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273B1 -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73B1
KR101451273B1 KR1020140016466A KR20140016466A KR101451273B1 KR 101451273 B1 KR101451273 B1 KR 101451273B1 KR 1020140016466 A KR1020140016466 A KR 1020140016466A KR 20140016466 A KR20140016466 A KR 20140016466A KR 101451273 B1 KR101451273 B1 KR 10145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mage recognition
site
text
coordin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빈
이경아
Original Assignee
마커그룹(주)
송명빈
이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커그룹(주), 송명빈, 이경아 filed Critical 마커그룹(주)
Priority to KR102014001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73B1/ko
Priority to PCT/KR2014/012137 priority patent/WO20151226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5Thir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GIN SERVICE BASED ON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정보유출의 피해가 극심해짐에 따라 다양한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보안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개인정보나 저작권이 걸린 저작물을 공유할 경우, 정보 유출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보안 프로그램의 중요도는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이때,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58336호(2012.06.22 공고)에는, 개인정보의 복사, 이동, 조회 및 삭제의 조작이 가상공간 디렉터리별로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만 가능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파일 자체를 삭제하지 않는 한, 데이터베이스가 해킹당하는 경우 해당 파일은 유출될 수 있으며, 저작권이 있는 파일을 공유할 때, 복사 및 저장이 쉬운 디지털 환경에서는 해당 파일이 저작권이 없는 사용자에 의해 재배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때, 파일 자체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파일이 업로드된 사이트에 접속해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8336호(2012.06.22 공고)에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가상공간 시스템 및 접근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이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좌표값을 추출하여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아닌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일 에이징 서비스가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장치(300),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1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클라우드, PC, 메일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의 주소(URL)와,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자신이 직접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가입한 사이트에 접속하여 입력하지 않더라도,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로그인을 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에 업로드한 콘텐츠를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에 업로드된 콘텐츠의 콘텐츠 소멸 시점을 확인하고, 업로드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콘텐츠 소멸 시점을 증감시키거나, 콘텐츠를 다시 회복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해당 주소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에 접속하고,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에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업로드 이벤트에 포함된 콘텐츠 소멸 시점을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업로드 이벤트에 포함된 콘텐츠 소멸 시점을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콘텐츠와 업로드된 콘텐츠가 위치한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클라우드, PC, 메일 서버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소멸 시점에 다가오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콘텐츠 소멸 예정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멸 치료 메세지가 응답 메세지로 전송된 경우, 콘텐츠의 디-에이징 신호(de-Aging Signal)를 출력하고, 콘텐츠 소멸 확인 메세지이면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로 콘텐츠의 소멸 신호를 전송하여 콘텐츠가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콘텐츠가 어느 사이트 또는 어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의 수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명이 다한 콘텐츠를 삭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웹 사이트의 서버의 정크 데이터(Junk Data)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개인의 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로 접속하기 위하여, 이미지 인식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제공 서버,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 문자 메세지 서비스 제공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 메일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디-에이징 신호 또는 콘텐츠 소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디-에이징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콘텐츠가 소멸되지 않도록 하고, 콘텐츠 소멸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에서 삭제되도록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접속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일 에이징 서비스가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호출부(330), 추출부(350), 실시부(370), 템플릿 저장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파일 에이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파일 에이징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주소와,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의 가 사용자가, 주소(URL)가 A인 A 사이트에 아이디 B와, 비밀번호 C를 가지고, 주소가 D인 D 사이트에 아이디 E와 비밀번호 F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저장부(310)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사용자 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 사용자 사이트 A의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사이트 A A B C
사이트 D D E F
호출부(33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ww.xxxx.co.kr이 사이트의 주소인 경우, www.xxxx.co.kr에 접속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좌표값은,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추출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위치한 위치의 좌표값일 수 있다. 또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좌표값은,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 중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추출된, 이미지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레이아웃의 좌표값일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는 방법은, 적어도 4 가지일 수 있는데, 이를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즉, 도 3a를 참조하면, 포털사이트인 DAUM의 메인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DAUM, 강호동 해설, 소희 탈퇴, 이승기 공항패션, 여자컬링 한일전 등과 같은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부(350)는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기 저장된 텍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추출부(350)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해내야 하므로, 기 저장된 텍스트는, 로그인 상태 유지(A), IP 보안(B), 아이디 OR 이메일(C), 비밀번호(D), 회원가입(E),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F), 폰번호 로그인(G)과 같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박스가 위치할만한 텍스트 중에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칸이라고 안내하는 텍스트, 즉 아이디, 비밀번호와 같은 텍스트일 수 있다. 