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590B1 - 자가측정용 신장계 - Google Patents

자가측정용 신장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590B1
KR101452590B1 KR1020120134707A KR20120134707A KR101452590B1 KR 101452590 B1 KR101452590 B1 KR 101452590B1 KR 1020120134707 A KR1020120134707 A KR 1020120134707A KR 20120134707 A KR20120134707 A KR 20120134707A KR 101452590 B1 KR101452590 B1 KR 10145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asure
winder
subject
measur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449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12013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590B1/ko
Priority to PCT/KR2013/006363 priority patent/WO2014014257A1/ko
Publication of KR2014006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측정용 신장계로서,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에서 가로 연장된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며 피측정자(20)가 밟고 서는 밑판(30)을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밑판(30)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으로서, 피측정자(20)인 본인의 키를 재는 줄자가 본인의 눈앞에 있고 또 눈앞의 관측창(8)이 지시하는 줄자눈금을 보면 본인 신장을 바로 알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신장의 자가측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정확하고 즉시로 피측정자(20)인 본인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측정용 신장계{EXTENSIMETER CAPABLE OF SELF-MEASUREMENT}
본 발명은 인체측정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 신장에 대해 자가측정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도 용이하게 구성한 자가측정용 신장계에 관한 것이다.
신장이란 바로 서 있을 때 바닥면으로부터 머리 끝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신장계는 크게 목제(木製)신장계와 마르틴 인체측정기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목제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마르틴 인체측정기는 가볍고 분해할 수 있으며 어떤 장소에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으로 편리하다.
적당한 신장계가 없을 경우에는 벽 또는 기둥을 등지고 피측정자를 서게 한 다음 머리 위에 대는 판으로서 두께 3cm, 가로 세로 약 15cm 정도의 나무판이나 또는 삼각자를 사용해서 측정하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신장계는 본인이 직접 신장을 측정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비록 요즈음에는 전자동 신장측정장치가 개발되어서 피측정자가 그 장치의 발판에 올라서면 키 재는 승강구가 내려와서 피측정자의 머리 끝에 부딪힌 후 다시 올라가면서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고 표시부에 나타내주거나 인쇄용지로 출력해주어 병원 등에 많이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동 신장측정장치는 고가여서 일반 가정 등에서 범용으로 사용하기가 힘들뿐 아니라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키측정방식에 있어서도 키 재는 승강구를 내려오면서 피측정자의 머리 끝을 치고 다시 되돌감으로 실제 키보다 낮은 신장측정치를 나타내는 등과 같은 오차를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인 신장에 대해 자가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정확하고 즉시로 키를 측정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도 용이하며 저렴하기도 한 자가측정용 신장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에서 가로 연장된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 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된 체중계(16)에 줄자 와인더(2)를 포함한 계측구(12)를 보관하는 보관집(18)이 설치되게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체중계(16)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측정용 신장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에서 가로 연장된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며 피측정자(20)가 밟고 서는 밑판(30)을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밑판(30)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측정용 신장계이다.
본 발명은 피측정자인 본인의 키를 재는 줄자가 본인의 눈앞에 있는 관측창이 지시하는 줄자눈금을 보면 본인 신장을 바로 알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기에 신장의 자가측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정확하고 즉시로 피측정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고, 체중계와 함께 사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도 용이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개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전체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자기측정용 신장계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4는 체중계와 일체로 구성된 자가측정용 신장계 저방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개요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전체 사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개요 구성도로서, 도 1은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체중계(16)와 일체가 되게 구성한 것으로 평소에는 체중계(16)의 보관집(18)에 간편하게 보관된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본인 키를 스스로 잴 수 있도록 구현된 단독 제품으로서 휴대와 이동성이 매우 좋으며 가격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전체 사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기측정용 신장계의 요부 사시 구성도이며, 도 4는 체중계(16)와 일체로 구성된 자가측정용 신장계 저방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계측구(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계측구(12)는 휴대용 자동 줄자와 유사한 크기와 기능으로서 케이스(2a)에 배면평면부와 저면평면부를 갖는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관측창(8)을 구비하고 줄자와인더(2)의 배면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 배면에 줄자안내홈이 형성된 전방 수직대(4)와, 그 전방 수직대(4)와 줄자와인더(2)가 연직으로 만나는 인코너 지점에 힌지(24)로 연결되며 줄자와인더(2)의 저면평면부에 면받침 지지되어서 가로 연장되게 펼쳐지는 수평대(6)를 갖는다.
본 발명의 계측구(12)를 구성하는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내에는 줄자(14)를 감거나 풀수 있는 회전롤이 축설치되며, 회전롤은 줄자(14)가 풀림에 따라 생기는 태엽의 바이어스력으로 회전하면서 줄자(14)를 다시 감을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태엽 없이 수동으로 회전롤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레버와 연결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줄자 와인더(2)에 감겨지는 줄자(14)는 금속재질일 경우 손에 베일 수 있으므로 손이 베일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지재질 밴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줄자(14) 일면에는 길이단위 눈금이 형성된다.
