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056B1 -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056B1
KR101453056B1 KR1020130130306A KR20130130306A KR101453056B1 KR 101453056 B1 KR101453056 B1 KR 101453056B1 KR 1020130130306 A KR1020130130306 A KR 1020130130306A KR 20130130306 A KR20130130306 A KR 20130130306A KR 101453056 B1 KR101453056 B1 KR 10145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bservation
module
inner casing
coa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일
정해근
권순만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는, 바다에 띄워지며, 내부에 제1 윤활액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 상기 외측케이싱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 상기 내측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관측모듈; 및 상기 관측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관측모듈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케이싱와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케이싱의 이중의 구형체 구조로써, 내측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에 떠있도록 관측모듈을 설치하되,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정밀한 위치좌표를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어, 연안류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LONGSHORE CURRENT OBSERV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본 발명은, 연안류의 흐름을 관측할 수 있는 연안류 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다위에 띄워지는 이중의 구형체 구조로써, 내측에는 GPS 위성과 교신하는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연속하여 시각에 따라 변하는 관측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누적하여 추적하며,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해안선의 침식/퇴적 및 이에 따른 연안환경(생태계)의 변화를 미연에 파악하여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류(longshore current, 沿岸流)라 함은, 해안을 따라 평행하게 흐르는 바닷물의 흐름을 일컫는 것으로, 해안부터 수십 Km까지는 해안선(40)과 비슷한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파랑(波浪, 작은 물결과 큰 물결)에 의해 모래를 운반하여 해안지역에 사빈해안 즉, 파랑(20)과 연안류(30)에 의해 모래 등이 해안선(40)을 따라 형성된 모래사장(50)을 만들기도 한다.(도 1 참조)
즉, 연안류(30)는 해파(sea wave)가 해안선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쇄파(surf)에 의해 형성된 예각에 의해 해안선(40)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생김에 따른 것으로서, 그 속도는 폭풍 시에는 2 ~ 3m/sec에 이르며 쇄파의 높이와 해파의 각도에 연관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안류에 의해 모래가 이동하게 되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서해안의 경우에는 해안방풍림이 바닷물에 침식돼 죽어가고 갯벌의 퇴적으로 꼬막 같은 조개류도 사라지고 있는 등 서해안 일대 해안선 침식이 심하며, 생태계 파괴까지 우려되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의 연안류가 변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어, 최근 들어 연안류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해안선 침식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표층해류 측정장치로 공개특허공보 제2002-0050863호는 해양에 부유하는 부이를 포함하며, 해양의 표층해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해양의 표층해류의 속도 및 방향 등을 측정하는 표층해류 측정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3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반사된 GPS반송파를 수신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GPS반송파를 상기 부이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신호처리기, 및 상기 신호처리기로부터 출력된 위치정보를 일정시간의 간격으로 저장하는 GPS제어부를 포함하며, 표층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부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GPS제어부로부터 내려받아 표층해류의 속도 및 방향을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가 설치된 표층해류 측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저면 계류장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33197호는 해저면에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웨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환형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의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회전부재의 내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의 제2 회전부재로 구성된 짐벌기구와, 무게중심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회전부재의 내주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해류의 유속 및 파고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처리 및 저장하는 해류관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이안류 경보 발생방법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191944호는 이안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려는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및 가상의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에서 이안류가 발생하는 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해류의 유속을 산출하는 단계(S1)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해류의 유속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상의 해상조건 시나리오에 따라 대상지역에서 이안류가 발생하는 정도를 지수(index)로 정량화하여 이안류 발생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2)와; 가상의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변화시켜가면서 이안류 발생지수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S3)와; 대상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있는 해상조건을 파악하여, 현재 검측된 해상조건과 미리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둔 해상조건별 이안류 지수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이안류 발생 경보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를 포함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상지역에 대한 이안류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안류 경보 발생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류 측정장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9-010339호는 해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표층해류 측정장치용 드로그에 관한 것으로, 원추형 통의 중앙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에 이르도록 외부 알루미늄파이프를 관통설치하고, 이 외부 알루미늄파이프의 내부에는 내부알루미늄파이프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내부 알루미늄파이프와 외부 알루미늄파이프의 상.