또한, 추출부(350)는, 기 저장된 텍스트가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기 저장된 텍스트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텍스트가 아이디와 비밀번호이고,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아이디 OR 이메일(C), 비밀번호(D)인 경우, 아이디 OR 이메일(C)과 비밀번호(D)의 좌표값인 가(X,Y)과 나(X',Y')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텍스트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템플릿 저장부(39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을 오버레이(Overlay)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즉, 도 3b를 참조하면, 포털사이트인 NAVER의 메인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NAVER의 메인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으로 구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AVER의 메인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T1~T9)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NAVER 이외에도 다수의 포털 사이트는, 일정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고, 해당 레이아웃으로 구획되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은 항상 일정한 크기와 위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 내에 삽입되는 광고 또는 컨텐츠만이 변경될 뿐,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의 위치나 좌표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저장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의 위치나 좌표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인 틀을 추출하고, 추출된 틀을 접속된 사이트에 대입(오버레이)시켜, 원하는 템플릿의 좌표, 즉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템플릿의 좌표를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템플릿 저장부(390)는, 오버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에 대한 기준 템플릿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 저장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 중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 기준 템플릿의 좌표값과,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이 오버레이된 사이트 페이지의 주소(URL)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 저장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T1~T9) 중에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템플릿인 입력 기준 템플릿(T5)의 좌표값(T51(x1,y1), T52(x2,y2), T53(x3,y3), T54(x4,y4))을 추출할 수 있고, 해당 좌표로 이루어지는 입력 기준 템플릿(T5) 중에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좌표값(T55(x5,y5), T56(x6,y6))을 저장할 수 있다. 템플릿 저장부(390)는 예를 들어, 아래 표 2와 같이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좌표값을 저장할 수 있다.
사이트 주소 아이디 좌표값 비밀번호 좌표값
사이트 A www.naver.com T55(x5,y5) T56(x6,y6)
이렇게 템플릿 저장부(39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대한 기준 템플릿과,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좌표값을 저장한 경우,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에 기준 템플릿을 오버레이시키고,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좌표값을 가지는 입력 기준 템플릿과,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오버레이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50)는, 확인된 오버레이된 영역이, 입력 기준 템플릿과 일치하는 경우, 입력 기준 템플릿의 좌표값을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프로그램 소스를 텍스트 기반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즉, 도 3c를 참조하면, 포털사이트인 CYWORLD의 메인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해당 메인 페이지의 프로그램 소스를 예를 들어, HTML 기반으로 다운로드하는 경우, 메인 페이지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부(350)는,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소스 중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A,B)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50)는, 확인 결과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를 프로그램 소스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추출부(350)는,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를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A,B)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추출부(350)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화면을 캡쳐(Screen Capture)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즉, 도 3d를 참조하면, 포털사이트인 CYWORLD의 메인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해당 메인 페이지의 객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라벨링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추출부(350)는 캡쳐된 화면의 객체 정보를 얻기 위하여 라벨링을 실시하고, 실시된 라벨링을 통하여 객체를 정보 단위로 그룹핑(G1~G6)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추출부(350)는 그룹핑된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점을 포함하는 윤곽선(Contour)을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선과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추출부(350)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과, 추출된 윤곽선이 일치하는 경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윤곽선의 좌표(G41(x,y), G42(x1,y1))를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에 대해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기 저장된 윤곽선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실시부(370)는,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실시부(370)는,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클릭 또는 터치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클릭 또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아이디 입력 박스 또는 패스워드 입력 박스에,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에 매핑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로그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제공 서버,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 문자 메세지 서비스 제공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 메일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아이디 박스 및 패스워드 박스의 좌표값일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좌표값은,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의 화면 크기, 화면 비율 및 화면 배율에 대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3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S4100).
그리고 나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4200). 이때,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에 사이트 주소를 이용하여 사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S4300).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가 사이트 페이지를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S44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할 수 있다(S4500).
여기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고(S4600), 추출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S4700).
그리고 나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고(S4800),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400)에서는, 로그인이 성공한 경우(S49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로그인 성공 신호를 전송하고(S4930), 로그인이 실패한 경우(S490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로그인 실패 신호를 전송한다(S4910).