줄자와인더 케이스(2a)의 줄자 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된 전방 수직대(4)는 피측정자(20)인 본인이 키를 재고 있는 상태에서 줄자(14)의 눈금을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8)이 형성되며, 관측창(8)에는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표시된다. 관측창(8)은 피측정자(20)의 눈높이에 맞춰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관측창(8) 없이 수직대(4)의 최하단점을 줄자눈금 관측지점(10)으로 표시해도 무방하다.
전방 수직대(4)의 배면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줄자 와인더(2)의 줄자출입구로 유도하는 줄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피측정자(20)인 본인이 전방 수직대(4)를 잡읍과 동시에 전방 수직대(4)의 줄자 안내홈에 의해 노출된 줄자(14)를 함께 잡으면 태엽 바이어스력에 의해 움직이려는 줄자(14)를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관측창(8)내 줄자눈금 관측지점(10)에서 줄자(14)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줄자눈금 관측지점(10)에서 읽은 줄자(14)의 눈금이 바로 본인이 키높이가 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직대(4)의 배면과 줄자와인더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측 배면에는 벽(32)에 평면 지지될 수 있도록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면지지될 시 전방수직대(4)에 의해 수평대(6)가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접면(26)이 형성된다.
전방수직대(4)와 수평대(6)가 연직으로 만나는 코너지점에는 수평대(6)의 힌지(24)가 연결되어서 접을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수평대(6)는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그 저면이 수평으로 닿도록 하는 수단이며, 보관이 불편할 정도로 그 길이가 길면 접철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계측구(12)를 구성하는 줄자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중계(16)의 전방부 중앙에 위치한 연결편(28)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체중계(16)의 빈공간 예컨대 전방부 저방에는 줄자와인더(2)를 포함한 계측구(12)를 보관하는 보관집(18)이 설치되게 구성한다. 요즈음의 체중계는 강화유리 재질로서 발바닥 접지면을 형성하는 제품이 많다.
상기 보관집(18)은 체중계(16)의 저방의 빈공간에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줄자와인더(2)를 포함한 계측구(12)가 사용자가 쉽게 보일 수 있도록 보관집(18)을 체중계(16)의 상측 일부나 외측부에 노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관집(18)은 계측구(12)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가 아니라 계측구(12)에 형성된 끼움홈에 단순 끼움고정할 수 있는 끼움편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더욱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피측정자(20)가 서있는 체중계(16)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을,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실제로 피측정자(20)의 키는 바로 서 있을 때 바닥면으로부터 머리 끝까지의 수직거리인데, 본 발명에서는 머리끝의 줄자눈금을 읽는 것이 아니라 눈앞에 있는 전방 수직대(4)의 관측창(8)에 있는 줄자눈금 관측지점(10)에 위치한 줄자눈금을 읽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를 정하고, 체중계(16)의 바닥면에 위치한 줄자의 눈금(S)이 상기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하였다. 이는 본인의 키높이가 본인의 눈앞까지 내려오는 효과를 준다.
본원 발명자가 확인한 결과,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서부터 눈까지의 거리는 대인이나 소인 모두가 비슷하며, 대체로 11~14cm범위 내에서 존재된다.
그러므로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를 예컨대 12cm로 한다고 가정하면, 그에 따라 체중계(16)의 바닥면에 위치한 줄자의 눈금(S)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자눈금(S)이 12cm부터 시작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체중계(16)의 바닥면에 위치한 줄자눈금(S)을 예를 들어 12cm부터 시작되게 하기 위해선 줄자(14)의 선단을 일정 부분 자르고 체중계(16)의 연결편(28)에 연결하는 방법과 줄자(14)의 선단을 잘라내지 않고 체중계(16)의 저면부에까지 연장시켜서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설명한 본 발명의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계측구(12)가 체중계(16)와 일체가 되게 구성한 것인데, 이와는 달리 체중계(16) 없이 단독 제품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개요 구성도이고, 도 6는 도 5의 자가측정용 신장계의 전체 사시 구성도로서, 단독 제품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체중계(16)를 대신하여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밑판(30)을 구비하며, 밀판에는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측정용 신장계는, 배면평면부와 저면평면부를 가지며 줄자(14)를 감고 있는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관측창(8)을 구비하고 줄자와인더(2)의 배면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 배면에 줄자안내홈이 형성된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와 줄자와인더(2)가 연직으로 만나는 인코너 지점에 힌지(24)로 연결되며 줄자와인더(2)의 저면평면부에 면받침 지지되어서 가로 연장되게 펼쳐지는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며 피측정자(20)가 밟고 서는 밑판(30)을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밑판(30)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수직대(4)의 줄자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밑판(30)의 저방에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게 구성한 일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줄자눈금(S)이 노출되는 밑판(30)의 선단은 전방수직대(4)의 배면과 줄자와인더(2)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측 배면와 동일한 기준접면(26)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방수직대(4)의 배면과 줄자와인더(2)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측 배면이 벽(32)에 평면 지지될 될 때에 밑판(30)의 선단도 마찬가지로 벽(32)에 밀착시켜주면 줄자(14)가 바닥면으로부터 머리 끝까지의 수직거리를 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단독제품으로 자가측정용 신장계를 구성하면, 휴대와 이동성이 매우 좋으며 가격도 저렴하게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22"는 체중표시부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줄자 와인더 (2a)-- 케이스
(4)-- 전방 수직대 (6)-- 수평대
(8)-- 관측창 (10)-- 줄자눈금 관측지점
(12)-- 계측구 (14)-- 줄자
(16)-- 체중계 (18)-- 보관집
(20)-- 피측정자 (22)-- 체중표시부
(24)-- 힌지 (26)-- 기준접면
(28)-- 연결편 (30)-- 밑판
(32)-- 벽

