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804B1 -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804B1
KR101450804B1 KR1020130141275A KR20130141275A KR101450804B1 KR 101450804 B1 KR101450804 B1 KR 101450804B1 KR 1020130141275 A KR1020130141275 A KR 1020130141275A KR 20130141275 A KR20130141275 A KR 20130141275A KR 101450804 B1 KR101450804 B1 KR 10145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module
image
unit
det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체가 상부에 위치하는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제1 검출기모듈; 상기 대상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검출기모듈과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제2 검출기모듈; 상기 제1 검출기모듈 및 제2 검출기모듈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한 후,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검출기모듈에 맞닿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대상영역으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는 빔투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종양제거 수술 시 환자의 환부 내 종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종양만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Image guiding instrumentation using radiation detector for surgery}
본 발명은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체의 대상영역에 대한 특성, 위치, 크기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단계로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종양 절제술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양 절제술은 종양의 분류와 유형을 판단하는 생검 등의 진단적 수술 또는 종양을 둘러싼 림프절과 원발병소를 모두 제거하는 근치적 수술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종양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환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워, 환부 내 실제 존재하는 종양을 모두 제거하지 못하여 재발 또는 전이가 발생하거나, 종양이 아닌 정상 조직을 과도하게 제거하여 폐합병증, 복강 내 농양, 출혈, 장폐색, 배뇨장애 및 성기능 장애 등과 같은 수술 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종양 절제술을 위해, CT, MRI, PET 등을 이용한 영상 유도 수술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수술 방법은 획득한 영상과 수술 시의 환부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수술 중 출혈에 의해 정확한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는 형광영상을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수술을 유도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환부가 피부 속에 존재하는 경우,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환자에 따라 형광염료 의약품이 거부반응 또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 유해하고, 특정 수술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의약품 선택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 1은 미국등록특허 제07130676호(2006.10.31)로서, 외과 수술 중의 레지스트레이션을 가진 형광투시 영상 유도 정형외과의 외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환자의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작동가능한 촬상 수단; 상기 기준 장치에 배치되는 최소한 하나의 국소화 센서를 포함하여 환자, 상기 기준 장치의 근처에 배치되도록 작동가능한 기준 장치; 상기 수술 기구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국소화 센서를 포함하여 오퍼레이션, 상기 수술 기구를 수행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해 작동 가능한 수술 기구; 상기 수술 기구와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국소화 센서가 상기 기준 장치와 관련된 채로 연합된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국소화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기준 장치에 대한 상기 수술 기구의 포지션을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국소화 시스템; 그리고 환자의 영역의 이미지에서 뚜렷한 영역, 상기 단지 한 기준 마커에 대한 부착을 위한 단지 1 기준 마커에 있어서, 상기 단지 한 기준 마커는 국소화 시스템과 관련한 영역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상체의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이 위치하는 곳에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투사하여 정확한 대상영역을 위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대상체가 상부에 위치하는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제1 검출기모듈; 상기 대상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검출기모듈과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제2 검출기모듈; 상기 제1 검출기모듈 및 제2 검출기모듈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한 후,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검출기모듈에 맞닿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대상영역으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는 빔투사부; 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투사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제어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검출기모듈의 유효시야와 상기 빔투사부의 빔투사선이 일치되도록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이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에 주입되어 분포한 방사성의약품으로부터 방출된 한 쌍의 감마선을 동시에 검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계수획득모듈;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하는 대상영역확인모듈; 상기 대상영역확인모듈이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모듈; 및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기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회전부로 전송하는 투사각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로부터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영역의 위치, 깊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공상태를 갖는 환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검출기모듈 및 제2 검출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종양제거 수술 시 환자의 환부 내 종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종양만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환부 내 종양의 위치 뿐만 아니라, 크기, 모양, 깊이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환부 내 종양의 위치 뿐만 아니라, 크기, 모양, 깊이 등을 영상으로 생성하여 환부에 직접 실시간으로 투시함으로써, 수술의사로 하여금 보다 정확한 수술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중 회전부가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의료분야에 적용하여 종양을 갖는 환자를 대상체로 선정하고,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환부) 내 대상영역(종양)을 판단하여 판단한 대상영역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유방암 환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유방 내 종양 위치를 검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사용되는 방사선 검출기란, 양전자 방출체를 추적자로 표지한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전자-양전자 쌍소멸 현상에 의해 동시에 발생한 감마선 쌍을 검출기가 측정하여 양전자 방출 핵종의 체내 분포에 대한 공간적 위치 정보를 영상으로 표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에 따라, 베드에 누워있는 환자의 유방 내 방사성 의약품을 주입한 후, 상기 유방 내 존재하는 종양으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검출하여 종양이 존재하는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종양의 위치를 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종양에 직접 투사한다.
