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65B1 -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65B1
KR101452965B1 KR1020140096799A KR20140096799A KR101452965B1 KR 101452965 B1 KR101452965 B1 KR 101452965B1 KR 1020140096799 A KR1020140096799 A KR 1020140096799A KR 20140096799 A KR20140096799 A KR 20140096799A KR 101452965 B1 KR101452965 B1 KR 10145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output voltage
voltage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문
Original Assignee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은 부분 음영과 같은 국부적 영역에서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저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사용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병렬로 접속되는 접속점; 및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서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 속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그룹 단위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JUNCTION BOARD SYSTEM OF SOLAR POWER GENERATIO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특성상 태양광에 직접적인 노출이 확보되는 옥외나 일조권이 잘 확보될 수 있는 한적한 곳에 설치되므로 운영자에 의해 직접적인 시스템 모니터링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697338호는 인터넷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7338호는 인버터로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RTU와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RTU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TCP/IP를 통하여 실시간 운전 데이터 및 운전상태를 저장모니터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서버와 DB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웹서버, 웹서버로부터 수신된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비의 지역별 발전현황 조회, 각 사이트별 발전현황 조회, 사이트별 운영자 정보 통제, 태양광발전 시스템 계통도 조회, 태양광발전현황 상세정보 조회, 발전현황 그래프 조회, 사이트 설치정보 조회 기능 및 시스템 상태 감시 등을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원격 중앙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된 태양광 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7338호는 단순히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상태 정보 만을 제시할 뿐 태양광 발전 유지/보수를 위한 태양전지 모듈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7338호: 인터넷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공고일: 2007년03월20일, 출원인: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이에,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기 설정된 태양전지 모듈 그룹 단위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상태 감시를 위해, 일사량 정보,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 온도 정보, 외기 온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을 위한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은 부분 음영과 같은 국부적 영역에서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저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사용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병렬로 접속되는 접속점; 및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서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 속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그룹 단위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조사되는 일사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 표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의 사이에 역류방지용다이오드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과 상기 역류방지용다이오드 사이에 승압부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과 입력단이 연결된 인버터; 및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중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 유닛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기 설정치 이상 작은 경우, CT를 통해 검출된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 낮은 경우 및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 낮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다고 판단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상기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이상 승압되도록 상기 승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 유닛이 검출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값을 옥내 현황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로서, 그룹 단위의 태양전지모듈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상태 감시를 위해, 일사량 정보,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 온도 정보, 외기 온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접속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접속부(3)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1)은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101, ..., 106, ...,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12 개인 경우를 예시한다.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태양전지모듈(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이 태양전지모듈(S)을 16 개 포함한 경우를 예시한다. 즉, 각각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에서 16 개의 태양전지모듈(S)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12 개이고, 각각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은 직렬로 연결된 16 개의 태양전지모듈(S)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2 개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은 태양광발전접속반(2)에서 병렬로 접속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L은 12 개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병렬로 접속하는 접속점을 나타낸다.
12 개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의 출력단과 접속점(L) 사이에, 퓨즈(301, ..., 306, ..., 312)와 역류방지용다이오드(501, ..., 506, ... 512)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퓨즈(301, ..., 306, ..., 312)와 역류방지용다이오드(501, ..., 506, ... 512) 사이에 승압부(5001, ..., 5006, ..., 5012)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접속점(L)은 직류차단기(600)를 경유해 인버터(700)에 접속될 수 있다. 인버터(700)는 태양전지모듈이 출력하는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Utility Grid)에 출력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버터(700)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MPPT 제어에 따라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는 가변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MPPT 제어에 따라, 접속점(L)에서의 전압 및 전류 또는 인버터의 입력 전압 및 전류는 가변될 수 있다.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값,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전압값, 일사량값, 태양전지모듈 표면 온도값, 외기 온도값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검출값을 모니터링시스템(9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모니터링 시스템(900)은 그 검출값을 사용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옥외 현황판(40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단에 설치된 CT(201, ..., 206, ..., 212(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해 인버터(700) 기동 중 태양전지모듈의 스트링의 출력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중간지점에 연결된(16 개의 태양전지 모듈에서 8 번째 태양전지 모듈과 9 번째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연결된) 제 1 전압 검출 유닛(401a, ..., 406a, ..., 412a)을 사용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중간 지점에서의 전압(16 개의 태양전지 모듈에서 1 번째 부터 8 번째 태양전지모듈의 출력전압의 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2 전압 검출유닛(401b, ..., 406b, ..., 412b)을 사용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을 양분하여 전압을 검출하므로, 고장 범위를 축소하여 검출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즉, 일부 음영, 오염, 고장과 같은 상황에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을 양분하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경우를 예시하나, 3 등분 또는 4 등분 등 임의의 기 설정된 그룹 단위로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을 분리하여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은 후술하는 승압부와 역류방지용다이오드 사이에서 검출될 수 있다.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광 패널에 설치된 일사량 센서(1000)를 사용해, 태양전지모듈에 조사되는 일사량값을 검출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광 패널에 설치된 표면온도센서(2000)를 사용해 태양전지모듈의 표면 온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800)은 태양광 패널에 설치된 외기온도센서(300)를 사용해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인버터가 30 KW이고, 250W인 태양전지모듈이 15 직렬 8 병렬로 설치된 경우, Vmp는 458V(25 ℃ 기준)일 수 있다. 그리고, 1 병렬당 Imp는 8.23 A일 수 있다. 이때 정상적인 상태에서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는 8.23*8 병렬=65.84 A일 수 있다. 다만, 부분음영과 같이 국부적 영역에서의 태양전지모듈 출력 저하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2 개의 병렬회로(달리 표현하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458 V 보다 기 설정된 값 이상 저하된 경우(예를 들어,300V),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는 8. 23 * 6 병렬 = 49.68 A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1과 같은 구조에서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에 대응한 역류방지다이오드에 역전압이 유기되어, 해당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인버터로 흐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콘트롤 유닛(800)은 각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승압부를 제어하여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전압을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크게 승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예에서, 승압을 통해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는 (8.23*6 병렬) + (8.23*2병렬*300/458)=49.38+10.78=60.16 A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승압부(5001, ..., 5006, ..., 5012)는 트랜스에서 권선비를 달리해서 승압하는 방식, 코일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인버터 방식, 스위치와 콘덴서 만으로 승압하는 Charge Pump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승압하는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승압 방식에서, 콘트롤 유닛(800)은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 유닛(800)은 제 2 전압 검출유닛을 통해 검출된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기 설정치(예를 들어, 10V) 이상 작은 경우 또는 CT를 통해 검출된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기 설정치(예를 들어, 5 A) 이하인 경우, 해당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예를 들어, 3 %) 낮은 경우 또는,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예를 들어, 3 %) 낮은 경우 해당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콘트롤 유닛(800)은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을 검출한 경우, 해당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에 대응한 승압부를 제어하여, 해당 승압부가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과 해당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전압 간의 차분값에 기 설정된 마진을 더한 값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2: 태양광 발전 접속반
L: 접속점
201, 206, 212: CT
301, 306, 312: 퓨즈
401a, 406a, 412a: 제 1 전압 검출 유닛
401b, 406b, 412b: 제 2 전압 검출 유닛
501, 506, 512: 퓨즈: 역류방지용다이오드
600: 직류차단기
700: 인버터
800: 콘트롤 유닛
900: 모니터링 시스템
1000: 일사량 센서
2000: 표면온도센서
3000: 외기온도센서
5001, 5006, 5012: 승압부

