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268B1 -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68B1
KR101451268B1 KR1020130096809A KR20130096809A KR101451268B1 KR 101451268 B1 KR101451268 B1 KR 101451268B1 KR 1020130096809 A KR1020130096809 A KR 1020130096809A KR 20130096809 A KR20130096809 A KR 20130096809A KR 101451268 B1 KR101451268 B1 KR 10145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signal
processing unit
uni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만진
남궁훈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시스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다인 filed Critical (주)시스다인
Priority to KR102013009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발생 장비를 운용하는 곳(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각종 무선국 등)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협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대역별로 모니터링하여 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전계강도값으로 변환하여 판단한 후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가능토록 한,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Selective Electromagnetic wave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파 발생 장비를 운용하는 곳(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각종 무선국 등)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협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대역별로 모니터링하여 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전계강도값으로 변환하여 판단한 후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2011년 5월말 세계보건기구 WHO 국제암연구소는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자기장은 암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미국을 비롯한 14개국 31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IARC 실무그룹은 휴대전화의 전자파를 자동차 엔진 배기가스와 같이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하면서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위험노출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이통사 기지국은 휴대폰과 달리 개인이 마음대로 장비를 ON, OFF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4시간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당장은 이슈가 휴대폰에 국한되고 있지만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이통사 기지국과 중계기 등에서 24시간 발생하는 전자파 피해 논란도 더욱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파 검출장치는 그 활용이 단기 노출에 대한 현장 측정용으로, 측정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단기적인 측정을 통해 그 위해함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었다.
따라서 CDMA, LTE 등의 기지국이 급증하고, 사용되는 무선데이터량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 또한 시간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 급변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현장에서의 단기적인 측정으로는 전자파 발생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또한 현재 전자파에 대한 국내 기준은 국제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 :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에서 제시한 단기 노출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중장기적인 기준을 위한 노력들이 각국의 시민단체로부터 연구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측정자가 측정기기들을 직접 휴대하고 전자파를 측정하는 식이어서 강한 전자파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곳에 대한 장기간 측정은 측정자의 전자파 노출 위험성 때문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광대역(LF, HF, VHF, UHF) 뿐만 아니라, 협대역에 대한 전자파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외부전원공급 없이도 장기간 무인 원격 측정이 가능하도록 전자파에 대한 무인 원격측정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파 모니터링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협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대역별로 전자파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결과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외 사용을 위해 위치추적시스템을 구성하고, 외부의 상용전원 공급없이도 배터리 충전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의 안전한 저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후에 설명하는 기술내용에 따라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는, 전자파를 검출하고 RF신호를 선택하도록, 3축 등방성 안테나 및 RF스위치로 구성된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 RF스위치를 통과한 RF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RF스위치로부터 입력된 RF신호를 소정 대역폭을 갖는 IF신호로 낮추는 RF부 및, RF부로부터 입력된 IF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F신호의 RF Power를 계산하는 신호처리부로 구성된 스펙트럼 처리부;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와 스펙트럼 처리부를 제어하여 전자파 측정 및 처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을 처리하는 MCU와,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 및 장치의 각 상태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앙처리부; 중앙처리부에 대한 상시 동작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전지 및 배터리와, 이들을 관리하는 전력관리블록으로 구성된 전원 및 충전부; 및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전자파 측정 데이터값을 서버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모뎀모듈 및, 전자파 측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로 구성된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는 중간주파수라고 하며 저주파의 기저대역(Baseband)을 고주파(RF)로 변환하거나 고주파에서 저주파의 기저대역으로 변환할 때 중간에 다른 주파수로 한번 변환한 후 다시 변환하는 구조에서 그 중간의 주파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협대역 전자파 수신이 가능한 3축 등방성 안테나를 구성하고, 디지털 방식의 RF 세기(Power) 측정으로 고전력 CPU 대신에 저전력 MCU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용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옥외 설치시, 동작전원 공급을 위해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연속으로 측정되는 전자파 데이터값은 임베디드된 WCDMA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서버로의 전송 이상이나 전원 이상으로 장치의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 그동안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자체 백업용 저장장치로서 Micro SD Card 메모리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정 측정시 뿐만 아니라, 이동 측정시에도 측정위치 파악을 위해 GPS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병원, 유아원, 유치원 등 전자파에 특히 민감한 장소에 설치하여 두고, 30MHz ~ 3GHz의 주파수범위 내에서 선택된 주파수대역의 노출지수(TER : Total Exposure Ratio)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방출되는 전자파를 상시 측정하도록 한 것으로, 소정 주파수대역별로 나누어 전자파를 측정하므로 측정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를 바꾸면서 측정이 가능하므로 발생된 전자파의 영향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소비전력을 줄이고, 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의 안전한 저장 관리가 가능하여 누적된 측정 데이터값의 소실로 인해 재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적 낭비, 인적 및 물적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
도2b는 도 2a에서 GPS 모듈, 센서 및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동작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의 주파수 선택적 전자파 세기 측정 흐름도.
