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258B1 -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 Google Patents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258B1
KR101452258B1 KR1020120086592A KR20120086592A KR101452258B1 KR 101452258 B1 KR101452258 B1 KR 101452258B1 KR 1020120086592 A KR1020120086592 A KR 1020120086592A KR 20120086592 A KR20120086592 A KR 20120086592A KR 101452258 B1 KR101452258 B1 KR 10145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allet
fitting
cargo palle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0228A (en
Inventor
방인창
Original Assignee
성우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로텍(주) filed Critical 성우로텍(주)
Priority to KR102012008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258B1/en
Publication of KR2013010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박스(300)의 유동을 차단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철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 또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140)가 형성된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which is mounted on a cargo pallet 200 and blocks the flow of a cargo box 300 that is seat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the first part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201 formed at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201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is formed. The pallet 200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or a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and b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to correspond to the corners of the cargo box 300, A cargo pallet for a cargo pallet in which at least one bent portion 140 for supporting the cargo pallet is formed Paper materials are provided.

Description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본 발명은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박스가 적재되는 화물팔레트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의 상부에 안착된 화물박스의 유동을 차단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which is mounted on a cargo pallet on which a cargo box is loaded, will be.

일반적으로 화물용 팔레트는 화물의 하역이나 운반시 상부면에 화물박스를 안착시켜 지게차나 리프트 등의 운반도구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지지판이다.In general, a pallet for cargo is a supporting plate used to easily carry a cargo box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by unloading or transporting the cargo by means of a forklift or a lift.

또한, 상기 화물용 팔레트에는 운반 및 보관량을 늘리기 위해 상부면 상에 화물박스가 일정높이로 적재되는데, 종래의 화물용 팔레트의 경우 일정높이로 적재된 화물박스가 운반이나 포장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된 화물박스의 코너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바를 각 모서리부에 체결하였으며, 각 수직지지바를 연결하여 화물박스의 측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판재가 볼트결합되면서 설치되었다.In addition, the cargo pallet is loaded with the cargo box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amoun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rgo pallet, the cargo box loaded at a certain height is prevented from flowing during transportation or packing A vertical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cargo box loaded for the cargo box is fastened to each corner portion and a plate member for supporting the side portion of the cargo box is connected by bolt connec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직지지바나 판재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치소요 시간, 자재비용 및 인건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적 효용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time,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for additionally installing the vertical support bar or plate as described above are increased, and the economic utility value is lowere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5219호(2010.08.30), 화물적재용 팔레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95219 (Aug. 30, 2010), a pallet for cargo loading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017호(2002.12.10), 수출포장박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9017 (2002.12.10), export packing box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팔레트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박스의 모서리, 측부 및,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기 화물팔레트 상에서 화물박스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소한 구조로 구비된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go pallet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cargo box from flowing on the cargo pallet by vibration and impact by supporting the edg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를 화물팔레트에 장착하기 위해 나사결합 등의 체결공정 없이 단순히 양단을 체결홈에 끼워 넣거나 빼는 것만으로 상기 화물팔레트로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자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nd separate the cargo pallet to and from the cargo pallet by merely inserting or pulling both ends into or from the cargo pallet without a fastening process such as a screw connection in order to mount the cargo pallet for the cargo pallet And to provide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drasticall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material cos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박스(300)의 유동을 차단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철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 또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140)가 형성된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which is mounted on a cargo pallet 200 and blocks the flow of a cargo box 300 that is seat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the first part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201 formed at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201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is formed. The pallet 200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or a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and b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to correspond to the corners of the cargo box 300, A cargo pallet for a cargo pallet in which at least one bent portion 140 for supporting the cargo pallet is formed Paper materials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의 중앙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며 제3끼움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제3끼움부(130)가 상기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3끼움부(130) 사이, 상기 제2끼움부(120)와 제3끼움부(130)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14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화물박스(300)의 복수 개의 모서리 부분이 각 절곡부(14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art 110 is fitted into a first fitting groove 201 formed at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fitted And a second engagement groove 202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cargo pallet 200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0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20 are bent And the third fitting part 130 is formed so that the third fitting part 130 is fit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and is coupled to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And the bent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tting portions 120 and 130 so that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of the cargo box 300 Is supported at the same time by the respective bent portions (140).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홈(201)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202)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는 절곡되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일부가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1체결홈(201) 및 제2체결홈(202)에 각각 끼움결합되며,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기 제1끼움부(110)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기 제2끼움부(120)에는 상부방향으로 굴곡지며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보다 융기된 마찰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20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re bent and a part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re b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fitt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tting part 110 of the cargo pallet 200, Wherein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curv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is formed with a ridge (15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A support member is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면서도, 화물팔레트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박스의 모서리, 측부 및,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기 화물팔레트 상에서 화물박스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argo box from flowing on the cargo pallet due to vibration and impact by supporting the corners, sides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go box mounted on the cargo pallet, .