이때,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그인이 실패한 경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S4600)로 복귀하도록 루프를 돌고, 로그인이 성공한 경우, 로그인이 완료되었다는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S4950).
이와 같은 도 4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한다(S5200).
또한,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고(S5300),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와, 상기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값은,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의 화면 크기, 화면 비율 및 화면 배율에 대응하도록 조절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좌표값은, 상기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추출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위치한 위치의 좌표값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좌표값은,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추출된, 상기 이미지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레이아웃의 좌표값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기 저장된 텍스트를 비교하고,
    상기 기 저장된 텍스트가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텍스트와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의 좌표값 추출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텍스트는,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을 오버레이(Overlay)하는 단계;
    상기 오버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에 대한 기준 템플릿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 중 상기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입력 기준 템플릿의 좌표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이 오버레이된 사이트 페이지의 주소(URL)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에 상기 기준 템플릿을 오버레이시키고,
    상기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좌표값을 가지는 입력 기준 템플릿과,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오버레이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오버레이된 영역이 상기 입력 기준 템플릿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기준 템플릿의 좌표값을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프로그램 소스를 텍스트 기반으로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소스 중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를 상기 프로그램 소스를 통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위치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로부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의 화면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화면의 객체 정보를 얻기 위하여 라벨링을 실시하고,
    상기 실시된 라벨링을 통하여 상기 객체를 정보 단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점을 포함하는 윤곽선(Contour)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윤곽선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과 상기 추출된 윤곽선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윤곽선의 좌표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의 윤곽선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페이지에 대해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기 저장된 윤곽선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로그인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아이디 좌표값 및 패스워드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클릭 또는 터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클릭 또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아이디 입력 박스 또는 패스워드 입력 박스에, 상기 호출된 사이트 페이지에 매핑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좌표값은,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아이디 박스 및 패스워드 박스의 좌표값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 제공 서버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제공 서버,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 문자 메세지 서비스 제공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서버, 메일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14. 삭제
  15.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이미지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40016466A 2014-02-13 2014-02-13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5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6A KR101451273B1 (ko) 2014-02-13 2014-02-13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4/012137 WO2015122614A1 (ko) 2014-02-13 2014-12-10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6A KR101451273B1 (ko) 2014-02-13 2014-02-13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273B1 true KR101451273B1 (ko) 2014-10-16

Family

ID=5199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66A KR101451273B1 (ko) 2014-02-13 2014-02-13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1273B1 (ko)
WO (1) WO20151226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01B1 (ko) * 2006-11-27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 및 그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06A (ko) * 2004-02-25 2005-08-30 권영길 웹 사이트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사이트공유 서비스 방법
KR20050111697A (ko) * 2004-05-22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사이트 자동 로그인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방법
KR20110092896A (ko) * 2010-02-10 2011-08-18 오의진 웹 사이트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01B1 (ko) * 2006-11-27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614A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37336A1 (zh) 一种文档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793840A (zh) 在撰写电子邮件的同时文件预览和许可
CN105165069A (zh) 接入Wi-Fi热点设备的方法、Wi-Fi热点设备和用户设备
AU2016201463B2 (en) Language Translation For Multi-Function Peripherals
KR102243218B1 (ko) 모바일 기반 전자명함 생성, 관리 및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9749322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CN104732182B (zh) 在网页上基于二维码的通信方法
CN106294658A (zh) 网页快速展示方法和装置
US11080322B2 (en) Search methods, servers, and systems
EP3007126A1 (en)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terminal and server
CN104765715A (zh) 云端字体服务系统
US10339175B2 (en) Aggregating photos captured at an event
CN104484482A (zh) 网络平台的网页信息更新方法及系统
CN104679824A (zh) 网络平台的网页生成方法及系统
CN104424224A (zh) 一种文件索引存储方法及装置
JP6482204B2 (ja)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3261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retrieving raw data from unpredictable data sources
KR101342407B1 (ko) 싱글 사인온 기반 통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050204A (zh) 合并网络数据的方法及移动装置
KR101328118B1 (ko) 비밀 데이터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US9398021B2 (en) Method for providing file aging service
KR101451273B1 (ko) 이미지 인식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959843A (zh) 一种跨平台巢引擎系统及其开发方法
US20080176587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ending digital content to a mobile device
US20160224553A1 (en) Search methods and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