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05B1 -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05B1
KR101453405B1 KR1020130040814A KR20130040814A KR101453405B1 KR 101453405 B1 KR101453405 B1 KR 101453405B1 KR 1020130040814 A KR1020130040814 A KR 1020130040814A KR 20130040814 A KR20130040814 A KR 20130040814A KR 101453405 B1 KR101453405 B1 KR 10145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ir
frames
lin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038A (ko
Inventor
정성모
김태중
강선영
최영준
황주환
Original Assignee
김성권
황주환
김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황주환, 김태중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102013004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6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and front to back,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구성부재가 조립 구성된 골조와 이 골조에 결합되는 시트를 이용하여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하게 구성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게 골조와 시트를 구성하여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 기능을 가지며 중간의 교차하는 부위에 힌지부를 갖는 X링크 프레임을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도록 한 쌍을 구성하고, 이들 한 쌍의 X링크 프레임 상호간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엔 앉기 위한 시트를 설치하며, 상기 시트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의자{Folding chair}
본 발명은 여러 구성부재가 조립 구성된 골조와 이 골조에 결합되는 시트를 이용하여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하게 구성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게 골조와 시트를 구성하여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도 여러 구성부재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조립된 골조와 이 골조에 시트를 결합하여 사용시엔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한 후엔 필요 시 접어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여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한 여러 형태의 절첩식 의자가 개발되어 야외 레저용이나 기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시트가 단일 형태로서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형태는 그 대표적인 예로서 미국특허 제5,984,406호가 알려져 있다.
본 선행기술에 의하면, 전후방 X링크 프레임, 좌우측 X링크 프레임, 및 양측의 등받이 프레임을 각각의 고정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 구성한 골조와 이 골조에 시트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져, 골조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 맞게 시트를 구성한 관계로 시트를 골조와 함께 펼쳐서 앉아 사용하는 사용상태와, 사용 후 골조를 시트와 함께 접어 그 크기를 작게 차지하도록 하여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은상태를 구분하여 활용하고 있다.
즉, 골조와 시트를 함께 펼쳐 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 공조에 의하여 정해지는 높이에 맞게 고정형 시트가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로 그 시트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미리 설계상에서 이를 반영하여 고정형인 하나의 절첩식 의자를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등을 뒤로 기대어 안락하고 편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사용하고자하는 목적의 경우엔 시트의 높이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 마치 소파에서 처럼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게 되고, 야외에서 식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엔 마치 식탁 의자에서와 같이 그 시트의 높이가 높은 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이와 같이 사용 목적에 맞게 각각 제작된 여러 형태의 절첩식 의자 중 사용목적에 맞는 것을 모두 준비하여야 하므로, 그 종류나 수효가 많아지게 되어 사용자에겐 구매비용의 상승은 물론, 운반에도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중량도 늘어나게 되므로 그만큼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984,406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시트 폭을 조절함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하나의 절첩식 의자로도 사용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폭을 조절하는 기술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함께 제작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폭의 조절에 따라 벌어지게 되는 프레임의 각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리 기능을 가지며 중간의 교차하는 부위에 힌지부를 갖는 X링크 프레임을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도록 한 쌍을 구성하고, 이들 한 쌍의 X링크 프레임의 서로 사이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엔 앉기 위한 시트를 설치하며, 상기 시트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X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어느 일측의 제1부재는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나머지 일측의 제2부재는 중간에 구속기구를 설치하되, 상기 제1부재가 상기 구속기구와 힌지 결합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 서로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X링크 형태인 한 쌍의 다리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 상호간은 각각 브라켓에 의하여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 중 일측은 일체로 연장하여 등받이 프레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의 상부엔 앉기 위한 시트를 설치하되, 상기 시트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힌지 설치하고,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부 일측엔 팔걸이를 힌지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팔걸이는 힌지 결합하여 팔걸이도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시트의 일측을 결합 설치하여 시트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시트 폭을 폭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조절함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하나의 절첩식 의자로도 사용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시트 폭을 조절하는 기술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구속기구에 의하여 시트 폭의 조절에 따라 벌어지게 되는 프레임의 각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를 활용하여 시트의 지지력 향상과 함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시트 폭을 좁게 하여 시트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시트 폭을 좁게 하여 시트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예에서 시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 시트 폭을 크게 하여 시트의 높이를 낮춘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시트 폭을 좁게 하여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다리 기능을 가지며 중간의 교차하는 부위에 힌지부(10)를 갖는 X링크 프레임(1,1)을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도록 한 쌍을 구성하고, 이들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의 서로 사이엔 지지프레임(2,2)을 설치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2,2)엔 앉기 위한 시트(3)를 설치하며, 상기 시트(3)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폭조절기구(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시트(3)의 중간에 여유부(30)를 미리 마련하고 상기 여유부(30)의 가장자리엔 지퍼(40,40)를 설치하고 지퍼(40,40)에 상응 작동하는 지퍼고리(42)를 함께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그리하여 지퍼고리(42)를 움직여 지퍼(40,40)를 분리하여 넓게 펼치게 되면 여유부(30)가 모두 펼쳐져 시트(3)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반대로 지퍼(40,40)를 지퍼고리(42)에 의하여 결합하여 좁게 오므리게 되면 여유부(30)가 원위치로 오므라들게 되어 시트(3)의 폭이 좁아지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퍼(40,40)와 상기 지퍼고리(42)를 설치하는 이외에도 시트(3)의 여유부(30) 상부 위치에 마감부재(44)를 별도로 설치하여 시트(3)의 폭을 넓게 펼친 상태에서는 여유부(30)의 상부를 일부 감싼 상태를 유지하여 미려하도록 하고 상기 지퍼고리(42)를 결합하여 시트(3)의 폭을 좁게 줄이는 경우엔 지퍼고리(42)를 시트(3)의 후부에서 감싸서 외관이 미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폭조절기구(4)로서 지퍼(40) 이외에도 시트(3)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겠다.