둘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를 화물팔레트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결합 등의 체결공정 없이 단순히 각 끼움부를 화물팔레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 넣거나 빼는 것만으로 상기 화물팔레트로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자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cargo pallet to the cargo pallet simply by inserting or pulling the respective fittings into the coupling grooves formed at the rim of the cargo pallet, without screwing or the like for mounting the cargo supporting member for the cargo pallet to the cargo pallet. So that installation and material cos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셋째, 화물박스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절곡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화물팔레트에 안착되는 화물박스의 높이에 따라 화물팔레트의 상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정각도(θ)를 조절하여 상기 화물박스의 모서리의 지지되는 부분의 일정높이(h)를 적절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박스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Thirdly, in forming the ben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cargo box, a predetermined angl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argo box seated on the cargo pallet, So that the flow of the cargo box can be blocked more stably.

넷째, 화물팔레트의 상부면에 걸쳐진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에는 상부방향으로 굴곡지며 상기 화물팔레트의 상부면보다 융기된 마찰부가 각각 형성되어, 화물팔레트의 상부면에 화물박스가 안착되면서 상기 마찰부에 의해 하부면이 국소적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화물팔레트 상에서 화물박스가 유동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Fourth,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that exten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are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and frictional portions rai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are formed, respectively, so that the cargo box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Since the lower surface is locally pressurized by the frictional por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block the flow of the cargo box on the cargo pallet.

특히, 상기 화물박스가 비교적 연질의 목재 또는 골판지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부방향으로 융기된 마찰부가 화물박스의 하부면에 박히면서 화물박스를 안착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cargo box is formed of a relatively soft wood or corrugated cardboard material, the upwardly rubbed portion of the cargo box may be stuc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box, and the cargo box may be firmly fixed to the seating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화물팔레트에 장착되어 적재된 화물박스를 지지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가 화물팔레트에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끼움부가 제1체결홈에 강제압입되며 끼움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끼움부가 회동하며 제3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argo pallet to support a cargo box,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argo pallet;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itt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cedly press-fitted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hird fitting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a third coupling gro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이하에서는, '화물 지지부재(100)'라 함)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면서도,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 측부 및,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화물팔레트(200)에 안착된 채로 화물박스(300)를 포장하거나 운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기 화물팔레트(200) 상에서 화물박스(300)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지지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철선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 및 중앙부에 형성된 각 끼움부(110,120,130)가 화물팔레트(200)의 테두리 둘레에 형성된 각 체결홈(201,202,203)에 끼움결합되어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된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and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rgo pallet 200 The cargo pallet 200 is supported on the cargo pallet 200 by the vibration and impact that may occur when the cargo box 300 is packed or transported by supporting the corners, As shown in FIGS. 1 to 6, the support members 110, 120, and 130, which are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at both ends and at the central portion, 202, 203 formed around the rim of the cargo pallet 200 and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 또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체결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140)가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tting part 110, which is bent at one end, is fitted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201 formed at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fitting part 120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in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or a thir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203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cargo pallet 200 is ben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cargo box 3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t least one bent portion 140 for supporting the edge is formed.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화물팔레트(200)가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가 상호 직교되는 형태로 체결되며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가 상호 교차되는 부분의 하부에 수직프레임(230)가 체결된 금속재질의 팔레트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체결홈(201), 제2체결홈(202) 및 제3체결홈(203)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상기 목재 및 합성수지 재질 등 사각 형태로 형성된 판형상의 팔레트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를 장착가능하다.In the figure, the cargo pallet 200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in a mutually orthogonal manner, and a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cross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201 and 202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s 20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230, When the pallet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it can be mounted on the pallet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 및 수직프레임(230)가 상호 직교되는 형태로 체결되며, 각 프레임(210,220,230)은 도 4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돌출부(A)와 오목부(B)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C)가 각 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화물팔레트(200)에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가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and the vertical frame 230 are mutually orthogonal, and each frame 210, 220,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the cargo pallet 20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C formed by alternating the protrusions A and the recesses B ar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rame, The mounting of the supporting member 10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또한,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 타측부 및 대향하는 측부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네개의 측부를 갖는 화물팔레트(200)의 하나의 측부를 의미하며, 측부라고 하여 반드시 화물팔레트(200)의 측면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화물팔레트(200)의 전체 형상에서 화물팔레트(20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부면, 측면 및 하부면까지 모두 포함하여 아울러 지칭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means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which is formed by a quadrangle and has four sides.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is referred to as a sid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but includes both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cargo pallet 200 in the overall shape of the cargo pallet 200.