하부에는 원추형통의 원할한 회전을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의 베어링을 설치하였고, 상기 내부 알루미늄 파이프는 상부로 연장하여 부표를 설치하였으며, 이 부표의 상부에는 다시 내부 알루미늄파이프를 연장하여 기를 설치하여서 된 표층해류 측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게시된 발명들에도 불구하고,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보거나, 해안선의 침식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50863호(2002.06.28. 공개)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3197호(2012. 03. 28 등록)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944호(2012. 10. 10. 등록)
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0339호(1999. 03. 15. 공개)
본 발명은,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해안선의 침식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는, 바다에 띄워지며, 내부에 제1 윤활액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 상기 외측케이싱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 및 상기 내측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관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케이싱과 내측케이싱은,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1 돌기부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내측케이싱은 외측케이싱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케이싱과 관측모듈은,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2 돌기부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관측모듈은 내측케이싱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측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관측모듈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케이싱은 반구형의 외측상부케이싱과 외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케이싱은 반구형의 내측상부케이싱과 내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케이싱 및 내측케이싱은 투명재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측모듈은 모듈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듈케이싱 내측에는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측모듈은, GPS수신기를 통하여 GPS위성으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좌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모듈; 또는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측모듈은,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모듈로 입력받은 상기 위치좌표는, 상기 통신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은,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GPS장치 및 송신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연안류 관측장치로부터 관측시각에 따른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받는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누적ㆍ갱신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을 종료하는 단계; 및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외측케이싱와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케이싱의 이중의 구형체 구조로써, 내측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에 떠있도록 관측모듈을 설치하되,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정밀한 위치좌표를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어, 연안류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속하여 시각에 따라 변하는 관측모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누적하여 추적하며,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외측케이싱과 내측케이싱이, 각각 반구형의 외측상부케이싱과 외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구형의 내측상부케이싱과 내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투명재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GPS수신기를 포함하여 통신안테나의 유지ㆍ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관측모듈의 저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강자성체패널을 배치ㆍ결합시킴으로써, 내측케이싱의 내부에서 안정적이면서 자유롭게 떠있을 수 있어, GPS수신기가 GPS위성으로부터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윤활액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과 제1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2 중구조의 케이싱이 구형으로 바다에 띄워짐으로써, 시시각각으로 흐름이 변하는 연안류에 휩쓸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상기 내측케이싱은 외측케이싱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관측모듈은 내측케이싱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자이로스코프의 원리 및 관성의 법칙에 따른 자연법칙의 원리를 적용받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파랑 및 연안류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항상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와 관련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파랑과 연안류에 의해 형성된 모래사장을 갖는 해안선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구성요소를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의해 측정된 각 시각별 관측장치가 놓여진 위치에 따른 좌표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를 추적한 결과를 지도상에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구성요소를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는, 