Claims (10)

  1. 부분 음영과 같은 국부적 영역에서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저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사용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병렬로 접속되는 접속점; 및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서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에 속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그룹 단위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조사되는 일사량을 검출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접속점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의 사이에 역류방지용다이오드가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각각과 상기 역류방지용다이오드 사이에 승압부가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접속점과 입력단이 연결된 인버터; 및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스트링 중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승압부가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에 대응하는 역류방지용다이오드가 도통되고, 상기 도통에 의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인버터에 공급됨-
    상기 콘트롤 유닛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기 설정치 이상 작은 경우, CT를 통해 검출된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 낮은 경우 및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류 평균치 보다 기 설정치 낮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이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다고 판단하고, 상기 인버터의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보다 출력 전압이 작은 태양전지모듈 스트링의 출력 전압이 상기 MPPT 제어에 따른 접속점에서의 전압 이상 승압되도록 상기 승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닛이 검출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값을 옥내 현황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KR1020140096799A 2014-07-29 2014-07-29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KR10145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99A KR101452965B1 (ko) 2014-07-29 2014-07-29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99A KR101452965B1 (ko) 2014-07-29 2014-07-29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965B1 true KR101452965B1 (ko) 2014-10-24

Family

ID=5199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799A KR101452965B1 (ko) 2014-07-29 2014-07-29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44B1 (ko) * 2014-10-27 2015-02-11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고효율 장수명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KR101492616B1 (ko) 2014-11-07 2015-02-11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승압용 충전지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0835A (ja) 2010-01-19 2011-09-01 Omron Corp Mppt制御器、太陽電池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mppt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mppt制御器の制御方法
KR101114240B1 (ko) 2011-12-23 2012-03-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멀티 존 인버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165957B1 (ko) 2011-06-24 2012-07-31 박일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접속함의 스마트 모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0835A (ja) 2010-01-19 2011-09-01 Omron Corp Mppt制御器、太陽電池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mppt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mppt制御器の制御方法
KR101165957B1 (ko) 2011-06-24 2012-07-31 박일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접속함의 스마트 모듈 장치
KR101114240B1 (ko) 2011-12-23 2012-03-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멀티 존 인버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44B1 (ko) * 2014-10-27 2015-02-11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고효율 장수명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KR101492616B1 (ko) 2014-11-07 2015-02-11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승압용 충전지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243B2 (en) Method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using DC power sources
US11569660B2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948233B2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EP2135348B1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242634B2 (en) High efficiency remotely controllable solar energy system
EP2549635B1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JP2010521720A (ja) Dc電源を用いた分散型電力ハーベストシステム
KR101534256B1 (ko) 고효율 및 장수명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US20180234049A1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EP2546947B1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Paul et al. Fault Identification and Islanding in DC Grid Connected PV System
US20230367354A1 (en)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KR101452965B1 (ko)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Woyte et al. System Optimisation and Power Quality Assessment of Grid-Connected Photovoltaics–An Experimental On-Site Approach
Kanesaka et al. Analyses of string current and loss in blocking diodes in PV power system
Allenspach et al. Module-level power electronics under indoor performance tests
Sibiński et al. Power Optimized PV Microinstallation in the Field Condition T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