더불어, 도면에서는 철선(Steel Wire)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폭이 좁은 박강판(Thin Steel Sheet)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를 상기 철선으로 형성할 경우 철선이 갖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박강판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커서 절곡된 형상 유지, 형상가공 및 부재 설치가 보다 용이하므로 철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teel wire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in steel sheets having a narrow width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achieve similar functions and effects. However, when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iron wire,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iron wir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hin steel plate, It is preferable to use a wi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화물팔레트(200)를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method of supporting the cargo pallet 200.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의 중앙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된 제3끼움부(130)는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즉,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의 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된다.1 to 4, a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a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cargo pallet 200, The second fitting part 120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third fitting part 130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art between the first fitt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n a downward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fitted to the cargo pallet 200 by being fitted into a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i.e., the side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화물팔레트(200)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절곡부(140)가 형성된다.The cargo pallet 200 is f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cargo box 300 and is b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s 110 and 120 to support the corners 140 are formed.

또한, 상기 제1끼움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팔레트(200)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화물 지지부재(100)의 일단부가 절곡 성형된 부분으로서, 절곡된 부분이 제1체결홈(201)에 강제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fitting pa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formed in the cargo pallet 200 such that one end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s a bent-formed portion, the bent portion can be forcedly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201 and fixed firmly.

그리고, 상기 제1끼움부(110)는 도 2의 우측 확대도와 같이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가 상호 직교되어 체결되고 하부에 체결된 수평횡프레임(21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상기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 사이에 제1체결홈(201)이 형성된 경우와 같이, 상기 제1체결홈(201)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그 단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일부가 걸쳐진 상태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2,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210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s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210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210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is formed in the cargo pallet 200 as 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The end portion of the cargo pallet 200 is bent in a 'C' shape so as to be partially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to be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

이때,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제1끼움부(110)에는 도 2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굴곡지며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보다 융기된 마찰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화물박스(300)가 안착되면서 상기 마찰부(150)에 의해 화물박스(300)의 하부면이 국소적으로 가압되어 화물팔레트(200) 상에서 화물박스(300)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부(150)가 화물박스(300)의 하부와 마찰하면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right-side enlarged view of FIG. 2,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tha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is curved upward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iction portion 150 is formed. As a result, the cargo box 3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rgo box 300 is locally pressurized by the friction part 150, 30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That is, the friction part 150 rubs against the lower part of the cargo box 300 to perform a brake function.

