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88B1 -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588B1
KR101450588B1 KR1020130020926A KR20130020926A KR101450588B1 KR 101450588 B1 KR101450588 B1 KR 101450588B1 KR 1020130020926 A KR1020130020926 A KR 1020130020926A KR 20130020926 A KR20130020926 A KR 20130020926A KR 101450588 B1 KR101450588 B1 KR 10145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ater
reservoir
food was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826A (ko
Inventor
주현
Original Assignee
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 filed Critical 주현
Priority to KR102013002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8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에서 미세하게 분쇄하여 수분상태로 만들고 이러한 수분이 분쇄기 하부에 설치된 저장통에 일정량 모이면 센서의 감지로 수중모터를 이용하여 일정장소로 보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반기(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과, 상기 회전체(2)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과망(3)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통과망(3)하부에 설치되는 저장통(4)과, 상기 저장통(4)속에 설치되는 수중모터(5)와 상기 저장통(4)에 설치되어 물이 일정량 올라오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와, 상기 저장통(4)에 연결되는 호스(7)와, 상기 감지센서(6)에 의해 물이 일정량 감지되면 저장통(4)속의 수중모터(5)를 작동시켜 물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A high speed treat device of a food trash }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에서 미세하게 분쇄하여 거의 수분상태로 만들고 이러한 수분이 분쇄기 하부에 설치된 저장통에 일정량 모이면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수중모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일정장소로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0)내에 회전체(11)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11)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과망(12)이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기(10)내에 넣어지면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11)가 회전하여 교반기(10)내의 음식물을 분쇄하게 되고, 이렇게 잘게 분쇄된 음식물은 거의 물로 변하여 통과망(12)을 통해 배출물 저장조(13)에 저장되고 이어 배출구(15)로 배출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회전체(11)에 음식물 찌꺼기 등이 묻어 회전체(11)의 회전시 회전체(11)끝단이 통과망(12)에 접촉되어 통과망(13)이 찢겨져 손상되므로 통과망(12)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출물저장조(13)에 음식물 찌꺼기가 달라붙게 되며, 배출구(15)가 교반기(10)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냄새가 바로 올라옴은 물론, 배출구(15)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배출이 느리게 진행되므로 배출구(15)에도 찌꺼기가 달라붙게 되면서 냄새가 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기의 회전체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찌꺼기가 달라붙어 회전체에 의해 통과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수분상태로 만들고 이러한 수분이 분쇄기 하부에 설치된 저장통에 일정량 모이면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수중모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호스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체를 가진 통상의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전체에 음식물찌꺼기 등이 달라붙지 않아 통과망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교반기의 하부에는 수중모터를 가진 저장통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회전체에 의하여 음식물찌꺼기가 수분상태로 저장통에 일정량 모이면 센서의 감지로 자동으로 다른 곳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에서 미세하게 분쇄하여 거의 수분상태로 만들고 이러한 수분이 분쇄기 하부에 설치된 저장통에 일정량 모이면 센서의 감지로 저장통속에 설치된 수중모터를 이용하여 수분을 일정장소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음식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교반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체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구성도로, 교반기(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와, 상기 회전체(2)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과망(3)과, 상기 통과망(3)하부에 설치되는 저장통(4)과, 상기 저장통(4)속에 설치되는 수중모터(5)와, 상기 저장통(4)에 설치되어 물이 일정량 올라오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와, 상기 감지센서(6)에 의해 물이 일정량 감지되면 저장통(4)의 물을 다른 곳으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체(2)를 나타낸 것으로, 모터와 연결된 중심축(3a)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지지축(3b)과, 상기 중심축(3a)에 수직으로 상기 가로지지축(3b)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지지축(3c)과, 상기 가로지지축(3b)과 세로지지축(3c)에 교번하여 고정되는 반원형의 날개부(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속에 회전체(2)가 설치되는데 교반기(1)작동시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찌꺼기가 고속으로 분쇄된다.
단, 미생물 분해에 의해 분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체(2)가 도 3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회전체(2)에 음식물 찌꺼기가 전혀 달라붙지 않아 회전체(2)가 통과망(3)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통과망(3)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2)의 고속회전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가 거의 수분(물)상태로 분쇄되어 통과망(3)을 통하여 통과망(3)하부에 설치된 저장통(4)에 물이 모이게 된다.
상기 저장통(3)속에는 감지센서(6)가 설치되어 있어 물이 일정량 올라오면 감지센서(6)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저장통(4)속에 설치된 수중모터(5)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중모터(5)가 작동하면, 저장통(4)속에 모인 물이 일순간에 호스 (7)를 통하여 고속으로 다른 장소로 배출되는데 배출장소는 예컨대, 업소의 식당에서 조금 먼 곳으로 배출되도록 설치하면 냄새없이 또한 물이 새어 지저분하지 않은 상태로 고속으로 처리 가능하다.
그리고, 수중모터(5)에 의해 일순간에 호스(7)를 통해 고속으로 배출되므로 저장통(4)과 호스(7)에 찌꺼기가 달라 붙지 않아 냄새가 나지 않게 된다.
1:교반기 2:회전체
3:통과망 4:저장통
5:수중모터 6:감지센서
7:호스

Claims (2)

  1. 삭제
  2. 교반기(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와, 상기 회전체(2)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과망(3)과, 상기 통과망(3)하부에 설치되는 저장통(4)과, 상기 저장통(4)에 설치되어 물이 일정량 올라오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를 가진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4)에 수중모터(5)가 내장됨과 함께 호스(7)가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6)에 의해 물이 일정량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수중모터(5)를 작동시켜 호스(7)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2)를, 중심축(3a)에 수평으로 설치된 가로지지축(3b)들과 상기 중심축(3a)에 수직으로 설치된 세로지지축(3c)들 및 반원형 날개부(3d)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KR1020130020926A 2013-02-27 2013-02-27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KR101450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26A KR101450588B1 (ko) 2013-02-27 2013-02-27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26A KR101450588B1 (ko) 2013-02-27 2013-02-27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26A KR20140106826A (ko) 2014-09-04
KR101450588B1 true KR101450588B1 (ko) 2014-10-14

Family

ID=5175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26A KR101450588B1 (ko) 2013-02-27 2013-02-27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066B1 (ko) * 2003-07-09 2005-11-15 김종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76142B1 (ko) * 2005-09-16 2006-05-08 성아시스템즈(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066B1 (ko) * 2003-07-09 2005-11-15 김종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76142B1 (ko) * 2005-09-16 2006-05-08 성아시스템즈(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26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520213B2 (ja) 腐敗しやすい有機性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CN102500595B (zh) 一种厨房垃圾处理机及其绞碎器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7899672A (zh) 一种城市垃圾处理装置
KR20140002415A (ko) 음식물 분쇄장치
WO2014108043A1 (zh) 一种多功能自动垃圾处理器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296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325656A (zh) 一种具有环保功能的垃圾处理装置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5435905U (zh) 商用餐饮垃圾处理器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0588B1 (ko) 음식물쓰레기 고속분해 처리장치
KR20110031805A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KR100839377B1 (ko) 음식쓰레기 배출량 감소장치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1541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12596294U (zh) 一种机械设备生产用废料粉碎回收装置
KR1012188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4742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00340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