결과적으로, 환부 내 종양 위치에 종양을 나타내는 영상이 직접 투사됨으로써, 환부를 절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종양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100)는 제1 검출기모듈(110), 제2 검출기모듈(130), 제어부(150), 빔투사부(170), 회전부(190) 및 거리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검출기모듈(110)는 대상체가 상부에 위치하는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한다.
제2 검출기모듈(130)는 상기 대상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검출기모듈(110)과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 주입된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검출기모듈(110) 및 제2 검출기모듈(130)은 중공상태를 갖는 환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섬광층, 광확산층, 광센서 어레이 및 검출회로를 포함한다.
섬광층은 복수 개의 막대형 섬광체 어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상기 섬광체는 BGO(Bismuth Germanate), LSO(Lutetium Oxyorthosilicate), LYSO(Lutetium Yttrium Oxyorthosilicate), LuAP(Lutetium Aluminum Perovskite), LuYAP(Lutetium Yttrium Aluminum Perovskite), LaBr3(Lanthanum Bromide), LuI3(Lutetium Iodide), GSO(Gadolinium oxyorthosilicate), LGSO(lutetium gadolinium oxyorthosilicate), LuAG(Lutetium aluminum garnet), NaI(Tl)(Thallium doped Sodium Iodide), LFS(Lutetium fine silicate), GAGG(Gadolinium aluminum gallium garnet)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확산층은 상기 섬광층에 연결되어, 상기 섬광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광체로부터 전달되는 섬광신호를 확산시킨다. 이때, 광확산층은 석영 또는 플렉시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검출기 모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기 모듈 내 광확산층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섬광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광체로부터 전달되는 섬광신호가 광센서 어레이로 전달된다.
광센서 어레이는 상기 광확산층에 연결되어 상기 광확산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섬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광센서 어레이는 광증배관(PMT: Photo Multiplier Tube)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실리콘광증배소자(SiPM: Silicon Photo Multiplier), 디지털 실리콘광증배소자(DSiPM: Digital Silicon Photo Multiplier), MPPC(Multi-Pixel Photon Counter), CZT(CdZnTe), CdTe, APD(Avalanche Photo Diode), HgI2(Mercuric iodide), PIN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형 광센서(Solid-state Photomultipli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형 광센서는 실리콘 계열의 반도체형 광센서 또는 게르마늄 계열의 반도체형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센서 어레이가 CZT(CdZnTe) 또는 CdTe 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검출기 모듈의 구성요소 중 섬광층을 이루는 섬광체가 생략될 수 있다.
검출회로는 상기 광센서 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광센서 어레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미리 설정된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섬광층 내 감마선의 반응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검출기모듈(110) 및 제2 검출기모듈(130)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한 후,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동시계수획득모듈(152), 종양확인모듈(154), 환부영상생성모듈(156) 및 투사각제어모듈(158)을 포함한다.
동시계수획득모듈(152)은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110, 130)이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에 주입되어 분포된 방사성의약품으로부터 방출된 한 쌍의 감마선을 동시에 검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대상영역확인모듈(154)은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110, 130)이 검출한 감마선 즉, 감마선의 반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한다. 이러한 대상영역확인모듈(154)은 상기 감마선의 반응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영역의 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영역의 깊이, 대상영역의 전체적인 크기 및 대상영역의 실제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검출기모듈(130)와 빔 투사부(170)의 개수가 각각 2개 이상인 경우에, 빔 투사부(170)로부터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빔이 대상영역으로 투사되도록 하여,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는 대상영역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영역의 세부 확인을 통해, 종양 절제술 시, 대상영역이 나타내는 종양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생성모듈(156)은 상기 대상영역확인모듈(156)이 확인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은 앞서, 대상영역확인모듈(154)이 확인한 대상영역의 위치, 깊이, 크기,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생성모듈(156)은 대상영역확인모듈(154)에서 판단한 대상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검출기모듈(110)과 제2 검출기모듈(130)에서 동시계수되는 감마선을 통해 2차원 방사성의약품 분포 영상을 재구성하고, 특정 색상을 갖는 빔을 대상영역으로 투사하여 빔 폭이 대상영역의 크기 및 모양과 일치하도록 한다.
