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315B1 -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315B1
KR101450315B1 KR1020110059542A KR20110059542A KR101450315B1 KR 101450315 B1 KR101450315 B1 KR 101450315B1 KR 1020110059542 A KR1020110059542 A KR 1020110059542A KR 20110059542 A KR20110059542 A KR 20110059542A KR 101450315 B1 KR101450315 B1 KR 10145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ack
housing
driven pulle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972A (ko
Inventor
조희권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5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31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71Toothed belt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8Power assistance, e.g. servo-motors
    • B60Y2400/4187Servo-motors, e.g. electric or fluidic with feedback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구동풀리가 내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가 내장되는 랙하우징, 모터축이 관통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 상기 장착부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랙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가 상기 피동풀리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를 거쳐서 랙바에 전달되고, 발생된 토크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벨트식 전동장치에 의해 볼 스크류부를 거쳐서 랙바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즉, 조향 계통에서 발생한 토크와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 일측에 랙 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랙바(109), 상기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피니언축(104), 볼(201)을 매개로 볼 스크류(203)와 맞물리는 볼 너트(205)로 구성되는 볼 스크류부(150), 상기 볼 너트(205)와 모터축(221)을 연결하는 벨트식 전동장치(140) 및 모터(130)를 포함하며, 또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상기 모터(130)를 감싸며 랙하우징(223)에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피니언축(104)은 조향축을 통해 조향휠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일정 길이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랙바(109)는 랙하우징(223)에 내장된다.
볼 스크류부(150)는 상기 랙바(109)와 동축 상에 형성되되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와 랙바(10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 스크류(203) 및 볼 스크류(203)에 접하는 볼(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 너트(205)는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데,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07)이 구비된다.
벨트식 전동장치(140)는 모터축(221) 및 볼 너트(205)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향휠에 가해진 조향 토크에 비례하여 모터(130)에서 발생하는 보조 동력을 볼 너트(205)를 통해 랙바(109)에 전달한다. 즉,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벨트(230)에 의해 모터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볼(201) 및 볼 스크류(203)의 운동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모터(130)는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과 랙하우징(223)의 볼트(300)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조향시 모터축(221)이 회전하면서 벨트(230)를 구동하여 볼 너트(205)부위를 회전하게 되면 벨트(230)의 장력에 의해 모터축(221)과 볼 너트(205)를 구비한 랙바(109)의 축이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위와 같이 발생한 힘은 기구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인 모터 풀리 하우징(240)과 랙하우징(223)의 볼트(300) 결합 부위로 집중되는 한편 조향시 모터축(221)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한 볼트(300) 풀림 현상으로 모터축(221)이 볼 너트(205)를 구비한 랙바(109)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벨트(230)의 장력이 낮아지고 벨트(230)와 구동풀리(310), 피동풀리(320)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며 벨트(23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지지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구동풀리가 내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가 내장되는 랙하우징, 모터축이 관통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 상기 장착부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랙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가 상기 피동풀리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일측면이 상기 장착부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 지지되며 상기 장착부를 상기 피동풀리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일측면 또는 타측면중 어느 하나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풀리 쪽은 상측, 피동풀리 쪽은 하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4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440)에 결합되는 지지체(410) 및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4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4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4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4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4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4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4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410)는 원통형상으로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4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4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410)는 지지체(4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이 형성되고, 그 중공의 중심과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4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4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410)는 강성을 요하므로 주로 스틸 재질로 형성되나, 스틸과 대등한 비강도를 구비하는 폴리아세탈수지나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체(410)가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410)의 외주면 하측에는 돌기(412)가 구비되며,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410)가 회전하는 접선방향으로 관통공(440)의 하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47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결합공(470)에는 조정볼트(430)가 돌기(412)를 밀어 상기 지지체(410)를 회전시키도록 체결되되, 체결된 조정볼트(430)는 상기 지지체(410)의 외주면 하측에 구비된 돌기(412)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되거나 지지체(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412)를 조정볼트(430)를 통해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지지체(4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412)와 접선방향으로 관통공(440)과 연통되게 랙하우징(223)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470)을 지지체(410) 및 관통공(440)의 원주방향 어느 곳에라도 형성하여 돌기(412)를 지지하도록 조정볼트(4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10)의 중심에 편심된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4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4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어서, 조정볼트(430)를 볼트 결합공(470)에 체결하여 지지체(41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412)를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상기 조정볼트(430)를 조이면 조정볼트(430)에 의하여 돌기(412)가 밀리면서 지지체(4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410)의 중심보다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지지체(410)가 회전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1"이 지지체(410)가 회전하였을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1'"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6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640)에 결합되는 지지체(610),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6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630) 및 상기 조정볼트(630)와 돌기(612)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6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6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6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6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6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6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610)는 원통형상으로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6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6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610)는 지지체(6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이 형성되고, 그 중공의 중심과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6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6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610)가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610)의 외주면 하측에는 돌기(612)가 구비되며,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610)가 회전하는 접선방향으로 관통공(640)의 하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67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결합공(670)에는 조정볼트(630)가 돌기(612)를 밀어 상기 지지체(610)를 회전시키도록 체결되되, 체결된 조정볼트(630)는 상기 지지체(610)의 외주면 하측에 