도 4는 주파수별 안테나 훽터의 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는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10), 스펙트럼처리부(20), 중앙처리부(30), 전원 및 충전부(40) 및 통신부(50)로 이루어진다.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10)는, X, Y, Z축 각각의 신호를 수신하는 3축 등방성 안테나(11)와, 각 Y, Y, Z축 안테나(11)로부터 입력된 RF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RF 스위치(12)로 구성된다.
3축 등방성 안테나(11)는, 다이폴(Dipole) 형태의 3 개의 안테나가 등방성 특성을 만족하도록 각각 X, Y, Z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RF스위치(12)는, X, Y, Z축으로 구성된 3축 등방성 안테나(11)에서 수신한 RF신호를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스펙트럼처리부(20)로 전송한다. RF스위치(12)는, 중앙처리부(30)의 MCU에 의해 제어되며 각 입력포트간의 절연성(Isolation)이 양호하도록 한다.
RF스위치(12)는 내장 메모리에 안테나 훽터(Antenna Factor)를 저장하고, 장치가 온되면 중앙처리부(30)에서 상기 안테나 훽터를 판별하여 전계강도 계산시 적용하도록 한다. 안테나 훽터는 다음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3073989790-pat00001
전계강도 계산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식 1>
Signal Level(dBuV) = Signal Level(dBm) + 107dB
<식 2>
Signal Level(dBuV/m) = Signal Level(dBuV) + Antenna Factor(dB)
<식 3>
Field Strength(uV/m) = 10^(Signal Level(dBuV/m)/20)
스펙트럼처리부(20)는, RF스위치(12)를 통과한 RF신호의 세기(파워)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RF스위치(12)로부터 입력된 30MHz ~ 3GHz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10MHz 대역폭별로 나누어 중심주파수 10MHz에서 10MHz의 대역폭을 갖는 IF신호로 낮추는 RF부(21)와, RF부(21)로부터 입력된 IF신호를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F신호를 소정주파수, 예를 들어 100KHz, 250KHz 또는 1MHz 대역폭으로 나누어 각 대역폭의 RF Power를 계산하는 신호처리부(22)로 구성된다.
중앙처리부(30)는,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을 처리하는 MCU(31)와,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 및 장치 구성요소들의 상태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32)와, 장치의 내부온도 및 배터리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센서(33)와, 장치의 온 상태와 오류 상태 및, 센서(33)에 의해 감지된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LED(34)와,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35)로 구성된다.
MCU(31)는, 스펙트럼처리부(20)로부터 수신된 IF신호 대역 파워 및, RF부(21)에 설정된 주파수를 기반으로 지정된 주파수대역의 전자파 세기를 계산하여 V/m값으로 변환하며,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들을 메모리(32)에 저장하고,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을 정해진 시간에 통신부(50)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도시 생략)로 전송한다.
MCU(31)는 또한, 중앙처리부(30)에 구성된 타 구성들은 물론, 전자파 감지 및 검출부(10)의 RF스위치(12), 스펙트럼처리부(20)의 RF부(21) 및 신호처리부(22), 전원 및 충전부(40)를 제어하며, USB 또는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의 통신기능도 수행한다.