투사각제어모듈(158)은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회전부(190)로 전송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빔투사부(170)는 중공상태인 상기 제2 검출기모듈(130)에 맞닿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0)가 판단한 종양으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한다. 이때, 상기 빔투사부(170)는 상기 제2 검출기모듈(130)과 맞닿은 위치 뿐만 아니라, 제2 검출기모듈(130)의 중앙 내부 또는 상기 제2 검출기모듈(130)로부터 최소 30cm 정도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190)는 상기 빔투사부(170)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회전부(190)는 상기 제2 검출기모듈(130)의 유효시야와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선이 일치되도록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부(190)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서보 모터(Servo Motor) 등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 구성된 2축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조절부는 상기 회전부(190)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170)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대상영역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 거리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2 검출기모듈(130)가 2개 설치되는 경우에, 첫 번째 제2 검출기모듈을 A라고 하고, 두 번째 제2 검출기모듈을 B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부는 제1 검출기모듈(110)의 위치좌표와 제2 검출기모듈(130) A, B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제2 검출기모듈(130)의 빔투사부(170)가 투사하는 빔의 투사각을 계산하고, 제2 검출기모듈(130) A와 B가 투사하는 빔의 교차 지점을 종양이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판단하여 투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회전부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중 회전부가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a는 대상영역(종양)을 갖는 대상체(환자)의 관심영역(환부)에 주입된 방사성 의약품을 나타내고, b는 제2 검출기모듈의 유효시야각을 나타내며, c는 빔투사부의 투사선을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영역(종양)을 갖는 대상체의 관심영역(환부)으로 주입된 방사성의약품(a)의 전자-양전자 쌍소멸 현상에 의해 동시에 발생한 감마선 쌍을 제1 및 제2 검출기 모듈(110, 130)이 측정한다. 하지만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 모듈(110, 130)의 유효시야 내 상기 방사성의약품(a)이 존재하여 감마선을 검출하는 바와 달리, 빔투사부(170)의 영상이 투사되는 빔투사선(c)은 상기 방사성의약품(a)의 존재 위치를 벗어난 곳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환부 내 종양을 검출하였다고 하더라도, 영상생성모듈(156)이 생성한 영상을 실제 종양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투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양을 제거하지 못하고, 종양이 아닌 정상 조직을 제거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투사부(170)의 끝단에 배치된 회전부(190)를 통해,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110, 130)의 유효시야각과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이 상호 일치하도록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환자)의 관심영역(환부)로 주입된 방사성의약품(a)이 존재하는 위치와,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110, 130)의 유효시야각(b) 및 상기 빔투사부(170)의 투사각(c)을 동일선상이 되도록 일치시킴으로써, 환부 내 실제 종양이 위치하는 곳에 정확하게 종양을 나타내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종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종양제거 수술 시 환자의 환부 내 종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종양만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환부 내 종양의 위치 뿐만 아니라, 크기, 모양, 깊이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는 환부 내 종양의 위치 뿐만 아니라, 크기, 모양, 깊이 등을 영상으로 생성하여 환부에 직접 실시간으로 투시함으로써, 수술의사로 하여금 보다 정확한 수술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제1 검출기모듈 130: 제2 검출기모듈
150: 제어부 170: 빔투사부
190: 회전부

Claims (7)

  1. 대상체가 상부에 위치하는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제1 검출기모듈;
    상기 대상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검출기모듈과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으로부터 발생된 감마선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제2 검출기모듈;
    상기 제1 검출기모듈 및 제2 검출기모듈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한 후,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검출기모듈에 맞닿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대상영역으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는 빔투사부;
    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투사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제어하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검출기모듈의 유효시야와 상기 빔투사부의 빔투사선이 일치되도록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이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에 주입되어 분포한 방사성의약품으로부터 방출된 한 쌍의 감마선을 동시에 검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계수획득모듈;
