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66B1 -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066B1 KR101451066B1 KR1020140028961A KR20140028961A KR101451066B1 KR 101451066 B1 KR101451066 B1 KR 101451066B1 KR 1020140028961 A KR1020140028961 A KR 1020140028961A KR 20140028961 A KR20140028961 A KR 20140028961A KR 101451066 B1 KR101451066 B1 KR 1014510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block
- block bodies
- truss girder
- deck plate
- block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장지간으로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를 복수로 분할시킨 단위 블록체로 구성하여 이를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운반이 용이하면서 현장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직재, 사재, 상,하현재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로 구비하되 상기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는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가로보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단위 블록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A truss gird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deck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plate. The truss gird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blocks, which can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truss girder.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uss girder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a work piece, a top and a bottom, and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formed by dividing a truss gir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connecting en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block body, The block bodi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nit block bodies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an interval at which the deck plates can be placed and can be mutually supported by the beams, and deck plates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uss gir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장지간으로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를 복수로 분할시킨 단위 블록체로 구성하여 이를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운반이 용이하면서 현장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al truss gird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ss girder constructed by dividing a truss girder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deck plate into a plurality of unit blo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which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easily and firmly in the field while being easily transport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트러스(truss) 구조물은 부재(部材)가 휘지 않게 접합점을 핀으로 연결한 골조구조로 아치 형식, 현수 형식 및 보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은 경량이면서 큰 하중을 받는 건축/토목용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트러스 구조물로는 트러스교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여타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및 조형물 등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truss structure is a frame structure in which connecting points are connected by pins so that members do not bend, and arch type, suspension type, and beam type are generally used. Such truss structure is a light / heavy / It is widely used as a civil engineering member, truss bridge is a typical truss bridge, and it is applied to other theaters, exhibition halls, advertising towers and sculptures.
그리고 강박스 거더는 철강재를 가지고 박스 형태로 제작 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강박스형 교량 거더는 강판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박스형이 되게 조합하여 시공하는 방식에 해당되는 것으로, 강박스 거더는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강박스와 하현재 강관을 사재로 연결하여서 된 강박스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여 단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The steel box girder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with steel material. Such a steel box type bridge girder corresponds to a method in which a steel plate is combined with a box type by a means such as welding, and a steel box girder is bent, twisted In order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eel box, the steel box truss girder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steel box and the bottom steel pipe to each other.
또한, 강박스 거더의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공개 제10-2009-0066560호에서는 저판의 양측으로 측판이 용접연결되고, 상기 측판의 상단에 부착되는 플랜지를 갖춘 강박스 거더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측판과 연결되는 상기 저판의 양측부에서 상기 각 측판의 상단부 측으로 각각 크로스되면서 상기 저판의 양측부 및 상기 각 측판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 브레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브레이싱이 상기 저판의 양측부 및 상기 각 측판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한 것과 같은 여러형태의 강박스 거더가 제시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steel box girder having a flange welded to both sides of a bottom plate and weld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a cable bracing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ide plates while being crossed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the top end side of the respective side plates, And various types of steel box girders which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side plates.
특히, 강박스 트러스 거더의 경우에는 강박스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거더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장지간의 모든 하중을 축력으로 받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강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teel box truss girder, since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ox is varied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higher rigidity is required to receive all loads between the steel sheets as axial force.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트러스 거더의 경우에는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에 트러스 거더가 주로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별도의 난간대를 설치해야 될 뿐만 아니라 트러스 거더는 넓은 공간에 걸치는 대형 구조물에 해당되므로 제작공장에서 완성된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이를 도심의 도로 등을 통행하여 운반하거나 설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uss girder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nce the truss girder is installed mainly at the lower part of the deck plat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stall a separate railroad girder but also to a large structure When a finished product is manufactured at a factory, it has many problems in transporting or installing the product through the roads of the city cent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재, 사재, 상,하현재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로 구비하고 상기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 양단에 형성된 연결단부를 접속하여 단위 블록체를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데크 플레이트의 양측에 놓여지도록 단위 블록체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가로보와 연결하고 상기 단위 블록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트러스 거더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uss girder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a workpiece, The unit block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connecting end portions and the unit block bodie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b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deck plate and are connected to the cross beams and a deck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 beams located between the unit block bodies The truss gird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truss girder.