구비된 돌기(612)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조정볼트(630)와 상기 돌기(612) 사이에는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탄성체(6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정볼트(630)의 단부에 탄성체(6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체(620)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620)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63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620)에 상기 가이드 돌기(632)가 삽입되어 조정볼트(630)와 돌기(612) 사이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되거나 지지체(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612)를 조정볼트(630)를 통해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지지체(6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612)와 접선방향으로 관통공(640)과 연통되게 랙하우징(223)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670)을 지지체(610) 및 관통공(640)의 원주방향 어느 곳에라도 형성하여 돌기(612)를 지지하도록 조정볼트(6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610)의 중심에 편심된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6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6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어서, 탄성체(620)를 조정볼트(63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632)에 삽입하고 조정볼트(630)를 볼트 결합공(670)에 체결하여 지지체(61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612)를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상기 조정볼트(630)를 조이면 조정볼트(630)에 의하여 돌기(612)가 밀리면서 지지체(6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6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610)의 중심보다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지지체(610)가 회전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2"가 지지체(610)가 회전하였을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2'"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볼트(630)의 가이드 돌기(632)에 탄성체(620)가 끼워져 지지체(610)를 탄성지지 함과 동시에 랙하우징(223)에 형성된 장홀(460)에 체결부재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유동성 있게 체결되어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살펴보면, 조정볼트와 볼트 결합공의 형태가 위의 실시예와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8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840)에 결합되는 지지체(810) 및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8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8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8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8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8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8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8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810)는 원통형상으로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8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8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810)는 지지체(8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이 형성되고, 그 중공의 중심과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8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8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810)가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810)의 외주면 상측에는 돌기(812)가 구비되며,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810)가 회전하는 접선방향으로 관통공(840)의 상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87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랙하우징(223)에 조정볼트(830)가 삽입되는 볼트 결합공(870)이 구비되되, 조정볼트(830)의 일측은 돌기(812)와 와이어(890)로 연결되고 타측은 체결너트(880)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너트(880)를 조여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8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체(810)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말해 상기 볼트 결합공((870)의 중간에 내경이 축경된 걸림턱(89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880)를 지지하고, 일측이 돌기(812)와 와이어(890)로 연결된 조정볼트(830)의 타측을 체결너트(880)와 결합하여 상기 체결너트(880)를 조여 상기 지지체(8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되거나 지지체(8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812)를 조정볼트(830)를 통해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지지체(8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812)와 접선방향으로 관통공(840)과 연통되게 랙하우징(223)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870)을 지지체(810) 및 관통공(840)의 원주방향 어느 곳에라도 형성하여 돌기(812)를 지지하도록 조정볼트(8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810)의 중심에 편심된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8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8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어서, 지지체(810)의 돌기(812)와 조정볼트(830)의 일측을 와이어(890)로 연결하고 조정볼트(830)를 볼트 결합공(870)에 삽입한다.
상기 볼트 결합공(870)에 삽입된 조정볼트(830)의 타측에 체결너트(880)를 체결하여 돌기(812)를 지지한다.
즉, 상기 볼트 결합공(870)에 걸림턱(895)이 형성되어 체결너트(880)를 지지하고 체결너트(880)와 결합된 조정볼트(830)의 일측에는 와이어(890)로 연결되어 지지체(81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812)를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상기 체결너트(880)를 조이면 조정볼트(830)에 의하여 돌기(812)가 당겨지면서 지지체(8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8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810)의 중심보다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지지체(810)가 회전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3"이 지지체(810)가 회전하였을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3'"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0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1040)에 결합되는 지지체(1010),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10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1030) 및 상기 조정볼트(103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080)와 상기 랙하우징(223)의 볼트 결합공(1070)에 형성된 걸림턱(1095)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10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0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10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0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10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10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10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1010)는 원통형상으로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10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10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1010)는 지지체(1010)의 중심과 편심된 중공이 형성되고, 그 중공의 중심과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10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10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1010)가 회전하면서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지체(1010)의 외주면 상측에는 돌기(1012)가 구비되며,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1010)가 회전하는 접선방향으로 관통공(1040)의 상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107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랙하우징(223)에 조정볼트(1030)가 삽입되는 볼트 결합공(1070)이 구비되되, 조정볼트(1030)의 일측은 돌기(1012)와 와이어(1090)로 연결되고 타측은 체결너트(1080)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너트(1080)를 조여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10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체(1010)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말해 상기 볼트 결합공(1070)의 중간에 내경이 축경된 걸림턱(109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1080)를 지지하고, 일측이 돌기(1012)와 와이어(1090)로 연결된 조정볼트(1030)의 타측을 체결너트(1080)와 결합하여 상기 체결너트(1080)를 조여 상기 지지체(10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1080)와 상기 걸림턱(1095) 사이에는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02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되거나 지지체(10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012)를 조정볼트(1030)를 통해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지지체(10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1012)와 접선방향으로 관통공(1040)과 연통되게 랙하우징(223)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1070)을 지지체(1010) 및 관통공(1040)의 원주방향 어느 곳에라도 형성하여 돌기(1012)를 지지하도록 조정볼트(10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010)의 중심에 편심된 중공의 중심이 구동풀리(3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부(450)의 외주면을 감싸며 관통공(104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기 지지체(10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어서, 지지체(1010)의 돌기(1012)와 조정볼트(1030)의 일측을 와이어(1090)로 연결하고 조정볼트(1030)를 볼트 결합공(1070)에 삽입한다.