또한 상기 X링크 프레임(1)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어느 일측의 제1부재(1a)는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1)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나머지 일측의 제2부재(1b)는 중간에 구속기구(5)를 설치하되, 상기 제1부재(1a)가 상기 구속기구(5)와 힌지부(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부재(1b)의 중간에 설치되는 구속기구(5)는 양측에 구속부재(50,50)를 고정 설치하고, 이들의 구속부재(50,50)의 사이에 구속공간(52)을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구속공간(52)엔 상기 제1부재(1a)가 통과하는 상태로 끼워지고 중간에 힌지부(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제2부재(1b)가 상기 구속공간(52) 내부에서 구속된 상태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 상호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을 X링크 형태인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으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 서로 사이엔 각각 브라켓(22)에 의하여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 중 일측은 일체로 연장하여 등받이 프레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의 상부엔 앉기 위한 시트(3)를 설치하되, 상기 시트(3)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20,20)의 하부 일측에 별도의 지지부재(6,6)를 힌지 설치하고, 상기 다리프레임(20,20)의 상부 일측엔 팔걸이(7,7)를 힌지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재(6,6)의 상부와 상기 팔걸이(7,7)는 힌지 결합하여 팔걸이(7,7)도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부재(6,6)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6,6)의 일측에 상기 시트(3)의 일측을 결합 설치하여 시트(3)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가 제공된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예의 경우엔, X링크 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2,2)이 결합된 프레임 구조체에 별도로 제작된 시트(3)를 결합하고 사용하게 되면,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기구(4)에 의하여 시트(3)의 폭이 여유부(30)에 의하여 넓게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X링크 프레임(1,1)이 시트(3)의 폭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벌어지면서 시트(3)의 높이는 최소로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기구(4)에 의하여 시트(3)의 폭을 가장 좁게 유지하는 경우엔 X링크 프레임(1,1)이 오므라들면서 시트(3)의 높이는 전술한 상태에서보다 높게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목적에 따라 의자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아니면 의자의 높이를 낮게 하여 알맞게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예의 경우엔, 등받이가 형성된 시트(3)를 지지프레임(2,2)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다리프레임(20,20)의 상부 위치에 서로 결합하고 사용하게 되는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기구(4)에 의하여 시트(3)의 폭이 여유부(30)에 의하여 넓게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X링크 프레임(1,1)이 시트(3)의 폭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벌어지면서 시트(3)의 높이는 최소로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기구(4)에 의하여 시트(3)의 폭을 가장 좁게 유지하는 경우엔 X링크 프레임(1,1)이 오므라들면서 시트(3)의 높이는 앞의 설명 상태에서보다 높게 유지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목적에 따라 의자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아니면 의자의 높이를 낮게 하여 알맞게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7)를 지지부재(6)와 함께 채택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3)의 폭을 폭조절기구(4)에 의하여 조절하여 시트(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7)를 지지부재(6)와 함께 채택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도, 팔걸이(7)는 팔걸이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지지부재(6)를 활용하여 시트(3)의 지지력 향상과 함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 X링크 프레임, 1a: 제1부재,
1b: 제2부재, 2: 지지프레임,
3: 시트, 4: 폭조절기구,
5: 구속기구, 6: 지지부재,
7: 팔걸이, 20: 다리프레임,
22: 브라켓, 30: 여유부,
40: 지퍼, 42: 지퍼고리,
44: 마감부재, 50: 구속부재,
52: 구속공간

Claims (7)

