 62: upward bent plate 621: second bent surface
622: Index plate 63: Drain control plate
64: Home
70: diaphragm 71: engaging hole 72: nut
73: Stopper pin
90: screen 90a: first impurity screen 90b: second impurity screen
91: Support bar 911: Anchor bolt
92:
I: First eyebolt R: Rings
I ': second eye bolt R': ring

Claims (12)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우수의 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40);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레벨판(50);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40)은 오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 1절곡면(41)의 외측에는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411)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레벨판(50)은 폐쇄된 개폐판(40)의 타측과 부분 중첩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A frame (20) formed on the sewage system (10) and installed in the superior toilet (11) associated with the secondary pipe (12);
An open / close plate 40 installed on the frame 20 and opened / clo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
A horizontal level plate 5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0;
A stopper plate 6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to intermittently clos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And a dam plate 7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20 to prevent the waste water and the initial storm from leading to the excellent toilets 11 and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formed with a first folded surface 41 having both sides bent upward to guide the wastewater and the rainwater inwardly, and an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formed outside the first folded surface 41, And a weight 411 for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411,
Wherein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so as to match the horizontal level of the stopper plate (60)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closed opening / closing plate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further has brackets 51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which are engaged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ame 20 in a " And the height of the level plate (50) is adjus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판(6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plate 60 includes an upward curved plate 62 formed with a second curved surface 621 whose upper end is bent upward in the shape of a letterhea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And a downwardly directed bending plate (62), and a plurality of downwardly directed adjustment plates (63)
Each of the drainage regulating plates 63 is formed with a groove 64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rainage regulating plates 63 can be var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level plate 50. The drainage regulating plates 63 are disposed in the open / Wherein the flow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ottleneck phenomenon of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by changing the falling position of the initial storm so that the sewage and the initial storm can be smoothly introduc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고,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의 제 2절곡면(621) 일측에는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diaphragm 70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 -shaped waterproof plate 622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water shielding plate 70 and fix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hielding plate 7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olding surface 621 of each upstanding folding plate 62, Wherein the flow control device is further coupled to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subassembl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water level plates (622) is fixed at an upward angle to prevent the first folded surface (4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eing opened from being interf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에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tching plate 412 for interrup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folding surface 4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Wherein each of the water film plates (70) is further coupled with an opening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n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y interfering with the latching plate (4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7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one rotation radiu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a nut 72 fixed to the coupling holes 71, And a stopper pin (73) coupled to one of the nuts (72) of the nut (72) and interfering with the latching plate (4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cy tank 42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2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oyancy tank 42. The buoyancy tank 42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tank 42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 by buoyancy, And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length by being coupled through two connection bars (421) formed by bolt conn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점검구(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보조프레임(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2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frame 21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spection hole 211 so that the inspection hole 211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0, And a check valve (212)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2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설치되는 각봉(43)과, 상기 각봉(43)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리(R)가 형성된 제 1아이볼트(I)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은 각봉(43)의 양측 수평선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리(R')가 형성된 제 2아이볼트(I')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아이볼트(I)의 고리(R)는 제 2아이볼트(I')의 고리(R')와 상호 간 링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includes a square bar 4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first eye bolt I formed with a ring R fixed to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The frame 20 includes a second eyebolt I 'formed with a ring R' fix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ines on both sides of the square bar 43,
Wherein the ring (R) of the first eye bolt (I) is linked with the ring (R ') of the second eye bolt (I').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로(10)에는 개폐판(40)을 통해 우수토실(11)의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90)이 다중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90)은 하수로(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creens 90 are installed in the sewage line 10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uperior toilets 1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
The screen 90 includes a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wage canal 10 and a second contaminant screen 90a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rst contaminant screen 90a, And a second contaminant screen (90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wage pipe (10) to be open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이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Each of the obstacle screens 90 includes a support bar 9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canal 10 through an anchor bolt 911 and a support bar 91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91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lates (92)
Each of the retaining plates 92 is fixed to the support bar 91 in an upright and inclined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running of the rain. The retaining plate 92 is made of a resilient metal plate so that the angle can be vari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Wherein the flow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sub-container.
KR1020130050192A 2013-05-03 2013-05-03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KR101453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en) 2013-05-03 2013-05-03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en) 2013-05-03 2013-05-03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41A KR20140022341A (en) 2014-02-24
KR101453668B1 true KR101453668B1 (en) 2014-10-22