본 발명은 수직재, 사재, 상,하현재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로 구비하되 상기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는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가로보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단위 블록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트러스 거더를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girder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a work piece, a top and a bottom, and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connection en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block body are interconnected, The unit block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supported by the beams and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intervals at which the deck plates can be placed, and a deck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beam located between the unit block bodies The truss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uss girder is made up of:
상기 단위 블록체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의 상,하부 양측면에 부착시켜 병렬로 배치한 한 쌍의 상,하현재와, 상기 수직재 및 상,하현재를 연결하는 사재와, 상기 상,하현재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향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로 고정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연결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unit block body comprises: A vertical member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pair of upper and lower member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in parallel, a work piece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upper and lower ends, And connecting ends formed at opposite ends thereof so as to b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상기 상,하현재의 병렬 연결부분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를 부착시켜 단위 블록체를 수직으로 적층 연결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vertically connecting the unit block bodies by attaching vertically connecting members vertically formed with coupling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side of the parallel connection unit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상기 단위 블록체는 데크 플레이트의 양측에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unit block body is disposed on at least two rows of both sides of the deck plate.
수직재, 사재, 상,하현재로 이루어진 트러스 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가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열 이상의 단위 블록체가 배치되어 가로보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트러스 거더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divided longitudinally of a truss girder made up of a vertical member, a workpiece, an upper and a lower member; Connecting the unit block bodies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rows of unit block bodie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intervals at which the deck plates can be placed and can be mutually supported by the cross beams; Connecting unit en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block body up and down to each other to establish a unit block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talling a deck plate on top of the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unit block bodies.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는 제작공장에서 장지간으로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를 복수의 단위 블록체로 구성하여 이를 현장까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현장에서 트러스 거더의 설치시에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as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site and can be assembled easily and firmly even when installing the truss girder in the field. So that it is very economical and can increase work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조립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조립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3열 배치하고 가로보로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 양단에 구비한 연결단부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가로보를 연결하고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상,하현재에 수직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체결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상,하부의 단위 블록체를 상하 교호로 연결하여 수직으로 지지각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상,하부의 단위 블록체를 상하 교호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를 이용하여 트러스 거더의 지지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거더에서 단위 블록체의 또 다른 형태의 사재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nit block body is assembled and connected in an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it block bodies are arranged in three rows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ed by a beam.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connection end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unit block bodie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am block is connected to a unit block body and a deck plate is installed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in which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is fastened to upper and lower parts of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unit block bodies are vertically alternat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unit block bodies of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up and down alternately.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uss girder is installed at a support angle using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structure of a unit block body in the assembled trus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수직재(11), 사재(12), 상,하현재(13)(14)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10)로 구비하되 상기 단위 블록체(10)의 상,하현재(13)(14)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15)(15')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단위 블록체(10)는 데크 플레이트(40)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가로보(20)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단위 블록체(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2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t block body (10)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11), a work piece (12), and upper and lower members (13) and (14) And the connecting
상기 단위 블록체(10)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수직재(11)와, 상기 수직재(11)의 상,하부 양측면에 부착시켜 병렬로 배치한 한 쌍의 상,하현재(13)(14)와, 상기 수직재(11) 및 상,하현재(13)(14)를 연결하는 사재(12)와, 상기 상,하현재(13)(14)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향된 체결구멍(15a)이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16)로 고정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연결단부(15)(15')가 형성되어 있다.