MCU(31)는 또한, 센서(33)를 통해 전자파 측정 시각의 온도, 위치 추적시스템인 통신부의 GPS 모듈과의 연계를 통해 (이동)측정 장소, 배터리 레벨 등 상태 정보를 처리한다.
메모리(32)는, 상기 MCU(31)에서 처리된 전자파 측정 데이터값과 장치의 상태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통신부(50) 또는 전원 및 충전부(40)의 이상으로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메모리(32)에 저장된 전자파 측정 데이터 값을 저장 관리하는 탈부착형 Micro-SD Card 메모리이다.
센서(33)는 시스템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전원 및 충전부(40)는, 본 발명 장치의 옥외(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전지(Solar Cell)(41)와 대용량 배터리(42)를 충전기능과 각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력관리블록(Power Management Block)(43)에 연결하여 외부전원 공급이 없이도 자체적인 배터리와 태양광을 이용해 365일 장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부(50)는, GSM, CDMA, WCDMA 또는 LTE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모뎀모듈(51)과, 위치추적용 GPS 모듈(52)로 구성된다.
모뎀모듈(51)은, 중앙처리부(30)에서 처리된 전자파 측정 데이터값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GPS 모듈(52)은, 전자파 측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파 측정 동작을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 및 충전부(40)로부터 동작전원이 중앙처리부(30)에 인가되어 장치가 온 되면(S1), 전자파 측정을 위해 초기화를 수행한다(S2).
이후, 전자파 감지 및 검출부(10)로부터 MCU(31)에 입력된 신호 처리에 의해 안테나(11)의 정상 연결여부를 확인하고(S3),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 안테나 연결 상태를 다시 체크하고(S3-1), 연결되었을 경우 스텝 S4로 나아가서 전자파 감지 및 검출부(10)의 RF스위치(12)에 저장된 안테나 훽터(Factor)를 다운로드한다.
다음에, MCU(31)의 처리에 의해 통신부(50)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상태를 LED(3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조치하도록 하고(S5-1),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한다(S6).
장치의 상태 확인은, MCU(31)의 처리에 의해 GPS 모듈(52)의 정상동작, 장치 내부 온도 및 배터리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먼저 GPS모듈(52)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7), 센서(33)의 정상동작을 판단하고(S8), 배터리 전원의 적정 수준을 차례로 판단하여(S9),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파 측정, 구체적으로는 감지, 검출을 통한 측정을 시작한다(S10).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은 MCU(31)의 처리에 의해 장치의 상태 정보와 함께 메모리(32)에 저장하며, 통신시간(S11)이 될 때까지 시스템 상태확인(S6)으로부터측정(S10), 측정값과 상태정보 저장(S10-1)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통신시간이 되면(S11) 저장된 측정값을 서버에 전송(S12)한다. 이후 시스템 상태 확인(S6) 부터의 과정을 재차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50), 센서(33) 및 배터리 전원의 이상 여부는 각각의 장치의 이상 발생 뿐만 아니라, 중앙처리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 따른 장치의 정상 동작 불가능도 포함된다.
한편, GPS 모듈(52), 센서(33) 및 배터리 전원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스텝 S7 ~ S9에서 판단되면, 도 2b로 나아가서 통신부(50)에 전원을 인가하고(S1), 지정된 상태 오류정보를 SMS로 서버에 전송한 후(S2), 통신부(50)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연속해서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지정 주파수대역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파는 광범위한 주파수에 걸쳐 존재하는바, 일정범위의 주파수대역에 존재하는 협대역 전자파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측정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S1), 선택된 측정 주파수대역을 IF신호로 변환시키는 업 믹서(Up Mixer)와 다운 믹서(Down Mixer)에 필요한 로컬 클록(Local clock)을 공급하기 위해 PLL(Phase locked Loop) 디바이스부에 주파수를 세팅한다(S2). 여기서 PLL 디바이스부는 분주기, 위상비교기, 필터, VCO(전압제어 발진기), 엠프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3축 등방성 안테나(11)의 각 축에 감지되는 전자파를 측정하도록, 먼저 X축 안테나를 선택한다(S3).