  1. 다리 기능을 가지며 중간의 교차하는 부위에 힌지부(10)를 갖는 X링크 프레임(1,1)을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도록 한 쌍을 구성하고, 이들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의 서로 사이엔 지지프레임(2,2)을 설치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2,2)엔 앉기 위한 시트(3)를 설치하며, 상기 시트(3)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폭조절기구(4)는 시트(3)의 중간에 여유부(30)를 미리 마련하고 상기 여유부(30)의 가장자리엔 지퍼(40,40)를 설치하고 지퍼(40,40)에 상응 작동하는 지퍼고리(42)를 함께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3)의 여유부(30) 상부 위치에 마감부재(44)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1)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어느 일측의 제1부재(1a)는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X링크 프레임(1)을 구성하는 구성부재 중 나머지 일측의 제2부재(1b)는 중간에 구속기구(5)를 설치하되, 상기 제1부재(1a)가 상기 구속기구(5)와 힌지부(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1b)의 중간에 설치되는 구속기구(5)는 양측에 구속부재(50,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구속부재(50,50)의 사이에 구속공간(52)을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구속공간(52)엔 상기 제1부재(1a)가 통과하는 상태로 끼워지고 중간에 힌지부(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제2부재(1b)가 상기 구속공간(52) 내부에서 구속된 상태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 상호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을 X링크 형태인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으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X링크 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 서로 사이엔 각각 브라켓(22)에 의하여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 중 일측은 일체로 연장하여 등받이 프레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20)의 상부엔 앉기 위한 시트(3)를 설치하되, 상기 시트(3)는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기구(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프레임(20,20)의 하부 일측에 별도의 지지부재(6,6)를 힌지 설치하고, 상기 다리프레임(20,20)의 상부 일측엔 팔걸이(7,7)를 힌지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재(6,6)의 상부와 상기 팔걸이(7,7)는 힌지 결합하여 팔걸이(7,7)도 절첩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부재(6,6)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6,6)의 일측에 상기 시트(3)의 일측을 결합 설치하여 시트(3)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40814A 2013-04-15 2013-04-15 절첩식 의자 KR10145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14A KR101453405B1 (ko) 2013-04-15 2013-04-15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14A KR101453405B1 (ko) 2013-04-15 2013-04-15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38A KR20140124038A (ko) 2014-10-24
KR101453405B1 true KR101453405B1 (ko) 2014-10-28

Family

ID=5199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14A KR101453405B1 (ko) 2013-04-15 2013-04-15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567A (zh) * 2018-04-10 2018-07-31 振立(漳州)工贸有限公司 一种户外用可调节的多功能折叠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102Y1 (ko) * 1981-12-10 1984-10-13 이재용 절첩식 낚시용 베개겸 의자
KR980006466U (ko) * 1996-07-15 1998-04-30 김종갑 시트 커버
JP2005118214A (ja) * 2003-10-15 2005-05-12 Onwee Kk 折畳みチェ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102Y1 (ko) * 1981-12-10 1984-10-13 이재용 절첩식 낚시용 베개겸 의자
KR980006466U (ko) * 1996-07-15 1998-04-30 김종갑 시트 커버
JP2005118214A (ja) * 2003-10-15 2005-05-12 Onwee Kk 折畳みチェ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38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705B1 (en) Armrest arrangement for foldable chair
US8997273B2 (en) Seating unit convertible to bed
US9993082B2 (en) Chair frame structure of foldable chair
US8814261B2 (en) Adirondack chair with double fulcrum
US2145201A (en) Furniture
US20120286544A1 (en) Collapsible Lounge Chair with Backpack Straps
US20140203608A1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US20180271294A1 (en) Expandable seating furniture
US20180332970A1 (en) Director's chair
KR101453405B1 (ko) 절첩식 의자
US2887150A (en) Folding chair
US20070001488A1 (en) Multipurpose portable table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US162447A (en) Improvement in adjustable iron chairs
KR101560494B1 (ko) 접이식 의자 시트의 굴곡방지장치
KR102168626B1 (ko) 소파의 가변 방법
US11111023B2 (en) Reclining chair with rear impingement prevention
US6644732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KR101466721B1 (ko) 절첩식 의자
US417819A (en) Folding chair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US242997A (en) Reversible seat
KR101464186B1 (ko) 절첩식 의자
RU167749U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мебель
KR101464188B1 (ko) 절첩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