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420B1 -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420B1
KR101451420B1 KR1020120081383A KR20120081383A KR101451420B1 KR 101451420 B1 KR101451420 B1 KR 101451420B1 KR 1020120081383 A KR1020120081383 A KR 1020120081383A KR 20120081383 A KR20120081383 A KR 20120081383A KR 101451420 B1 KR101451420 B1 KR 10145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ource
base station
resource allocation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843A (ko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8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420B1/ko
Priority to US14/417,068 priority patent/US9807762B2/en
Priority to PCT/KR2013/006447 priority patent/WO2014017780A1/ko
Publication of KR2014001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1기지국에 접속한 제1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계 영역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단말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피해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영역이다.

Description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본 발명은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단말에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D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거나, 준-지속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동적 스케줄링은 TTI(Time To Interval)마다 최적의 채널을 찾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고, 이를 통해 채널 용량을 최대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동적 스케줄링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 다수의 작은 크기의 패킷이 할당되면 제어 영역이 포화될 수 있다.
준-지속 스케줄링은 TTI마다 자원을 할당하지 않고,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고정한다. 따라서, 준-지속 스케줄링은 자원할당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준-지속 스케줄링은 채널 용량을 최대로 만들지 못한다.
지금까지의 자원할당장치는 인접 셀의 자원 할당 정보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자원할당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셀간 상호 간섭으로 인해 음성 서비스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셀간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필요 자원보다 많은 무선 자원을 할당해야 하므로 음성 서비스 사용자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셀간 간섭으로 전송 에러가 발생할 수 있어 데이터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셀의 자원을 통합 관리하여 이웃 셀의 간섭없이 음성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1기지국에 접속한 제1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계 영역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단말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기초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영역이다.
상기 제2단말은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2기지국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은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고정되어 일정 주기로 할당된 자원일 수 있다.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피해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위치는 제1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으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과 같은 위치는 상기 제1레벨보다 낮은 제2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으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제2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제1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보다 적은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에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고정된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과 인접해 있는 제2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말에 상기 제1자원과 다른 제2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이다.
상기 자원할당방법은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각각은 상기 제1단말이 접속한 제1기지국과 상기 제2단말이 접속한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경계 영역에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위치를 특정 서브프레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1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2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피해서 상기 제2단말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2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방법은 제3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3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제3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경계 영역에 있는 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 각각의 자원이 여유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 각각의 자원이 여유가 있으면,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동일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에 동일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경계 영역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에 동일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동일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섞여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음성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간 자원정보를 공유해 최소 자원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서비스 이용자 수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독립적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협력 스케줄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합 스케줄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독립적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지국(20)과 기지국(21)은 셀의 일부가 겹치는 인접 기지국이다. 단말(10)은 기지국(20)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단말(11)은 기지국(21)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20)과 기지국(21)은 인접 기지국의 자원 할당 정보를 공유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20)은 단말(10)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주기적으로 할당하고, 기지국(21)은 단말(11)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20)은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20ms마다 하나씩 할당하면 된다. 그러나, 인접 셀의 자원 할당 정보를 알지 못하는 기지국(20)은 인접 셀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간섭을 줄이기 위해, A와 같이 필요 이상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인접 셀의 자원 할당 정보를 알지 못하는 기지국(21)은 B와 같이 인접 셀이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할당한 자원과 중복되는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전송 에러가 발생하여, 기지국(21)은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21)은 전송 에러 발생 후에는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기 때문에, 좋은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전송량을 줄여서 전송한다. 결국 기지국(21)의 데이터 전송 효율이 감소한다.
다음에서,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원할당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복수의 단말(Mobile Station, User Equipment)(100, 110), 복수의 기지국(200, 210), 자원할당장치(300)를 포함한다.