Family

ID=5026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en) 2013-05-03 2013-05-03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66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06B1 (en) 2015-06-29 2015-10-28 전상훈 A flow control device with non-power eco-friendly
KR20160061930A (en) 2016-05-12 2016-06-01 전상훈 Multi-purpose flow control device
WO2016204356A1 (en) * 2015-06-15 2016-12-22 전상훈 Environmentally friendly, non-powered flowrate regulating device
KR20170103718A (en) 2017-08-21 2017-09-13 전상훈 Flow Control Devices Using Hinge
KR20170106256A (en) * 2017-09-01 2017-09-20 전상훈 Drainage system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nd adjusts flow rate
KR20170106255A (en) * 2017-09-01 2017-09-20 전상훈 A Device For Sewer Backflow Preven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5799B (en) * 2023-07-17 2023-09-19 河北骏业纤维有限公司 Impurity purifying, separating and filtering device for polyester fiber stock solu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988A (en) * 2004-09-18 2006-03-22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Gathering drainage box earth sand inflow shutoff apparatus
KR100774588B1 (en) 2007-01-18 2007-11-09 이경우 Sewage in-draft control device having storm overflow chamber
KR20100120472A (en) * 2009-05-06 2010-11-16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Gathering drainage box of earth and sand inflowprevention apparatus
KR101139533B1 (en) 2011-05-12 2012-05-02 고철환 Apparatus for preventing earth and sand from inflowing into a drainage gathering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988A (en) * 2004-09-18 2006-03-22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Gathering drainage box earth sand inflow shutoff apparatus
KR100774588B1 (en) 2007-01-18 2007-11-09 이경우 Sewage in-draft control device having storm overflow chamber
KR20100120472A (en) * 2009-05-06 2010-11-16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Gathering drainage box of earth and sand inflowprevention apparatus
KR101139533B1 (en) 2011-05-12 2012-05-02 고철환 Apparatus for preventing earth and sand from inflowing into a drainage gathering box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56A1 (en) * 2015-06-15 2016-12-22 전상훈 Environmentally friendly, non-powered flowrate regulating device
KR101564206B1 (en) 2015-06-29 2015-10-28 전상훈 A flow control device with non-power eco-friendly
KR20160061930A (en) 2016-05-12 2016-06-01 전상훈 Multi-purpose flow control device
KR20170103718A (en) 2017-08-21 2017-09-13 전상훈 Flow Control Devices Using Hinge
KR20170106256A (en) * 2017-09-01 2017-09-20 전상훈 Drainage system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nd adjusts flow rate
KR20170106255A (en) * 2017-09-01 2017-09-20 전상훈 A Device For Sewer Backflow Prevention
KR101950600B1 (en) * 2017-09-01 2019-05-08 전상훈 Drainage system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nd adjusts flow rate
KR101950599B1 (en) * 2017-09-01 2019-05-08 전상훈 A Device For Sewer Backflow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41A (en)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668B1 (en)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US69190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for eliminating solid debris
KR100980234B1 (en) Gathering drainage box of Earth and sand inflowPrevention apparatus
KR101016159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a storm overflow chamber
KR100969488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opening and closing point in time adjustable storm overflow chamber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KR20130021598A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101369130B1 (en) 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with integrated checking hole
KR100770359B1 (en) Prevention Apparatus of Earth and sand inflow by using buoyancy
KR101106890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storm overflow chamber
KR101707141B1 (en) Garbage separation prevention type manhole
KR100605037B1 (en) Gathering drainage box earth sand inflow shutoff apparatus
KR101296566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a manhole
KR101730150B1 (en) Garbage separation prevention type manhole
KR100711855B1 (en) Gathering drainage box of Earth and sand inflow Prevention apparatus
BR112020025554A2 (en) SEDIMENTATION DEVICE
KR100633532B1 (en) Separator and exhauster of rainwater.sewage
KR101772474B1 (en) Manhole for drain
KR101187656B1 (en) Bridge drainage pipe having sewage removing device for sewage backflow prevention and safety work of bridge drainage equipment
KR101026068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a storm overflow chamber
KR200446515Y1 (en) A radial shape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KR200381089Y1 (en) Gathering drainage box earth sand inflow shutoff apparatus
KR101494255B1 (en) Pipeline type auto-seperation draining apparatus
KR101343859B1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KR101697043B1 (en) A folding flow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