연안류(30)가 생성되는 바다(10)에 띄워져서 파도에 밀리면서 장시간에 걸쳐서 해안선(40)의 침식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2겹의 케이싱(110, 120)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공간에 관측모듈(140)을 구비하고,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GPS수신기(140a)를 통하여 상공에 떠있는 GPS위성(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는, 바다(10)에 띄워지며, 내부에 제1 윤활액(130)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110); 상기 외측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액(130)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120); 상기 내측케이싱(12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140e)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관측모듈(140); 및 상기 관측모듈(140)의 저면에 결합되어, 관측모듈(140)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1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케이싱(110)은 반구형의 외측상부케이싱(110a)과 외측하부케이싱(110b)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케이싱(120)도 반구형의 내측상부케이싱(120a)과 내측하부케이싱(120b)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케이싱(110a,120a)은 이에 대향되는 하부케이싱(110b,120b)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이때 링 형상의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부가함으로써 수밀효과를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케이싱(110) 및 내측케이싱(120)은 투명재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써 제조함으로써, 이로써 바다물의 수온의 변화에 따른 외부영향은 물론, 바다 위를 떠다니는 각종 이물질과의 충돌에 따른 훼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측모듈(140)은 모듈케이싱(140d)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140a)는 상기 모듈케이싱(140d) 내측에 배치되어,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안테나(140b)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현재 시각의 위치좌표(도 5 참고)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관측모듈(140)은 GPS수신기(140a)를 통하여 GPS위성으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좌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모듈를 구비하거나,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으로써, 연속하여 시각에 따라 변하는 관측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누적하여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모듈로 입력받은 상기 위치좌표는 상기 통신안테나(140b)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어, 입력받은 상기 위치좌표가 실시간으로 누적되어 추적되며,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대부분 동일하되, 다만 상기 관측모듈(140)의 저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강자성체패널(140f)가 배치ㆍ결합되어 구성됨이 차이일 뿐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N극 및 S극을 가지는 강자성체패널(140f)이 상기 관측모듈(140)의 저면에 결합되어,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케이싱(12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140e)에 떠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내측케이싱(120)의 내부에서 안정적이면서 자유롭게 떠있을 수 있어, GPS수신기(140a)가 GPS위성으로부터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의해 측정된 각 시각별 관측장치가 놓여진 위치에 따른 좌표를 나타낸 표이고, 도 7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를 추적한 결과를 지도상에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시각 12:06:17 에 관측된 연안류 관측장치의 좌표는 N36-23-27.57, E126-26-39.87 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100A 로 기재되었고, 관측시각 12:12:25 에 관측된 연안류 관측장치의 좌표는 N36-24-37.47, E126-27-49.87 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100B 로 기재되었고, 관측시각 12:18:38 에 관측된 연안류 관측장치의 좌표는 N36-23-47.77, E126-26-59.07 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100C 로 기재되었고, 관측시각 12:25:40 에 관측된 연안류 관측장치의 좌표는 N36-25-57.87, E126-28-69.17 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100D 로 기재되었고, 관측시각 12:32:57 에 관측된 연안류 관측장치의 좌표는 N36-23-67.97, E126-26-79.27 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100E 로 기재되었다.
따라서,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도 7에 도시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를 추적한 결과를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 최초 관측시각에서의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최종 관측시각에서의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비교분석할 수 있어, 해안선의 침식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좌표값은 가상의 데이터이며,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의 연안류 관측장치를 추적하여 점으로써 각각을 잇도록 결과치를 표시한 그림도 편의상 가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좀더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는 바다에 띄워지는데, 이때 상기 연안류는 해안을 따라 평행하게 흐르게 되고, 동시에 파랑(20)이 함께 상기 연안류 관측장치에 가해짐에 따라, 상기 연안류 관측장치는 해안선을 따라 나란하게 이동되지 않거나, 해안선을 향하여 근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위를 마치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동될 수 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의 연안류 관측장치를 추적한 결과를 점으로써 순차적으로 잇도록 표시된 결과치는 편의상 도시한 하나의 가상임을 밝힌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는, 상기 외측케이싱(110)과 내측케이싱(120)은,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1 돌기부(Ph)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Ph)가 삽입되는 제1 안착홈(H1,H2)을 구비하여, 상기 내측케이싱(120)은 외측케이싱(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 