상기 볼트 결합공(1070)에 삽입된 조정볼트(1030)의 타측에 체결너트(1080)를 체결하여 돌기(1012)를 지지한다.
즉, 상기 볼트 결합공(1070)에 걸림턱(1095)이 형성되어 체결너트(1080)를 지지하고 체결너트(1080)와 결합된 조정볼트(1030)의 일측에는 와이어(1090)로 연결되어 지지체(101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012)를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상기 체결너트(1080)를 조이면 조정볼트(1030)에 의하여 돌기(1012)가 당겨지면서 지지체(10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0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1010)의 중심보다 구동풀리(310)의 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지지체(1010)가 회전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4"가 지지체(1010)가 회전하였을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4'"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1080)와 상기 걸림턱(1095) 사이에는 탄성체(1020)가 끼워져 지지체(1010)를 탄성지지 함과 동시에 랙하우징(223)에 형성된 장홀(460)에 체결부재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유동성 있게 체결되어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살펴보면, 지지체의 형태가 위의 실시예와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2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1240)에 결합되는 지지체(1210) 및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12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1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2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12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12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12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12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1210)는 일측면이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1240)의 내벽에 지지되며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일측면 또는 타측면중 어느 하나가 경사면(1213)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1210)는 쐐기 형상인 일측면이 경사면(1213)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1240)의 내벽에 지지되어 후술하는 조정볼트(1230)가 지지체(1210)를 밀어 장착부(450)가 경사면(1213)을 타고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1210)를 밀어 장착부(450)가 경사면(1213)을 타고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통공(1240)의 하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127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결합공(1270)에는 조정볼트(1230)가 체결되되, 체결된 조정볼트(1230)는 상기 지지체(1210)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형상의 지지체(1210)를 장착부(450)의 외주면 하측이 지지되도록 랙하우징(223)의 관통공(1240)에 삽입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조정볼트(1230)를 볼트 결합공(1270)에 체결하여 상기 조정볼트(1230)를 조이면 조정볼트(1230)에 의하여 돌기(412)가 밀리면서 장착부(450)가 지지체(1210)의 경사면(12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지지체(1210)가 경사면(12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5"가 지지체(1210)가 경사면(12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5'"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하우징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4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되는 랙하우징(223),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240),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310)와 상기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1440)에 결합되는 지지체(1410) 및 상기 랙하우징(223)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450)가 상기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1410)를 지지하는 조정볼트(1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230)는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랙하우징(223)은 랙바(109)를 감싸고, 상기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랙하우징(22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310)가 내장되는 관통공(144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320)가 내장된다.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223)의 관통공(1440)에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장착부(450)가 삽입되어 나사, 못,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랙하우징(22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440)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면 사이에 지지체(141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체(1410)는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관통공(14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체(1410)는 일측면이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1440)의 내벽에 지지되며 장착부(450)를 피동풀리(32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일측면 또는 타측면중 어느 하나가 경사면(1413)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체(1410)는 쐐기 형상인 일측면이 경사면(1413)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450)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1440)의 내벽에 지지되어 후술하는 조정볼트(1430)가 지지체(1410)를 밀어 장착부(450)가 경사면(1413)을 타고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랙하우징(223)에 지지체(1410)를 밀어 장착부(450)가 경사면(1413)을 타고 피동풀리(32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통공(1440)의 하측과 연통되게 외측으로 개방되는 볼트 결합공(147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결합공(1470)에는 조정볼트(1430)가 체결되되, 체결된 조정볼트(1430)는 상기 지지체(14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조정볼트(1430)와 상기 지지체(1410) 사이에는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탄성체(14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정볼트(1430)의 단부에 탄성체(14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체(1420)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1420)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143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1420)에 상기 가이드 돌기(1432)가 삽입되어 조정볼트(1430)와 지지체(1410) 사이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체(1410)에는 탄성체(14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체(1420)가 지지되는 면에 홈(141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대칭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지지체가 조정볼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형상의 지지체(1410)를 장착부(450)의 외주면 하측이 지지되도록 랙하우징(223)의 관통공(1440)에 삽입한다.