    상기 제1 및 제2 검출기모듈이 검출한 감마선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을 판단하는 대상영역확인모듈;
    상기 대상영역확인모듈이 판단한 대상영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모듈; 및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빔투사부의 투사각도를 회전시키기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회전부로 전송하는 투사각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빔투사부로부터 상기 관심영역 내 대상영역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영역의 위치, 깊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기모듈 및 제2 검출기모듈은
    중공상태를 갖는 환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KR1020130141275A 2013-11-20 2013-11-20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KR10145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75A KR101450804B1 (ko) 2013-11-20 2013-11-20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75A KR101450804B1 (ko) 2013-11-20 2013-11-20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804B1 true KR101450804B1 (ko) 2014-10-15

Family

ID=5199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275A KR101450804B1 (ko) 2013-11-20 2013-11-20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381A (ko) * 2002-02-13 2003-08-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단층상 작성장치와 단층상 작성방법 및 방사선 검사장치
KR20060051425A (ko) * 2004-09-21 2006-05-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x-레이 촬상 시스템, x-레이 촬상 방법 및 x-레이이미지 생성 시스템
US20120008735A1 (en) 2010-06-08 2012-01-12 Accuray, Inc. Imaging Methods for Image-Guided Radiation Treatment
KR20120115648A (ko) * 2011-04-11 2012-10-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마선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381A (ko) * 2002-02-13 2003-08-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단층상 작성장치와 단층상 작성방법 및 방사선 검사장치
KR20060051425A (ko) * 2004-09-21 2006-05-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x-레이 촬상 시스템, x-레이 촬상 방법 및 x-레이이미지 생성 시스템
US20120008735A1 (en) 2010-06-08 2012-01-12 Accuray, Inc. Imaging Methods for Image-Guided Radiation Treatment
KR20120115648A (ko) * 2011-04-11 2012-10-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마선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7710B1 (en) Hand-held gamma camera
KR101542836B1 (ko)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장치용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 시스템
US7652256B2 (en) Solid state based PET retrofit for a CT scanner
US7956331B2 (en) Scintillation detector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US20120068076A1 (en) Portable pet scanner for imaging of a portion of the body
US20100012846A1 (en) Novel scintillation detector array and associate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gamma ray detection with encoding the energy, position, and time coordinaties of the interaction
US1046637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th-of-interaction positron tomography detector using dichotomous sensing
US8497480B2 (en) Particle radiotherapy apparatus
CN104285161B (zh) Spect/pet成像系统
US20100282972A1 (en) Indirect radiation detector
EP3513220B1 (en) Combined imaging detector for x-ray and nuclear imaging
Popovic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round hand-held silicon photomultiplier based gamma camera for intraoperative imaging
US9612344B2 (e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based on intensity attenuation shadowing methods and effects
US8410447B2 (en) Particle radiotherapy apparatus
Sajedi et al. Limited-angle TOF-PET for intraoperative surgical applications: proof of concept and first experimental data
KR101226901B1 (ko) 광가이드를 삽입한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기
KR101450804B1 (ko) 방사선 검출기를 이용한 수술용 영상 유도 기기
JP4352841B2 (ja) 放射線検出器、および、riイメージング装置
JP2020501117A (ja) 光センサの信号処理方法
KR20190101211A (ko) 수술용 일체형 광학/감마 융합영상장치
KR102030255B1 (ko) 3d 감마 프로브 및 이의 방사선 세기 측정 방법
Williams et al. Phantom study of radiotracer concentration quantification in breast scintigraphy
US9784852B1 (en) Surgical guidance system using hand-held probe with accompanying positron coincidence detector
Cañizares et al. Pilot Results of Detectors Enhancing TOF and DOI Capabilities, Suitable for TB-PET
KR101920153B1 (ko) Pet 검출기를 이용한 영상 재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