단말(100, 110)은 기지국(200, 210)에 무선 접속하여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단말(100)은 기지국(200)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단말(110)은 기지국(210)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200, 210) 각각은 일정 크기 셀(cell)을 관리한다. 기지국(200, 210)은 셀 안의 단말(100, 110)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RU)일 수 있다.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은 셀의 일부가 겹치는 인접 기지국이다. 단말(100)과 단말(110)은 기지국(200)과 기지국(210) 셀의 경계 영역에 있다.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 110)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0, 210)에 접속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D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거나, 준-지속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복수의 기지국(200, 210)의 자원을 통합 관리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 210)과 가상화 기술로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DU)일 수 있다. 여기서, 자원할당장치(300)가 두 개의 기지국(200, 210)의 자원을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자원할당장치(300)는 가상화로 연결된 무수히 많은 기지국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일정 주기로 고정된 단말(100)의 자원(400)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고정한 준-지속 스케줄링으로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것처럼 필요 이상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필요 없이,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자원만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할당된 단말(100)의 자원(400)을 피해 단말(110)의 자원(410)을 할당한다.
도 2b를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의 자원(400)을 고려하여 단말(110)의 자원(412)을 할당한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의 자원(400)을 피해 자원을 할당하고, 단말(100)의 자원(400)과 같은 위치는 낮은 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낮은 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이란 Robust MCS로서, 낮은 채널 코드율(code rate)로 변조 및 코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Robust MCS로 할당된 자원은 MCS 레벨이 낮아서 적은 데이터를 보내지만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10)에 접속한 단말(110)에 자원을 할당할 때, 기지국(210)의 자원 정보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기지국(200)의 자원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인접한 기지국(220, 210)들은 물리적으로는 독립되어 있더라도, 자원할당장치(300)가 자원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므로 인접한 기지국(220, 210)들은 상호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협력 스케줄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은 셀의 일부가 겹치는 인접 기지국이다. 단말(100)과 단말(110)은 기지국(200)과 기지국(210) 셀의 경계 영역에 있다. 단말(100)은 기지국(200)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단말(110)은 기지국(210)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통합 관리하는 기지국(200, 210)의 자원 정보를 기초로 각 기지국(200, 210)의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일정 주기로 고정된 단말(100)의 자원(420)을 할당한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일정 주기, 예를 들면 20ms마다 고정된 자원(420)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최소의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의 자원(420)과 겹치지 않도록 단말(110)의 자원(430)을 할당한다.
이렇게 자원할당장치(300)가 인접한 셀과 간섭이 없도록 단말(100)의 자원(420)과 단말(110)의 자원(430)을 할당하는데, 이를 협력 스케줄링(Coordinated Scheduling)이라고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100)과 단말(110)은 기지국(200)과 기지국(210) 셀의 경계 영역에 있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과 단말(110)에 서로 다른 자원을 할당한다. 따라서, 단말(100)과 단말(110)은 비록 셀이 겹치는 경계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인접한 셀의 간섭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300)는 복수의 기지국(200, 210)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510).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에 접속한 단말(100)로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S520). 단말(100)은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의 경계 영역에 있다. 자원할당장치(300)는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고정된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300)는 단말(100)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최소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10)에 접속한 단말(110)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한다(S530). 여기서 단말(110)은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의 경계 영역에 있다.
자원할당장치(300)는 경계 영역에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S540). 왜냐하면, 단말들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접속하더라도 경계 영역에 있다면, 인접 기지국에 의해 간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은 미리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과 동일한 자원을 할당한다면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이 있으면,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할당한 자원을 피해 단말(110)의 자원을 할당한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합 스케줄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은 셀의 일부가 겹치는 인접 기지국이다. 셀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계 영역은 두 기지국(200, 210)이 관리하는 셀의 가장자리이기 때문에 약전계 지역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0)이 셀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 곳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면 품질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 210)의 자원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그리고 각 기지국(200, 210)의 자원이 모두 여유가 있으면, 자원할당장치(300)는 두 기지국(200, 210)에서 단말(100)에 동일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일한 자원을 할당한다. 즉,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사이에 고정 자원(440)을 할당하고, 고정 자원(440)과 동일한 고정 자원(450)을 기지국(210)과 단말(100) 사이에도 할당한다.