이어서, 탄성체(1420)를 조정볼트(143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32)에 삽입하고 조정볼트(1430)를 볼트 결합공(1470)에 체결하여 상기 지지체(1410)를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에 벨트(230)를 감은 후 조정볼트(1430)를 볼트 결합공(1470)에 체결하여 상기 조정볼트(1430)를 조이면 조정볼트(1430)에 의하여 지지체(1410)가 밀리면서 장착부(450)가 지지체(1410)의 경사면(14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조정볼트(143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32)와 지지체(1410)에 형성된 홈(1415)에 의하여 탄성체(14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지지체(1410)가 경사면(14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기 전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6"이 지지체(1410)가 경사면(1413)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구동풀리(310)와 피동풀리(320)와의 거리 "L6'"인 상태로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볼트(1430)의 가이드 돌기(1432)에 탄성체(1420)가 끼워져 지지체(1410)를 탄성지지 함과 동시에 랙하우징(223)에 형성된 장홀(460)에 체결부재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유동성 있게 체결되어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체의 경사면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4 : 피니언축 109 : 랙바
130 : 모터 140 : 벨트식 전동장치
150 : 볼 스크류부 201 : 볼
203 : 볼 스크류 205 : 볼 너트
207 : 베어링 221 : 모터축
223 : 랙하우징 230 : 벨트
240 : 모터 풀리 하우징 300 : 볼트
310 : 구동풀리 320 : 피동풀리
410 : 지지체 412 : 돌기
430 : 조정볼트 440 : 관통공
450 : 고정부 460 : 장홀
470 : 볼트 결합공

Claims (13)

  1. 일측에는 구동풀리가 내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피동풀리가 내장되는 랙하우징;
    모터축이 관통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모터 풀리 하우징;
    상기 장착부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랙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가 상기 피동풀리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조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일측면이 상기 장착부의 외주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 지지되며 상기 장착부를 상기 피동풀리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일측면 또는 타측면중 어느 하나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가 상기 지지체를 밀어 상기 장착부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상기 피동풀리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랙하우징에 상기 조정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는 진동과 유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의 단부에 상기 탄성체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110059542A 2011-06-20 2011-06-20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5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2A KR101450315B1 (ko) 2011-06-20 2011-06-20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2A KR101450315B1 (ko) 2011-06-20 2011-06-20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972A KR20120139972A (ko) 2012-12-28
KR101450315B1 true KR101450315B1 (ko) 2014-10-21

Family

ID=4790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42A KR101450315B1 (ko) 2011-06-20 2011-06-20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4896A (zh) * 2015-01-12 2016-07-20 株式会社万都 齿条式电动转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44B1 (ko) * 2015-01-30 2021-04-21 주식회사 만도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222578B1 (ko) * 2015-01-30 2021-03-0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WO2019103305A1 (ko) * 2017-11-23 2019-05-31 (주)케이에이알 전동식 조향장치
KR20210127514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만도 조향 보조 장치
BE1029963B1 (de) 2022-06-30 2023-06-20 Thyssenkrupp Presta Ag Lenk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959A (ja) 2002-01-29 2003-08-05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027577A (ja) 2004-07-22 2006-02-02 Kayaba Ind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30466A (ko) * 2003-05-06 2006-04-10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벨트 감속 장치 및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JP2007153300A (ja) 2005-12-01 2007-06-21 Mando Corp モータ駆動式操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959A (ja) 2002-01-29 2003-08-05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30466A (ko) * 2003-05-06 2006-04-10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벨트 감속 장치 및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JP2006027577A (ja) 2004-07-22 2006-02-02 Kayaba Ind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53300A (ja) 2005-12-01 2007-06-21 Mando Corp モータ駆動式操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4896A (zh) * 2015-01-12 2016-07-20 株式会社万都 齿条式电动转向装置
CN105774896B (zh) * 2015-01-12 2018-03-20 株式会社万都 齿条式电动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972A (ko)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315B1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070151378A1 (en) Power-steering system
KR101759758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5735094B2 (ja) ヘリカルギヤ装置及び電動補助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20150059506A1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68620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8640567B2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1783100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851141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2101664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JP200602757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600615A (zh) 具有带驱动机构的电动动力转向系统
KR20170088167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9409593B2 (en) Rack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218866B1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854773B1 (ko) 유격 보상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21339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3000869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벨트 장력 조절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68244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65032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70040884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200134441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