돌기부(Ph)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케이싱(120)과 관측모듈(140)은,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2 돌기부(Pv)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돌기부(Pv)가 삽입되는 제2 안착홈(V1,V2)을 구비하여, 상기 관측모듈(140)은 내측케이싱(1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돌기부(Pv)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케이싱(110)과 내측케이싱(120) 그리고 관측모듈(140) 등이 자이로스코프의 원리 및 관성의 법칙에 따른 자연법칙의 원리를 적용받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파랑(20) 및 연안류(30)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항상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와 관련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은,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00); GPS장치 및 송신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S200); 연안류 관측장치로부터 관측시각에 따른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S300); 수신받는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누적ㆍ갱신하는 단계(S400);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을 종료하는 단계(S500); 및 관찰대상 영역의 바다 및 해안선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바다위에 띄워지는 외측케이싱(110)와 상기 외측케이싱(110)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케이싱(120)의 이중의 구형체 구조로써, 상기 내측케이싱(12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140e)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관측모듈(140)을 포함하되,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140a)를 포함함으로써, 정밀한 위치좌표를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어, 연안류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속하여 시각에 따라 변하는 관측모듈(14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누적하여 추적하며,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하여 그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상기 외측케이싱(110)은 반구형의 외측상부케이싱(110a)과 외측하부케이싱(110b)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케이싱(120)도 반구형의 내측상부케이싱(120a)과 내측하부케이싱(120b)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투명재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GPS수신기(140a)를 포함하여 통신안테나(140b)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측모듈(140)의 저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강자성체패널(140f)을 배치ㆍ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관측모듈(140)이 내부에 제2 윤활액(140e)이 채워져 있는 내측케이싱(120)의 내부에서 안정적이면서 자유롭게 떠있을 수 있어, GPS수신기(140a)가 GPS위성으로부터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윤활액(130)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110)과 상기 외측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액(130)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120)으로 이루어지는 2 중구조의 케이싱이 구형으로 구성되되 바다(10)에 띄워짐으로써, 시시각각으로 흐름이 변하는 연안류에 휩쓸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연안류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축적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안류 관측장치에 따르면, 상기 내측케이싱(120)은 외측케이싱(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관측모듈(140)은 내측케이싱(1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자이로스코프의 원리 및 관성의 법칙에 따른 자연법칙의 원리를 적용받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파랑(20) 및 연안류(30)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항상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와 관련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다 20 : 파랑
30 : 연안류 40 : 해안선
50 : 모래사장 110 : 외측케이싱
110a : 외측상부케이싱 110b : 외측하부케이싱
120 : 내측케이싱 120a : 내측상부케이싱
120b : 내측하부케이싱 130 : 제1 윤활액
140 : 관측모듈 140a : GPS수신기
140b : 통신안테나 140c : 무게추
140d : 모듈케이싱 140e : 제2 윤활액
140f : 강자성체패널

Claims (11)

  1. 바다에 띄워지며, 내부에 제1 윤활액이 채워지는 외측케이싱;
    상기 외측케이싱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내측케이싱; 및
    상기 내측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제2 윤활액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관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케이싱은 반구형의 외측상부케이싱과 외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케이싱은 반구형의 내측상부케이싱과 내측하부케이싱이 수밀을 유지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케이싱과 내측케이싱은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1 돌기부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내측케이싱은 외측케이싱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과 관측모듈은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구비되는 제2 돌기부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관측모듈은 내측케이싱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관측모듈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케이싱 및 내측케이싱은 투명재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듈은 모듈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듈케이싱 내측에는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입력받는 GPS수신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듈은, GPS수신기를 통하여 GPS위성으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좌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모듈; 또는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듈은,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로 입력받은 상기 위치좌표는, 상기 통신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류 관측장치.