이렇게 자원할당장치(300)가 인접한 셀 모두에 단말(100)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440, 450)을 할당하는데, 이를 연합 스케줄링(Joint Scheduling)이라고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기지국(200)과 기지국(210)의 셀이 겹치는 영역에 단말(100)이 위치한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과 기지국(210) 모두에 단말(100)을 위한 자원을 동일하게 할당한다. 따라서, 단말(100)은 셀의 가장자리에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기지국(200)과 기지국(210) 모두에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셀 가장자리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300)는 복수의 기지국(200, 210)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810).
자원할당장치(300)는 두 기지국(200, 210) 사이에 있는 단말(100)로부터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한다(S820).
자원할당장치(300)는 두 기지국(200, 210)의 자원이 여유가 있는지 판단한다(S830).
자원이 여유가 있는 경우, 자원할당장치(300)는 두 기지국(200, 210)에 단말(100)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똑같이 할당한다(S840).
즉, 자원할당장치(300)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사이에 고정 자원(440)을 할당하고, 고정 자원(440)과 동일한 고정 자원(450)을 기지국(210)과 단말(100) 사이에도 할당한다. 단말(100)은 두 기지국(200, 210)의 연합을 통해 경계 영역에서도 고품질의 음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일정 주기로 고정된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위치를 특정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ms마다 주기적으로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자원할당장치(300)는 1ms의 특정 서브프레임을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으로 고정한다.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 단말이 있는 경우, 자원할당장치(300)는 특정 서브프레임만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이 여러 서브프레임에 걸쳐 있다면, 자원할당장치(300)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시, 인접 셀의 모든 서브프레임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자원할당장치(300)는 음성 서비스 자원을 특정 서브프레임에 모아서 할당하므로, 인접 셀의 모든 서브프레임을 고려할 필요 없이, 특정 서브프레임을 피해서 데이터 서비스 자원을 할당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자원할당장치(300)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 예측이 용이하여 특정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자원은 낮은 레벨의 MCS로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의 간섭이 발생하는 자원을 특정 서브프레임으로 한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300)는 자원 모니터링부(310), 그리고 자원 할당부(330)를 포함한다.
자원 모니터링부(310)는 가상화로 연결된 무수히 많은 기지국, 예를 들면, 기지국(200, 210)의 자원을 모니터링한다.
자원 할당부(330)는 자원 모니터링부(31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자원 할당부(33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일정 주기로 고정된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자원 할당부(33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최소의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 할당부(330)는 기지국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단말이 자원을 요청하면, 주변 단말에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할당부(330)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자원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 할당부(330)는 기지국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위한 자원을 요청하면, 단말 주변 기지국들의 자원이 여유가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자원 할당부(330)는 주변 기지국들에 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동일하게 할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음성 데이터를 복수의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섞여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음성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간 자원정보를 공유해 최소 자원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서비스 이용자 수를 늘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1기지국에 접속한 제1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2기지국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단말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말이 있으면,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피해 상기 제1기지국에 접속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과 상기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영역인 자원할당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2단말은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제2기지국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인 자원할당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은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고정되어 일정 주기로 할당된 자원인 자원할당방법.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위치는 제1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으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2단말에 할당된 자원과 같은 위치는 상기 제1레벨보다 낮은 제2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으로 상기 제1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제2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제1레벨의 변조 및 코딩 방식보다 적은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인 자원할당방법.