The unit block body (10) comprises: A pair of upper and
또, 상기 단위 블록체(10)는 데크 플레이트(40)의 양측에 적어도 2열 이상배치되어 형태안정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1에서는 단위 블록체(10)가 데크 플레이트(40)의 양측에 3열 배치된 트러스 거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rows of the
상기 수직재(11)는 "I"형으로 구비되어 양측 플랜지부(11a)에 상,하현재(13)(14)를 일체로 부착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측 웨브(11b)에 사재(12)를 부착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상현재(13) 또는 하현재(14)의 병렬로 평행한 부분에 가로보(20)가 안정적으로 받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병렬 연결부분 내측에서 U볼트(21)와 체결편(22)을 이용하여 가로보(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nd the
상기 사재(12)의 경우에는 상,하현재(13)(14)와 수직재(11)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사재(12)의 배치형태는 도 7 또는 도 14와 같이 여러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e
그리고 상,하현재(13)(14)의 병렬 연결부분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결합구멍(18a)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18)를 부착시켜 단위 블록체(10)를 수직으로 다단 적층하여 지지각(3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1 및 도 13과 같이 단위 블록체(10)를 수직으로 다단 적층 연결하면서 상,하부 단위 블록체(10)가 교호로 배치되도록 하여 지지각을 구성하되 단위 블록체(10)의 상,하단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수직연결부재(18)의 결합구멍(18a)에 체결볼트 등의 제2체결부재(19)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식 트러스 거더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assembled truss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은 단위 블록체(10)를 제조한 다음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현장에서 단위 블록체(10)를 연결 조립하고, 가로보(20) 및 데크 플레이트(40)를 설치하는 수단으로 트러스 거더를 직접 시공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즉, 수직재(11), 사재(12), 상,하현재(13)(14)로 이루어진 트러스 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10)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10)가 데크 플레이트(40)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열 이상의 단위 블록체(10)가 배치되어 가로보(20)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10)의 상,하현재(13)(14)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15)(15')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2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0)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A plurality of
즉,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수직재(11), 사재(12), 상,하현재(13)(14)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를 길이방향으로 분할시킨 복수의 단위 블록체(10)를 단위 블록체(10)에 데크 플레이트(40)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3열로 이루어진 단위 블록체(10)를 배치시킨 다음 하현재(14)의 병렬로 평행한 부분에 가로보(20)가 받쳐지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U볼트(21)와 체결편(22)을 이용하여 가로보(20)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가로보(20)에 의해 양측의 단위 블록체(10)가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이어서 도 7과 같이 단위 블록체(10)의 상,하현재(13)(14)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15)(15')를 상호 대응되게 접속시킨 다음 제1체결부재(16)를 이용하여 연결단부(15)(15')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단위 블록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The connecting
이렇게 단위 블록체(10)를 연결한 다음 도 10과 같이 상기 단위 블록체(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2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0)를 설치한 다음 데크 플레이트(40)에 콘크리트 몰탈이나 아스콘 등을 타설하여 마감 포장을 하게 된다.
10,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단위 블록체 11 : 수직재
11a : 플랜지부 11b : 웨브
12 : 사재 13 : 상현재
14 : 하현재 15,15' : 연결단부
15a : 체결구멍 16 : 제1체결부재
18 : 수직연결부재 18a : 결합구멍
19 : 제2체결부재 20 : 가로보 21 : U볼트 22 : 체결편 30 : 지지각 40 : 데크 플레이트10: Unit block body 11: Vertical body
11a:
12: Work item 13: Award current
14: bottom current 15,15 ': connection end
15a: fastening hole 16: first fastening member
18: vertical connecting
19: second fastening member 20: Rear beam 21: U-bolt 22: Fastening piece 30: Support angle 40: Deck plate
Claims (5)
상기 수직재(11)의 상,하부 양측면에 부착시켜 병렬로 배치한 한 쌍의 상,하현재(13)(14) 및 상기 상,하현재(13)(14)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향된 체결구멍(15a)이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16)로 고정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연결단부(15)(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단위 블록체(10)와,
상기 단위 블록체(10)의 상,하현재(13)(14)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15)(15')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10)는 데크 플레이트(40)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데크 플레이트(40)의 양측에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고상기 상현재(13) 또는 하현재(14)의 병렬로 평행한 부분에 가로보(20)가 받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병렬 연결부분 내측에서 U볼트(21)와 체결편(22)으로 체결되는 가로보(20)에 의해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위 블록체(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거더.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10 in which a truss girder made up of a vertical member 11, a workpiece 12 and upper and lower members 13 and 14 is longitudinally divided
A pair of upper and lower plates 13 and 14 attach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11 and arranged side by side are fastened to opposit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 and 14, A unit block body 10 including a connection end 15 and a connection end 15 'formed with holes 15a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16;
The unit block bodies 1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end portions 15 and 15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13 and 14 of the unit block body 10,
The unit block bodies 10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an interval at which the deck plates 40 can be placed.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eck plate 40 and the upper block 13 or the lower block 14, And a cross beam 20 fastened to the U-bolts 21 and the fastening pieces 22 inside the parallel connection parts so as to be mutually supported,
And a deck plate (4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20) positioned between the unit block bodies (10).
상기 상,하현재(13)(14)의 병렬 연결부분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결합구멍(18a)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18)를 부착시켜 단위 블록체(10)를 수직으로 적층 연결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body 10 is vertically stacked and connected by attaching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18 having a coupling hole 18a vertic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parallel connecting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urrents 13 and 14, So as to be able to be fastened.