  11. 삭제
KR1020130130306A 2013-10-30 2013-10-30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45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06A KR101453056B1 (ko) 2013-10-30 2013-10-30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06A KR101453056B1 (ko) 2013-10-30 2013-10-30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056B1 true KR101453056B1 (ko) 2014-10-22

Family

ID=5199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306A KR101453056B1 (ko) 2013-10-30 2013-10-30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0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23B1 (ko) 2015-08-25 2016-04-06 중앙항업(주) 실시간 국지적 해류 모니터링 시스템
CN109263811A (zh) * 2018-09-29 2019-01-25 刘愉强 具有无磁低功耗的方向识别与定位功能的浮标及方法
KR20190024202A (ko) 2017-08-31 2019-03-08 한명석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CN109855606A (zh) * 2019-01-22 2019-06-07 长江九江航道处 一种用于航道测量的声波探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51547B1 (ko) * 2019-08-30 2020-01-08 주식회사 코바코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20220086036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기구물 탈부착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구물 시스템, 및 기구물 고정 및 분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863A (ko) *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지피에스가 설치된 표층해류 측정장치
JP2006117062A (ja) * 2004-10-20 2006-05-11 Mitsui Zosen Akishima Kenkyusho:Kk 海底観測装置並びに漂流ブイ及び浮遊体の回収方法
KR101133197B1 (ko) * 2008-11-24 2012-04-19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101225756B1 (ko) * 2012-09-14 2013-01-24 (주)국토해양기술 기준점을 이용한 지리정보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863A (ko) *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지피에스가 설치된 표층해류 측정장치
JP2006117062A (ja) * 2004-10-20 2006-05-11 Mitsui Zosen Akishima Kenkyusho:Kk 海底観測装置並びに漂流ブイ及び浮遊体の回収方法
KR101133197B1 (ko) * 2008-11-24 2012-04-19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101225756B1 (ko) * 2012-09-14 2013-01-24 (주)국토해양기술 기준점을 이용한 지리정보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23B1 (ko) 2015-08-25 2016-04-06 중앙항업(주) 실시간 국지적 해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24202A (ko) 2017-08-31 2019-03-08 한명석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CN109263811A (zh) * 2018-09-29 2019-01-25 刘愉强 具有无磁低功耗的方向识别与定位功能的浮标及方法
CN109263811B (zh) * 2018-09-29 2024-03-08 国家海洋局南海调查技术中心 具有无磁低功耗的方向识别与定位功能的浮标及方法
CN109855606A (zh) * 2019-01-22 2019-06-07 长江九江航道处 一种用于航道测量的声波探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855606B (zh) * 2019-01-22 2024-05-10 长江九江航道处 一种用于航道测量的声波探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51547B1 (ko) * 2019-08-30 2020-01-08 주식회사 코바코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20220086036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기구물 탈부착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구물 시스템, 및 기구물 고정 및 분해 방법
KR102563957B1 (ko) * 2020-12-16 2023-08-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기구물 탈부착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구물 시스템, 및 기구물 고정 및 분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56B1 (ko) 연안류 관측장치 및 그 운용방법
Menna et al. State of the art and applications in archaeological underwater 3D recording and mapping
AU20122349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rveying or monitoring underwater features
Bruno et al. Project VISAS: virtual and augmented exploitation of submerged archaeological sites‐overview and first results
KR20100058054A (ko)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Sheikh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underwater sensor networks
Hagen et al. Rapid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Examples from HUGIN operations
Leaper et al. Application of photogrammetric methods for locating and tracking cetacean movements at sea
Grothues et al. Use of a multi-sensored AUV to telemeter tagged Atlantic sturgeon and map their spawning habitat in the Hudson River, USA
Traykovski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mobility, burial, and re-exposure of underwater munitions in energetic near-shore environments
Leatherman et al. Techniques for detecting and measuring rip currents
Armenio et al. Environmental technologies to safeguard coastal heritage
Kapetanović et al.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a shipwreck using an autonomous marine robot: Szent Istvan case study
Johnson et al. Evaluation of juvenile salmon behavior at Bonneville Dam, Columbia River, using a multibeam technique
KR102166842B1 (ko) 소형 수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환경 자료 관리 시스템
Meadows A review of low cost underwater acoustic remote sensing for large freshwater systems
Patrikalakis et al. Infrastructure for mobile sensor network in the singapore coastal zone
Frank et al. Investigating munitions mobility in oscillatory flows with Inertial Measurement Units
Ballard Mapping the mid-ocean ridge
Romero-Vivas et al. On-water remote monitoring robotic system for estimating the patch coverage of Anabaena sp. filaments in shallow water
Hedgepeth et al. A tracking transducer for following fish movement in shallow waterand at close range
Liu Robust multi-sensor data fusion for practical unmanned surface vehicles (usvs) navigation
NL20323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awater depth for manned submersible
Templin et al. Us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R/VR) to Support Safe Navigation on Inland and Coastal Water Zones. Remote Sens. 2022, 14, 1520
Traykovski et al. Rapid Response Surveys of Mobility, Burial and Re-Exposure of Underwater Munitions in Energetic Surf-Zone Environments and Object Monitoring Technology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