  6.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제1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에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이 고정된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과 인접해 있는 제2단말의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말에 상기 제1자원과 다른 제2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이며,
    상기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위치를 특정 서브프레임으로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1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1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피해서 상기 제2단말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2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서브프레임인 자원할당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할당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각각은 상기 제1단말이 접속한 제1기지국과 상기 제2단말이 접속한 제2기지국의 셀이 겹치는 경계 영역에 있는 단말인 자원할당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서,
    제3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3단말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제3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할당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81383A 2012-07-25 2012-07-25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5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83A KR101451420B1 (ko) 2012-07-25 2012-07-25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US14/417,068 US9807762B2 (en) 2012-07-25 2013-07-18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PCT/KR2013/006447 WO2014017780A1 (ko) 2012-07-25 2013-07-18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83A KR101451420B1 (ko) 2012-07-25 2012-07-25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843A KR20140015843A (ko) 2014-02-07
KR101451420B1 true KR101451420B1 (ko) 2014-10-16

Family

ID=4999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383A KR101451420B1 (ko) 2012-07-25 2012-07-25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7762B2 (ko)
KR (1) KR101451420B1 (ko)
WO (1) WO2014017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3684B1 (en) * 2015-11-30 2021-0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cheduling device, scheduled device,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TWI638577B (zh) * 2017-02-17 2018-10-11 四零四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網路的環境配置系統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450A (en) * 1997-09-12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Soft handover system for a multiple sub-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0524340A (ja) 2007-03-30 2010-07-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通信の直交サブチャネルにおける電力制御
KR20110089860A (ko) * 2009-01-22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의 협력적 하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97999A (ko) * 2008-12-25 2011-08-31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 장치 및 기지국 협력 통신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4096A2 (en) * 2005-08-24 2007-03-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base station
JP4869889B2 (ja) 2006-11-29 2012-02-08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ATE534257T1 (de) 2007-03-12 2011-12-15 Korea Electronics Telecomm Synchronisierung in einem paketgesteuerten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US20080311921A1 (en) * 2007-06-18 2008-12-18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 resource signaling
US9510360B2 (en) 2007-10-06 2016-11-2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to avoi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for power limited users in the LTE reverse link
KR101005544B1 (ko) 2008-04-18 2011-01-05 (주)미라콤테크놀로지 음성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음성과 동시에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8521B1 (ko) 2008-12-08 2011-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셀 환경에서의 신호간섭 개선방법
US8687559B2 (en) * 2009-08-04 2014-04-01 Blackberry Limited Frame mapping for GERAN voice capacity enhancements
KR101608245B1 (ko) 2009-11-19 2016-04-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롯간 간섭을 고려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450A (en) * 1997-09-12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Soft handover system for a multiple sub-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0524340A (ja) 2007-03-30 2010-07-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通信の直交サブチャネルにおける電力制御
KR20110097999A (ko) * 2008-12-25 2011-08-31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 장치 및 기지국 협력 통신 제어 방법
KR20110089860A (ko) * 2009-01-22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의 협력적 하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82164A1 (en) 2015-10-01
WO2014017780A1 (ko) 2014-01-30
KR20140015843A (ko) 2014-02-07
US9807762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7342B (zh) 支持演进型节点b间的协作多点的方法
RU264587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вместимости адаптивного tti с lte
AU2008299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load indica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76586B2 (en) Sub-frame configuration in cellular system
JP6692641B2 (ja) マシンタイプ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対応したセル間干渉制御
US85831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control channels
US8909157B2 (en) Optimizing cell traffic load and interference through high interference indicators
US88485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network
CN106464646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JP2011244435A (ja) 制御チャネル干渉の軽減
US20140036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KR101813822B1 (ko) D2d 발견 신호의 송신 방법과 송신 장치
US10178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for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US201500631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between Cellular and Local Area Networks
US9113453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4007384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erving node, and medium
RU2652093C1 (ru) Индексирование элементов расширенного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пространства поиска физического ни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CN105165089A (zh) 协调上行链路资源分配的方法
CN105337710A (zh) 一种利用非授权频谱通信的方法和装置
KR101189806B1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자원 할당 장치
KR101451420B1 (ko)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US9629144B1 (en) Management of time segment us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40677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 segregation of managed wireless resources by traffic type
Kucera et al. Expanding Coverage Range and Control Channel Capacity of Co-Channel LTE Small Cells by Using PDCCH Orthogonalization
EP2622925B1 (en) Muting data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