Claims (5)

  1. 자가측정용 신장계에 있어서,
    배면평면부와 저면평면부를 가지며 줄자(14)를 감고 있는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관측창(8)을 구비하고 줄자와인더(2)의 배면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 배면에 줄자안내홈이 형성된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와 줄자와인더(2)가 연직으로 만나는 인코너 지점에 힌지(24)로 연결되며 줄자와인더(2)의 저면평면부에 면받침 지지되어서 가로 연장되게 펼쳐지는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 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을 전방부에 연결하는 체중계(16)를 포함하며, 체중계(16)의 전방부 일측에 줄자 와인더(2)를 포함한 계측구(12)를 보관하는 보관집(18)이 설치되게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체중계(16)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측정용 신장계.
  2. 자가측정용 신장계에 있어서,
    배면평면부와 저면평면부를 가지며 줄자(14)를 감고 있는 줄자 와인더(2)와, 줄자 와인더(2)의 케이스(2a)의 줄자출입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줄자눈금 관측지점(10)이 있는 관측창(8)을 구비하고 줄자와인더(2)의 배면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 배면에 줄자안내홈이 형성된 전방 수직대(4)와, 전방 수직대(4)와 줄자와인더(2)가 연직으로 만나는 인코너 지점에 힌지(24)로 연결되며 줄자와인더(2)의 저면평면부에 면받침 지지되어서 가로 연장되게 펼쳐지는 수평대(6)를 갖는 계측구(12)를 구비하며,
    줄자와인더(2)에서 풀린 줄자(14)의 선단이 연결되며 피측정자(20)가 밟고 서는 밑판(30)을 구성하되, 피측정자(20)가 밟고 서있는 밑판(30)의 바닥면의 줄자눈금(S)이 피측정자(20)의 머리끝에 닿은 수평대(6) 저면과 전방 수직대(4)의 줄자눈금 관측지점(10) 사이의 거리(d) 수치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측정용 신장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34707A 2012-07-18 2012-11-26 자가측정용 신장계 KR10145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07A KR101452590B1 (ko) 2012-11-26 2012-11-26 자가측정용 신장계
PCT/KR2013/006363 WO2014014257A1 (ko) 2012-07-18 2013-07-16 자가측정용 신장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07A KR101452590B1 (ko) 2012-11-26 2012-11-26 자가측정용 신장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49A KR20140067449A (ko) 2014-06-05
KR101452590B1 true KR101452590B1 (ko) 2014-10-22

Family

ID=5112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07A KR101452590B1 (ko) 2012-07-18 2012-11-26 자가측정용 신장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559B1 (ko) 2020-09-25 2021-03-11 (주)아트앤드 신장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133A (ja) * 1994-11-30 1996-06-11 Kenji Ino 身長測定器
JP2000139869A (ja) 1998-09-11 2000-05-23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133A (ja) * 1994-11-30 1996-06-11 Kenji Ino 身長測定器
JP2000139869A (ja) 1998-09-11 2000-05-23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559B1 (ko) 2020-09-25 2021-03-11 (주)아트앤드 신장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49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909B2 (en) Tape measure carrier and gauge
US8869415B1 (en) Foldable portable wall-mounted height measuring device to measure the height of a person, and a stamped recordation of the date the height measurement was taken
US6256896B1 (en) Infantometer for measuring height of infants
US20110179663A1 (en) Stature measuring device and stature measuring method
US5915810A (en) Telescoping measuring stick with air damped closure and frictional locking
US6847586B1 (en) Portable huma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1452590B1 (ko) 자가측정용 신장계
US10788305B1 (en) Device for recording height
KR200459942Y1 (ko) 길이 측정 장치
KR20090063074A (ko) 안전점검 및 진단용 다단식 휴대용 줄자
US5813132A (en) Height measuring device
US20170254631A1 (en) Height measuring device
US4412384A (en) Height measuring device having level instrument and platform
KR100848188B1 (ko) 줄자를 이용한 길이측정장치
WO2014014257A1 (ko) 자가측정용 신장계 장치
KR101427490B1 (ko) 자가측정용 신장측정장치
KR101322635B1 (ko) 신체 계측 장치
KR200464599Y1 (ko) 휴대가 가능한 신장계 일체형 체중계장치
KR200405324Y1 (ko) 키높이 자
KR102175149B1 (ko)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JPH08150133A (ja) 身長測定器
JP2015136483A (ja) 身長測定器
JPH0112812Y2 (ko)
KR200268467Y1 (ko) 휴대가 가능한 검측용 다용도 화이트보드
CN215598293U (zh) 一种竖向垂直构件垂直度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