특히, 상기 화물박스(300)가 비교적 연질의 목재 또는 골판지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부방향으로 융기된 마찰부(150)가 화물박스(300)의 하부면에 박히면서 화물박스(300)를 안착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argo box 300 is formed of a relatively soft wood or corrugated cardboard material, the ridge 150 protruded upward may be stuck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go box 300, So that it can be fixed firmly.

더불어, 상기 제1끼움부(110)의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된 부분에는 도 2의 우측 확대도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홈(201)의 내부의 간격보다 더욱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돌기부(160)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끼움부(110)가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강제압입 방식으로 삽입되게 되므로 끼움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며 외부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1끼움부(110)가 유동되더라도 제1체결홈(201)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안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of the right side of FIG. 2 and in a part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201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The protruding portion 16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first engaging groove 201. This allows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20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60, So that the fitting state becomes more rigid and functions to fix the first fitting part 110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rst fitting groove 201 even when the first fitting part 110 flows due to external vibration and impact.

상기 제2끼움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화물 지지부재(100)의 타단부가 절곡 성형된 부분으로서, 절곡된 부분이 제1체결홈(201)에 강제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2 and 3, the second fitting par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i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100 are bent and formed, the bent portion can be forced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201 and fixed firmly.

여기서, 상기 제2끼움부(120)는 상술한 제1끼움부(110)와 마찬가지로 그 단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부분에는 마찰부(150)가 형성되며, 제2체결홈(202)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돌기부(160)가 형성되는 등 상기 제1끼움부(110)와 비교하여 화물 지지부재(100) 상에서 절곡형성되는 위치 즉, 타단부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끼움부(11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end of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bent in a 'C' shape like the first fitting part 110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side of the side part of the cargo pallet 200 facing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protrusion 160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202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202. Thus,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are achieved through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itting part 110 except that the first fitting part 110 is formed at the bent position, that is, at the other end.

상기 제3끼움부(130)는 상술한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에 의해 화물 지지부재(100)가 화물팔레트(200)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의 중앙부를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의 중앙부를 'U'자 형태로 하부방향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fitting part 130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while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cargo pallet 200 by the first fitt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to the cargo pallet 200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120, And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second fitting portions 120 may be formed in a U shape to bend downward.

여기서, 상기 제3끼움부(130)는 도 2 및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수평횡프레임(210)와 수평종프레임(220) 및 수직프레임(230)가 상호 직교되어 체결되고 수평횡프레임(210)의 하부에 체결된 수평종프레임(22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수평종프레임(220)와 수직프레임(230) 사이에 제3체결홈(203)이 형성된 경우와 같이, 상기 제3체결홈(203)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측부 즉,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의 측면상에 형성된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그 단부가 'ㄱ'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3체결홈(203)의 내부 상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는 지지턱(131)이 형성될 수 있다.2 and 4, the horizontal frame 210, the horizontal frame 220 and the vertical frame 2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10 When the third fastening groove 203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and the vertical frame 230 by the shape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C of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20, When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0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at is adjacent to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at is, between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 And a support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to be hook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203 while being bent in an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따라서, 상기 제3끼움부(130)가 제3체결홈(203)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도 4의 상부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3끼움부(130)의 단부를 제3체결홈(203)에 삽입한 상태에서 90도 회전시켜 상기 지지턱(131)이 제3체결홈(203)의 내부 상면에 걸리게 되면 상기 제3끼움부(130)의 상부방향으로의 유동이 지지되면서 차단되어 끼움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며 외부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3끼움부(130)가 유동되더라도 제3체결홈(203)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refore, in order to insert the third fitting part 130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the end of the third fitting part 130 is first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not shown) When the support jaw 131 is hook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03, the upward movement of the third engagement portion 130 is block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third engagement portion 203 And the third engaging groove 130 is fixed to the third engaging groove 203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third engaging groove 203 due to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 절곡 형성되어 화물팔레트(200)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3끼움부(130) 사이와 제2끼움부(120)와 제3끼움부(130) 사이에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상기 화물박스(300)의 2개 모서리부분이 동시에 지지되도록 한다.The bent portion 140 is bent betwee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nd supports a corner portion of the cargo box 300 load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110 and 130 may be bent betwee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and between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cargo box 300. [ So that the two corners of the cargo box 300 are simultaneously supported.