X축 안테나로부터의 RF신호가 RF스위치(12)를 통해 스펙트럼 처리부(20)에 입력되면, 스펙트럼 처리부(20)의 RF부(21)는 입력된 RF신호를 소정대역폭을 갖는 IF신호로 낮추어 신호처리부(22)로 입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신호처리부(22)는 상기 IF신호의 RF 파워(세기)를 계산하여 중앙처리부(30)에 입력한다.
따라서 중앙처리부(30)의 MCU(31)에서 이를 처리하고(S4), 주파수별 V/m값(전계강도값)으로 변환하여(S5), X축 측정값으로서 메모리(32)에 저장한다(S5-1).
상기 소정 안테나 선택 및 그에 따른 주파수별 V/m값으로 변환 및 메모리 저장 순으로 진행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Y축 안테나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즉 Y축 안테나를 선택하고(S6), Y축 안테나가 선택됨에 따라 신호처리부(22)에서 계산된 RF 파워를 MCU(31)에서 처리하여(S7), 주파수별 V/m값으로 변환한 후(S8), 이를 Y축 측정값으로서 메모리(32)에 저장한다(S8-1).
마찬가지로, Z축 안테나를 선택하고(S9), Z축 안테나가 선택됨에 따라 신호처리부(22)에서 계산된 RF 파워를 MCU(31)에서 처리하여(S10), 주파수별 V/m값으로 변환한 후(S11), 이를 Z축 측정값으로서 메모리(32)에 저장한다(S11-1).
이와 같이 X, Y, Z축 안테나에 대한 RF 파워가 측정되고, 주파수별 V/m값으로 변환되어 메모리(32)에 저장되면, 선택된 측정주파수(S1) 대역의 다음 10MHz 대역폭의 RF 파워 측정을 위해 이전의 PLL 세팅 주파수(S2)에 10MHz를 더하여(S12) PLL 디바이스에 주파수를 세팅(S2)하고 측정과정을 반복한다. 이는 스펙트럼 처리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MHz 대역폭 단위로 동작 및 계산하도록 구성되므로 입력 RF 범위 30MHz ~ 3GHz에 대해 10MHz로 나누어 스펙트럼으로 입력시키는 것으로, 믹서의 국부발진주파수가 시작주파수 대비 10MHz씩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세팅된 PLL 주파수에 10MHz를 더한 값을 PLL에 Setting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전 PLL 세팅 주파수에 10MHz가 더해진 PLL 세팅 주파수가,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의 최대주파수보다 작으면(S13), PLL 주파수 세팅(S2)부터 과정을 반복하고, 같거나 크면 스텝 S5-1, S8-1 및 S11-1에서 메모리(32)에 저장된 X, Y, Z축 각각의 측정값을 합산하여 메모리(32)에 저장 관리한다(S14).