상기 단위 블록체(10)가 데크 플레이트(40)가 놓여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열 이상의 단위 블록체(10)가 배치되고 상기 상현재(13) 또는 하현재(14)의 병렬로 평행한 부분에 가로보(20)가 받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병렬 연결부분 내측에서 U볼트(21)와 체결편(22)으로 체결되는 가로보(20)에 의해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10)의 상,하현재(13)(14) 양단에 형성시킨 연결단부(15)(15')를 상호 연결하여 단위 블록체(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블록체(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보(2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0)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거더의 시공방법.
A truss girder made up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pieces 13 and 14 which are attach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11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11, Comprising: providing a plurality of unit block bodies (10);
At least two or more rows of unit block bodies 10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at an interval at which the unit block bodies 10 can be placed on the deck plate 40, (20) is supported on a parallel portion, and then the U-bolt (21) and the fastening piece (22)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cross beam (20) inside the paralle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unit block bodies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end portions 15 and 15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block body 1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13 and 14;
And installing a deck plate (40)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20) positioned between the unit block bodie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961A KR101451066B1 (en) | 2014-03-12 | 2014-03-12 |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961A KR101451066B1 (en) | 2014-03-12 | 2014-03-12 |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1066B1 true KR101451066B1 (en) | 2014-10-15 |
Family
ID=5199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961A Active KR101451066B1 (en) | 2014-03-12 | 2014-03-12 |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106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07743A (en) * | 2019-10-23 | 2019-12-24 | 山西联邦环境工程有限公司 | A full-bolt connection type honeycomb multi-layer H-shaped steel bridge structure and its assembly method |
CN112551333A (en) * | 2020-12-15 | 2021-03-26 | 通力电梯有限公司 | Connecting assembly for connecting a multi-function panel to a truss beam of an escal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312Y1 (en) * | 2000-02-03 | 2000-06-15 | 이인배 | Truss structure |
KR101250482B1 (en) * | 2010-06-14 | 2013-04-03 |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 Undergrou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rope and curing pannel flame |
-
2014
- 2014-03-12 KR KR1020140028961A patent/KR1014510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312Y1 (en) * | 2000-02-03 | 2000-06-15 | 이인배 | Truss structure |
KR101250482B1 (en) * | 2010-06-14 | 2013-04-03 |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 Undergrou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rope and curing pannel fl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07743A (en) * | 2019-10-23 | 2019-12-24 | 山西联邦环境工程有限公司 | A full-bolt connection type honeycomb multi-layer H-shaped steel bridge structure and its assembly method |
CN112551333A (en) * | 2020-12-15 | 2021-03-26 | 通力电梯有限公司 | Connecting assembly for connecting a multi-function panel to a truss beam of an escal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1637B1 (en) | Constrution methoed for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using steel truss member | |
CN101688395B (en) | 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 |
KR101118608B1 (en) | Pipe truss structure | |
JP4985540B2 (en) | Vertical beam system for mobile work vehicles for cantilever installation | |
KR101648008B1 (en) | Temporary bridge using precast truss assembly construction method | |
CN105780989B (en) | A kind of twin beams building cover structure | |
KR100896173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long beams, muju structure including them, muju parking structure, and jangji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muju structure | |
KR100888231B1 (en) | Beam manufacturing method and muju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 |
KR102269128B1 (en) | Support Structure for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RC Beam Mold,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RC Beam Mold | |
KR101547540B1 (en) |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 |
KR102000114B1 (en) | Modular truss girder for temporary bridge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 |
KR101451066B1 (en) | A prefabricated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1129502B1 (en) | Synthetic girder of i type | |
KR20080093261A (en) | Steel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1492078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girder | |
KR101470135B1 (en) | Steel frame structures using steel beam having tapered flange | |
KR101682010B1 (en) | Girder type for assembling in-site having reinforced anti-buckling | |
KR101561262B1 (en) | PSC I-type girder for easy maintenance and fall prevention | |
KR101471333B1 (en) | Structure for truss Girder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1299089B1 (en) | Composite bridge | |
KR102491179B1 (en) | Preflex steel gird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825580B1 (en) | Steel and precast concrete hybrid beam | |
KR20140070700A (en) | Assembly temporary bridge using all-in-one floor plate and girder | |
KR101820375B1 (en) | Bridge structure supported by steel box girder and central separator | |
JP4772308B2 (en) | How to build a unit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