여기서, 상기 절곡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화물박스(300)의 일정높이(h:도 1 및 도 2 참조)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bent portion 14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edge portion of the cargo box 300 at a predetermined height (h: see FIGS. 1 and 2)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물박스(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절곡부(140)를 형성함에 있어서, 화물팔레트(200)에 안착되는 화물박스(300)의 높이에 따라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정각도(θ)를 조절하여 상기 화물박스(300) 모서리의 지지되는 부분의 일정높이(h)를 적절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박스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argo palle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argo box 300 that is seat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predetermined height h of the portion of the cargo box 300 supported by the edge of the cargo box 300 can be raised or lowered appropriately by adjusting a certain angl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argo box 300, .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된다.5,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the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second fitting part 120 formed to be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and bent at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mounted to the cargo pallet 200.

여기서,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화물팔레트(200)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2개의 절곡부(140)가 상기 화물박스(300)의 각 모서리의 이격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is bent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cargo box 300 loaded on the cargo pallet 200,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corners of the cargo box (300).

또한, 상기 절곡부(140)는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화물박스(300)의 일정높이(h)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각 절곡부(140) 사이 부분은 절곡되지 않고 평행한 직선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화물박스(300)의 2개의 모서리부분을 연결하는 측부면을 일정높이(h)로 지지하게 된다. The bent portion 14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so that the ben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300 of the cargo box 300. The portion between the bent portions 140 is not bent and is maintained in a parallel straight line state to connect the two corner portions of the cargo box 300 Thereby supporting the sid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h.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와 비교하여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 제3끼움부(130)가 형성되는 중앙 부분이 상기 제3끼움부(130)에 삽입되지 않고 화물팔레트(200)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측부면을 가로질러 지지하는 구조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는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제1끼움부(110) 및 제2끼움부(12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eantime,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first fitting part 110 and the second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is formed is not inserted into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between the fitting portion 120 and the side face of the cargo box 300 loaded on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are formed in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are fitted to the first fitting part 100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are achieved throug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110 and 120, so tha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된다.6,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110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The second fitting part 120 formed to be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and bent at the other end is fit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is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여기서,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화물팔레트(200)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는 하나의 절곡부(140)가 형성된다.The cargo pallet 200 is f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cargo box 30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s 110 and 120, (140) is formed.

또한, 상기 절곡부(140)는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화물박스(300)의 일정높이(h)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bent portion 14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so that the ben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300 at a predetermined height h.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와 비교하여, 양 단에 형성된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가 화물팔레트(200)의 4개의 측부 중 인접된 두 개의 측부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체결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고, 상기 제1끼움부(1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끼움부(11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eantime, as compared with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re fitted and coupled to two adjacent side portions of the four sides of the cargo pallet 200, The same function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alized.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제2끼움부(120)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인접된 타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며 화물 지지부재(100)가 화물팔레트(200) 상에 장착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fitting part 120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cargo pallet 200 by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203.