이후,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10)의 3축 안테나(11)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전계강도를 MCU(31)에서 계산하여(S15), 계산값을 메모리(32)에 저장하고(S15-1), 다음 측정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에는 스텝 S1으로 되돌아가 측정 주파수대역을 선택한 후 스텝 S2 이하의 동작을 반복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 20 : 스펙트럼처리부
30 : 중앙처리부 40 : 전원 및 충전부
50 : 통신부

Claims (6)

  1. 전자파를 감지 및 검출하고 RF신호를 선택하도록, 3축 등방성 안테나(11) 및, RF스위치(12)로 구성된 전자파감지 및 검출부(10);
    상기 RF스위치(12)를 통과한 RF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RF스위치(12)로부터 입력된 RF신호를 소정 대역폭을 갖는 IF신호로 낮추는 RF부(21) 및, RF부(21)로부터 입력된 IF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F신호의 RF Power를 계산하는 신호처리부(22)로 구성된 스펙트럼처리부(20);
    상기 전자파 감지 및 검출부(10)와 스펙트럼처리부(20)를 제어하여 전자파 측정 및 처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을 처리하는 MCU(31)와, 측정된 전자파 데이터값 및 장치의 각 상태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32)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앙처리부(30);
    상기 중앙처리부(30)에 대한 동작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전지(41) 및 배터리(42)와, 이들을 관리하는 전력관리블록(43)으로 구성된 전원 및 충전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30)는,
    장치 내부 온도 및 배터리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센서(33)와, 장치의 온 상태와 시스템의 오류 상태 및, 센서(33)에 의해 감지된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34)와,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35)가 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30)에서 처리된 전자파 측정 데이터값을 서버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모뎀모듈(51) 및, 전자파 측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52)로 구성된 통신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30)의 메모리(32)는 탈부착형 Micro-SD Card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30)의 MCU(31)는, 스펙트럼처리부(20)로부터 수신된 IF신호 대역 파워 및, RF부(21)에 설정된 주파수를 기반으로 지정된 주파수대역의 전자파 세기를 계산하여 V/m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30096809A 2013-08-14 2013-08-14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KR10145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09A KR101451268B1 (ko) 2013-08-14 2013-08-14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09A KR101451268B1 (ko) 2013-08-14 2013-08-14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268B1 true KR101451268B1 (ko) 2014-10-15

Family

ID=5199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809A KR101451268B1 (ko) 2013-08-14 2013-08-14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673B1 (ko) * 2015-07-30 2017-08-18 최춘화 전자파 및 접지저항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4342B1 (ko) * 2018-04-19 2019-05-22 주식회사 아고스 고출력 레이다의 전자파 세기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US11129115B2 (en) 2018-11-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posure to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335A (ko) * 1995-10-31 1997-05-28 배순훈 전자파 감지형 모니터
KR20130047000A (ko) * 2011-10-31 2013-05-08 (주)시스다인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335A (ko) * 1995-10-31 1997-05-28 배순훈 전자파 감지형 모니터
KR20130047000A (ko) * 2011-10-31 2013-05-08 (주)시스다인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673B1 (ko) * 2015-07-30 2017-08-18 최춘화 전자파 및 접지저항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4342B1 (ko) * 2018-04-19 2019-05-22 주식회사 아고스 고출력 레이다의 전자파 세기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US11129115B2 (en) 2018-11-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posure to wireless communication
US11924783B2 (en) 2018-11-27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posure to wireless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0293B2 (en) Circuit tracer
CN104620471B (zh) 排除交叉连接的无线功率接收器的无线功率发送器和用于控制其的方法
CN103368662B (zh) 电磁辐射检测方法和电子设备
KR101451268B1 (ko) 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CA2849932A1 (en) Radiat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unable elements
KR20130015786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Visconti et al. Solar powered wireless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arly flood prediction or optimized irrigation in agriculture
CN204376918U (zh) 天线姿态检测装置
CN208580200U (zh) 监控装置及监控系统
CN201773155U (zh) 便携式电磁辐射强度显示装置
KR102572126B1 (ko) 초소형 주파수 선택적 전자파 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iez et al. Design and integration of a low-complexity dosimeter into the smart city for EMF assessment
CN108153205A (zh) 基于Lora技术的无线开关控制器
Popovic Far-field wireless power delivery and power management for low-power sensors
CN107796990B (zh) 一种电磁辐射测量网络和辐射地图绘制方法
CN206946709U (zh) 基于NB‑IoT的车位检测装置
CN204142839U (zh) 空间电磁频谱检测装置
KR101954342B1 (ko) 고출력 레이다의 전자파 세기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Jolly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dual-band multi-stage RF energy harvesting circuit for low power applications
CN201429651Y (zh) 无线智能谐波监测系统
KR20150077679A (ko) 무선 전력 송수신기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JP2014167704A (ja) 無線送信機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207882719U (zh) 基于Lora技术的无线开关控制器
KR101378837B1 (ko) 광대역 전자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N207518600U (zh) 一种功率监测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