상기 제2끼움부(1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3끼움부(13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부(110)가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타단부를 화물팔레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그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is fitted 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of the cargo pallet 200 while being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argo pallet 2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fastening means by bending the end por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2끼움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측부에 형성된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3끼움부(130)와 유사하게 그 단부가 'ㄱ'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3체결홈(203)의 내측 상면에 걸리면서 지지되는 지지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fit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ing jaw 111 may be formed so as to be hook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while being bent in a shape similar to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상기 제2끼움부(120)가 제3체결홈(203)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먼저 제2끼움부(120)의 단부를 제3체결홈(203)에 삽입한 상태에서 90도 회전시켜 상기 지지턱(111)이 제3체결홈(203)의 내부 상면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제2끼움부(120)의 상부방향으로의 유동이 지지되면서 차단되어 끼움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며 외부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2끼움부(120)가 유동되더라도 제3체결홈(203)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refore, in order to insert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the end of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state where the end of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The supporting jaw 111 is caught by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03 and the upward flow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20 is blocked while being blocke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20, And a function of fixing the second fitting part 120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even if the second fitting part 120 flows due to the impac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지지부재(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면서도,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박스(300)의 모서리,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함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기 화물팔레트(200) 상에서 화물박스(300)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지지부재(100)를 화물팔레트(200)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결합 등의 체결공정 없이 단순히 각 끼움부(110,120,130)를 화물팔레트(200)의 테두리에 형성된 각 체결홈(201,202,203)에 끼워 넣거나 빼는 것만으로 상기 화물팔레트(200)로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자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cargo suppor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argo box 300 from flowing on the cargo pallet 200 by vibrations and impacts by supporting the corners, the bottom and sides of the cargo pallet 200, It is possible to mount and separate the fitting portions 110,120 and 130 into the cargo pallet 200 simply by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fitting portions 110,120 and 130 into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201,202 and 203 formed on the rim of the cargo pallet 200 without a fastening step So that installation and material cos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110...제1끼움부
120...제2끼움부 130...제3끼움부
140...절곡부 150...마찰부
160...돌기부 200...화물팔레트
210...수평횡프레임 220...수평종프레임
201...제1체결홈 202...제2체결홈
203...제3체결홈 230...수직프레임
100 ...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110 ... first fitting portion
120 ... second fitting part 130 ... third fitting part
140 ... bent portion 150 ... friction portion
160 ... protrusion 200 ... cargo pallet
210 ... Horizontal transverse frame 220 ...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201 ... first fastening groove 202 ... second fastening groove
203 ... third fastening groove 230 ... vertical frame

Claims (4)

복수 개의 수평횡프레임(210)과 수평종프레임(220)이 상호 직교되는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210)과 수평종프레임(220)이 상호 교차되는 부분에 수직프레임(230)이 체결되며, 각 프레임(210,220,230)에는 돌출부(A)와 오목부(B)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C)가 각각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통상의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박스(300)의 유동을 차단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철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각 프레임(210,220,230)이 상호 체결되면서 각 프레임(210,220,23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각 프레임(210,220,230)이 상호 체결되면서 각 프레임(210,220,23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되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물박스(300)의 일정높이(h)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하나의 절곡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210 and horizontal horizontal frames 220 are mutu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vertical frames 230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horizontal horizontal frames 210 and the horizontal vertical frames 220 cross each other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 formed by alternating the projecting portions A and the concave portions B are mounted on the ordinary cargo pallets 200 formed along the respectiv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rames 210,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for blocking the flow of a cargo box (300) seated on an upper part of a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the first part is formed by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vex parts C of the frames 210, 220 and 230 while the frames 210, 220 and 2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is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20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Is fitted to the cargo pallet (200) by being fitted into a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rgo pallet The cargo pallet 200 is f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cargo box 3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so that the cargo pallet 2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H) of the cargo box 300, A cargo support member for a cargo,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bent part 140 formed pallets.
복수 개의 수평횡프레임(210)과 수평종프레임(220)이 상호 직교되는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210)과 수평종프레임(220)이 상호 교차되는 부분에 수직프레임(230)이 체결되며, 각 프레임(210,220,230)에는 돌출부(A)와 오목부(B)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C)가 각각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통상의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화물박스(300)의 유동을 차단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철선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1끼움부(110)는 각 프레임(210,220,230)이 상호 체결되면서 각 프레임(210,220,23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타단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제2끼움부(120)는 각 프레임(210,220,230)이 상호 체결되면서 각 프레임(210,220,230)의 요철부(C)의 형상에 의해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에는 상기 화물박스(3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를 지지하되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물박스(300)의 일정높이(h)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두 개의 절곡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210 and horizontal horizontal frames 220 are mutu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vertical frames 230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horizontal horizontal frames 210 and the horizontal vertical frames 220 cross each other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 formed by alternating the projecting portions A and the concave portions B are mounted on the ordinary cargo pallets 200 formed along the respectiv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rames 210, A cargo supporting member for a cargo pallet for blocking the flow of a cargo box (300) seated on an upper part of a pallet (200)
The first fitting part 110 formed by bending the first part is formed by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vex parts C of the frames 210, 220 and 230 while the frames 210, 220 and 2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is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20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Is fitted to the cargo pallet (200) by being fitted into a second coupling groove (202) formed o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cargo pallet (200)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cargo pallet 200 is f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cargo box 3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so that the cargo pallet 2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H) of the cargo box 300, A cargo pallet cargo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wo bent portions (14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11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201)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120)는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된 제2체결홈(202)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 사이의 중앙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며 제3끼움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제3끼움부(130)가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인접한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3체결홈(203)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화물팔레트(2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3끼움부(130) 사이, 상기 제2끼움부(120)와 제3끼움부(130)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14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화물박스(300)의 두 개의 모서리 부분이 각 절곡부(14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itting part 110 is fitted into a first fitting groove 201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0 is fitted on a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is bent downwar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The third fitting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fitting part 130 is fitted to the cargo pallet 200 while being fit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bent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110 and 130 an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tting portions 120 and 130 to form the cargo box 300) are simultaneously supported by the respective bent portions (14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201)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202)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는 절곡되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에 일부가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1체결홈(201) 및 제2체결홈(202)에 각각 끼움결합되며,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기 제1끼움부(110)와,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일측부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기 제2끼움부(120)에는 상부방향으로 굴곡지며 상기 화물팔레트(200)의 상부면보다 융기된 마찰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coupling groove 2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2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110 and 120 are b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201 and 120 are partially b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201 and 202 202, respectively,
The first fitting part 110 extending over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0 spanning the upper side of the side opposite the one side of the cargo pallet 200, Is formed with a frictional portion (150) that is bent in an upward direction and is rai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pallet (200).
KR1020120086592A 2012-08-08 2012-08-08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KR101452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2A KR101452258B1 (en) 2012-08-08 2012-08-08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2A KR101452258B1 (en) 2012-08-08 2012-08-08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228A KR20130100228A (en) 2013-09-10
KR101452258B1 true KR101452258B1 (en) 2014-10-21

Family

ID=4945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592A KR101452258B1 (en) 2012-08-08 2012-08-08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25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42A (en) * 2007-12-20 2009-07-09 Ricoh Co Ltd Article transp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42A (en) * 2007-12-20 2009-07-09 Ricoh Co Ltd Article transp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228A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21B1 (en) A Prefabricated Pallet
JP6199179B2 (en) palette
KR100796674B1 (en) Folding pallet
JP5188335B2 (en) Plastic pallet
KR101452258B1 (en) Cargo Support Member For Cargo Pallet
KR200468202Y1 (en) Shelf for Ship
JP2018027760A (en) Fixture and carriage truck
KR101338774B1 (en) Skid for loading coil strip
JP6023419B2 (en) Plastic pallet
TWM506802U (en) Protective angle sleeve
JP6243198B2 (en) Transport container
US20180170295A1 (en) Truck bed guard
KR101693331B1 (en) Multipurpose Steel Pallets
KR20220002464U (en) Secession preventing device and carrying box including the same
KR101548268B1 (en) Cargo Supporter For Lattice Type Cargo Pallet
KR200484025Y1 (en) stainless plate of cart for delivering food and cart for delivering food cart including the same
US9840363B2 (en) Adjustable suspended roll packaging system
JP5014024B2 (en) palette
CN218537796U (en) Packaging structure
JP5755581B2 (en) Support member for workpiece
JP3196491U (en) Cargo tying and trolley with cargo tying
KR101570426B1 (en) Pallet
JP6113650B2 (en) palette
JP6817238B2 (en) Steel box pallet
CN220843413U (en) Locomotive frame shipment fr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